러셀 2000 다 합쳐도 애플 시총보다 낮은 상황, 우리 중형주 추세 반락 5월 17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美 4월 소매판매 0.4%…플러스 전환 예상은 하회
https://www.sedaily.com/NewsView/29PLQ9340D
2. 미국 4월 소매판매 0.4% 증가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5160689&t=NN
중국 생산 지표가 엉망이었는데 미국 소매 판매가 늘기는 했지만 예상치 하회하면서
중국이나 미국이나 지표가 말썽이었습니다.
<<홈디포 분기 매출 예상 하회…20년 만 최악 미스
분기 매출 372억6000만 달러 월가 전망 밑돌아
매출 감소 수요 급감 반영 거시경제에도 적신호>>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9PLQ2QLO3
이러니 소매판매하는 홈디포 매출이 크게 하회하면서 20년만에 최악이라고 합니다.
야 이럼 오늘 이마트 또 안 좋겠는데요.
우리 백화점이나 마트 종목들 걱정하게 생겼네요.
편의점은 버틸지 모르겠습니다.
<<1. 美 당국 "지역은행 주식 ‘공매도 금지’ 전혀 고려 안해"
"공매도 금지 정책 효과 없었다"/ 겐슬러 SEC 위원장 입장 밝혀
美중소형은행주 10% 넘게 급등
https://www.fnnews.com/news/202305161825375341
2. 메스터 연은 총재 “정책 전환하기에는 인플레 너무 높아”>>
https://www.news1.kr/articles/5048990
금융업종도 크게 내렸는데 지역은행 공매도 금지 안 한다는 소식에 반응하는 것 같습니다.
이러니 다우가 –1%대 하락입니다.
연준 위원 발언도 시장에 도움을 못 주네요. 쩝
<<1. 디폴트 우려에 美백악관 "바이든, G7 이후 순방 일정 재검토"
파푸아뉴기니 및 호주 방문 일정 변경 가능성 시사
https://www.news1.kr/articles/5048970
2. 옐런 "부채한도 못 올리면 美 부도" 증시 폭락 우려에 벌벌 떠는 코스피>>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3051702101663066002
바이든 대통령이 부채 한도로 공화당과 협상한다는 소식이 지금 나오고 있는데
쉽게 될 것 같지는 않고 이게 우리 시장 악재로 오늘도 영향 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장중에 이것과 관련 호재가 나오면 시장은 또 언제든지 반등도 가능하니
위아래 열어두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챗봇이 정부의 승인을 기다리면서 중국의 바이두가 수익 추정치를 상회
바이두가 실적이 좋게 나오면서 3.97% 상승하면서 중국 주식 방어는 했는데
나머지는 강보합, 약보합 정도입니다.
"美빅테크 너무 올라 … 중소형주 ETF 주목"
러셀2000기업 시총 합쳐도
애플 2조7천억달러보다 적어
https://www.mk.co.kr/news/stock/10737480
우리 시장 이야기에서 러셀 2000 이야기와 중형주, 소형주 이야기 해 두었지만
위 기사 정말 시사하는 점 크다는 생각입니다.
미국 중소형주나 우리 중소형주나 지금 많이 심각합니다.
러셀 2000 다 합쳐도 애플 시총 보다 못합니다..
지금 끔찍한 일이 중소형주에 일어나고 있다는 판단입니다.
