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마이크론이 올리고 슈마컴이 내리고 혼돈의 미국 반도체! 융단 폭격으로 부양책 퍼붓는 중국 그래도 삼성전자는 파는 외국인 9월 27일 장전 시황

평생선물 2024. 9. 27. 06:48

마이크론이 올리고 슈마컴이 내리고 혼돈의 미국 반도체! 융단 폭격으로 부양책 퍼붓는 중국 그래도 삼성전자는 파는 외국인 927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파월 '빅컷'은 강한 리더십 상징…박빙을 압도적 지지로 바꿔"

 

2. 10년 전 국채 플래시언급한 파월높은 수준 기능 필요

파월 연준 의장, 뉴욕 연은 컨퍼런스 개회사

블룸버그 빅컷 이후 연준 내 리더십 강화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DEGDIX5BH

 

3. 노동시장 견조실업수당 청구 넉달새 최저

추가 '빅컷' 가능성 소폭 하락

2분기 GDP 증가율 3.0% 확정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2609261

 

4. '닷컴버블 이후 가장 뜨겁다' S&P500, 2년연속 20%넘게 오르나

S&P500 올해 상승률 20% 육박…상승속도 유지 주목

미 대선 앞두고 기업들 연기로 4분기 M&A 감소 전망

https://www.yna.co.kr/view/AKR20240926144000009?input=1195m

 

뉴욕증시, GDP·실업수당 지표 호조에 상승…나스닥 0.45%

연착륙 기대·마이크론 실적호조 쌍끌이S&P500 최고치0.4%

경제 순항·반도체도 '업사이클'S&P500 사상 최고치[월스트리트in]

 

9월이 일 년 중 가장 안 좋다고 9월 시작 전부터 난리였는데

일부 조정은 있었지만 미국 시장은 신고가 진행입니다.

2년 연속 20% 상승 기대감도 나오네요.

 

주 초반에는 지표가 안 좋아도 오르고 오늘 새벽에는 지표가 좋아서 오르고

이래도 오르고 저래도 오르고 미국 시장은 좋겠습니다. 살짝 부럽네요..

 

1. 채권 ETF에 역대급 자금"은퇴자에 매력"

올 들어 2150억달러 순유입

금리 인하에 가격상승 기대

'TLT' 5개월 만에 10% 상승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37492

 

채권이 좋다는 기사는 계속 나오는데 이상하게 미국 국채 수익률은 계속 오릅니다.

기사 따로 지수 따로

 

오늘도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한 때 3.821까지 갔다가 3.796입니다.

0.4% 상승, 2년물은 무려 2%까지 상승하고요.

좋다는 채권 ETF 수익이 하락입니다.

TMF는 오늘은 살짝 반등해서 0.59% 상승이네요.

 

저는 조금씩 월배당 ETF에서 30년물 채권 ETF만 매수 중입니다.

러셀 2000, 다우 배당은 차익 실현했고

다른 지수 ETF도 더 오르면 차익 실현할 생각입니다.

계속 채권 위주로 월배당 ETF는 투자할 생각입니다.

현금은 거의 70% 넘게 보유 중이고요.

 

저는 이상하게 올해 20%까지 올랐으니 달이 많이 찼다는 생각입니다.

억지로 미국 대통령 선거 전까지 바티는 느낌!

 

1. 슈퍼마이크로, 법무부 조사 개시 보도에 15%대 급락

법무부, 'AI 수혜' 슈퍼마이크로 '회계조작 의혹' 조사 착수

 

2. 엔비디아도 못말리는 마이크론…반도체주 `고속주행`

'깜짝 실적' 마이크론 주가 13%↑…반도체주 대부분 상승

 

오늘 시장 주목해야 할 것은 상승 출발한 시장을 밀었던 것은

슈퍼마이크로의 급락이고요.

 

그래도 밀렸지만 꾸역꾸역 올린 것은 마이크론의 힘이었고요.

반도체는 급등했지만

 

M7 중 테슬라, 아마존, 메타, 마이크로소프트는 하락

애플, 구글, 엔비디아는 상승은 했는데 1% 미만입니다. 0.5% 근처

수급이 반도체로 다 몰려서 그런 것인지

미국 시장 대장주 M7이 시장에 별 영향을 못 준 하루입니다.

시장이 식으려나 이런 걱정도 하게 됩니다.

