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중국, 유럽에 두 방 얻어맞은 애플 –3.58% 급락, 미국 SMIC 제재로 역공 가능성 9월 7일 장전 시황

평생선물 2023. 9. 7. 07:17

 

중국, 유럽에 두 방 얻어맞은 애플 –3.58% 급락, 미국 SMIC 제재로 역공 가능성 9월 7일 장전 시황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 미국 시장 이야기

 

1. 美 7월 무역적자 86.7조원…3개월 만에 다시 증가

 

2. 예상보다 강한 美서비스업…긴축 장기화 고착화?[월스트리트in]

ISM 서비스업 PMI 예상 웃돌아…8개월째 확장

고금리, 고갈된 저축에도 美소비자 소비 활발

국채금리 상승세 지속…2년물 5% 다시 웃돌아

美원유재고 감소 전망에 유가 상승세 이어져

EU 규제대상 포함에 美빅테크 줄줄이 하락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97206635737824&mediaCodeNo=257&OutLnkChk=Y

 

3. 뉴욕증시, 유가 상승에 연준 긴축 장기화 우려…다우 0.57%↓ 마감

 

4. 국채금리 또 ‘껑충’, 증시 눌렀다…나스닥 1.06%↓

 

미국 시장은 나쁜 것이 좋은 것! 이런 식의 해석으로 상승하다가

오늘은 좋은 것이 나쁜 것이 되었습니다.

 

강력한 서비스업 지수를 보고 금리 인상 계속 하겠네!

11월은 올릴 수도 있겠다. 인하는 물 건너 갔다. 이런 불안감이 나왔습니다.

 

이러니 국채 수익률이 상승합니다.

유가 상승에 영향 받고, 지표에 영향 받고 진짜 10년물 4.5나 5까지 봐야할지 걱정이 많네요.

 

<<1. 테슬라 1.78%-니콜라 5.13%, 전기차 일제 하락(상보)

‘금리인상 우려’ 테슬라 1.78% 하락 마감

 

2. 엔비디아 3% 급락,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0.80%↓(

 

3. 中 공무원 외국산 휴대폰 사용 금지, 애플 3.58% 급락

中중앙 공무원들, 애플과 삼성 등 외국 브랜드 스마트폰 못쓴다-WSJ

“중국, 공무원들에 아이폰 등 외국브랜드 스마트폰 금지 명령“

中, 공무원에 아이폰 사용 금지 지침

美 화웨이·틱톡 제재에 반격

삼성은 대상에서 제외

https://www.sedaily.com/NewsView/29UKUH82IB

 

4. 규제 철퇴에 구글·애플 '초비상'…삼성 빠진 '결정적 이유'

EU '규제 철퇴' 맞은 美·中 빅테크/ '디지털시장법' 삼성은 제외

EU 집행위원회는 DMA의 게이트키퍼(규제 대상 플랫폼 기업)로 미국 알파벳(구글 모회사), 아마존, 애플, 메타, 마이크로소프트(MS), 중국 바이트댄스를 확정했다고 6일 발표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090694591

 

종목으로 보면 7 공주가 철저하게 두들겨 맞았습니다.

유럽에서 한방, 중국에서 한방

마이크로소프느가 –0.20% 정도로 선방, 메타도 –0.33% 정도

애플은 두 방 맞아서 너무 아팠는지 장중에 –4%대 급락하다가

막판에 좀 올려서 –3.58%, 엔비디아 –3.06% 하락입니다.

 

공무원 애플 폰 사용 금지에 이어서 테슬라 사용 금지까지 나오면

테슬라도 나락으로 갑니다. 그런데 워낙 고용을 많이 하고 있어서

테슬라는 못 건드릴 것 같은데 애플은 생산을 중국 밖으로 많이 옮기고

있어서 까불면 죽는다. 뭐 이런 경고 각기도 합니다.

 

<<1. "비정상적인 대형 파산"…미국 기업 위기, 왜?

