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JP모건, GM, 애플이 만든 약세! 반도체로 반등, 경기 침체 우려감, 유가 급락, 삼성전자 신저가 9월 11일 장전 시황

평생선물 2024. 9. 11. 07:09

JP모건, GM, 애플이 만든 약세! 반도체로 반등, 경기 침체 우려감, 유가 급락, 삼성전자 신저가 911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다이먼 회장 "스태그플레이션 시나리오 배제 안 해"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911000010

 

2. 빚 내 씀씀이 늘린 美소비자…연체 걱정도 커진다

7월 대출잔액 한달새 255

202211월 이후 최대폭 상승

소매판매도 1년반만에 최대 증가

지출 부담에 저축 여력 줄어

8월 연체전망 4년4개월來 최고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DE8M9B84S

 

3. 뉴욕증시, 유가 폭락에도 기술주가 방어…혼조 마감

실적악화 우려에 은행株 급락…테슬라는 4.6% 급등[월스트리트in]

경기둔화에 은행권 수익 전망 타격JP모건 주가 5% 급락

 

새벽에 잠시 깨서 확인하니 다 하락이더군요.

뭐지 싶어서 확인해보니2가지가 원인입니다.

JP모건에서 경기 침체 언급하면서 은행주가 흔들리고

수요 감소가 나온 유가에서 정유주 급락이 나오면서 하락했는데

다우가 제일 심하게 하락하더군요.

 

그리고 GM이 브레이크 리콜 기사가 나오면서 5% 급락하는데

포드는 지가 뭐라고 같이 내리네요. -3%

테슬라만 또 4.58% 급등입니다.

 

정리하면 오늘 미국과 동조화된다면 은행, 정유, 자동차는 좀 주의해야겠다

리콜 나온 GM만 아니라 도요타, 혼다 모두 1%에서 5% 하락이니 말입니다.

정유주는 말해 뭐해입니다. 완전 초상집이고요.

 

1. 애플의 첫 AI, 기대가 실망감으로'아이폰 부품주' 동반약세

 

2. "갤럭시엔 다 있는데"AI 빠진 아이폰16에 시장 '냉담'

AI ‘아이폰16’ 공개미완상태로 출시

 

3. '새 아이폰' 발표한 날인데…애플, EU '19' 과징금 소송 패소

 

4. 빅테크 '수난의 날' 구글도 EU소송 패배

 

5. 애플은 과징금 21, 구글은 3.5조 물어낸다EU와 소송서 패소 [

 

큰 폭 하락은 아니지만 애플마저 0.3% 하락이 나오니

다우가 힘들죠. 과징금에 혁신 없고 미완성 AI폰에 실망한 투자자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럼 뭐가 나스닥을 V자 반등시켰느냐?

어제 시간 외에서 오라클이 8% 급등한다고 전해드렸는데

AI 소프트웨어가 강세였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2% 상승이고 오라클은 11% 상승이고 말입니다.

 

1. 엔비디아 1.53% 상승, 반도체지수도 1.19%(상보)

저가 매수엔비디아 오늘도 1.53% 상승

 

일단 엔비디아가 올라서 다행입니다.

장중에는 하락 전환하기도 했거던요.

 

여기서 상반기와 다른 패턴이 나옵니다.

월초에 TSMC가 전 달 매출 발표하면 그날밤 TSMC와 엔비디아가 대장이 되어서

반도체 급등 시키면서 나스닥을 올렸는데

오늘 새벽에는 TSMC가 하락입니다. -0.21% 하락 정도인데

기대가 많았는데 다 좋게 나왔는데 매출 감소가 전달 비해 좀 나오네요.

 

엔비디아 하락 빌미가 매출 상승률 감소였는데

TSMC도 이게 나오네요.

 

브로더컴 5%, AMD 3% 상승은 좋은데 마이크론은 0.67% 정도 상승입니다.

기술적 반등치고는 약하네요.

 

그럼 오늘 삼성전자, 하이닉스는 마이크론처럼 기술적 반등이라도 하는지

아니면 악재만 골라서 반영하는 삼성전자니? TSMC 매출 감소 우려를 반영시키면서

하락하는지 이게 관건이겠습니다.

 

외국인이 전기전자를 던져도 너무 던지네요.

오늘 우리 지수에서 반도체가 못 가면 좀 힘들 수도 있습니다.

 

철강, 화학, 정유, 자동차, 은행이 미국 동조화라면 답이 없으니 말입니다.

 

1. "빚 내서라도 따라잡자"·에 뒤처진 EU의 '최후 통첩'

·에 치여 병든 EU…"年1188조원 투자해야 생존"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국제유가 수급 공포에 급락 브렌트유 70달러 깨져, 천연가스는 상승 전환

천연가스, 100BTU당 전날보다 0.075달러(3.46%) 상승한 2.245달러

WTI는 전거래일보다 2.96달러(4.31%) 급락한 배럴당 65.75달러에 마쳐

 

2. OPEC 수요 전망 하향, 국제유가 4% 급락…3년래 최저

OPEC, 경기 둔화에 원유 수요 전망 하향…브렌트유, 2년 만에 60달러대

 

3. 원화값 오르니…항공·정유株 이륙

대한항공, 한 달 새 10% 상승

 

4. 4000억 달러 에너지 대출, 트럼프 집권시 화석연료기업 돈줄?

에너지부 산하 LPO, IRA 이후 4000억 달러 대출 자금 배정받아

트럼프 집권 당시 LPO 폐지 위기...원자로 건설에 37억 달러 대출하기도

전문가들 "트럼프 하 원전 및 SMR 대출 급증...청정에너지 대출 멈출지도"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7936

 

5. "커피값 또 오르는 거야?"…슈퍼태풍 덮친 '이 나라' 피해 속출에 원두값 '껑충'

베트남, 30년 만의 최악 태풍

로부스타 원두 가격 3% '껑충'

아라비카 가격도 3.8% 올라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DE8N4KO0I

 

유가가 수요 전망 하향이 나오면서 66달러로 내려왔습니다.

심각하네요.

에스오일이 어제 0.17% 58500원입니다.

3년 래 최저가 자리를 봤습니다.

 

미국 시장에서도 알람이 계속 나오네요.

정유주가 관심 종목인데

버핏이 투자한 옥시나 세브론이나 다 신저가 행진입니다.

 

중국 때문에 화학, 철강이 신저가 행진을 하더니

이제 중국 침체, 미국 경기 침체 우려, 수요 둔화가 합쳐서

정유주들이 나락으로 가네요.

오늘 다우지수가 다른 지수 대비 약한 것도 정유주 급락 때문입니다.