 

1. “테슬라만 살아남았다모건스탠리, EV 제조사들 줄줄이 하향 조정

https://kr.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article-1211597

 

2. 월가, “테슬라, 3분기 43만5000대 판매 바닥 찍고 반전

https://kr.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article-1211371

 

밸류업 때도 뉴스에 팔라 이야기 많이 했는데 테슬라도 로봇택시 발표 전까지는 힘을 유지하다가 뉴스 나오면서는 좀 쉬지 싶은 생각도 드네요.

너무 올랐습니다. 단기에

 

메타버스 수십조원 손실 메타, AI·스마트안경으로 전성기 여나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국제유가, 리비아-사우디 증산 기대에 3% 급락 WTI 67달러 천연가스도 동반 하락

천연가스, 100BTU당 전날보다 0.065달러(2.31%) 하락한 2.752달러

WTI는 전거래일보다 2.02달러(2.90%) 급락한 배럴당 67.67달러에 마쳐

 

2. 리비아-사우디 '공급 증가'...국제 유가 '이틀 연속 추락'

유가 전일 급락 이어 이날엔 낙폭 확대

전일엔 리비아 공급불안 완화 소식이 유가 짓눌러

이날엔 리비아 공급불안 완화에다 사우디 증산 이슈까지 더해져

이날엔 천연가스 가격도 급락

 

3. ‘레바논 지상공격전운이스라엘, 시뮬레이션 마쳤다

 

4. , 레바논에 지상군 투입 준비-EU, 3주간 휴전 제안

우리 군화가 적 영토 짓밟을 것

예비군 2개 여단 추가 배치밝혀/ 지상전 돌입땐 진흙탕 싸움전망

 

5. '레바논 침공' 가정 지상전 훈련까지이스라엘과 네타냐후만 웃고 있다

이스라엘군, 접경지서 지상전 모의 훈련

"기동 준비, 군화가 적 영토로 들어갈 것"/ 미국·이란·헤즈볼라 전면전 원치 않는데

, 눈엣가시 제거·가자 시선 분산 노리나/ "21일 휴전안 제안"타결 여부 주목

 

6. ‘마이웨이네타냐후 군사작전 멈추지 않겠다

레바논 지상전 강행 방침 거듭 강조

전력 다해 폭격권한도 부여/ 레바논 공습 이어가23명 또 사망

WSJ “이 우파연정 강경대응 부추겨/ 네타냐후 권력 유지 위해 외면 못해

국방부 지상전 임박한 상황 아냐”/ 유엔 사무총장 레바논에 지옥문경고

https://www.segye.com/newsView/20240926516945

 

7. 더 사야 하나? 차익 실현?...'빅컷' 후 금값 또 사상 최고

'빅컷' 후 금값 최고가 행진"차익 실현" vs "추격 매수"

 

8. 혹독한 겨울 온다…천연가스 ETN 16% 반등

 

이스라엘 요르단 침공이 현실화될 것 같고

중국 부양책이 쏟아지면 유가가 급등해야 하는데

-3% 급락입니다. 버티던 천연가스도 2.48% 하락이고요

 

대신 중국 부양책에 금속은 반응해서 구리가 3.52%

은이 0.87% 금은 또 신고가 0.39% 상승입니다.

 

<< 사우디 유가 100달러 포기, 증산 계획WTI 3% 급락>>

 

사우디가 유가상승 포기하고 증산 계획 발표하면서 나락으로 가네요.

 

<<1. 최근 홍콩증시 강세는 위안화 강세와 연동

 

2. 8월 이후 홍콩달러위안 환율(차트) 대폭 평가절하. 달러와 페그된 홍콩달러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강세에 따라 위안화 대비 약세 전환

 

3. 홍콩달러의 위안화 대비 약세는 홍콩 금융유동성 환경의 완화를 의미(=HIBOR금리 하락) 홍콩경제의 작은 규모와 최대 교역대상이 본토라는 점에서 약세 효과 극대화

 

4. 중국기업 최근 12개월 달러 환전비율 추이

 

5. 2022년 이후 달러 환전비율 급락

 

6. 중국 셀사이드에서 추정한 2022년 이후 중국 수출기업의 미환전 달러 보유액 최대 5,700억달러(2001-2021년 환전 비율 추산), 가장 보수적인 추정치는 1,000억달러

 

7. 단기 위안화 강세 지속 예상 근거에 연준 금리 인하 이후 중국기업의 달러 매도 증가를 제시. 추세적인 강세는 인민은행 의지보다는 실제 금융통화재정정책의 작동

 

하나증권 리서치 센터 김경환씨의 텔레그램 내용입니다.