고금리 여파로 파산신청 증가

블룸버그 "지난주에만 최소 23건 파산보호신청 접수"

https://www.mbn.co.kr/news/world/4960446

 

2. "고금리 때문에".. 美서 8월 기업 파산 급증

상업적 파산 17%↑…총파산 전년대비 13개월째 늘어

https://www.g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40348

 

3. 모건스탠리 "미 성장, 기대보다 약해.. 증시, 너무 낙관적“

https://www.radiokorea.com/news/article.php?uid=427489

 

4. 바클레이스, 자연자본 고려 안 하는 채권은 위험하다 경고

http://www.impacton.net/news/articleView.html?idxno=7186

 

시장 전체로는 파산하는 기업이 늘어나다는 것이 큰 악재입니다.

모건스탠리는 워낙 비관적인 곳이기는 한데 또 경고 보고서 발표하네요.

 

 

1. 노동시장이 인플레 예측 지표?…"올해는 맞지 않을 가능성 커“

17개 부유한 국가를 보면 이들 국가의 절반에서 오히려 실업률이 떨어지거나 변하지 않았을 때 인플레이션의 큰 폭 하락이 더 일찍 일어났다.

인플레이션 감소는 인플레이션이 정점에 도달하기 전이나 정점에 도달한 후에도 국가 전반의 실업률 증가와는 상관관계가 없음을 보여준다.

http://www.opini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8166

 

2. ‘매우 가능성 높은’ 엔비디아 매도세로 시장 전체 하락할 수 있어 – 롭 아노트

블룸버그에 따르면 아노트는 고객들에게 보낸 리서치 메모에서 “과신하는 시장은 역설적으로 유망한 미래 사업 전망을 더욱 더 높은 현재 주가로 바꿔 놓는다”고 했다.

 

아노트는 엔비디아 주가가 수익의 약 110배 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엔비디아는 완벽함을 넘어선 가격을 지닌 훌륭한 기업의 모범적 사례”라며 이런 맥락에서 보면 엔비디아 매도세가 시장 전체를 무너뜨릴 “가능성이 아주 높다”고 했다.

 

엔비디아는 “실패하기에 너무 큰 회사”가 아니라 “성공하기에 너무 큰 회사”라고 덧붙였다.

https://kr.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article-944085

 

3. 美 골드만삭스 AI 버블 반박 "주가 높지만 과도하진 않아"

http://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7295

 

4. 美 고금리정책 끝물?···8월 채권형펀드 자금유입 '역대 최대'

국내 채권형펀드 시장, 8월 순유입 1조7551억

보스틱 등 美 경제전문가들 "금리인상 회의적"

http://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495028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 주목해야 할 소식

 

1. 국제유가, 상승…WTI 0.98%↑

 

2. 국제유가 90弗 돌파…달러가치 6개월만에 최고

 

3. 국제유가 연중 최고치…휘발유 연내 2천 원 갈 수도

"택시도 못 타겠네" 택시·버스 요금 최대폭 상승

 

4. 사우디·러시아 감산에 디젤유 직격탄…5월 이후 가격 40%↑

 

5. 국제유가가 100달러를 향해 무한 질주하고 있는 까닭은

https://www.dailian.co.kr/news/view/1270631

 

6. '감산 연장' 합의 푸틴·빈 살만 통화…"세계 시장 안정"

 

7. 美보란 듯 사우디-러 원유 감산 연장…바이든에 정치적 위험

 

8. 국제유가 3개월새 29% 올라… 정유·조선주 들썩

 

달러는 104.795입니다. 장중에 105도 돌파했습니다.

유가도 다시 상승, 달러 강세로 금속이 대부분 하락입니다.

구리가 –1.49%, 은이 –1.6% 금도 –0.55% 금이 1941까지 다시 내려오네요.

1900선 정도는 진입 가능할지? 고민되네요.

 

빈살만이랑 푸틴이 전화 통화 하면서 감산 잔치를 즐기네요.

정치적으로는 바이든이 흔들리고 경제는 물가가 흔들리고

우리는 휘발유 가격 2천원 다시 보게 생겼습니다.

디젤유도 5월 이후 40% 급등 이러다가 정말 다시 물가 걱정 제대로 하게 생겼습니다.

 

2년물에서 5년물 미국 국채 수익률이 1%대 급등, 10년물도 0.38% 상승

11월 금리 인상 가능성이 흘러 나옵니다.