1. "믿을건 AI·고성능 반도체"
월가, 빅테크 투자 감소에도/ 엔비디아 실적은 개선될듯
https://www.mk.co.kr/news/stock/10737481
2. 화이트칼라 울리는 AI..."머리만 쓰는 노동자는 언제든 대체될 수 있다"
AI 보급 영향… 미 15만 화이트칼라 먼저 실직
'로봇과 공생' 블루칼라, 미래 유망 직종 석권
"팬데믹 이후, 블루·화이트 임금 불균형도 줄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51617150001943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유가, 글로벌 수요 부진 우려에 소폭 하락...천연가스 가격도 소폭 내려
2. 프랑스, 美IRA 맞서 마련한 녹색산업법안 공개…7월 하원 논의
친환경 기술투자에 세액 공제·유럽산 전기차에 차등 보조금 지급
외국기업 투자유치·일자리 창출 기대…머스크 "佛에 중요한 투자 확신"
https://www.yna.co.kr/view/AKR20230516154700081?input=1195m
3. 키이우에 특사 파견하는 中, 우크라-러시아 중재 성공할까(종합)
우크라 고위, 바티칸에 "중재는 필요 없다"한 것과 같은 메시지 전할 것
中 정부, 순방 목적은 "우크라 위기의 모든 당사자와 소통하는 것"
https://www.news1.kr/articles/5048917
4. 러에 부동항 사용권 선물 받은 中… 우크라이나 전쟁 중재할 수 있을까
中, 러에 뺏긴 블라디보스토크항 163년만 사용… 동북지역 물류비 대폭 절감될 듯
리후이 특사, 우크라 시작으로 폴란드, 프랑스, 독일과 협의 후 러시아 방문
中 중재안, 우크라 영토 회복과 거리… 러시아에 선물까지 받아 중재 효과 미지수
5. 러 국가두마, 유럽재래식무기감축조약 공식 탈퇴 만장일치 결정
1991년 체결…푸틴, CFE 조약 비난 1주일도 못돼 이뤄져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516_0002305637&cID=10101&pID=10100
6. 러시아, 우크라이나 미사일 격추 주장에 "목표물 타격 받았다" 반박(종합)
러 극초음속 미사일 6기 또 요격…러는 "패트리엇 파괴해" 반박(종합2보)
달러가 0.17% 상승, 102.440입니다. 많이 올라왔습니다.
경기 침체에 반응하는지 은이 많이 내려오네요.
이제 23달러 대로 내려왔습니다. -1.57% 하락 금도 2000달러가 무너지면서 –1.46% 하락
구리도 많이 내려왔습니다. -2.39%
<<1. 金·銀 투자상품 웃고, 농산물 울고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3051689781
2. 경기 둔화에 원자재펀드 '먹구름'
올 수익률 10% 이상 하락/ 金펀드만 나홀로 고공행진>>
https://www.mk.co.kr/news/stock/10737469
원자재 펀드가 먹구름이고 금과 은이 괜찮다고 하지만
이번주는 금과 은도 조정으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원자재에서 경기 침체 제대로 반영하는 흐름이 나오고 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러시아, 중국까지 새 가스관 깐다…"유럽 손실 아시아서 만회"
러시아, 카자흐 거쳐 중국으로 이어지는 새 가스관 구축 나서>>
https://www.yna.co.kr/view/AKR20230516160600096?input=1195m
러 對인도 교역도 대폭 확대…"1분기 교역액 작년의 4배"
"러의 對중국 교역은 40% 늘어"…EU "인도 러 원유 재수출 단속해야"
https://www.yna.co.kr/view/AKR20230516128300009?input=1195m
中 글로벌타임스 "中·중앙亞 5개국 정상회의서 美에 맞선 관계 구축"
중국 주최 올해 첫 외교행사/ "美, 중앙亞 접근은 불화 초래"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516_0002305053&cID=10101&pID=10100
유가는 70.55달러 –0.79% 하락입니다.
러시아가 중국으로 석유 보내려고 온갖 노력을 다 하네요.
중국은 중동과 짝짜꿍, 러시아랑 짝짜꿍, 하면서 패권 노리는 모습입니다.
저는 택도 없다. 뭐 이런 느낌으로 보고는 있습니다.
1. 흑해곡물협정 연장 불투명…글로벌 식량난 재발 우려
이번주 추가 회담 계획도 없어
우크라 "18일 협정 종료될 수도"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9PLOUPK1P
배터리 소부장, 자동차, 엔터 이런 쪽으로 급등이 나오면서 시장 주목이 떨어지지만
저는 계속 기후, 곡물, 재생에너지 추적하고 있습니다.
어제 테마 상위가 사료, 비료, 농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좀 쉬나 싶으면 다시 오르고 다시 오르네요.
