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또 0.5% 인하 요구하는 시장! 중동 불안감 천연가스 급등! 중국 금리인하! 금투세와 밸류업 결정 9월 24일 장전 시황

평생선물 2024. 9. 24. 06:54

0.5% 인하 요구하는 시장! 중동 불안감 천연가스 급등! 중국 금리인하! 금투세와 밸류업 결정 924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9월 제조업 PMI 47…제조업 경기 위축 지속

 

2. 향후 금리 인하폭은Fed 위원들 "작은 걸음" vs "정해지지 않아"

 

3. "갈 길 멀다" vs "더 작은 걸음"…향후 금리인하폭 놓고 Fed 이견(종합)

 

4. [뉴욕증시]제조업 위축에도 추가 '빅컷' 가능성 주시…다우·S&P 최고치

 

5. S&P 500은 월요일에 새로운 기록적인 마감가로 상승, 거래자들은 Fed 삭감 구제 랠리를 확대할 것을 목표로 함: 라이브 업데이트

https://www.cnbc.com/2024/09/22/stock-market-today-live-updates.html

 

사람 욕심이 끝이 없습니다.

이번 0.5% 인하에 시장은 다음에도 또 0.5% 인하 기대감으리 키우고 있습니다.

 

지표 해석도 지 맘대로죠. 제조업 PMI47이면 위축이다.

이러면서 하락하기도 하지만 오늘 새벽은 다우나 S&P는 신고가 돌파하고요.

이러니 개인 지표 해석은 무의미하죠.

 

하여간 갑자기 지난 금요일부터 시장은 다음 인하도 0.5% 인하 기대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이게 상승 원동력이 될 가능성도 보이네요.

 

이상한 것은 국채였습니다.

장기 국채 수익률이 장중에는 1%대 급등까지 나오더군요.

0.5% 인하 기대감이면 국채 수익률은 내려야 하는데 이건 또 오릅니다.

시장이 윗물은 뜨겁고 아랫물은 차갑고 난리 난리입니다.

투자자로서는 중심 잡기가 참 힘든 구간 같습니다.

 

금리 인하 기대감이 이렇게 높으면 중소형주 러셀 2000은 달려야 하는데

다 상승하는데 러셀 2000만 또 0.41% 하락입니다.

미국 시장은 혼란의 도가니입니다.

 

1. 테슬라, 다시 달릴까3분기 호실적 기대에 5% 급등

월가, 테슬라 3분기 인도량 호실적 전망…주가 장중 4%

투자은행 판매 전망 상향+로보택시 기대, 테슬라 5%(상보)

 

2. 주가 급등락에 지쳤나…집중 매도 대상으로 전락한 엔비디아[서학픽]

 

3. 엔비디아 0.22%-인텔 3.3% 상승, 반도체지수 0.51%(종합)

 

4. 퀄컴 인수 추진에 인텔 연일 랠리, 오늘도 3.3% 급등

 

5. '경영난' 인텔 주가 바닥 쳤나52주 최저가 대비 20% 이상

퀄컴 인수 타진·아폴로 투자 제안 소식에 4% 오른 가격에 거래

https://www.yna.co.kr/view/AKR20240924003800091?input=1195m

 

6. 인텔, 사모펀드 먹잇감으로 전락…아폴로, 50억 달러 투자 제안

"경영난 인텔에 이번엔 투자 제안…아폴로가 6.7조원 카드

 

M7 중에서는 테슬라가 5% 급등 아마존이 1% 상승 정도

나머지는 보합이나 하락입니다.

나스닥은 테슬라가 살렸습니다.

 

인텔이 다 죽어가더니 여기저기서 인수나 투자 제안 나오고 정부 보조금도 받고 이러면서 저가에서 20% 반등입니다. 묘합니다.

 

하이닉스 상승 덕택으로 마이크론이 상승하고요.

ARM도 반등합니다.