 

<<1. 유가 상승으로 달러 강세, 亞주요국 환율 10개월래 최저

 

2. 中·日 사이 낀 한국…원화가치 덩달아 '뚝'

위안화·엔화 2~3% 하락하는데 원화 4% 넘게↓

中 회복 더디고 반도체 경기 4분기에야 회복

원자재 수입국인데 '유가' 급등까지 겹쳐

"당분간 1350원 이상으로 오를 수도"…4분기 이후엔 하락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407926635737496&mediaCodeNo=257&OutLnkChk=Y

 

3. 구두개입에도 또 바닥뚫은 엔화…“150엔대 도달도 시간문제”

 

4. "환율 안정 위해" 일본 엔화 환율·가치 최저에 당국 구두개입

 

5. 엔화 10개월래 최저…日 “모든 선택지 배제 안해” 구두개입

엔달러 환율, 147.8엔으로 작년 11월 이후 최고

中·유럽 불안에 달러인덱스 6개월 만에 최고 여파

"150엔 내외서 실제 환시개입 전망"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9UKTQTLZ0

 

6. 엔화 하락세 길어지나…금 사재기 나선 日 부자들

일본 금값 고공행진/ 1그램 당 첫 1만엔 돌파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9060255

 

7. 日도 中도 "환율 지켜라"…다시 힘내는 달러에 '방어' 안간힘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90617062934537

 

8. 모건스탠리, 中성장둔화 우려로 亞 등 신흥시장 통화약세 전망

中성장률 전망치 5.7%→5%…인도·튀르키예 통화는 오히려 유리

https://www.yna.co.kr/view/AKR20230906110600009?input=1195m

 

역외 환율에서 달러/원이 0.25% 상승 1333입니다.

달러/엔은 큰 변화가 없이 약보합니다.

일본 구두 경고가 있었는데도 147이 유지됩니다.

그런데 주가는 8 거래일 연속 상승하고 우리는 약하고 답답한 형국이네요.

환율이 진정되지 않으면 안정적이 지수 상승은 어렵다고 봅니다.

 

인페이즈에너지 –3.71%, 솔라엣지 –3.57%, 퍼스트 솔라 –2.35%

태양광도 금리에 취약하니 미국 태양광 업체가 급락 느낌이네요.

한화솔루션이 많이 내렸는데 또 더 내려야 하나 싶습니다.

신저가 영역으로 가는 것 같습니다.

 

아래 기사는 기후 변하, 방산, 코로나 19 소식인데

우리 시장은 강력한 테마 장세라 이걸로 한바퀴씩 테마가 돌고 있습니다.

오늘은 어디서 움직일지 알 수가 없습니다.

기사 추적은 계속 해야 할 것 같네요.

 

1. [르포] 3분 만에 땀 '송골'…9월 무더위에 녹아내리는 파리

그리스, 산불 꺼지니 물폭탄…하루 동안 1년치 넘는 비 내렸다

하루 동안 1년치 비 내린 그리스…산불 꺼지니 물폭탄(종합)

 

2. K-방산, 최첨단 무기 들고 폴란드 집결…유럽 공략 박차

https://www.mbn.co.kr/news/economy/4960590

 

3. 코로나 새 변이 '피롤라' 국내 첫 확진자 발생...국내 감염 사례 추정

확진자, 해외여행력 없는 것으로

증상은 경상으로 밝혀져

https://www.dailian.co.kr/news/view/1270644

 

4. Sun Company는 배터리 생산 능력에 투자하기 위해 미국에 합작 회사를 설립할 계획입니다]

 

전액 출자 자회사 Yiwei America는 Electrified Power, Daimler Truck 및 PACCAR 등과 "LIMITED LIMITED LIABILITY COMPANY AGREEMENT"를 체결할 계획이며, 미국에서 합작 투자 회사 설립에 공동 자금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합작회사는 배터리 생산능력 구축에 투자할 예정이며, 합작회사 주주들은 총 투자금액 26억4000만 달러로 합작회사가 생산하는 배터리는 주로 북미 상용차 분야에 지정된다.

https://wallstreetcn.com/livenews/2534249

 

5. 사우디에 거세게 불어오는 中 바람…은행 개설에 화웨이도 침투

사우디와의 경제 협력 집중하는 중국, 중국은행 리야드에 첫 지점 개설

미국 제재에도 스마트폰 자체 개발한 화웨이, 리야드에 데이터 센터 개설

https://www.nocutnews.co.kr/news/6007866

 