자동차 부품 상한가도 잘 나오지만 이쪽에서도 상한가 잘 나옵니다.
어제는 미래생명자원이 상한가였습니다.
우크라니아 곡물 협상이 교착 상태로 18일 협정 종료 가능성도 나오네요.
이런 우려감을 어제 반영한 것으로 봅니다.
1. 中 지난 낮기온 37도, 올해 첫 폭염경보…17년 만에 가장 일러
베이징 등 곳곳 이틀 연속 35도…올해 극심한 폭염 예고
2. '지글지글'…말레이시아 폭염에 익어버린 달걀
야외 태양열로 달걀 프라이 만드는 영상 화제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516_0002304899
기후 이야기 계속 전해드리고 있는데 이제 말레이시아 폭염 소식도 나오네요.
여기도 농작물 생산 많은데 큰일입니다.
중국은 첫 폭염 경보가 17년만에 일찍 나왔다고 합니다.
1. 美와 계약 파기·브라질산 수입 확대…中 식량 '脫미국' 빨라진다
우크라戰 여파 농산물값 급등하자/ 중남미·阿 등으로 수입선 다변화
2. 中 옥수수시장 美 점유율 반토막/ 자급률도 10년내 88%로 확대 목표
글로벌 곡물시장 지각변동 가능성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9PLPNZZF4
3. 習 '농지확대' 드라이브에…멀쩡한 공원도 없애
식량 자급률 높이려 마구잡이 개발/ 지난해 경작지 면적 8.6만㏊ 늘어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9PLO9M7FU
중국이 식량 자급을 위해서 대단히 노력하네요.
어마어마한 댐 건설이 이런 이유 때문이었을 것 같은데
이제 수입에서도 다변화로 대응하는 것 같습니다.
미국 수입 줄이고 있다고 하는데 이건 또 미국 정치와 연결될 것 같습니다.
정치 이야기는 그만하고
3번에 공원도 없애면서 농지확대 한다고 하는데
우리는 잘 있는 논 밭 가라 엎어서 아파트 짓고 있는데
정말 큰일이네요. 이런 기후 위기가 확대되면서 우리 식량 자급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면 우리도 쌀 수입국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퍼스트솔라가 –3.97% 하락, 인페이즈는 –4.59%, 솔라엣지는 –3.97% 하락이네요
오늘 우리 태양광 좀 힘들지 싶습니다.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버핏이 맞았네" 훨훨 나는 日증시, 최고치 찍다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5160618&t=NN
2. 日닛케이, 나흘째 상승에 올 들어 최고치…토픽스, 33년만에 최고
日 토픽스, 33년만에 최고… 거품경제 붕괴 이래 가장 높아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3051602109963040005
3. 日증시 33년만에 최고 엔저에 기업 실적 개선
닛케이225, 2만9843 마감/ 기업 '주주 친화정책' 한몫
https://www.sedaily.com/NewsView/29PLOYQGQT
4. 폭스콘 아이폰공장 신설·스즈키 3조 투자…"차이나+1 최적지"
[Global What] 인도로 몰리는 글로벌 기업
2020~2022년 기준 FDI 420억弗/ 美 시스코 현지공장 설립 결정 등
반도체·車·풍력 업체 잇단 진출/ 中 추월한 인구는 매력적이지만
낙후된 인프라·교육 등은 걸림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191055?sid=104
5. "韓·印尼 공급망, 中의존도 낮출 기회"
매경 글로벌포럼…양국 협력 업그레이드
인니 투자장관 "기술·자원 합쳐 배터리산업 주도
유럽 시장이 매일 오르는 느낌을 주더니
이제 일본 시장이 그런 모습입니다. 토픽스는 33년만에 최고치를 계속 경신하네요.
반대로 저는 끝물이 다 와가는구나!!
중국 ETF 최고 수익률이다. 중국 종목들 잘 간다. 며칠 뉴스 나오면 슬슬 던질 시기라고 전해드렸는데 지난주부터 일본 시장 ETF에서 그런 소식이 계속 나오네요.