 

우리 시장은 동조화로 본다면 2차 전지가 제일 좋을 것 같고

반도체와 자동차는 중립

오늘 노보노디크스 3% 하락에 제약바이오가 약해서

우리 제약 바이오는 좀 흐림으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1. 오픈AI 올트먼, 아이폰 디자인한 아이브와 AI 기기 개발

올트먼 손잡은 애플의 전설AI 기기의 미래 그린다

 

2. "석유 대신 AI" 중동 국부펀드, AI 스타트업에 수십억달러 투자

실리콘밸리 AI 스타트업 큰손 부상

수년간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자금력 막강

AI 선도해 자국 산업 다각화 목표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923000614

 

3. 빅컷 이후 방향성 찾느라 고민하는 투자자들"금융주 주목"

침체 징후 없이 빅컷으로 인하 시작국채 금리 올라

https://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4929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중동 불안에 천연가스 급등 100BTU 2.8달러, 국제유가는 속락 WTI 70달러

천연가스, 100BTU당 전날보다 0.140달러(5.15%) 급등한 2.859달러

WTI는 전거래일보다 0.63달러(0.89%) 하락한 배럴당 70.37달러에 마쳐

 

2. 유럽 경기 둔화, 수요 우려…국제유가 1% 가까이 하락

 

3. "-헤즈볼라 전면전 확률 40%" 중동 불길 더 번지나

"보급로 차단 후 병력 퇴각 위한 단기 침투전 예상"AP통신 "군사완충지대 점령 가능성"

 

4. “은 이제 비싸니 사두자ETF, 금 레버리지 ETF 수익률도 앞질러 [투자360]

이달 은선물 ETF, 금 레버리지보다 높아

", 금보다 저평가…고점 대비 상승 여력도"

경기 둔화 우려에 변동성 유의해야

https://news.heraldcorp.com/view.php?ud=20240923050591

 

5. 덴마크 총리, 나토 동맹에 우크라 무기 제한 풀어야

 

은이 1.54% 하락입니다.

금이 0.22%, 구리는 0.06% 상승이고 은이 유독 약했네요.

 

유럽 경기 둔화로 유가가 하락은 했는데 70달러는 지켰습니다.

 

허리케인 영향이라고 하는데 천연가스가 5.26% 급등입니다.

드디어 천연가스 ETF가 수익 전환입니다. 새벽이 기분이 살짝 좋았네요.

 

유가도 이스라엘, 헤즈블라 전면전 우려가 나와서 오르나?

이런 생각이었는데 의외로 70달러 선이 저항선인 것 같네요.

 

1. 유럽 철강업계, EU"수출 급증, 관세 등 대책 마련하라"

2018년 이미 보호조치 도입했지만 "더는 효과 없어"

, 올해 1억톤 수출 예상…8년만에 최대 규모

"생산비용보다 낮은 가격에 수출해 글로벌 시장 왜곡"

"EU 시장 도미노 피해…우회 수출 등도 관세 부과해야"

https://v.daum.net/v/20240923111104158

 

2. 인도, 4~8월 중국산 완제품 강철 수입 7년 만에 최고치 기록

https://www.reuters.com/markets/commodities/indias-finished-steel-imports-china-hit-7-year-high-april-august-data-shows-2024-09-23/

 

3. 중국 철강업계 대규모 구조조정 임박, 한국 철강 반사이익 기대는 아직 멀어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66546

 

4. 경기 침체 속 중국 철강 산업 파산 급증에 직면

중국의 철강 산업은 장기적인 부동산 시장 침체와 경제 성장 둔화로 인해 재편되고 있습니다.

철강 위기는 절실히 필요한 산업 통합을 촉진하는 중요한 전환점을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중국의 부동산 위기는 앞으로 몇 년 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https://invezz.com/news/2024/09/23/chinas-steel-industry-faces-bankruptcy-surge-amid-economic-downturn/

 

5. 포스코 `먹구름`이차전지 적자폭 커지나

철광석 가격, 톤당 90달러 하회

생산비용 커지며 실적압박 우려

일각 "부양책 등에 반등 가능"

https://v.daum.net/v/20240923170516288

 

6. "철강주 바닥 찍었다감산·부양책 기대"

SK증권, 포스코홀딩스 등 추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2324131

 

현대제철이 또 하락입니다.