6. 美 "우크라에 열화우라늄탄 제공" 발표…게임체인저? 논란 확산?(종합)

블링컨, 우크라 10억 달러 추가 지원 발표…젤렌스키와 면담(종합)

우크라 깜짝 방문 블링컨, 젤렌스키 면담 "반격 진전 매우 고무적“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日증시, 수출실적 개선 기대감에 8일째 상승…닛케이지수 0.62%↑

 

2. [올댓차이나] 중국 증시 혼조 마감…상하이지수 0.12%↑

 

3. 中, 반도체 기업에 돈 몰아줘…국영펀드 주도 2.4조원 투입

 

부동산으로 다 죽어갈 것 같은 중화권 증시가 오후 시장에서 루머가 돌았네요.

부동산 상한제 폐지할 수 있다는 내용이 나오면서

부동산 개발사 위주로 급등이 나오면서 상승 전환했습니다.

 

2조 넘는 반도체 펌프질도 도움이 되었고요.

과창판도 하락하다가 0.43% 상승 전환했습니다.

 

1. 미 하원 외교위원장 "화웨이에 7나노 칩 공급한 SMIC 조사 필요"

美 "화웨이가 쓴 中 SMIC, 제재 위반으로 조사"

SMIC는 공정 전반에 미국 기술을 사용하고 있으며 SMIC가 화웨이에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미국 정부의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는지는 불분명하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보도했습니다.

https://biz.sbs.co.kr/article/20000134545

 

2. 바이든, 중국에 “악당·시한폭탄”… 미·중 관계개선 흐름에 찬물

http://www.yonhapmidas.com/article/230906204737_140510

 

3. 中, 복장검열 시작하나… "국민 정신건강 해치는 옷 처벌할 것"

블룸버그에 따르면 중국 입법부 상임위원회는 최근 중국 국민의 정신 건강에 해롭고 감정을 상하게 하는 복장 착용이나 언어를 포함한 다양한 행동을 금지하는 법안 개정 초안을 발표했다.

https://www.moneys.co.kr/news/mwView.php?no=2023090617045661572

 

미국 시장이 하락하지만 미국 상장 중국 종목들은 나름 선전한 것 같습니다.

핀둬둬가 0.52% 상승 알리바바가 –0.2%, 바이두는 –0.5% 징둥이 –1.37% 하락입니다.

니오는 –2% 하락

 

미국 시장 이야기에서도 했겠지만 오늘 큰 전쟁이 있었습니다.

중국 공산당 애플 사용 금지는 미국 시장 이야기에서 했을 것이고

이건 중국이 한 방 먹인 것입니다. 아 크게는 2 방이네요.

화웨이로 한방 제대로 먹였는데 미국에서 대응이 나왔습니다.

SMIC 조사하자! 이런 내용이 나왔습니다. 이건 미국이 한방 먹이는 것인데

오늘 중국 반도체 시장이 어떻게 반응하는지가 중요하네요.

미국의 반도체 제재 가능성으로 흔들릴지?

야 화웨이 봤지 너그들 아무리 제재해도 우린 우리 갈 길 갈거야!

반도체 굴기하려고 자금도 지원해 이렇게 각자 갈길 갈지가 관건입니다.

저는 우려스럽게 봅니다.

애플이 장중에 –4% 넘게 하락하지 않았습니까?

몇 차례 일지 꼽을 수도 없는 전투가 드디어 애플까지 확대되었다.

테슬라도 무사할까?

애플과 테슬라는 그렇게 미중이 치고 박고 싸워도 버티고 있었는데

최종 전투 먹잇감이 되는 것이 영 안 좋아보입니다.

 

대통령 선거 운동 중에 나온 발언이라고 하지만 바이든의 중국 악당, 시한폭탄 발언도 위태위태해 보이고 말입니다. 이게 미중 관계개선이 물 건너갔구나! 이런 판단도 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중국 공산당이 하다하다 이제 복장 단속도 한다고 하니 참 기가 막힌 일입니다.

뭐 저그들이니 그러려니 하는데 요런 것이 내수 소비에 도움 안 된다는 생각은 못 할까요?

그렇게 소비 진작에 힘쓴다고 하면서 말입니다.

생각이 없는 것인지 참 중국 각 기관들 대책이 따로 국밥입니다.