다 왔다. 일본 시장 경험으로는 그렇습니다.
인도, 인도네시아의 중국을 대체할 차기 생산 기지 역할 기사가 계속 나오네요.
격하게 공감합니다.
1. [올댓차이나] 대만 증시, 나스닥 강세에 닷새 만에 반등...1.28%↑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516_0002305252&cID=10101&pID=10100
2. [올댓차이나] 홍콩 증시, 美 부채 우려 완화에 상승 마감...H주 0.14%↑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516_0002305576&cID=10101&pID=10100
3. [올댓차이나] 中 증시, 경기둔화 우려에 반락 마감...창업판 0.25%↓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516_0002305509&cID=10101&pID=10100
4. 中 4월 산업생산 5.6%↑ 소매매출 18.4%↑ 1~4월 고정자산 투자 4.7%↑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516_0002304641
5. 중국 4월 경제지표 예상보다 부진…청년실업률 20% 넘어 사상 최고치
https://www.khan.co.kr/world/china/article/202305161639001
6. '백약이 무효' 中 청년실업률 20% 첫 돌파…"실질적 대책 필요"
中 청년실업률 20.4%… 경기회복 발목 잡나
소매판매 두 달 연속 증가세 훈풍
고용·부동산침체가 찬물 끼얹어
같은 반도체의 나라인데 대만은 1.28% 상승하는데 우리는 0.04% 강보합이라니
참 초라한 지수 모습이네요.
중국 4월 지표 악재는 이렇습니다.
<<리오프닝 약발 못받는 中…청년실업률 첫 20%
4월 소비·생산도 예상밖 부진/ 내수 침체에 기업들 채용 줄여
대졸자, 입사하기 더 '바늘구멍'/ 산업생산 5.4% … 예상치 절반
휴대폰·車판매 전달대비 감소>>
이런 악재에 급락 안 한 것이 다행이다. 이리 위안 삼아도 될 정도로 지표가 엉망이었습니다.
미국 시장도 여기에 일정 부분 영향받았을 것 같습니다.
산업생산이 예상치의 반토막이라고 하니 암담하네요.
10명중 2명은 실업자인 중국 청년 실업도 큰 문제고 말입니다.
이러니 소비가 되겠습니까?
"노점상 열풍으로 고용촉진 노리는 中…경제동력 되긴 어려워"
CNN "도시 청년 실업률 20% 육박…'노점 허용' 전국 확산 추세"
중앙정부까지 지원 약속…전문가 "노점상이 경제 구하지는 못해"
https://www.yna.co.kr/view/AKR20230516139800009?input=1195m
노점상 확대로 고용촉진 노린다. 참 어이없는 대책인데 중국 실업률이 큰 악재로 다시 부각됩니다.
<<1. "중국 내수-수출 성장 모두 부진…부양 압박 커졌다"
로이터 "스윗스팟 벗어났다…기준 금리 인하 압박"
https://www.news1.kr/articles/5048480
2. 중국, 소비와 수출 부진으로 경제 회복 압박
중국 4월 소매 판매 지수 저조, 경제 회복 압박>>
그래서 나오는 예상은 로이터가 기준 금리 인하 해야 할 것이다.
이런 예상이네요. 1분기에 그렇게 부양을 했는데도 이러니 뭘 얼마나 더 부양해야
움직일까 싶기도 하고 월요일은 인민은행 발언으로 상승하고
어제는 지표로 하락하고 종잡을 수가 없는 곳입니다.
오늘은 10시 반에 주택가격 발표가 나오는데 이게 또 어느 방향으로 튈지 걱정입니다.