이번 중화권 급등을 환율로 해석한 내용입니다.

 

1. 단독 보도: 중국, 올해 경제 회복 위해 2,840억 달러 규모 국채 발행

https://www.reuters.com/markets/asia/china-issue-284-bln-sovereign-debt-this-year-help-revive-economy-sources-say-2024-09-26/

 

이건 로이터의 중국 국채 발행 예상 기사고요.

 

위안화 강세가 연일 이어지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에서 우리 달라/원도 강세가 나오면서 1314원까지 내려왔습니다.

 

제가 환율 전문가도 아니고 채권 전문가도 아니니 그냥 느낌으로 적으면

불안한 느낌도 받습니다. 달러/원이 갑자기 달러/엔은 강보합인데

우리만 1.4% 하락하면서 1314원으로 만들어진다.

위안화 때문 같은데 이럼 우리 수출주에 악재가 아니겠습니까?

 

유가도 하락하고 원화가 강하면 뭐 항공주들은 수혜겠지만

우리 수출주 걱정은 해야 할 것 같네요.

 

오늘은 역외 환율 1314원이 어떻게 해석되는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 미국 정유주들 조정이 상당했습니다.

저는 어제 송원산업은 정리했습니다.

토스증권에서 이제 1주만 가지고 지켜보는 종목은 4 종목이 되었습니다.

금속이 좋아서 현대제철 청산 기회도 올 것 같은데

이건 주가 단위가 2만원 대여서 청산한다면 1주 보유는 안 할 생각입니다.

 

퍼스트솔라가 5.77%, 앨버말은 9.91% 상승입니다.

정유나 천연가스는 하락이지만 재생에너지, 원자재는 중국 영향으로 분위기가 좋아지는 것 같네요. 철강은 조금은 더 지켜볼까? 중국 영향으로 더 달리지 않겠나?

이런 심정입니다.

 

1. 탄소중립 달성하려면 전력부문 투자 20% 늘려야...5.4경원 필요

BNEF, 현수준 지속시 감축속도 둔화'5040% 감축 전망

수소 연간 5만톤, 탄소포집용량 8억톤씩 증가해야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8126

 

2. 블랙록 "AI 열풍에 아시아 전력 수요 50% 증가, 인프라 투자 기회 커진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67016

 

3. '전기차 캐즘' 버티다…창사 첫 희망퇴직

'배터리 1' CATL, 한국 법인 세운다

중국 푸젠성 닝더시의 CATL 본사.

LFP 앞세워 전기차·ESS 공략

국내 기업 협력 생산 거점 확보

·유럽 진출 규제 우회 가능성

https://m.etnews.com/20240926000220

 

4. 효성중공업, 밀양에 국내최대 용량 에너지저장장치 설치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오늘 A] 정치국회의 '강한 금리 인하' 언급에 랠리...상하이지수 3.6% 상승

상하이종합지수 3000.95(+104.64, +3.61%)

선전성분지수 8916.65(+378.92, +4.44%)

촹예반지수 1717.14(+72.60, +4.42%)

커촹반50지수 693.15(+25.81, +3.87%)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926000998

 

중국 시장은 개장은 하락으로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역시 바로 차익 매물이 나오네!

전날 오후부터 밀리더니 어쩔 수 없는 시장이네!

이런 생각을 했는데

 

1. 중국 관영 신화사에 따르면, 중국공산당은 26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주재로 정치국회의를 개최했다.

 

정치국회의는 초장기 특별 국채와 특별 지방 정부 채권 발행을 통한 정부 투자 강화 지급준비율 인하와 강한 금리 인하 실시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한 프로젝트 대출 확대 주택 시장 안정을 위한 주택 구매 제한 정책 조정과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하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장기투자 자금 시장 유입 촉진 등을 강조했다.

 

특히 정치국회의가 강한 금리 인하와 주택 시장 안정 정책 준비를 주문하는 등 강도 높은 부양책을 예고하자 증시에 강한 호재로 작용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926000998

 

2. 시진핑 "중국 경제, 새 문제 직면"국경절 앞두고 내수 회복 총력

 

3. 중국, 경기부양 위해 대형 국영은행들에 189조 원 투입 검토

 

4. 경기침체 청략잔 , 이번엔 대형 국유은행에 189조원 투입 검토2008년 이후 처음

경기 침체의 수렁에 빠진 중국이 최근 경기부양책을 꺼내 놓은데 이어 대형 국영은행들에게도 최대 1조 위안(약 189조3300억원)을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매월 말 최고 지도부 회의를 개최하는 중국이 9월 회의에서 경제를 주제로 논의한 것은 이례적이다. 그만큼 중국 경제 상황이 심각하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4092602109963033009

 

5. 지도부 회의서 "재정 지출 강화"…부양책 군불 때기?