 

<<1. 테슬라 中상하이 공장, 가동 4년여만에 신차 생산 200만대 달성

작년 8월에 100만대 달성…200만대까지는 13개월 걸려

https://www.yna.co.kr/view/AKR20230906151500083?input=1195m

 

2. 中서 잘나간 BYD, 점유율 20% 돌파 ‘1위’…현대차·기아 순위는?

BYD 155만여 대 판매로 압도적 1위

2위 테슬라 100만대 돌파…13.7%

현대차·기아 해외 시장서 선전 중

https://mbiz.heraldcorp.com/amp/view.php?ud=20230906000588

 

3. “중국 칼춤에 서방기업 쓰러질것”…세계 시장 뒤흔들 무기 있다는데

투자은행 USB 보고서 ‘전기차굴기’ 전망

“中 BYD 저렴한 가격 앞세워 영토 넓힐 것”

BYD 차량 분해해보니 부품 75% 자체생산

2030년 서방기업 시장 점유율 81%→58%

https://www.mk.co.kr/news/world/10823668

 

<< 보고서는 서방 자동차기업들이 중국산 전기차에게 시장을 뺏겨 현재 81%인 점유율이 2030년에 58%까지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중국 전기차 기업들은 7년 후 시장 점유율이 2배 가까이 증가한 33%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화웨이만 대단한 것이 아닙니다.

비야디 차량 분해해보니 자체 생산이 75%라고 합니다.

정말 무섭네요. 저렇게 내재화 시킨면서 시장 잠식을 하면 7년 뒤에는 점유율이 33%라고 합니다.

 

<<중국 BYD가 올해 1~7월 전 세계 전기차 인도량(PHEV, 상용차 포함)에서 1위를 기록했다. 약 155만대를 인도하며 2위 테슬라를 큰 차이로 앞섰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전년 대비 7.7% 증가한 32만대를 판매, 4.3% 점유율로 7위를 차지했다.>>

 

몇몇 기사나 유튜브에서 테슬라와 현대차가 전기차 2 강으로 갈 것 기대하는 내용 전하던데

2강이 아니고 1강 비야디 밑에 테슬라와 현대차가 붙어도 기적 같을 것 같습니다.

전기차 점유율이 현대차그룹은 7위라고 하네요.

정말 가슴 답답하고 걱정스러운 내용입니다.

 

오늘 중화권 시장은 부동산은 맑음 나머지 기술주에서는 폭풍 예상합니다.

적을 내용이 정말 많은데 시간은 촉박하고 다 못 적겠습니다.

기사로 내용 확인하셔야겠습니다.

 

 

1. 中 증시, 반도체·부동산주 강세 및 헬스케어주 약세 엇갈리며 혼조세

화웨이의 신작 스마트폰 '메이트60 프로'가 절찬리에 판매되고 있다는 소식과 함께 전날 중국이 3번째로 국유 반도체 산업 지원 기금을 설립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중국 최대 반도체업체 SMIC(688981.SH)가 2% 이상 오르는 등 반도체주들이 강세를 이어갔다.

관영 증권시보가 현행의 부동산 규제가 적절치 않다며 철폐가 필요하다는 기사를 실은 가운데 추후 부동산 부양책 기대가 높아지며 부동산주들도 강세를 보였다. 반면 항서제약(600276.SH)이 1% 이상 하락한 것을 비롯해 최근 중국 정부의 사정 타겟이 된 헬스케어주들이 약세를 보이며 증시 전체적으로는 엇갈린 모습을 연출했다.

https://www.ajunews.com/view/20230906173213320

 

2. 중국 주택 가격 급락에 불안감… 항저우·상하이 고점 대비 15% 하락

https://www.mk.co.kr/news/economy/10823527

 

3. 中증시 빠져나가는 글로벌 자금…'제로코로나' 작년 10월 수준

속속 돈 빼는 중…자금 이탈 '가속'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9060157

 

4. 중국 증시 빠져나가는 글로벌 자금···작년 10월 이후 최저 수준

http://www.opini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8171

 

5. 美에 한방 먹였다는 中 '7나노 칩' 수준은…"삼성에 6~7년 뒤져“

화웨이 스마트폰에 SMIC 제품 탑재…美 집중견제 딛고 기술발전 '평가'