10시 반 이후 상당한 변동성이 나올 수 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1. 中반도체 생산 16개월만에 증가…"한국·대만서 수입 급감“
SCMP는 이날 중국 국가통계국의 자료를 인용해 중국의 4월 집적회로(IC·반도체 칩) 생산량이 전년 동월보다 3.8% 증가한 281억개로 지난해 1월 이후 처음으로 월간 생산량 증가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0516163200074?input=1195m
2. 中총리, 반도체 디커플링 조짐 네덜란드에 "공급망 수호하길"
뤼터 총리와 통화에서 對중국 반도체장비 수출통제 가능성 견제
https://www.yna.co.kr/view/AKR20230516166500083?input=1195m
3. ‘낸드 초밀착’ 꾀하는 미일… 삼성·SK ‘초격차 기술’로 철통방어
키옥시아·웨스턴디지털 합병 추진/ 세계 2·4위 ‘빅딜’ 땐 단숨에 1위로
반독점 심사·中 반발도 남은 변수
삼성, R&D 투자로 1위 사수 전략
SK, 자회사 경영강화로 반등 노려>>
마이크론이 낸드 합병으로 반응했다고 하는데 야 이게 우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정말 호재일까? 엄청난 경쟁자가 생기는 것 같은데 이런 걱정도 하게 됩니다.
중국에서 합병을 승인 해줄지도 미지수이긴 한데
호재와 악재가 양립한다는 생각입니다.
<<中반도체 생산 16개월만에 증가…"한국·대만서 수입 급감“>>
중국 반도체 생산이 증가한다. 이게 재고가 줄어서 그런지
한국 대만 수입이 줄고 중국 반도체가 대체 역할 하면서 나온 현상인지
하여간 우리나 대만에게는 악재일 것 같습니다.
중국 반도체 수출에 대한 정확한 기사가 안 나오면 계속 악재로 보고 대응해야 할 것 같습니다.
[단독] 삼성, 中 영업비중 사상 최저치 추락
1분기 현지법인 매출 5.5조…전체의 8%로 뚝
미·중發 불확실성에 활동 위축/ 2019년 18% 이후 매년 감소세
https://www.sedaily.com/NewsView/29PLP6OZOM
기사 보시면 삼성 중국 비중이 최저치로 추락 중이라고 하지 않습니까?
이렇게 되면 수출의 큰 부분인 반도체 수출 차질은 명확할 것 같습니다.
무역 수지 개선이 요원해질 악재라는 생각입니다.
삼성 영업비중은 최저치 중국 자국 반도체 생산 16개월만에 증가
미국 중국 반도체 규제에 우리가 제대로 유탄 맞았다는 생각입니다.
<<1. '국대' 손준호, 中 공안에 구금…연봉 40억 선수가 뇌물수수?(종합)
중국 정부 "비국가공작인원 수뢰죄 혐의로 형사구류"
상하이공항에서 가족과 출국하려다 공안에 체포돼
승부조작 관련 뇌물수수? 손 선수 측 "가능성 없다"
석방시점 언제?…중국선 최장 37일 형사 구류 가능
중국내 프로축구 승부조작 관련 대대적 사정 광풍
https://www.nocutnews.co.kr/news/5944705
2. 中외교부 "손준호, 뇌물 혐의로 조사 중…법에 따라 처리할 것"
中 “韓국대 출신 손준호, 뇌물 혐의 구금” 공식확인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30516/119322555/2
3. 이번엔 미국서 중국계 시민 기소…"中정부 대리인 역할"
미중 상호 방첩 활동 강화…中 "美, '중국인 간첩' 과장">>
https://www.yna.co.kr/view/AKR20230516140000074?input=1195m
중국 대외 관계 악재는 두 가지로 보는데
하나는 우리 축구 선수 구금인데 국내 언론은 뇌물 수뢰를 사실화하는 제목도 나오고
연봉 40억 받는 선수가 무슨 뇌물을 받겠나?? 이런 의구심을 전하는 기사도 있습니다.
이걸 확대 해석해서 중국의 한한령 재개인가? 이렇게 확대 해석 할 부분이 생기나?
이런 걱정이 나옵니다. 선수 1인 개인의 일로 끝날지?
한한령 재개로 해석될지 살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다음은 방첩법 이슈인데 고위급 회담으로 악재가 내려오나 했는데
미국에서 이제 중국계 시민 기소 소식이 나왔습니다.