어제 철강 업종이 0.74% 상승입니다. 외국인이 철강 쪽을 사주었는데

이게 순수 철강보다는 2차 전지 관련 철강이 올랐다는 생각입니다.

 

1. LFP 배터리 소재 준비도 속도K-배터리 '라인업' 확장

현대제철, 배터리 기업과 철 분말 공급 협의

LFP 확대 맞춰 소재 부문 준비 진행도 척척

https://v.daum.net/v/20240923141435518

 

현대제철도 이제 2차 전지 관련 사업을 한다고 하니 오늘은 좀 반응이 나올지 모르겠습니다.

철광석 가격은 급락하고 중국은 밀어내기 하고 견디지 못한 중국 철강 기업은 도산하고

아주 난리입니다.

 

1. 에 짓눌리는 석유화학·철강…한신평 "실적 약세 장기화 가능성"

"석유화학, 유례없는 불황…구조조정·사업 재편 필요"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25811

 

계속 전해드리고 있지만 철강뿐만 아니라 석유화학도 심각하죠.

롯데 그룹의 약한 고리가 건설과 화학입니다.

이게 롯데 그룹 전체로 악재 역할 할 수도 있고요.

 

1. [단독] 중국산 저가철강 구매한 한국 조선사 날벼락…대체 무슨 일

값싼 중국산 후판이 밀려들면서 몸살을 앓고 있는 한국 철강업체가 중국업체를 상대로 반덤핑 제소에 나선 가운데 이 후판을 사들인 한국 조선업체들도 코너에 몰릴 위기에 처했다.

한국 정부가 중국산 후판에 대한 조사에 본격 착수하면서 제동을 걸면 조선사들의 제조원가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https://v.daum.net/v/20240923185400410

 

오늘 유가도 내렸고 중국 후판 조사하면 원가 낮추기를 중국산으로 한 조선사들에 악재라는 기사입니다. 어제도 조선이 좀 약했는데 오늘도 이걸 좀 걱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1. 민간 싱크탱크 등 ‘26년 기후공시 의무화 촉구...금융위, "대다수 기업 기후공시 공감"

NGO와 더불어민주당 기후행동의원 모인인 ’비상‘ 소속 의원, 법정공시 도입과 스코프 3 공시 의무화 등 요구

캘퍼스NBIM 등 해외 투자자도, KSSB 초안보다 강화된 공시기준 요구

금융위, 국내 기업 공시기준 내용에는 의견 다양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8061

 

퍼스트솔라가 3%, 캐나디안솔라가 2%대 엔페이즈에너지, 솔라엣지가 1%대 상승

태양광도 좋았고

테슬라 급등에 앨버말도 3% 상승이어서 2차 전지도 좋네요.

 

1. 독일 전기차 보조금 부활 검토K배터리 캐즘 속 '단비'

지난해 말 폐지…자국 업체 고전에 보조금 재검토

독일 전기차 판매량 부진…보조금 지급시 반등 예정

국내 배터리 업체 호재BMW, 폭스바겐에 탑재

https://v.daum.net/v/20240923152554928

 

2. 폭스바겐 "작년에 없앤 전기차 보조금 복구해달라"

"반짝 처방 그쳐" 반박도'탈탄소 정책 전환' 업계 요구 봇물

https://v.daum.net/v/20240924031833447

 

어제 우리 2차 전지 급등은 독일 보조금 덕택으로 해석하는데

여기에 더해서 유럽 전기차 업계가 재생에너지 전환을 늦춰달라는 요구도 호재로 작용한 것 같습니다.

 

뉴스는 전해드렸습니다.

 

오늘은 2차 전지가 어제에 이어 상승하면서 추세를 만드냐가 관건이겠습니다.

하루 오르고 또 쉬면 참 답답한 형국일 것 같고요.