 

1. 채권 전문가 104“10월 채권 금리 하락 예상

금융투자협회 10월 채권시장지표

종합·금리전망·물가 관련 지표 모두 개선

 

2. "BOJ 위원들, 9월 금리인상 필요성 거의 없다 판단" - 블룸버그

통신은 사안에 정통한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전하면서, 오는 19~20일 회의에서 BOJ가 정책 금리를 0.25%에 동결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이는 앞서 7월 말 BOJ의 금리 인상 결정 이후 일본 주요 주가지수인 닛케이 225 지수가 85일 하루에만 무려 12.4%나 폭락하는 등 금융 시장이 높은 변동성을 보이면서 BOJ의 금리 결정이 시장에 미칠 파급력도 커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BOJ도 섣부르게 금리 인상에 나서기는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910001067

 

다우 지수를 약하게 한 것은 정유주 말고 은행주가 또 역할을 했습니다.

JP모건이 5% 급락입니다.

 

1. , 대형은행 자본 규제안 대폭 완화

자본금 상향안 19%9%

금융당국, 은행 반발에 물러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1003811

 

2. 은행 자본규제 막아낸 JP모건…내년 침체예상에 5.19% [뉴욕마감]

 

3. 경기둔화에 은행권 수익 전망 타격JP모건 주가 5% 급락

JP모건 사장 "순이자이익 시장전망 너무 낙관적"…고용악화 가계영향 우려도

 

은행 규제를 막았으면 호재인데 JP모건이 내년 경기 침체 언급하고

수익 전망을 낮추면서 은행 주 전체에 악재로 작용했습니다.

 

이러니 미국 국채 수익률은 1%대 하락을 하면서 10년물이 3.7자리에 오고요.

장중에 미국 시장 하락도 JP모건이 원인이었습니다.

 

1. 고점론에 휘청이던 전력모처럼 반등

HD현대일렉 하루 새 4% 올라

AI특수 꺾여 상승 제한 우려도

https://www.mk.co.kr/news/stock/11114439

 

2. 해리스 '전기차·재생에너지' vs 트럼프 '조선·방산·원전'

 

3. , 올해 금리 3번 내릴 듯…바이오·소프트웨어·방산 새 주도주

 

4. "미국, 이차전지 시장 확대 속도 조절할 것견제 목적" [KIW 2024]

"기업, 미국 기업 밸류체인이 더이상 당연한 일 아냐…정세 변화 유의해야"

 

5. 연기금, 이마트 34거래일째 사모았다

 

6. 국민연금 8월 장바구니 보니…건설 '사자' 화장품 '팔자'

 

외국인 매수가 계속된다고 펌프질 하던 엔솔이 5%로 급락하죠.

그런데 또 전력주가 반등하고 바이오가 급등하고

그럼 또 화장품이 흔들리고 계속 적고 있지만 업종 순환매가 너무 짧습니다.

줄챙으로 대응해야 할 부분이 많아 보이네요.

 

어제는 조선이 반등에 성공했지만 유가가 3%대로 급락하는데

오늘은 또 버틸 수 있을까 싶기도 하고요.

업종, 종목 순환매 장세! 이렇습니다.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올댓차이나] 홍콩 증시, 저가 매수로 엿새만에 반등 마감H0.39%

 

2. [오늘 A] 화웨이 트리풀폴드폰 관련주 대거 상한가

상하이종합지수 2743.91(+7.42, +0.27%)

선전성분지수 8075.32(+12.05, +0.15%)

촹예반지수 1539.96(+0.92, +0.06%)

커촹반50지수 660.15(+5.21, +0.80%)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910000921

 

3. 또한 해관총서는 8월 누적 수출액은 4.6%, 수입액은 2.5% 증가했으며, 무역흑자는 11.2% 증가한 6084억달러였다고 밝혔다. 최근 들어 글로벌 경기가 호전되면서 중국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내수부진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중국 경제로서는 희소식이다. 이같은 배경으로 이날 중국 증시가 상승한 것으로 평가된다.

 

중신젠터우(中信建投)"미국의 금리가 인하될 것으로 예상되고, 중국의 부양정책이 추진되고 있는 만큼, 기업들의 수익 전망도 상향될 것이며, 또한 기저 효과로 인해 4분기 기업 실적은 예상보다 양호할 것"이라며 "4분기 거시 경제 데이터 역시 호전될 것이며, 투자심리가 서서히 회복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910000921

 

4. 중국 8월 수출 전년8.7% 증가…수입은 예상치 하회

증시, 수출 '깜짝' 성장에 소폭 상승...화웨이 관련주 강세

잘나가는 中수출 5개월 연속 증가세

 

5. 수출만 호황8월 수출 전년8.7% 증가

8월 수출 전망치 상회..내수 침체로 수입은 0.5% 증가 그쳐

수출 제외한 경제지표들 부진…월간 CPI 7개월 연속 0%

https://www.nocutnews.co.kr/news/6210241?utm_source=naver&utm_medium=article&utm_campaign=20240910061238

 

중국이 어제는 기술적 반등을 했는데 지표 해석에서 수출호황이 나왔기 때문인데

중국 수출이 좋을 수밖에 없지 않습니까?

저가로 물량 넘기기 하는데 수출이 나쁠 수가 없다는 생각입니다.

그럼 이건 한계가 있는 지표라고 봅니다.

 

1. 월병도 마오타이도 안팔린다…불황의 늪에 빠진 중국 경제

패션 시장 침체 터널 끝이 안 보인다

 

2. , 마오타이·월병 안사고 식당 105만개 줄폐업개방 40년 최대 위기”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76985

 

3. 중국 디플레이션 악순환 빠져, 내년까지 이어질 가능성

GDP 디플레이터, 2분기까지 5분기 연속 마이너스1999년 이후 최장

모건스탠리 "디플레이션 타개 위해 더 많은 부양책 필요"

https://www.imaeil.com/page/view/2024091015180144335

 

수출이 잘 되면 뭐 하겠습니까? 내수가 다 죽었는데

이래서 한계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소비를 안 하니 그 많은 식당들이 줄 폐업 중이라고 하네요.

 

<< 400만원대… 화웨이, 세계 첫 `두번 접는 폰` 내놨다

애플, AI폰 내놓은 날화웨이, 세계 첫 두 번 접는 폰 맞불’>>

 

과창판 반등은 기술적 반등과 화웨이 덕택 같습니다.

두 번 접는 폰으로 애플과 상대하는 화웨이 기대감이 반도체로 연결된 것으로 봅니다.

 

1. ·홍콩 증시서 3년여간 8천700조원 증발…디플레 심화 악순환

CSI300 지수, 20191월 최저가 근접…기업 통제강화·무역갈등이 원인

https://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3896

 

상해나 과창판이 2월 저가 근처까지 왔다고 전해드렸는데

중국 기관이 열심히 사주는 CSI300 대형주도 비슷합니다.