장군 멍군으로 이렇게 갈등하면 참 좋을 일이 없는데 말입니다.
중국 기사가 너무 많아서 더 적으면 집중이 떨어질 것 같습니다.
나머지는 기사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포드 CEO "中 전기차 업계와의 경쟁 쉽지 않아…투자 축소한다"
https://www.news1.kr/articles/5048446
2. [올댓차이나] 4월 中 조강생산 전년비 1.5%↓..."이익률 저하로 감산“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516_0002305135&cID=10101&pID=10100
3. 마이클 버리 JD닷컴 투자 세배로 늘리는 등 中기술주에 ‘빅 롱’
https://www.news1.kr/articles/5048445
4. [월가월부] 버핏의 변심 … 5조원대 TSMC주식 반년새 다 팔았다
美 SEC 분기보고서/ "TSMC는 멋진 기업이지만
美中갈등 리스크 무시 못해"/ 애플·옥시덴털은 비중 늘려
소로스, 테슬라 모두 팔고/ 월마트·넷플릭스 신규 매입
https://www.mk.co.kr/news/stock/10737479
5. TSMC 전량 처분한 버핏, 이번엔 美캐피털원 9억弗 담았다
뱅크오브뉴욕벨론·US뱅코프는 전량 처분
TSMC 역시 2월 이어 잔여 지분 모두 매도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9PLOMKZ5I
6. 수출위기 中시장확대로 극복…정부, 유망품목 16개 지원
장관 간 수출상황 점검회의 개최
신성장제조업·소비재·디지털그린전환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516_0002305312&cID=10401&pID=10400
7. 현대차 해외서 6천만원…비싸도 잘 팔렸다
해외가격, 현대차 6천만원·기아 4,500만원
8. 현대차, 日재진출 기념 브랜드데이 개최…"美만큼 중요한 시장"
현대차의 정성에 난공불락 日 운전자도 마음 열기 시작했다
하반기 코나 일렉트릭·내년 초 아이오닉5 N 일본 출시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51618100004528?did=NA
9. 현대차, 日 뚫을 전기차 로드맵 공개…코나 일렉트릭 가을 출격
'아이오닉5 N' 및 '아이오닉6'도 순차적 출시 예정
현대 어슈어런스 프로그램도 공개…3년까지 무상 정기점검
https://www.news1.kr/articles/5048283
10. 경기 침체 속 빛난 '전장'…"수요 확대 사이클 진입"
이재용, 머스크 만나…자율주행·전장용 반도체 협력
LG, 전장 '삼각편대' 본궤도…올해 수주잔고 100조 돌파
https://www.nocutnews.co.kr/news/5944468
# 우리 시장 이야기
1. 외국인, 반도체 사고 자동차 팔고…코스피 강보합 마감 [시황종합]
M&A 소식에 삼성·SK하이닉스 강세…코스피·코스닥 상승폭 둔화
[클릭! 이 종목] 美마이크론 뜨자, 삼성전자·하이닉스 덩달아 강세
"업황 회복 기대"…삼성전자·하이닉스에 外人 돈 4300억 몰렸다
삼성전자 +1.40%, SK하이닉스 +4.63%
https://www.news1.kr/articles/5048685
2. [시황] 코스피, 中 경제지표 실망·美 부채한도 협상 경계감에 강보합...2480선 턱걸이
외국인 홀로 2267억원 순매수
코스닥도 보합…환율 1338원대 마감
https://www.dailian.co.kr/news/view/1234373
<<1. JYP 20% 급등, 박진영 지분도 하루 만에 1000억원대 ‘잭팟’
주가도 트와이스?….JYP엔터, '깜짝실적'에 신고가 행진
[엔터Biz-D] JYP, 하루 만에 주가 20%↑…박진영 지분가치 6000억 돌파
JYP엔터 20% 폭등…"시총 6조 될 수도"
1분기 호실적에 'A2K' 흥행 기대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3051689771
2. 이제 자동차·엔터의 시간…시총 4조 돌파한 JYP>>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5160629&t=NNv
엔터주의 날이었습니다.