 

1. 유럽 최대 배터리기업 노스볼트 직원 20% 감원키로

전기차 판매부진, 경쟁 여파…사업 확장 계획도 중단

https://www.yna.co.kr/view/AKR20240923157000098?input=1195m

 

2. SK, 흑자전환하나…내달부터 美공장서 현대차 배터리 양산

 

3. 꿈의 배터리' 성큼…개미들 '풀매수'

반지·안경도 이 배터리로 스마트해져”…세계 최초라는 기술력 들여...

삼성전기, 초소형 전고체 배터리 세계 최초 개발

삼성전기, 세계 최초 초소형 전고체 배터리 개발

삼성전기, 초소형 전고체 배터리 개발 소식에 7% '급등'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올댓차이나] 대만 증시, 기술주에 매수세로 사흘째 상승 마감0.57%

 

2. [올댓차이나] 홍콩 증시, 이익확정 매물에 혼조 마감H0.12%

 

3. [올댓차이나]중국 증시 상승 마감…상하이지수 0.44%

 

4. [오늘 A] 통화 완화 기대감에 상승...화웨이 OS 관련주 대거 상승

상하이종합지수 2748.92(+12.11, +0.44%)

선전성분지수 8083.38(+8.24, +0.10%)

촹예반지수 1530.51(-6.09, -0.40%)

커촹반50지수 643.04(-5.32, -0.82%)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923000873

 

5. 이날 중국의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14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 금리를 인하했다. 인민은행은 1.95%였던 14일물 역RP 금리를 1.85%로 낮추고 745억위안(14조1252억원)의 유동성을 공급했다. 인민은행이 14일물 역RP를 매입하기는 지난 2월 이후 처음이다. 또한 인민은행은 인민은행은 7일물 역RP 금리를 1.70%로 유지하고 1601억위안의 유동성을 투입했다. 만기 도래 물량은 1387억위안이었다.

 

이와 통화 당국이 10월1일 국경절을 앞두고 지급준비율을 인하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중국이 지난 20일 금리를 동결한 만큼, 이달 말 지준율을 인하하는 식으로 통화정책을 완화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오면서 이날 중국 증시에 호재로 작용했다.

 

이날 특징주로는 화웨이(華為)의 자체 운영체제(OS) 관련주가 대거 상승했다. 창산베이밍(常山北明), 궈화왕안(國華網安), 파번신시(法本信息) 등 10여개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화웨이는 9월말에 자체 운영체제(OS)'하모니 넥스트' 버전을 정식 발표할 예정이다. 하모니는 모바일기기에 적용되는 OS였다면 하모니 넥스트는 PC버전과 산업용 컴퓨팅 버전을 포괄한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923000873

 

6. 경제부양책 기대감"정책금리 인하 등 거론"

 

101일부터 중국은 107일까지 휴장입니다.

중국 당국은 중요한 기간 앞에서는 뭔가 부양하는 모습을 보였으니

이번에도 긴 연휴 전에 부양을 하겠지?

그게 금리 인하겠지! 이런 기대감이 있습니다.

 

 

1. 기준금리 인하하나?24일 판궁성 인민은행 총재 기자회견 예고

역레포 14일물 10bp 인하, 유동성 공급

사실상 기준금리 LPR 인하 가능성 커져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DEELP2AFG

 

2. 빅컷 이어 중국 경제부양책 나올까…정책금리 인하 등 거론

인민은행 등 3개 금융당국 수장, 국경절 연휴 앞두고 합동 회견 예고

중국 14일물 역레포 금리 인하"부동산 부양책이 가장 효과적" 견해도

https://www.yna.co.kr/view/AKR20240923122400009?input=1195m

 

인민은행장이 오늘 기자 회견까지 한다고 하니 기대감이 좀 생기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상해 시장은 반등했는데

 

중국 나스닥 창예판, 과창판은 하락입니다.

과창판이 더 심각합니다. 반도체 제재에 힘을 못 쓴다는 생각입니다.

 

1. 4분기에 시행될 '신규 2' 과제에 3000억 국고채 자금을 전액 배정한다.