수율·단가 등 한계로 글로벌 업체들에 한참 뒤지지만…"추가 진전 주목해야“

https://www.news1.kr/articles/5162688

 

6. 공산당 원로 고언에 習, 노발대발…“전임들이 남긴 문제가 다 내탓이냐"

경기둔화 속 印주최 G20에 부담…美와 관계개선 더뎌 불참

"11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APEC 참석도 불투명"

https://www.dailian.co.kr/news/view/1270589

 

7. 중국 방한 단체관광 허용 한 달…효과는 '글쎄'

http://www.jejuilbo.net/news/articleView.html?idxno=213053

 

8. 홍콩H지수 급락에 13조 ELS 만기 불안… 8년 전 악몽 재현되나

정 연구원은 "올해 연말까지 ELS 상환은 원활할 것으로 보이지만 2021년 상반기에 발행된 물량은 내년 1월부터 상반기 내내 시장에 부담이 될 것"이라며 "내년 하반기 만기 도래 물량은 기준가가 낮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충격은 제한될 전망"이라고 했다.

https://www.moneys.co.kr/news/mwView.php?no=2023090616485996372

 

9. 유안타證 "홍콩H지수 ELS, 내년 적지 않은 원금손실 예상"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906_0002440537&cID=10403&pID=15000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 우리 시장 이야기

 

외국인은 삼성전자도 사고 현대차도 샀습니다.

그런데 지수는 하락입니다.

오후 시장에서 중국이 반등이 강했는데 그건 너그 사정이고 우린 쉴란다.

일본이 환율 급등에도 구입 때문인지 8일 연속 상승해도

코스피는 푹 쉴란다. 이런 모습이었습니다. 정말 아까비

 

하방으로 보고 대응했는데 환율 문제나 미국 시장 문제나

중국 부동산 문제나 뭐 하나 해결되는 것 같지 않아서 쩝 상방으로 보려고 그리 노력해봐도

어제는 정말 하방 밖에 안 보인 것 같습니다.

 

외국인이 –6조 넘는 선물 매도 후 절반 환매수를 했지만

남은 선물 매도 이익 극대화를 위해 상방을 열까? 이런 의심도 계속 있습니다.

오늘이 위클리 옵션 만기 그럼 이제 9월 만기까지 1주일 남는데 적극적 환매수를 할까?

그래서 상방은 막혔다. 이렇게 보고

 

그럼 삼성전자, 현대차 매수하데 큰 폭 하락를 예상할 수 있을까?

요것도 사실 의문점입니다. 그래서 340선, 코스피 2580선 정도가 상단으로 보고

대응할 생각입니다.

2600선 위까지 상승하면서 2중 고점도 생각했는데 그건 좀 힘들어지고 있다는 느낌이네요.

기관이 태도를 바꾸면 될 것도 같은데 기관이 너무 매도합니다.

어제도 –3057억 매도 연기금이 –564억 매도 이러니 2600 상단이 열릴까 싶습니다.

 

1. 삼성전자, 2분기 스마트폰 1위 지켜…애플 2위 추격

 

2. "50%p→44%p 격차 줄었다"...삼성전자, 2분기 파운드리 점유율 11.7%

 

3. 대신증권 "삼성전자 올해 영업이익 8조원 전망"

 

4. "‘9월 효과’ 피하자" 삼성전자 담는 투자자

약세장 우려에 주도주 매수확대

외국인, 삼성전자·SK하이닉스

개인들은 에코프로 등 사들여

https://www.fnnews.com/news/202309061819457405

 

5. '7만전자' 또 깨지나…실적 기대 높아지는데 주가는 왜?

삼성전자, 1% 가까이 하락해 7만원 마감

국제유가 상승→물가 부담→긴축 경계로

코스피 시총 상위 8위권 종목 일제히 하락

나흘간 개인은 '팔자' 외국인은 '사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286566635737496&mediaCodeNo=257&OutLnkChk=Y

 

6. 로봇 사업 확장하는 삼성, 이번엔 이스라엘 스타트업 추가 투자

(서울=연합인포맥스) 김경림 기자 = 삼성전자의 글로벌 투자 자회사 삼성넥스트가 최근 이스라엘의 로봇 스타트업 '인튜이션 로보틱스'에 추가 자금을 집행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0037

 

7. EU, ‘빅테크 특별규제’ 삼성 제외…애플·구글 등 6개사 확정

삼성이 EU 빅테크 특별규제 대상서 빠진 이유는

DMA 규제명단 확정…페이스북·아마존·MS·바이트댄스 포함

https://www.dailian.co.kr/news/view/1270664

 

삼성전자가 올라야 할 이유를 찾아라! 이러면 입 아플 정도로 많이 말할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들 정도로 많은 호재인데 장중에 –1% 이상 하락도 합니다.