대체불가 업종이라고 불리면서 엔터주들이 날아가네요.
와이지가 9%, 에스엠이 6%, 하이브가 2% 상승으로 제와이피 뒤를 이었습니다.
느낌은 유명 식당으로 손님들이 몰리고 옆집, 우리가 늘 가는 식당은 소외받는 느낌입니다.
종목 쏠림이 이 정도로 나온다고?
그런데 나오니 어떻게 하겠습니까? 대응해야지!
1. CFD發 급락 또 나왔다… 하한가 사태 장기화 우려
신대양제지·디와이피엔에프 급락
SG증권 사태 후 반대매매 급증
신용비율 높은 종목 등 주의해야
https://www.fnnews.com/news/202305161824368976
2. "다음 타자는 누구"...CFD 2차 폭락에 상장사 '덜덜'
https://www.fnnews.com/news/202305161442025606
5. 이달 주식거래 31% 급감…공매도만 늘었다
공매도 하루 평균 7000억 … 코스닥은 76% 급증
배터리 관련주 주가 단기과열/ 주가조작 사태 겹쳐 투심 악화
에코프로 형제에 공매도 몰려/ 포스코퓨처엠도 잔액 4760억>>
https://www.mk.co.kr/news/stock/10737429
중형주와 소형주 그림 올려드립니다.
미국 러셀 2000도 올려드리고요. 느낌 어떠십니까?
추세가 무너진 것 같지 않으신가요.
특히 중형주가 말입니다.
CFD 시즌2로 <<신대양제지·디와이피엔에프 급락>>
이 나왔습니다.
제가 주가 바닥이다 싶으면 들어가고 또 위에서 잘 팔아먹는 종목이
티에이치엔과 넥센타이어입니다.
그런데 티에이치엔과 넥센타이어가 각각 –20%, -16% 급락이 나왔습니다.
현대차와 기아가 모처럼 조정받았서 같이 내린다고 해도
예상에 못 미치는 영업이익에 실망했다고 해도 야 무슨 이런 일이 생기죠.
중형주와 소형주 그림으로 저는 시장이 떨고 있다.
이유는
CFD 관련 공포감
실적 악화에 대한 공포감
경기 침체 불안감
금리 인상에 대한 금융 비용 증가
물가 상승에 따른 원자재 증가, 임금 상승 부담감
러셀 2000이나 우리 중형주, 소형주가 이런 부담감으로 떠내려가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어제도 전날 –4% 급락 때 들어간 에이치케이 익절하고
SK하이닉스도 익절 청산 했습니다.
종가로 들어간 상보와 넥스턴바이오 손절하면서 두 종목도 정리했는데
지금 흐름은 줄 때 챙겨야지 추세가 계속될 것을 장담 못하는 시장이네요.
그래도 재미난 현상은 자동차 부품 업종에서 나오는 현상인데
최근 보면 늘 이 업종에서 상한가가 나옵니다.
두올, SJM, 다이나믹디자인이 상한가입니다. 에스엘은 15% 상승이고
SJM은 5월 10일 상한가 한번 갔다가 3일 조정받고 또 달렸습니다.
이런 종목이 지금 자동차 부품 업종에 계속 나오네요.
<<1. LG엔솔, 캐나다 배터리 합작공장 중단
스텔란티스, 加정부 지원금 갈등
배터리 모듈 생산 관련 건설 멈춰…"캐나다 정부 합의 불이행"
연방정부, 주정부에 "공정한 몫" 요구…트뤼도-LG 금주 만날 듯
https://www.yna.co.kr/view/AKR20230516117800009?input=1195m
‘한국 방문’ 트뤼도 총리, LG엔솔과 보조금 담판 짓나
LG·스텔란티스 배터리 합작 공장 건설 중단
캐나다 정부와 보조금 협상 난항
폭스바겐에는 130억 캐나다 달러 지원 약속>>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305169135b
오늘 가장 큰 악재 중 하나는 엔솔이 캐나다 공장 건설 중단한다는 소식입니다.