공산당 중앙정치국 회의에서 '이례적' 경제문제 논의

"현재 경제 운영에 일부 새로운 상황과 문제 나타나"

경기부양용 통화정책 이어 재정정책 동원할지 관심

https://www.nocutnews.co.kr/news/6219156?utm_source=naver&utm_medium=article&utm_campaign=20240926045846

 

6. '경제 빨간불' , 9월 정치국 회의서 경제 논의 '이례적'

시진핑 주재로 경제상황 분석"재정·통화정책 강도, 재정지출 보장·정부투자 역할"

블룸버그 "성장 둔화 둘러싼 중국 당국 확대 방증"

https://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88226

 

연휴를 앞두고 정말 급했나 봅니다.

정치국 회의에서 경제는 논의하고 또 추가 부양책을 쏟아내었습니다.

전날 묶음으로 나온 금리 정책도 대단했는데 추가 재정 지출이 나오니

시장이 돌변했습니다.

 

야 바로 3000에 왔습니다.

과창판도 693까지 오고요. 대단하네요.

 

1. 증시 반등에도"상하이지수 3100 돌파 어렵다“

증권가, 보수적 예측 왜?

정부, 금리조정 등 통화정책/ 기대했던 추가 재정책은 부재

침체된 경기 부양하기엔 역부족/ 4분기 지수 2700~3100 전망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2604491

 

2. 모건스탠리: CSI 300 지수가 단기적으로 10% 상승할 것으로 예상

은행은 중국이 이번 주 초 발표한 부양책은 매우 공격적이며, 중국이 도입한 시장 안정화 조치는 전례가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https://wallstreetcn.com/articles/3729047

 

3%만 더 오르면 3100선입니다.

국내 증권사는 3100 돌파는 하겠냐? 이런 생각이고

모건은 대형주 CSI 300이 추가 10% 상승 여력 있다는 주장이고요.

 

2월 한 달 반등하고 6개월 밀리더니

세상에 불과 2, 3일만에 조정받은 것 거의 다 회복해 버리네요..

 

1. 저소득층 현금 지원·소비쿠폰 지급, 국경절 내수 회복 총력

취약계층에 이례적 일회성 현금 지급

종합 일자리 대책도 내놔

상하이, 1000억 규모 쿠폰 발행

https://view.asiae.co.kr/article/2024092619081127443

 

돈 쓰라고 이제 아예 쿠폰까지 발급합니다.

돈으로 지급하면 저축으로 갈 것 같으니 쿠폰으로 소비를 만들 생각인가 봅니다..

 

연휴 전까지 지수는 버틸 것 같은데

저렇게 부양한 것으로 해외 주식 사고, 저금하고, 부채나 갚고 가상화폐 사고

금사면 부양책은 도루묵입니다.

 

정부의 부양책이 잘 먹히는지가 관건이겠습니다.

하여간 하반기 중국 ETF 투자는 일단 실패! 너무 기다렸습니다.

 

1. 화웨이 '두 번 접는' 스마트폰 중국 반도체 한계 보여, SMIC 7나노 수율 부진

화웨이가 출시한 두 번 접는 트라이폴드스마트폰이 반도체를 비롯한 중국 핵심 부품 공급망의 약점을 보여준다는 평가가 나온다.

 

첨단 반도체 파운드리 공정 수율 부진과 디스플레이 생산 차질 등 요소가 제품 가격을 크게 높였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 물량 공급에도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는 것이다.

https://m.businesspost.co.kr/BP?command=mobile_view&num=366836

 

2. LGD, CSOT에 광저우 LCD 공장 2조원에 매각"OLED 더 집중"(종합)

 

3. , '전기차 100% 관세' 캐나다 차별 여부 조사…보복 가능

"에 대한 차별적 금지·제한에 상응 조치 가능"…유채씨 반덤핑 조사 이미 시작

https://m.yna.co.kr/view/AKR20240926096600083

# 우리 시장 이야기

 

1. 외국인 모처럼 ‘사자’…코스피 2.9% 급등

 