 

923일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특별 기자회견을 열어 대규모 장비 업데이트와 소비재 무역판매 정책('2개 신규' 정책)의 전반적인 진행 상황과 효율성을 소개했다.

 

당 지도 그룹 회원이자 국가 발전 개혁 위원회 부국장인 Zhao Chenxin은 현재 '2개의 새로운'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3000억 위안의 정부 채권 기금이 완전히 해제되었다고 말했습니다.

 

Zhao Chenxin은 현재 '2개의 새로운' 정책의 기본 작업이 완전히 완료되었으며 실행 결과가 점차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앞으로는 진행 일정 및 감독을 강화하고, 자금 감독 및 관리를 강화하며, 시행을 더욱 추진하겠습니다.

https://finance.eastmoney.com/a/202409243188508390.html

 

국채로 미국식 부양한다고 전에 전해드렸는데

3000억 위안 발행해서 나눠주고 있다고 하네요.

그런데도 수요가 안 생기니 답답하겠습니다. 중국 당국자나 투자자 모두.

 

오늘 인민은행장 회견 기대감인지

홍콩 야간선물이 1.06% 상승입니다.

미국 상장 중국 종목들이 잘 달렸습니다.

알리바바, 핀둬둬가 2%대 징둥은 5%, 바이두도 2%

그래서 오늘 홍콩 ETF는 제법 좋을 것 같네요.

 

1. EU, '의 유제품 조사' WTO 분쟁제기 절차 착수

"조사개시 단계서 대응 첫 사례"'전기차 관세'에 보복 판단

https://v.daum.net/v/20240923204047361

 

유럽이 중국 전기차 관세로 한방 때리니 중국이 유제품 조사로 또 한 방

유럽은 또 이걸 조사한다고 한방 때리고 있습니다.

이럴수록 중국 전기차에는 악재일 것 같은데 말입니다.

 

1. 중국자동차딜러협회: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가격 전쟁'으로 인해 신차 시장에서 누적 소매 손실이 1,380억 위안에 달했습니다.

중국자동차딜러협회의 'Market Pulse' 모니터링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8월 현재 딜러 판매 반전 데이터는 최대 -22.8%에 도달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0.7%포인트 더 확대됐다.

https://news.sina.com.cn/c/2024-09-23/doc-incqctzt1892994.shtml?cre=tianyi&mod=pchp&loc=1&r=0&rfunc=79&tj=cxvertical_pc_hp&tr=12

 

어제 차이나전기차가 0.44% 상승, 6780원입니다.

7000원 향해 달리나 싶지만 1번 기사 보시면 팔아서 이익이 나는 것이 아니고

손실이 더 누적되죠. 비야디와 리오토 정도가 돈 번다고 하지 않습니까?

그래서 차이나 전기차는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미국 시장에서 리오토가 3%, 지커가 1%, 니오는 보합권 정도

 

1. 전기차 늑장 뼈아프다"SAIC-폭스바겐, 공장일부 폐쇄 검토"

판매량 4년 새 200만대→120만대…"신에너지차 생산 전환 준비"

https://v.daum.net/v/20240923112847132

 

2. "전기차는 아직 아니야" PHV 생산 늘리는 메이커들

메이커 "한동안 PHV가 대세"

GM도 람보르니기도 "다시보자 PHV"

https://v.daum.net/v/20240923150456962

 

3. GM의 몰락...중국서 기아에 판매량 추월당해

친환경·가성비로 전환하는

미국 GM·포드 합작사 초토화

SAIC-GM 8月 2만대 밑 추락

기아‘EV5·K시리즈로 선방

https://v.daum.net/v/20240923180901361

 

4. "조만간 정리해고" 통보한 GM…내년 1월까지 1700명 더 줄인다

지난해말부터 잇단 인력 구조조정

생산직 3000, 기술직 1000명 등 감원

https://v.daum.net/v/20240923134520559

 

오늘 미국 시장에서 GM1.72% 하락 포드가 그나마 0.28%로 선방합니다.