 

중국,홍콩에서 3년간 사라진 시총이 8700조 근처라고 하네요.

우리 한해 예산이 600조 근처인데 12년치 넘는 예산이 사라지고 있네요.

이러니 중화권이 답 없다 생각할 수 있고

! 지금이 바닥권이겠네! 기다리고 기다렸다. 자 드가자! 이런 판단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1. 하원, 생물보안법 통과바이오 제재본격 드라이브

 

2. 바이오·드론'전방위 봉쇄작전' 편다

'기업 퇴출' 법안 무더기 통과

하원, 생물보안법 등 26개 처리

DJI·우시·CATL·BYD 직격탄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1004931

 

3. EU, 테슬라 등 중국산 전기차 추가 관세율 소폭 하향

테슬라 9% →7.8%,최고 관세율 36.3% 35.3%

추가 입수 자료 및 중국 강력한 반발 고려된듯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100703i

미국, 유럽이 중국을 패도 패도 징그럽게 패고 있습니다.

이렇게 패주니 우리 바이오 수혜 종목도 나오는데

중국 입장에서는 고난의 행군 뭐 이런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겠습니다.

견디고 견디자. 기술 자립 하는 순간이 오면 다 먹을 수 있다 이런 심정으로 말입니다.

이미 디스플레이, 태양광, 조선 이런 곳은 다 먹었지 않습니까?

배터리, 전기차도 비슷하게 모습이고

 

1. 중국 BYD 연간 친환경차 판매목표 11% 늘려, 테슬라와 닛산 넘어설 듯

 

2. 전기차 팔던 BYD, HEV 판매 호조에 연간 목표 400만대로 올려

중국 전기차 업체 BYD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차량 판매가 급증하자 연간 판매 목표를 상향 조정했다.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4091002109932091011

 

비야디가 판매 목표를 올리네요.

전기차 시장에서 우리 현대차, 기아가 얼마나 버틸지 모르겠습니다.

 

미국 시장에서 니오는 2%대로 쉬고 리오토가 3%, 샤오펑이 2%대 상승이네요.

 

주간 시장에서 상승했던 홍콩 시장인데

야간 선물은 0.69% 하락이네요.

 

<< 알리바바, 중국 본토ㆍ홍콩 교차 거래 시작...본토자금 몰리나??

 

미국 시장에서 알리바바가 2.9% 상승했는데

일단 출발은 홍콩이 하락 가능성이 있는 것 같은데

더 내릴 자리가 있겠나 싶습니다.

# 우리 시장 이야기

 

1. 9월마다 6% 빠졌던 코스피, 올해도 불안

 

2. 이 맘때면 덩치 키우는 증시 불청객…선진국도 신흥국도 잔인한 9

대신증권 매년 9월 분석해보니

팬데믹 이후 상승한 사례 없어/ 올해 급등한 공포지수도 악재

10일 동안 5% 이상 떨어져/ 밸류업지수 발표는 호재될듯

https://www.mk.co.kr/news/stock/11114655

 

9월에 시장 안 좋다. 이 이야기가 8월말부터 계속 나오니 누가 주식을 사겠습니까?

모두가 관망하는 분위기로 가니 호가창 비우고 급락하기도 하고

막판에 밀리기도 하고요.

 

어제 캐스텍코리아가 장중에는 4% 이상 급등했는데 마감 때 매물이 나오면서

-2.14% 하락입니다.

에이치케이는 하락세였다가 막판에 더 밀려서 1.83% 하락인데

어제는 물랴이 12만주 거래가 터지면서 하락입니다.

10거래일 연속 하락하네요.

이게 요즘 소형주의 일부 모습입니다.

 

수급이 씨가 말라서 일부 종목 대응은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지만

수급이 살아 있는 곳은 장중에 반등도 잘하고 저가 잘 지키는 모습입니다.

대성파인텍이 그런 경우입니다.

월요일 장중 10% 가까이 급등하고, 418만 주 거래가 나오더군요.

827일에도 322만 주, 22일은 807만주 거래가 나왔습니다.

이런 종목은 저가를 잘 지키는 모습입니다.

 

어제도 중형주는 0.09% 강보합으로 시장 대비 강했습니다.

수급이 바쳐주는 종목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이 나오기도 하네요.

 

'경기침체 확대' 얼어붙은 투자자증시 대기자금 한달 새 10조 감소

https://www.moneys.co.kr/article/2024091014562438511

 

증시 대기 자금이 10조 감소하고

거래 대금이 계속 내려오고 있습니다. 요건 주의 하셔야 할 부분 같습니다.

 

1. “난 간 큰 개미니까”…떨어질 때 주문버튼 누르는 야수의 심장, 얼마나 샀길래

국내외 증시 지속 약세에도

코스피 2배 레버리지 ETF

이달들어 2800억 집중 매수/ 반도체 3배도 1900억 유입

레버리지는 단기수익 적합”/ 증권가선 묻지마 투자 경고

https://www.mk.co.kr/news/stock/11114559

 

2. 한 달 만에 '-20%'…인버스 vs 매수 기회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409100081

 

3. 롤러코스터 타는 코스피...결국 개미들만 물렸다

개미 '유한양행 빼고 다 물렸다

외국인, 삼성전자 매도로 돌아서

https://www.fnnews.com/news/202409101111410047

 

파이낸셜타임즈 기사는 개인이 물렸다고 표현하네요.

매일경제신문은 매수하는 개인이 간 큰 개미로 칭하고요.

이상하게 우리 신문은 개인 투자 방식을 부정적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주식 물렸었는데 드디어 '반전'…개미들 환호성 터졌다

수익률 '판정승' 거둔 개미

늘 외국인 좇다 피 본 개미, 올해는 '한발' 빨랐다

삼성전자 10.7·하이닉스 1.7

외국인, 올해 반도체폭풍 매수/ AI 고점론에 급락…손실 커져

개미, 1~7월 국내증시 9조 매도/ AI 랠리 오자 삼성전자 차익실현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1003931

 

그런데 한국경제신문이 이번에는 좀 특이하게 표현합니다.

개인이 7월까지 매도하면서 대응했다는 것이죠.

오히려 외국인이 AI에 물린 것으로 표현하고요.

저도 계속 개인이 전기전자 매수, 매도 참 잘한다고 칭찬했는데 말입니다.

 

이번에 진검 승부가 나올 것 같습니다.

8월부터 던지는 전기전자를 개인이 다 받고 있는데 이제 11, 12월 반등이 나오면

올해 개인 전기전자 매수 매도 대응은 환상적인 성공일 것 같습니다.