2. SK하이닉스 9%·삼전 4% 급등 "연말 랠리 온다"

['반도체 겨울론' 뒤집은 SK]

국내 반도체까지 온기 확산

마이크론 호실적에 불안감 완화

"대선 이후 본격 반등세" 전망

https://v.daum.net/v/20240926173634659

 

3. ‘반도체 겨울 온다고?’ 모건스탠리 보란 듯…에버코어ISI “올해 4분기 반도체 사상 최고가전망

에버코어 기술 분석가 반도체 주목”/ 연말까지 20% 추가 상승 여력 기대

개별종목은 AI용 반도체 기업 꼽아/ 엔비디아·브로드컴·마이크론·TSMC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 겨울 온다고?’/ 마이크론 호실적·사업 낙관론 발표 속

‘5세대 HBM 양산’ SK하이닉스 급등

https://m.mk.co.kr/news/stock/11125641

 

반도체의 날이었습니다.

더해서 위클리 옵션 만기까지 겹쳤습니다.

한탕 크게 해 먹었네요.

 

장중 대화 때나 시황에도 가끔 적었는데

조건이 만기 근처고 삼성전자, 하이닉스로 올리는 날은 종고가 고가일 확률이 높다.

역매매 정말 주의해야 한다고 적는데

어제 또 그 일이 생겼습니다.

지수는 2.9% 상승이지만 선물 종가는 거의 종가가 고가인 3.52% 상승입니다.

3.54%가 고가이니 뭐 끝까지 올린 것이죠.

 

일단 하방으로 본 곳은 타격이 상당했겠죠.

 

개별주식 선물 거래량 45% 늘어…공매도 막히자 '리스크 회피' 활용

국내 하루 평균 542만 계약

11월 선물 39종 등 추가 상장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37494

 

제가 삼성전자 개별 선물이 이상하다. 공매도 대체로 사용되는 것 같다고 몇 번 적었는데

어제 기사가 나오네요.

 

위클리 옵션과 삼성전자, 하이닉스 주식 선물과 지수 선물이 함께 묶여서

지수에 큰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하루 변동이 3거래일 연속 2% 이상 나오고 있습니다.

 

지수가 2.9% 상승하고 전기전자 업종이 4.28% 상승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이 외국인이 전기전자를 고작 2985억 매수했다는 것이죠.

더 중요한 것은 삼성전자를 –369만주 매도했습니다.

이걸 기관 특히 금융투자가 받았습니다.

연기금도 510억 매수하고요.

 

그럼 삼성전자에 대한 외국인 시각은 변하지 않았다는 이야기죠.

 

1. 이정배 삼성전자 사장 "메모리 방향성은 도출됐고 실행력이 필요한 때"

타운홀 미팅서 "절박함 가지고 노력하자""주위에 나가려는 인력도 지켜달라" 당부

 

2. 삼성 "HBM 수요 폭증"…비관론 일축

모건스탠리의 '반도체 겨울' 정면 반박

HBM 수요 연평균 58%↑…중장기 공급 부족 가능성도

마이크론 '깜짝 실적'…삼성전자·하이닉스 주가 껑충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2605281

 

3. [단독] 삼성전자, 평택 P4테일러 2공장 발주 전면 연기 통보

경기침체수익성 악화에 보수적 접근…투자 계획 대폭 수정 [소부장반차장]

https://m.ddaily.co.kr/page/view/2024092511320971764

 

삼성전자 주장이 일관되지만 중요한 것이 그럼 왜 미국 공장 건설 지연하고 인력 철수하냐는 것이죠. 그리고 이제 국내 반도체 공장도 발주 연기 이야기가 나옵니다.

없어서 못 팔면 공장 빨리 짓고 인력 더 고용해야 하는데

인력이 회사가 조정도 하지만 자발적으로 떠나는 인력도 상당하다고 하죠.

 

1. SK하이닉스, TSMC 포럼 첫 참가HBM 동맹 과시

 

2. "HBM 추격, 허용 않겠다" 한발 더 앞선 SK하이닉스…삼성전자는 언제

 

3. 기술격차 커진 하이닉스-삼전, 주가도 벌어진다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와의 기술력 격차를 한층 더 키웠다.

세계 최초로 HBM3E 12단 양산에 들어가면서 시장을 선점하고, 이로 인해 SK하이닉스의 향후 영업이익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https://v.daum.net/v/20240926154032613

 

4. 외인, 하이닉스만 샀다..."단기 비중 확대"

마이크론 호실적…업황 둔화 우려 완화

하이닉스 단기 비중 확대 분석

https://v.daum.net/v/20240926173250483

 

외인이 하이닉스는 272만주 매수했습니다.