중국 시장에서 GM은 기아에도 밀렸다고 하네요.

 

도요타, 혼다는 0.7% 정도 상승인데

어제 우리 현대차 기아는 하락이었습니다.

유럽 판대 저조가 반영된 것 같습니다.

 

전기차냐? 하이브리드냐? 이 싸움 같은데 애매하네요.

 

1. 현대차-이베코 합작 '전기 경상용차' 유럽 달린다

현대자동차가 이탈리아 상용차 이베코와 개발한 '전기 경상용차(eLCV)'를 유럽에 출시했다. 2022년 양 사 전략적 파트너십 이래 유럽 현지 판매를 본격화하는 첫 양산형 모델이다.

https://v.daum.net/v/20240923160312645

 

2. “빅컷 수혜주 따로 있었네”…할부금리 내리면 구매량 확 늘어난다는 이것

현대차그룹 수출 수혜 전망

https://www.mk.co.kr/news/stock/11122865

 

3. "10월 반도체 호조세 계속...자동차 등은 업황 악화 전망"

다음 달 반도체와 가전 중심의 경기 개선 기조가 유지되지만, 자동차, 철강 등 일부 업종의 업황은 나빠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https://v.daum.net/v/20240923172404015

 

오늘 미국 자동차 업종이 테슬라만 달린 형국이라 우리 현대차, 기아 흐름이 애매할 것 같습니다. 호재는 금리 인하가 할부 금리 호재로 작용하는 것이고

10월 수출 전망이 자동차는 악화입니다.

호재와 악재가 다 있어서 오늘 우리 자동차는 중립 정도로 볼 생각입니다.

# 우리 시장 이야기

 

1. 코스피, 2600대 회복…닷새째 올라 [마감 시황]

코스피, 3주 만에 2600선 안착…삼성전자는 4거래일째 하락

'6만전자' 추락에 26억어치 담았다…줄줄이 나선 삼성 임원들 [종목+]

코스피, 개인·기관 매수세에 닷새 연속 상승2600선 회복[시황종합]

 

2. SK하닉에 2차전지·바이오株 동반 상승하니 코스피 2600대 회복 [투자360]

"소프트웨어도 세계급"…SK하닉, AI 반도체 생태계 키운다

 

3. 희비 엇갈린 반도체株…SK하이닉스 3.12% ·삼성전자 4거래일 연속

 

4. 추락하는 목표가희망고문만 남은 반도체

 

5. "AI 슈퍼사이클" 외치더니…반도체 보고서 180도 뒤집다

'오락가락' 모건스탠리/ "호황침체" 한달만에 말 바꿔

하이닉스·삼성전자 주가 된서리/ 업계 "시장분석 동의하기 어려워"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92321191762302

 

6. 두 달 새 30% 급락, 삼성 반도체 비관론 짙어지는 이유

중국발 메모리 수요 둔화에 HBM·파운드리는 SK하이닉스·TSMC에 밀려

 

진짜 어마어마하게 팝니다.

외국인이 현물 7019억 매도했는데 지수가 그래도 0.33%, 3거래일 연속 상승한 것이

신기할 정도입니다.

 

기관이 받아주었습니다. 연기금까지 도와주고요.

2600선 회복했는데 기관 매수가 계속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느낌은 외국인은 계속 매도인데 기관이 저가 매수하느냐에 따라 방향이 정해질 것 같네요.

기관이 매도하는 날이 지수 하락하는 날이다.

이렇게 볼 생각입니다.

 

외국인은 철강금속 정도 사고 대부분 매도했다고 봐야 하는데

전기전자 6636, 운수장비도 102억 매도라 어제 자동차도 부진했네요.

하이닉스를 4만주 정도 매수해서 외국인이 하이닉스라도 안 판 것이 어디고?

뭐 이런 심정

 

기관이 하이닉스를 매수하면서 반도체를 방어하고 있는데

언제까지 반등이 계속될지는 알 수가 없겠죠.