 

조정에는 가격 조정, 기간 조정이 있는데

전기전자가 가격 조정 마무리 구간에 진입하고 이제 기간 조정에 들어간다고 하면

지금 매수를 또 긴 시간 이겨내야 할 각오를 해야 할 것 같은데

개인이 안 지쳐야 버틸 것 같은데 말입니다.

 

[9월10일 #815경제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주가 시나리오 / 속절없이 하락하는 한국증시 | 김장열, 박현상

https://www.youtube.com/watch?v=u1NLqHk2rN0

 

815머니톡에 출현한 김장열본부장의 삼성전자/ 하이닉스 바닥 기준 영상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정리하면 10년간 P/B1.08배에서 1.38배인데

1.38배에서 1.08배 주가가 7.9만원에서 6.1만원이라는 이야기입니다.

아무리 내려도 삼성전자가 61000원 자리는 지킨다.

64000원자리는 저가 매수 가능한 자리다. 이런 이야기죠.

 

1. 시총 400조 깨진 삼성전자...최고경영진 '자사주 매입' 약발 받을까

'6만전자' 추락에…삼성전자 임원들 '자사주 매입' 행렬

 

2. 삼성전자, 목표주가 129.6-한투

https://www.fnnews.com/news/202409110338056996

 

3. 삼전의 추락…장중 52주 신저가

 

지금 전기전자 매수하는 개인은 저가 매수를 잘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겠죠.

다만 기간 조정을 이겨낼 준비가 되었나?

투자 자금이 안정적인가 이게 문제일 것 같습니다.

 

지금 사는 개인이 야수의 심장이었는데 어리석은 투자였는지는

삼성전자가 증명할 것 같네요.

영상에 하이닉스 공정가치도 언급했으니 영상 46분 정도부터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1. TSMC, 8월 매출 전년 대비 33%↑…“AI는 죽지 않았다

 

2. TSMC 8월 매출 전년33% 증가AI 반도체 수요 굳건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409102209418639e7e8286d56_1/article.html

 

3. TSMC, 'AI 훈풍'8월 매출 전년비 33% 증가

8월 매출, 10조4700억원

7월보다 2.4% 감소했으나 여전히 고성장세

애널리스트들, 3분기 매출 37% 증가 전망

"애플·엔비디아·AMDAI 반도체 수요 급증"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857286639018808&mediaCodeNo=257&OutLnkChk=Y

 

어제 오후 2시 전에 우리 선물이 반등을 했습니다.

점심 먹고부터 더 내려서 또 0.8%대까지 하락하다가 반등을 시작했는데

2시 발표하는 TSMC 기대감 때문이었다는 생각입니다.

하이닉스도 2시까지 반등을 시도하더군요.

그런데 하이닉스가 0.96% 마감한 이유는

 

<< TSMC - 8월 매출

매출: NT$ 2,509(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 전월 대비 2.4% 감소)>>

 

수요도 좋고, 다음 전망치도 좋은데 문제가 전월 대비 매출이 2.4% 감소한 것을

약점 삼은 것 같습니다.

 

계속 속보로 확인하고 대만 증시나, TSMC 주가를 확인했는데 반등을 못 하더군요.

그래서 저녁 미국 시장 TSMC 주가도 걱정했는데

-0.21% 하락입니다. 다행스럽게 마이크론은 0.67% 반등했지만 말입니다.

 

나스닥 대비 우리 야간 선물은 0.1% 상승입니다.

 

월요일은 밤 미국 시장 선반영으로 토요일 새벽 미국 증시 급락보다는 반등을 시키고

어제는 우리 시장이 오늘 미국 시장 선반영하면서 눈치보기하나 싶었는데

미국 시장이 다행히 좋았습니다.

 

또 선반영 기대감이라면 오늘 CPI와 오전 아시아 개장 10시에 미국 대통령 TV 토론에 따라 움직일 것 같습니다.

오전 시장은 TV 토론 영향, 오후 시장은 CPI 발표 기대감을 반영하느냐 마느냐?

이게 핵심을 것 같네요.

 

1. 'AI만 잘나가'…일반 IT 업계는 아직 경기둔화로 고전

 

2. "AI 빼면 대부분이 침체"…심각한 IT기업 착시효과

소규모 업체, 2분기 매출 감소

일각선 "AI 랠리로 낙수효과"

9(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AI를 주력으로 하지 않는 IT 업체들은 2022년 나스닥지수가 30% 이상 추락하기 전 주가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블랙록은 “IT업계에서 AI를 빼면 특별히 주목받고 있는 부분이 없다상당수 IT 업체가 아직 침체 상태이며 성장한 것은 AI이라고 지적했다. 소프트웨어, IT 컨설팅, 전자장비 생산 등 전통적인 IT 분야는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의미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1003901

 

3. , "와 동맹 위해 HBM 개발해야"…대중 수출통제 동참 촉구

한미 경제안보 콘퍼런스 개최

"양자 컴퓨팅 등 수출통제 동참해야"JP모건, GM, 애플이 만든 약세! 반도체로 반등, 경기 침체 우려감, 유가 급락, 삼성전자 신저가 9월 11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다이먼 회장 "美 스태그플레이션 시나리오 배제 안 해"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911000010

2. 빚 내 씀씀이 늘린 美소비자…연체 걱정도 커진다
7월 대출잔액 한달새 255억弗↑
2022년 11월 이후 최대폭 상승
소매판매도 1년반만에 최대 증가
“지출 부담에 저축 여력 줄어”
8월 연체전망 4년4개월來 최고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DE8M9B84S

3. 뉴욕증시, 유가 폭락에도 기술주가 방어…혼조 마감
실적악화 우려에 은행株 급락…테슬라는 4.6% 급등[월스트리트in]
美 경기둔화에 은행권 수익 전망 타격…JP모건 주가 5% 급락

새벽에 잠시 깨서 확인하니 다 하락이더군요.
뭐지 싶어서 확인 해보니 2가지가 원인입니다.
JP모건에서 경기 침체 언급하면서 은행주가 흔들리고
수요 감소가 나온 유가에서 정유주 급락이 나오면서 하락했는데
다우가 제일 심하게 하락하더군요.

그리고 GM이 브레이크 리콜 기사가 나오면서 –5% 급락하는데
포드는 지가 뭐라고 같이 내리네요. -3%
테슬라만 또 4.58% 급등입니다.

정리하면 오늘 미국과 동조화 된다면 은행, 정유, 자동차는 좀 주의해야겠다
리콜 나온 GM만 아니라 도요타, 혼다 모두 –1%에서 –5% 하락이니 말입니다.
정유주는 말 해 뭐해입니다. 완전 초상집이고요.