엔솔만 영향받을지 배터리 소부장까지 또 이걸 핑계로 공매도가 터질지
걱정이네요.
나스닥이 상승 유지하다가 하락 마감입니다.
마이크론이 –1% 하락입니다. 우리 야간 선물은 –0.05% 약보합 마무리인데
주간에서 갭상승 후 01.2%로 마감되면서 상승분 반납한 영향으로
미국 시장에서 잘 버텼다는 생각입니다. 악재 선반영 뭐 이런 것으로 말입니다.
부채한도 협상 우려, 중국 지수 움직임에 잘 흔들리는 우리 증시네요.
월요일은 중국 영향으로 잘 가다가 어제는 또 중국 영향으로 하락하고 말입니다.
MSCI 한국 지수는 –1.05% 하락입니다.
해외 시장 소식에 외국인 선물 거래가 춤을 추면서 우리 지수가 움직이니
알 수 없다가 정답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어제도 적었지만 코스닥은 외국인이 정말 많이 팔고 있습니다.
1월 개장부터 약 2조 9천억 매도입니다.
코스피 매수랑은 너무 비교되는 수치입니다.
중형주, 소형주가 추세가 무너지고, 코스닥은 외국인이 연일 던지고 있고
우리가 넘어야 할 산은 정말 높기만 하네요.
중형주, 소형주에서는 5월에 팔아라가 현실화되고 있다.
이렇게 정리합니다.
<<1. CFD보다 폭발력 큰 옵션..."개선 미루면 재앙"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5160399&t=NNv
2. "CFD는 양반이네"…도박장 된 '위클리 옵션'
개인투자자 위클리옵션 거래 대금, 4년새 83배 '쑥'
교육이수, 증거금 납입하면 누구나 거래 가능
저렴한 헤지비용, 옵션 만기일 변동성 축소로 도입
헤지보다 투기적 매매장으로 변질..."국가 인정 합법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5160490&t=NNv
한국경제신문에서 위클리 옵션 문제를 다루는 기사를 내었습니다.
저도 기회 있을 때마다 왜 있는지 모르겠다고 이야기하고 있는데
위클리옵션이 차라리 없어져야 변동성이 좀 줄어들 것 같습니다.
얘 때문에 정말 화요일, 수요일이 힘듭니다.
파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1. 현대차 주가 '쓴맛' 2.64%↓…올 가을 코나 전기차 출시 주목
2. 4개월만에 31조원 벌어들인 효자…한국경제 버팀목 된 산업
올해 1∼4월 車수출액 232억 달러 '역대 최고'
3. 무역 악화에도… 車수출은 232억달러 역대 최대
4월 62억달러 수출, 전년비 40% 늘어
친환경차, 석달 연속 20억 달러 돌파
정부 “13개 신규 유망품목 수출 지원”
對중국 무역 점검 등 긴급 대응 나서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30516/119327152/1
4. '개인은 하이닉스 vs 외인은 삼성전자'...반도체株 반등할 수 있을까
https://www.fnnews.com/news/202305161357585780
5. 배터리 소재 앞세운 LG화학 '2030년 매출 60조→70조원'
글로벌톱 종합 전지소재 도약 목표
"2030년 전지소재부문 매출 30조원"
http://news.bizwatch.co.kr/article/industry/2023/05/16/0029
6. 테슬라 최대 60%···전기차 전반 투자하는 ETF 나왔다
한국투자신탁운용 ‘ACE 테슬라밸류체인 액티브’
https://www.fnnews.com/news/202305160845115950
7. 미래에셋, 121조 '글로벌 ETF 왕국' 세웠다
英 ETF 업체 GHCO 인수 완료/ 글로벌 2위 시장 유럽 공략 가속
11개 나라서 512개 ETF운용 등/ 선진 금융시장 영토확장 잇따라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9PLPBSV1J
8. 미래에셋證, 유럽 ETF 시장 진출…GHCO 인수
미래에셋증권, 유럽 ETF 시장조성기업 GHCO 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