 

애플이 중국, 유럽에서 2번 두들겨 맞았지만

중국도 외산 휴대폰 사용 금지에서 삼성폰 제외했고, 유럽도 빅테크 규제에서 삼성은 빼주었으니 이 호재만으로도 우리는 달려야 하는데 참 아까비입니다.

 

<< 삼성전자 주가 반격, 이제부터 시작?…선행 PER 9개월來 최저 [투자360]

삼성전자 선행 PER 17.71배/ 3월엔 25.66배 최고치 찍기도

올 3Q부터 영업익 회복세 본격화/ 엔비디아 선행 PER 29배

‘D램 가격 반등·HBM 회의론 불식’/ 삼성전자 주가 상승 동력 얻었단 평가>>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30906000118

 

이 기사로는 삼성전자가 지금 결코 비싼 상태가 아니다. 이런 주장인데

그럼 싼게 주식 시장의 가장 큰 호재 아닙니까?

 

야간 선물이 미국 시장 약세에 비해 선전해서 –0.46% 하락입니다.

MSCI 한국 지수는 –1.18% 하락

삼성전자 단독으로 보면 이렇게 호재가 많은데 환율이 문제입니다.

지수로 대응하는 종목이니 아무리 호재가 많아도 코스피 지수 매도 해야 한다면

또 프로그램으로라도 삼성전자를 팔 것이니 마냥 긍정적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1. 현대차그룹 생산 리스크 된 '모비스 계열사'

협력·하청업체 통합 생산자회사

모트라스·유니투스 이달초 파업

현대차·기아 6000대 생산 차질

車업계 연쇄 파업 불쏘시개 우려

https://www.fnnews.com/news/202309061823207954

 

2. 현대차·기아, 자율주행 레벨4 고도화 위해 카메라 센서 클리닝 기술 개발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30906500070

 

반도체 2대장, 자동차 3대장이 장 초반 쉬었지만 포스코 집안 위주로 배터리가 달려주었는데

후반에 상승분 다 반납하면서 약세 전환 대신 자동차가 좀 선전했습니다.

선전이라 해봐야 안 내린게 어디고? 뭐 이런 정도의 감정입니다.

 

현대차 그룹과 포스코는 일단 파업 우려감을 담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당장에 부품사 파업이 코 앞이라 생산 차질이 나올 것 같으니

뭐 큰 폭 상승은 기대할 수 있을까 싶네요.

 

자율 주행이나 여러 신 기술 신 제품 이야기 나와도 대장 현대차, 기아 수혜 보다는 부품에서

효과가 나올 것 같습니다.

 

<<1. 또 테마 ETF 잔혹사?…2차전지 손실률 20% 수두룩

'TIGER 2차전지' 두 달 새 –21%/ KODEX·SOL 상품도 개미 울상

전문가 "테마 ETF는 한발 늦어/ 당분간 반등 쉽지 않을 수도"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090690491

 

2. “나 126층인데 다시 올 수 있을까, 눈물ㅠ”…에코프로 100만원선 붕괴위험에 주주들 곡소리

6일 2.6% 하락으로 105만원 종료

4거래일 연속 하락

7일 100만원 하회시 7월 27일 이후 처음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30906000732

 

3. “불어도 불어도 꺼지지 않는 공매도 불꽃”…‘에코프로 형제’ 누적거래 16兆, 작년 5배

에코프로·에코프로비엠, 코스닥 35% 차지

공매도 잔고도 재증가…7월 1.4조→9월 2.6억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30906000730

 

장 초반에는 포스코 그룹이 그룹 상승 1위였습니다.

그런데 마감에는 그룹 하락 1위가 됩니다.