1. 애플의 첫 AI폰, 기대가 실망감으로…'아이폰 부품주' 동반약세

2. "갤럭시엔 다 있는데"…AI 빠진 아이폰16에 시장 '냉담'
첫 AI ‘아이폰16’ 공개…‘미완’ 상태로 출시

3. '새 아이폰' 발표한 날인데…애플, EU '19조' 과징금 소송 패소

4. 美빅테크 '수난의 날' 구글도 EU소송 패배

5. 애플은 과징금 21조, 구글은 3.5조 물어낸다…EU와 소송서 패소 [

큰 폭 하락은 아니지만 애플마저 –0.3% 하락이 나오니
다우가 힘들죠. 과징금에 혁신 없고 미완성 AI폰에 실망한 투자자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럼 뭐가 나스닥을 V자 반등시켰느냐?
어제 시간 외에서 오라클이 8% 급등한다고 전해드렸는데
AI 소프트웨어가 강세였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2% 상승이고 오라클은 11% 상승이고 말입니다.

1. 엔비디아 1.53% 상승, 반도체지수도 1.19%↑(상보)
‘저가 매수’ 엔비디아 오늘도 1.53% 상승

일단 엔비디아가 올라서 다행입니다.
장중에는 하락 전환하기도 했거던요.

여기서 상반기와 다른 패턴이 나옵니다.
월초에 TSMC가 전 달 매출 발표하면 그날밤 TSMC와 엔비디아가 대장이 되어서
반도체 급등 시키면서 나스닥을 올렸는데
오늘 새벽에는 TSMC가 하락입니다. -0.21% 하락 정도인데
기대가 많았는데 다 좋게 나왔는데 매출 감소가 전달 비해 좀 나오네요.

엔비디아 하락 빌미가 매출 상승률 감소였는데
TSMC도 이게 나오네요.

브로더컴 5%, AMD 3% 상승은 좋은데 마이크론은 0.67% 정도 상승입니다.
기술적 반등치고는 약하네요.

그럼 오늘 삼성전자, 하이닉스는 마이크론처럼 기술적 반등이라도 하는지
아니면 악재만 골라서 반영하는 삼성전자니? 또 TSMC 매출 감소 우려를 반영시키면서
하락하는지 이게 관건이겠습니다.

외국인이 전기전자를 던져도 너무 던지네요.
오늘 우리 지수에서 반도체가 못 가면 좀 힘들 수도 있습니다.

철강, 화학, 정유, 자동차, 은행이 미국 동조화라면 답이 없으니 말입니다.

1. "빚 내서라도 따라잡자"…美·中에 뒤처진 EU의 '최후 통첩'
美·中에 치여 병든 EU…"年1188조원 투자해야 생존"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국제유가 수급 공포에 급락 브렌트유 70달러 깨져, 천연가스는 상승 전환
천연가스,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75달러(3.46%) 상승한 2.245달러
WTI는 전거래일보다 2.96달러(4.31%) 급락한 배럴당 65.75달러에 마쳐

2. OPEC 수요 전망 하향, 국제유가 4% 급락…3년래 최저
OPEC, 中 경기 둔화에 원유 수요 전망 하향…브렌트유, 2년 만에 60달러대

3. 원화값 오르니…항공·정유株 이륙
대한항공, 한 달 새 10% 상승

4. 美 4000억 달러 에너지 대출, 트럼프 집권시 화석연료기업 돈줄?
에너지부 산하 LPO, IRA 이후 4000억 달러 대출 자금 배정받아
트럼프 집권 당시 LPO 폐지 위기...원자로 건설에 37억 달러 대출하기도
전문가들 "트럼프 하 원전 및 SMR 대출 급증...청정에너지 대출 멈출지도"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7936

5. "커피값 또 오르는 거야?"…슈퍼태풍 덮친 '이 나라' 피해 속출에 원두값 '껑충'
베트남, 30년 만의 최악 태풍
로부스타 원두 가격 3% '껑충'
아라비카 가격도 3.8% 올라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DE8N4KO0I

유가가 수요 전망 하향이 나오면서 66달러로 내려왔습니다.
심각하네요.
에스오일이 어제 –0.17% 58500원입니다.
3년 래 최저가 자리를 봤습니다.

미국 시장에서도 알람이 계속 나오네요.
정유주가 관심 종목인데 
버핏이 투자한 옥시나 세브론이나 다 신저가 행진입니다.

중국 때문에 화학, 철강이 신저가 행진을 하더니
이제 중국 침체, 미국 경기 침체 우려, 수요 둔화가 합쳐서
정유주들이 나락으로 가네요.
오늘 다우지수가 다른 지수 대비 약한 것도 정유주 급락 때문입니다.

1. 채권 전문가 10명中 4명 “10월 채권 금리 하락 예상”
금융투자협회 10월 채권시장지표
종합·금리전망·물가 관련 지표 모두 개선

2. "BOJ 위원들, 9월 금리인상 필요성 거의 없다 판단" - 블룸버그
통신은 사안에 정통한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전하면서, 오는 19~20일 회의에서 BOJ가 정책 금리를 0.25%에 동결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이는 앞서 7월 말 BOJ의 금리 인상 결정 이후 일본 주요 주가지수인 닛케이 225 지수가 8월 5일 하루에만 무려 12.4%나 폭락하는 등 금융 시장이 높은 변동성을 보이면서 BOJ의 금리 결정이 시장에 미칠 파급력도 커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BOJ도 섣부르게 금리 인상에 나서기는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910001067

다우 지수를 약하게 한 것은 정유주 말고 은행주가 또 역할을 했습니다.
JP모건이 –5% 급락입니다.

1. 美, 대형은행 자본 규제안 대폭 완화
자본금 상향안 19%→9%로
금융당국, 은행 반발에 물러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1003811

2. 은행 자본규제 막아낸 JP모건…내년 침체예상에 –5.19% [뉴욕마감]

3. 美 경기둔화에 은행권 수익 전망 타격…JP모건 주가 5% 급락
JP모건 사장 "순이자이익 시장전망 너무 낙관적"…고용악화 가계영향 우려도

은행 규제를 막았으면 호재인데 JP모건이 내년 경기 침체 언급하고
수익 전망을 낮추면서 은행 주 전체에 악재로 작용했습니다.

이러니 미국 국채 수익률은 –1%대 하락을 하면서 10년물이 3.7자리에 오고요.
장중에 미국 시장 하락도 JP모건이 원인이었습니다.