9.44% 급등 치고는 매수가 좀 부족해 보이네요..

 

하이닉스가 상대적으로 더 오른 것은 12HBM 양산 소식

외국인이 매도 안 했다는 것

상대적으로 매물대 부담이 그래서 적었다는 생각입니다.

 

그래서 전기전자에서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를 분리해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1. 눈높이 달랐던 밸류업 지수"후속 지수 봐달라

'밸류업지수' 싸늘한 반응에…거래소 "연내 구성종목 변경 검토"

 

2. 밸류업 지수 혹평에 한발 물러선 거래소연내 종목 변경 검토

밸류업 지수긴급브리핑 연 한국거래소

특례제도로 편입된 기업, SK하이닉스가 유일

시장 대표성·실적 전망 등 고려해 지수 잔류 결정

수익성 높인 지수 아냐밸류업 정책 연계된 대표지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20580

 

3. '밸류업'서 빠진 금융주…기관 쓸어담으며 반등

거래소 "밸류업 지수, '정량적 지표'로 구성하는 데 주력" [일문일답]

 

4. KB금융·하나금융 질적요건 갖추지 못해 밸류업 지수 탈락

KB금융, 결국 밸류업 지수 추가?“ETF 출시 전 고쳐야” vs “오락가락, 신뢰도 타격

 

5. '밸류업지수 논란' 거래소 입 열었다 "SK하이닉스 포함 이유는..."

SK하이닉스 '특례제도' 통해 편출 보류

KB금융은 ROE·하나금융은 PBR 미달

"연내 구성 종목 변경도 적극 검토할 것"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92617550004888

 

반도체만 열일한 것이 아닙니다.

전날 밸류업에서 제외되었던 KB금융, 하나금융지주가 6%대 상승도 나오고

포함된 금융주도 또 급등

그래서 미국 금융주가 약세여서 걱정했는데 밸류업 지수 종목 변경 가능성을

거래소가 언급하면서 밸류업도 달렸습니다.

 

반도체가 달리고 밸류업이 도와준 시장이었습니다.

 

야간 선물이 0.85% 상승입니다.

어제 15000억대 선물 매수하던 외국인이 마감에는 상당히 줄여서

9000억대 매수 마감입니다.

 

그래서 오늘 시장은 좀 차익 매물로 보나?

야간 선물부터 차익 실현하나 싶었는데 장중에 1% 이상 상승시키면서 분위기 좋았는데

미국 시장 장중 조정 때 같이 밀렸습니다.

0.2% 정도까지 밀리다가 반등해서 0.85% 상승 마감입니다.

 

MSCI 지수는 더 좋습니다. 5.87% 상승입니다.

그래서 아시아 시장 급등을 미국 시장으로 확장했고

야간 선물까지 좋았는데

 

문제가 새벽 마감한 역외 환율이 1.45% 하락입니다.

달러/엔은 0.06% 강보합인데 말입니다.

이게 오늘 수출주들 걱정하게 하네요.

 

두 가지 환율과 삼성전자에 대한 외국인 매도가 이어지는지?

이걸 지켜볼 생각입니다.

 

당연히 밸류업과 금투세는 살펴야 할 부분이고요.

 

이제는 지수 선물. 옵션만 보면 안 됩니다.

공매도가 재개되기 전까지 개별 선물, 옵션도 잘 살펴봐야 합니다.

 

분명히 앞에서 즉 현물로 사는 것 같지만

주식 선물로는 매도하면서 천천히 물량 줄일 수도 있고요.

반대로 파는 척하지만 물량을 늘릴 수도 있고요.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1. 개인·기관투자자 거래조건 같게… 공매도… 개선법 국회 통과

"기울어진 운동장 바로잡는다"…개정안 국회 통과

불법 공매도하면 무기징역”…자본시장법 개정안 본회의 통과

 

2. “공매도 전산시스템 구축 의무화”…자본시장법 개정안 본회의 통과

 

3. 공매도 개선법 국회 통과…내년 3월 전산시스템 가동(종합)

개인·기관 거래조건 동일해져…불법 공매도 처벌·제재도 강화

금융위 "관행화된 불법 방지·'기울어진 운동장' 해소 기대"

https://www.yna.co.kr/view/AKR20240926116251001?input=1195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