마이크론이 미국 시장에서 약 3% 반등인데 제 느낌은 하이닉스 상승 덕택과 실적 발표 기대감이 반영되는 것 같습니다.

 

삼성전자는 기관이 5거래일 연속 매수 중입니다.

어제 외국인이 –1000만주 매도입니다.

이야기했지만 이런 추세라면 보유율을 50% 이하로 낮추는 작업이 시작된 것으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10월 실적 발표에서 뭔가 큰 것이 안 나온다면 올해 남은 기간 내내 외국인은 삼성전자 매도한다고 각오해야 할 느낌입니다.

 

이제 하이닉스라도 분리해서 안 내려주면 다행이다.

하이닉스가 중요하게 생겼습니다.

 

1. WSJ "기업밸류업 정책, 재벌중심 구조 탓에 성과 한계"

"재벌 이해관계 소액주주와 달라…높은 상속세율도 요인

WSJ의 잭키 웡 칼럼니스트는 23(현지시간) '한국은 일본의 시장 개혁을 카피하는 데 한계가 있다'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한국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해 "수익률 개선을 기대할 수 있겠지만 삼성, 현대 등 재벌의 힘이 주가 상승을 제한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0923157100072?input=1195m

 

5. 맥쿼리밸류업 지수 편입 기업, 메리츠금융·한미반도체 등 21곳 예상

맥쿼리증권은 한국거래소가 오는 24일 발표할 ‘KRX 코리아 밸류업 지수21개 종목이 편입될 것으로 전망했다.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맥쿼리증권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메리츠금융지주 한미반도체 HD현대일렉트릭 맥쿼리코리아인프라스트럭처펀드 LG이노텍 한국항공우주산업 코웨이 ▲삼성E&A ▲한진칼 등이 편입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미약품 LIG넥스원 삼양식품 오리온 한미사이언스 에스원 F&F 제일기획 이수페타시스 BGF리테일 ▲한전KPS ▲DB하이텍 등도 편입이 유력할 것으로 꼽았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19641

 

이제 기대감이 밸류업인데 월스트리트저널이 일본과는 우리 기업 구조가 달라서

성공가능성이 낮다고 보도하네요.

뭐 우리 모두가 다 아는 사실 아닙니까?

어제 삼성물산 3.2%, 삼성생명 1.3%, 삼성화재 2.84% 하락입니다.

1. 외국·국내 증권사, 밸류업 편입 후보 시각차…맥쿼리 "삼성전자 편입 안될 것"

은행·자동차 '강력 후보' 동일하지만…나머진 차이 극명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9/0002903984

 

기사가 삼성전자는 편입 안 될 것으로 전망하죠.

그래서 벌써 조정받았다는 생각입니다.

 

1. 빅컷에도금융사 신용하향 경고등

나신평, 하반기 하방압력 예고

고금리에 가계부채 확대 주효/ 부동산PF 비중 큰 기업 적신호

https://www.fnnews.com/news/202409231811050971

 

2. KB, ‘밸류업 지수편입 유력 후보 금융

KB증권 "밸류업 지수 편입 후보, 금융업종 다수 포함

 

은행주는 KB금융이 1% 이상 상승했지만 다른 금융주는 상승폭이 낮습니다.

밸류업으로 올렸지만 또 부정적인 내용도 제법 있으니

계속 적고 있지만 밸류업 지수 종목 결정되고 뉴스 나오면 1차적인 차익 실현 나온다고

각오는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첫 번째가 아마 금융주가 되지 않을까? 이런 생각입니다.

그동안 큰 상승한 종목들은 뉴스에 팔라도 걱정합니다.

 

1. '상위 0.1%' 세금이라더니…개인계좌 14%가 금투세 대상

 

2. '큰손' 뭉칫돈 20조 빠져나갔다…한국 탈출 러시 '초비상'

금투세'코리아 엑소더스'/ (4) '상위 0.1% 세금'의 진실

'상위 0.1%' 세금이라더니/ 개인계좌 14%가 금투세 대상

전체 계좌잔액 16늘었는데/ '금투세 대상' 개인계좌는 급감

"수익률 20% 이상이 날아가는 셈"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2324331

 

남은 것이 금투세 토론인데 야당 쪽에서 보완 입법까지 만들고 토론하는 것 보면

금투세 추진도 가능성이 있을 것 같습니다.