정말 매번 놀라운 것이 요즘 코스닥 흐름인데

1000억, 2000억 소형주가 움직이는 것이 아니고

코스포DX 같은 경우는 어제 시총이 약 10조 가까이 갔다가

8조 9396억으로 마감했습니다. 한 종목 변동을 1조 넘게 만드는데

이게 무슨 힘으로 가능한지 물론 에코프로 집안으로 겪었지만

요즘 코스닥 대형주 올리는 힘들을 보면 할 말이 없을 정도입니다.

이걸 10% 넘게 올렸다가 다시 하락 전환도 하고 말입니다.

 

다음으로 하고 싶은 이야기는 제가 7월 2차 전지 ETF가 집중적으로 몇 몇 종목 매수하면서

상장 2주일 만에 50% 수익 나왔다. 이런 글 적었는데

 

<<또 테마 ETF 잔혹사?…2차전지 손실률 20% 수두룩

'TIGER 2차전지' 두 달 새 –21%/ KODEX·SOL 상품도 개미 울상>>

 

이제 그 ETF 손실이 –20%대로 내려왔다고 하네요.

곧 2차 전지 인버스 ETF도 나온다고 하는데 배터리 주들이 견딜 수 있을까?

심히 걱정됩니다. 외국인 공매도와 기관 ETF 물량 공격이 2차 전지에서 극에 달하는 것 같습니다. 저는 촉수엄금!

 

<<1. 투자 진심인 SK그룹, 재무부담은 껑충…"투자정책 변화 필요"

한국신용평가 그룹분석 웹캐스트

“투자성과 저조한 SK그룹…실적 개선必”

https://economist.co.kr/article/view/ecn202309060035

 

2. “롯데그룹 화학사업 실적 회복 속도 더딜 것…리스크 대응력 필요”

한국신용평가 그룹분석 웹캐스트

그룹 주력 ‘롯데케미칼’ 영업 여건 상 실적 회복 제한적

롯데캐피탈·롯데렌탈·롯데오토리스 등 금융 부문 ‘안정적’

https://economist.co.kr/article/view/ecn202309060045

 

3. “CJ그룹 글로벌 진출 가속화로 재무부담 확대…선택과 집중 필요”

한국신용평가 그룹분석 웹캐스트

CJ그룹, 식품·바이오·콘텐츠 등 대규모 투자

“그룹 전반 차입 부담 지속될 것”

https://economist.co.kr/article/view/ecn202309060043

IMF 경제위기 때 결정적인 한방이 기아 부도였습니다.

며칠 전 증권사 부실 전해드렸고 오늘은 계속 전해드리는 그룹사 신용 우려 적어야겠습니다.

투자가 많이 집행되어야 하는 SK그룹

부실 징후가 많은 화학과 건설, 가지고 있는 롯데

뭐 증자에 이익 감소에 안 좋은 일 밖에 없는 것 같은 CJ

이 그룹들 신용에 대한 기사가 나왔습니다.

 

배터리 재고가 늘고 외부 환경 변화로 SK가 흔들린다던지

업황이 도저히 개선이 안되어서 흔들릴 롯데

정말 조심스럽게 봐야 할 것 같습니다.

 

<<1. 영국 제2의 도시 버밍엄의 '파산'…세계 지자체에 보내는 '경고'

"1459억원 부족"... '신규 지출 중단' 선언

'방만 운영' 비판 속 '구조적 문제' 지적도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90616350000797

 

2. 쉴 새 없이 찍히는 지방공사채… 내년 6조5000억 빚 어쩌나

정부 발행자제 주문에도 증가세

올해 상환예정 금액만 1조3000억

대부분 지역 인프라 개발 조달용

https://www.fnnews.com/news/202309061819425821

 

우리 언론이나 서방 언론이 매번 다루는 것이 중국 지방 정부 부실이지 않습니까?

그런데 서방이나 우리도 별반 다른 것이 없습니다.

중국 지방 정부 그림자 금융 우려하면서 우리 자방 공사채 걱정은 안 합니다.

영국 제 2 도시가 파산하는데도 중국 지방 정부 우려만 하네요.

 

파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1. "생성형 AI 우려 과해…네이버, 저가 매수 기회"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090690471

 

2. "외국인이 담는다"…의료 AI株 초강세

올 들어 루닛, 뷰노 등 세 자릿수 폭등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906_0002439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