1. 고점론에 휘청이던 전력株 모처럼 반등
HD현대일렉 하루 새 4% 올라
AI특수 꺾여 상승 제한 우려도
https://www.mk.co.kr/news/stock/11114439

2. 해리스 '전기차·재생에너지' vs 트럼프 '조선·방산·원전'

3. 美, 올해 금리 3번 내릴 듯…바이오·소프트웨어·방산 새 주도주”

4. "미국, 이차전지 시장 확대 속도 조절할 것…中 견제 목적" [KIW 2024]
"韓기업, 미국 기업 밸류체인이 더이상 당연한 일 아냐…정세 변화 유의해야"

5. 연기금, 이마트 34거래일째 사모았다

6. 국민연금 8월 장바구니 보니…건설 '사자' 화장품 '팔자'

외국인 매수가 계속된다고 펌프질 하던 엔솔이 –5%로 급락하죠.
그런데 또 전력주가 반등하고 바이오가 급등하고
그럼 또 화장품이 흔들리고 계속 적고 있지만 업종 순환매가 너무 짧습니다.
줄챙으로 대응해야 할 부분이 많아 보이네요.

어제는 조선이 반등에 성공했지만 유가가 –3%대로 급락하는데
오늘은 또 버틸 수 있을까 싶기도 하고요.
업종, 종목 순환매 장세! 이렇습니다.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올댓차이나] 홍콩 증시, 저가 매수로 엿새만에 반등 마감…H주 0.39%↑

2. [오늘 A주] 화웨이 트리풀폴드폰 관련주 대거 상한가
상하이종합지수 2743.91(+7.42, +0.27%)
선전성분지수 8075.32(+12.05, +0.15%)
촹예반지수 1539.96(+0.92, +0.06%)
커촹반50지수 660.15(+5.21, +0.80%)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910000921

3. 또한 해관총서는 8월 누적 수출액은 4.6%, 수입액은 2.5% 증가했으며, 무역흑자는 11.2% 증가한 6084억달러였다고 밝혔다. 최근 들어 글로벌 경기가 호전되면서 중국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내수부진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중국 경제로서는 희소식이다. 이같은 배경으로 이날 중국 증시가 상승한 것으로 평가된다.

중신젠터우(中信建投)는 "미국의 금리가 인하될 것으로 예상되고, 중국의 부양정책이 추진되고 있는 만큼, 기업들의 수익 전망도 상향될 것이며, 또한 기저 효과로 인해 4분기 기업 실적은 예상보다 양호할 것"이라며 "4분기 거시 경제 데이터 역시 호전될 것이며, 투자심리가 서서히 회복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910000921

4. 중국 8월 수출 전년比 8.7% 증가…수입은 예상치 하회
中증시, 수출 '깜짝' 성장에 소폭 상승...화웨이 관련주 강세
잘나가는 中수출 5개월 연속 증가세

5. 中 수출만 호황…8월 수출 전년比 8.7% 증가
8월 수출 전망치 상회..내수 침체로 수입은 0.5% 증가 그쳐
수출 제외한 경제지표들 부진…월간 CPI 7개월 연속 0%대
https://www.nocutnews.co.kr/news/6210241?utm_source=naver&utm_medium=article&utm_campaign=20240910061238

중국이 어제는 기술적 반등을 했는데 지표 해석에서 수출호황이 나왔기 때문인데
중국 수출이 좋을 수 밖에 없지 않습니까?
저가로 물량 넘기기 하는데 수출이 나쁠 수가 없다는 생각입니다.
그럼 이건 한계가 있는 지표라고 봅니다.

1. 월병도 마오타이도 안팔린다…불황의 늪에 빠진 중국 경제
中 패션 시장 침체 ‘터널 끝이 안 보인다’

2. 中, 마오타이·월병 안사고 식당 105만개 줄폐업…“개방 40년 최대 위기”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76985

3. 중국 디플레이션 악순환 빠져, 내년까지 이어질 가능성
GDP 디플레이터, 2분기까지 5분기 연속 마이너스…1999년 이후 최장
모건스탠리 "디플레이션 타개 위해 더 많은 부양책 필요"
https://www.imaeil.com/page/view/2024091015180144335

수출이 잘 되면 뭐 하겠습니까? 내수가 다 죽었는데
이래서 한계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소비를 안 하니 그 많은 식당들이 줄 폐업 중이라고 하네요.

<< 400만원대… 화웨이, 세계 첫 `두번 접는 폰` 내놨다
애플, 첫 AI폰 내놓은 날… 화웨이, 세계 첫 두 번 접는 폰 ‘맞불’>>

과창판 반등은 기술적 반등과 화웨이 덕택 같습니다.
두 번 접는 폰으로 애플과 상대하는 화웨이 기대감이 반도체로 연결된 것으로 봅니다.

1. 中·홍콩 증시서 3년여간 8천700조원 증발…디플레 심화 악순환
CSI300 지수, 2019년 1월 최저가 근접…기업 통제강화·무역갈등이 원인
https://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3896

상해나 과창판이 2월 저가 근처까지 왔다고 전해드렸는데
중국 기관이 열심히 사주는 CSI300 대형주도 비슷합니다.

중국,홍콩에서 3년간 사라진 시총이 8700조 근처라고 하네요.
우리 한해 예산이 600조 근처인데 12년치 넘는 예산이 사라지고 있네요.
이러니 중화권이 답 없다 생각할 수 있고
아! 지금이 바닥권이겠네! 기다리고 기다렸다. 자 드가자! 이런 판단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1. 美하원, 생물보안법 통과… ‘中 바이오 제재’ 본격 드라이브

2. 中 바이오·드론…美 '전방위 봉쇄작전' 편다
美 '中기업 퇴출' 법안 무더기 통과
하원, 생물보안법 등 26개 처리
DJI·우시·CATL·BYD 직격탄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1004931

3. EU, 테슬라 등 중국산 전기차 추가 관세율 소폭 하향
테슬라 9% →7.8%,최고 관세율 36.3% → 35.3%로
추가 입수 자료 및 중국 강력한 반발 고려된듯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100703i
미국, 유럽이 중국을 패도 패도 징그럽게 패고 있습니다.
이렇게 패주니 우리 바이오 수혜 종목도 나오는데
중국 입장에서는 고난의 행군 뭐 이런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겠습니다.
견디고 견디자. 기술 자립 하는 순간이 오면 다 먹을 수 있다 이런 심정으로 말입니다.
이미 디스플레이, 태양광, 조선 이런 곳은 다 먹었지 않습니까?
배터리, 전기차도 비슷하게 흐러고

1. 중국 BYD 연간 친환경차 판매목표 11% 늘려, 테슬라와 닛산 넘어설 듯

2. 전기차 팔던 BYD, HEV 판매 호조에 연간 목표 400만대로 올려
중국 전기차 업체 BYD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차량 판매가 급증하자 연간 판매 목표를 상향 조정했다.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4091002109932091011

비야디가 판매 목표를 올리네요.
전기차 시장에서 우리 현대차, 기아가 얼마나 버틸지 모르겠습니다.

미국 시장에서 니오는 –2%대로 쉬고 리오토가 3%, 샤오펑이 2%대 상승이네요.