보완해서 진행은 한다. 이런 방향도 걱정해야 할 것 같네요.

 

유튜버, 경제지, 전문가 뭐 말할 수 있는 곳은 모두 안 된다고 하네요.

이렇게 조직적으로 부정적으로 이야기한 적이 있나 싶습니다.

 

1. 증시자금 '바닥'...개미, 반등에 베팅

지난 456조 원을 넘었던 투자자 예탁금이 최근 51~52조 원까지 급감했습니다.

2월 이후 7개월 만에 최저치입니다.

 

대기 자금 성격의 MMF(머니마켓펀드)에서는 한 달 만에 9조 원 넘는 자금이 유출됐습니다.

MMF는 증권사가 취급하는 초단기 투자 상품으로 언제든지 증시로 투입될 수 있습니다.

 

투자 매력도 하락은 '빚투' 잔고에서도 드러납니다. 신용 공여 잔고가 16조 원대까지 내려간 건 지난해 11월 이후 처음입니다.

 

증시가 활력을 잃으면서 주식 거래 대금도 크게 쪼그라들었습니다.

지난 9일에는 전체 거래대금이 12조 원으로 올해 최저 수준까지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월별 평균으로 보면 9월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16조 원으로 연초보다 30% 가까이 빠졌습니다.금리인하 국면에도 증시가 뚜렷한 반등을 보이지 않고 AI·반도체 조정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을 떠난 겁니다.

 

증권가에선 오히려 '지금이 투자 기회'라는 증시 바닥론이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스피 PBR0.9배에도 못 미치는 극단적 저평가 수준에 있다고 입을 모읍니다.

최근 들어 개인 투자자들도 증시 상승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https://v.daum.net/v/20240923172925172

 

PBR 0.9배 자리, 거래 대금이나 신용이 줄면 그 자리가 반등자리

이런 이야기는 많이 경험했는데 늘 이번에도 그럴까가 고민스럽죠.

저는 계속 박스권 이야기 했고

1년에 한 두 번 과매도권, 과매수권 나오는 정도로 해석하는데

지금 지수는 박스권 중간 정도로 봅니다.

뭐 더 내려갈 수도 있고 더 올라갈 수도 있고 말입니다.

 

단기적으로는 밸류업과 금투세로 오늘 방향이 좀 정해질 것 같고

어제도 적었지만 25일 마이크론 실적에 반도체도 어느 정도 방향을 정한다는 생각입니다.

 

야간선물이 0.3%, MSCI 한국지수가 0.58% 상승입니다.

 

중국 우시바이오가 어제는 5% 급락이지만 금요일은 급등이었습니다.

미국 생물보호법에 중국 바이오 기업이 포함 안 되었다는 것에 반응했는데

어제는 또 하락이네요.

 

우리 제약 바이오가 오늘 정도는 이 소식으로 쉴 수도 있다는 생각입니다.

 

오늘은 밸류업과 금투세의 날로 보고 있습니다.

 

민주당 금투세 토론 D-1…이소영 "유예" VS 임광현 "시행

민주당, 내일 금투세 끝장토론결과 토대로 당론 정할 것

이강일 민주당 의원 "금투세 토론회는 역할극" 문자 파문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2305057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1. 에코플라스틱, 통상임금 소송 패소

판결 금액은 112318234원으로 자기자본 대비 5.1%에 해당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841707

 

2. 앱코, 주주환원·책임경영 강화…자사주 매입

 

3. "전기요금 안 오른대"'부채 202' 한전 8% 폭락

4분기 전기요금 동결 소식에…한전, 8% 고꾸라졌다

“43누적 적자인데”…한국전력, 4분기 전기요금 동결에 주가 8% 급락 [투자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