주간 시장에서 상승했던 홍콩 시장인데
야간 선물은 –0.69% 하락이네요.

<< 알리바바, 중국 본토ㆍ홍콩 교차 거래 시작...본토자금 몰리나??

미국 시장에서 알리바바가 2.9% 상승했는데
일단 출발은 홍콩이 하락 가능성이 있는 것 같은데
더 내릴 자리가 있겠나 싶습니다.

# 우리 시장 이야기

1. 9월마다 6% 빠졌던 코스피, 올해도 불안

2. 이 맘때면 덩치 키우는 증시 불청객…선진국도 신흥국도 ‘잔인한 9월’
대신증권 매년 9월 분석해보니
팬데믹 이후 상승한 사례 없어/ 올해 급등한 美공포지수도 악재
10일 동안 5% 이상 떨어져/ 밸류업지수 발표는 호재될듯
https://www.mk.co.kr/news/stock/11114655

9월에 시장 안 좋다. 이 이야기가 8월말부터 계속 나오니 누가 주식을 사겠습니까?
모두가 관망하는 분위기로 가니 호가창 비우고 급락하기도 하고
막판에 밀리기도 하고요.

어제 캐스텍코리아가 장중에는 4% 이상 급등했는데 마감 때 매물이 나오면서
-2.14% 하락입니다.
에이치케이는 하락세였다가 막판에 더 밀려서 –1.83% 하락인데
어제는 물랴이 12만주 거래가 터지면서 하락입니다.
10거래일 연속 하락하네요.
이게 요즘 소형주의 일부 모습입니다.

수급이 씨가 말라서 일부 종목 대응은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지만
수급이 살아 있는 곳은 장중에 반등도 잘하고 저가 잘 지키는 모습입니다.
대성파인텍이 그런 경우입니다.
월요일 장중 10% 가까이 급등하고, 418만 주 거래가 나오더군요.
8월 27일에도 322만 주, 22일은 807만주 거래가 나왔습니다.
이런 종목은 저가를 잘 지키는 모습입니다.

어제도 중형주는 0.09% 강보합으로 시장 대비 강했습니다.
수급이 바쳐주는 종목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이 나오기도 하네요.

'경기침체 확대' 얼어붙은 투자자… 증시 대기자금 한달 새 10조 감소
https://www.moneys.co.kr/article/2024091014562438511

증시 대기 자금이 10조 감소하고
거래 대금이 계속 내려오고 있습니다. 요건 주의 하셔야 할 부분 같습니다.

1. “난 간 큰 개미니까”…떨어질 때 주문버튼 누르는 야수의 심장, 얼마나 샀길래
국내외 증시 지속 약세에도
코스피 2배 레버리지 ETF
이달들어 2800억 집중 매수/ 美반도체 3배도 1900억 유입
“레버리지는 단기수익 적합”/ 증권가선 묻지마 투자 경고
https://www.mk.co.kr/news/stock/11114559

2. 한 달 만에 '-20%'…인버스 vs 매수 기회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409100081

3. 롤러코스터 타는 코스피...결국 개미들만 물렸다
■개미 '유한양행 빼고 다 물렸다’
■외국인, 삼성전자 매도로 돌아서
https://www.fnnews.com/news/202409101111410047

파이낸셜타임즈 기사는 개인이 물렸다고 표현하네요.
매일경제신문은 매수하는 개인이 간큰 개미로 칭하고요.
이상하게 우리 신문은 개인 투자 방식을 부정적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주식 물렸었는데 드디어 '반전'…개미들 환호성 터졌다
수익률 '판정승' 거둔 개미
늘 외국인 좇다 피 본 개미, 올해는 '한발' 빨랐다
삼성전자 10.7조·하이닉스 1.7조
외국인, 올해 반도체株 폭풍 매수/ AI 고점론에 급락…손실 커져
개미, 1~7월 국내증시 9조 매도/ AI 랠리 오자 삼성전자 차익실현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1003931

그런데 한국경제신문이 이번에는 좀 특이하게 표현합니다.
개인이 7월까지 매도하면서 대응했다는 것이죠.
오히려 외국인이 AI에 물린 것으로 표현하고요.
저도 계속 개인이 전기전자 매수, 매도 참 잘한다고 칭찬했는데 말입니다.

이번에 진검 승부가 나올 것 같습니다.
8월부터 던지는 전기전자를 개인이 다 받고 있는데 이제 11월, 12월 반등이 나오면
올해 개인 전기전자 매수 매도 대응은 환상적인 성공일 것 같습니다.

조정에는 가격 조정, 기간 조정이 있는데
전기전자가 가격 조정 마무리 구간에 진입하고 이제 기간 조정에 들어간다고하면
지금 매수를 또 긴 시간 이겨내야할 각오를 해야 할 것 같은데
개인이 안 지쳐야 버틸 것 같은데 말입니다.

[9월10일 #815경제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주가 시나리오 / 속절없이 하락하는 한국증시 | 김장열, 박현상
https://www.youtube.com/watch?v=u1NLqHk2rN0

815머니톡에 출현한 김장열본부장의 삼성전자/ 하이닉스 바닥 기준 영상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정리하면 10년간 P/B가 1.08배에서 1.38배인데
1.38배에서 1.08배 주가가 7.9만원에서 6.1만원이라는 이야기입니다.
아무리 내려도 삼성전자가 61000원 자리는 지킨다.
64000원자리는 저가 매수 가능한 자리다. 이런 이야기죠.

1. 시총 400조 깨진 삼성전자...최고경영진 '자사주 매입' 약발 받을까
'6만전자' 추락에…삼성전자 임원들 '자사주 매입' 행렬

2. 삼성전자, 목표주가 12만→9.6만-한투
https://www.fnnews.com/news/202409110338056996

3. 삼전의 추락…장중 52주 신저가

지금 전기전자 매수하는 개인은 저가 매수를 잘 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겠죠.
다만 기간 조정을 이겨낼 준비가 되었나?
투자 자금이 안정적인가 이게 문제일 것 같습니다.

지금 사는 개인이 야수의 심장이었는데 어리석은 투자였는지는
삼성전자가 증명할 것 같네요.
영상에 하이닉스 공정가치도 언급했으니 영상 46분 정도부터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1. TSMC, 8월 매출 전년 대비 33%↑…“AI는 죽지 않았다”

2. TSMC 8월 매출 전년比 33% 증가…AI 반도체 수요 ‘굳건’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409102209418639e7e8286d56_1/article.html

3. TSMC, 'AI 훈풍'에 8월 매출 전년비 33% 증가
8월 매출, 10조4700억원
7월보다 2.4% 감소했으나 여전히 고성장세
애널리스트들, 3분기 매출 37% 증가 전망
"애플·엔비디아·AMD서 AI 반도체 수요 급증"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857286639018808&mediaCodeNo=257&OutLnkChk=Y

어제 오후 2시 전에 우리 선물이 반등을 했습니다.
점심 먹고부터 더 내려서 또 –0.8%대까지 하락하다가 반등을 시작했는데
2시 발표하는 TSMC 기대감 때문이었다는 생각입니다.
하이닉스도 2시까지 반등을 시도하더군요.
그런데 하이닉스가 –0.96% 마감한 이유는 

<< TSMC - 8월 매출
매출: NT$ 2,509억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 전월 대비 2.4% 감소)>>

수요도 좋고, 다음 전망치도 좋은데 문제가 전월 대비 매출이 –2.4% 감소한 것을 
약점 삼은 것 같습니다.

계속 속보로 확인하고 대만 증시나, TSMC 주가를 확인했는데 반등을 못 하더군요.
그래서 저녁 미국 시장 TSMC 주가도 걱정했는데
-0.21% 하락입니다. 다행스럽게 마이크론은 0.67% 반등했지만 말입니다.

나스닥 대비 우리 야간 선물은 0.1% 상승입니다.

월요일은 밤 미국 시장 선반영으로 토요일 새벽 미국 증시 급락보다는 반등을 시키고
어제는 우리 시장이 오늘 미국 시장 선반영하면서 눈치보기하나 싶었는데
미국 시장이 다행히 좋았습니다.

또 선반영 기대감이라면 오늘 CPI와 오전 아시아 개장 10시에 미국 대통령 TV 토론에 따라 움직일 것 같습니다.
오전 시장은 TV 토론 영향, 오후 시장은 CPI 발표 기대감을 반영하느냐 마느냐?
이게 핵심을 것 같네요.

1. 'AI만 잘나가'…일반 IT 업계는 아직 경기둔화로 고전

2. "AI 빼면 대부분이 침체"…심각한 IT기업 착시효과
소규모 업체, 2분기 매출 감소
일각선 "AI 랠리로 낙수효과"
9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AI를 주력으로 하지 않는 IT 업체들은 2022년 나스닥지수가 30% 이상 추락하기 전 주가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블랙록은 “IT업계에서 AI를 빼면 특별히 주목받고 있는 부분이 없다”며 “상당수 IT 업체가 아직 침체 상태이며 성장한 것은 AI뿐”이라고 지적했다. 소프트웨어, IT 컨설팅, 전자장비 생산 등 전통적인 IT 분야는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의미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1003901

3. 美, 韓에 "美와 동맹 위해 HBM 개발해야"…대중 수출통제 동참 촉구
한미 경제안보 콘퍼런스 개최
"양자 컴퓨팅 등 수출통제 동참해야"
https://view.asiae.co.kr/article/2024091103345260421

4. 하나證 "하반기 美 빅컷 가능성 낮아···IT주 주도주서 이탈 가능성"
하나증권 "연준, 올해 9·11·12월 금리 25bp 인하할 것"

오늘 정도는 외국인이 선물 매수를 하는지?
전기전자는 매수해주는지?
내일이 3분기 선물 옵션 동시 만기 전날이어서
이런 날은 변동성이 어마어마합니다.

다른 날도 요즘은 하루에 위아래로 2% 가까운 변동성이 나오는데
오늘 같은 경우도 위아래로 엄청 흔들 것 같습니다.
TV 토론 영향으로 밑으로 빼다가도 오후에는 기대감으로 또 위로 올릴 수도 있고
반대 경우도 가능하겠죠. 위로 훅 올리다가
연준이 이제는 물가보다 고용 본다고 하면서 CPI가 좋아도 별 영향 없을 것으로 볼 수도 있고 하여간 심한 변동성이 나올 것 같으니 주의하셔야 할 날이 될 것 같습니다.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1. 거래소, 설립 후 첫 중간배당 실시…증권사 배당 수입은? [이슈+]
거래소, 19년 만에 첫 `중간배당`…주주환원 제고 실천
밸류업 앞장서는 한국거래소...사상 첫 중간배당

2. 밸류업 나선 DB금투, 36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
DB금융투자, 연말까지 자사주 65만주 매입

3. 밸류업 기대감에 시장 환호 현대차 우선주 삼형제 질주
우선주 소각 가능성 커지자
올 들어 50% 가까이 상승
배당수익률도 7% 넘어 매력
https://www.mk.co.kr/news/stock/11114396

4. 생물보안법 美 하원 통과 K바이오 반사이익 기대

5. 美증시 불안에 다시 커지는 ELS 손실 공포
경기침체 우려에 주가 출렁
S&P 등 만기 손실 가능성
https://www.fnnews.com/news/202409101830331058

https://view.asiae.co.kr/article/2024091103345260421

 

4. 하나"하반기 빅컷 가능성 낮아···IT주 주도주서 이탈 가능성"

하나증권 "연준, 올해 9·11·12월 금리 25bp 인하할 것"

 

오늘 정도는 외국인이 선물 매수를 하는지?

전기전자는 매수해 주는지??

내일이 3분기 선물 옵션 동시 만기 전날이어서

이런 날은 변동성이 어마어마합니다.

 

다른 날도 요즘은 하루에 위아래로 2% 가까운 변동성이 나오는데

오늘 같은 경우도 위아래로 엄청 흔들 것 같습니다.

TV 토론 영향으로 밑으로 빼다가도 오후에는 기대감으로 또 위로 올릴 수도 있고

반대 경우도 가능하겠죠. 위로 훅 올리다가

연준이 이제는 물가보다 고용 본다고 하면서 CPI가 좋아도 별 영향 없을 것으로 볼 수도 있고 하여간 심한 변동성이 나올 것 같으니 주의하셔야 할 날이 될 것 같습니다.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1. 거래소, 설립 후 첫 중간배당 실시…증권사 배당 수입은? [이슈+]

거래소, 19년 만에 첫 `중간배당`…주주환원 제고 실천

밸류업 앞장서는 한국거래소...사상 첫 중간배당

 

2. 밸류업 나선 DB금투, 36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

DB금융투자, 연말까지 자사주 65만주 매입

 

3. 밸류업 기대감에 시장 환호 현대차 우선주 삼형제 질주

우선주 소각 가능성 커지자

올 들어 50% 가까이 상승

배당수익률도 7% 넘어 매력

https://www.mk.co.kr/news/stock/11114396

 

4. 생물보안법 하원 통과 K바이오 반사이익 기대

 

5. 증시 불안에 다시 커지는 ELS 손실 공포

경기침체 우려에 주가 출렁

S&P 등 만기 손실 가능성

https://www.fnnews.com/news/202409101830331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