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노무라 금리 인하 중단! 실러PER, 유가 급등! 성김 현대차 사장 임명! 반토막 AI 반도체 ETF 11월 19일 장전 시황

평생선물 2024. 11. 19. 06:59

노무라 금리 인하 중단! 실러PER, 유가 급등! 성김 현대차 사장 임명! 반토막 AI 반도체 ETF 1119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월가, 역사적 랠리 이후 2025년 주식은 '정상적'일 것으로 전망

S&P 500( ^GSPC )2년 동안 연간 20% 이상의 상승세를 보인 후 , 월가 전략가들은 2025년에는 주식이 더욱 균형 잡힌 한 해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월요일, BMO Capital Markets의 최고 투자 전략가 브라이언 벨스키는 S&P 500에 대한 2025년 연말 목표를 6,700으로 시작했습니다. 일요일, Morgan Stanley의 최고 투자 책임자 마이크 윌슨은 S&P 500에 대한 12개월 목표를 6,500으로 발표했습니다.

https://finance.yahoo.com/news/wall-street-forecasts-normal-year-for-stocks-in-2025-after-historic-rally-182124444.html

 

2. [홍장원의 불앤베어] 150년만에 3번만 찍힌 고점지표 경고등 떴다. 증시로는 여전히 대규모 자금 몰려

https://www.youtube.com/watch?v=etILUkBwB3o&t=192s

 

오늘은 2가지 소개합니다. 1번은 내년에도 미국 지수는 좋을 것으로 전망하는 기사고요.

2번은 홍장원의 불앤베어에 소개된 실러PER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 구독해 보시고요.. 간단하게 실러 PER30이 넘은 것은 역사상 6번이고

5번은 큰 조정 나왔다는 이야기입니다.

영상 보시면 호재 기사도 많이 소개하니 균형 감각을 위해서 하방도 상방도 고르게 보시기 바랍니다..

 

1. 노무라 "연준, 12월에 금리 인하 중단"전망

내년 3, 6월 회의에서 0.25bp 씩 두 번 인하 예상

"경제성장에 관세와 감세로 인플레이션 가능성 높아져"

https://v.daum.net/v/20241118200807793

 

2. "트럼프 백악관 재입성으로 미국 경제 연착륙 실패 위험"

스티글리츠 "120일 트럼프 취임으로 연착륙 끝난다"

야후파이낸스 "우선 정책, 공약 이행 불분명"

https://v.daum.net/v/20241118104748485

 

3. 트럼프 리스크에 신흥국 채권시장 먹구름"한국 금리 인하 지연 가능성"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4111802109963033010

 

미국 장전에는 미국 장기채 수익률이 1%대 상승을 해서 식겁했습니다.

마감에는 10년물은 0.25% 하락 20, 30년물이 0.2% 정도 상승은 했습니다.

노무라는 12월 금리 인하 중단 가능성도 이야기하고요..

이러니 금리가 시장을 누르고 있습니다.

파월 발언 여파는 계속되고 있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1. 트럼프 등장에…골드만삭스의 변심 "달러 더 오래 강할듯"

"더는 광범위한 달러가치 하락 예상 안해"

"경기 호황·자산 상승·관세..달러 끌어올릴 것"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79206639087360&mediaCodeNo=257&OutLnkChk=Y

 

2. 일본은행 총재 "경제, 물가, 금융 정세 보며 적절히 금리 인상"

일본은행 총재 "금리인상, 물가안정에 도움"'12월 추가 인상' 나서나

올해 마지막 금융정책결정회의 앞두고 인상 의지 피력

물가 전망 "임금상승에 따른 상승 압력 심화할 것"

"미국 경제 연착륙 시나리오 실현 가능"

트럼프 당선인 정책 인플레 자극 우려

일본은행 12월 추가 금리 인상 유력

https://v.daum.net/v/20241118144554422

 

3. 엔화로 국채 투자, 눈덩이 손실'2 키코 사태' 우려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양대 피벗 기대로/ 작년 4월 이후 투자바람

·달러 환율 되레 상승/ 10년물 금리도 올라

예상과 다른 움직임에/ 투자자 손실 규모 커져

안전자산과 위험자산/ 경계가 사라진 시대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1768631

 

4. 무섭게 널뛰는 환율"1450원대는 못 뚫을 것"

3거래일간 23원 오르락내리락

전문가들 "환율 하락세 빨라져

1350원 수준으로 돌아올 것"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1893741

 

오늘은 달러가 좀 내려왔습니다. 정말 다행입니다.

그래서 뭐 금, 은 상승도 나왔는지 모르겠습니다.

달러가 106.152, -0.43% 하락이고요.

달러/원은 1392원 정도로 내려와서 그나마 쉴 공간이 생기네요.

 

중요한 것은 엔화인데 일본은행 총재가 금리 인상 언급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어제 일본 하락도 이런 분위기 반영한 것 같은데

엔화 변동성과 일본은행 금리 인상, 엔케리트레이드 청산 요 순서로 주의 깊게 살펴야겠습니다.

 

1. 트럼프, 불법이민자 추방 위해 '국가비상사태 선포·투입' 시사

 

2. "머스크가 공동 대통령이냐"…뿔난 참모들

재무장관 적임머스크 공개지지에 열받은 트럼프 “전면재검토”

 

3. '삐걱대는' 트럼프 2기 내각…부실·파벌 '후폭풍'

행정부 첫 '곳간지기'…트럼프, 재무 장관 놓고 막판 고심

에너지부는 기후위기 부정 인물…보건 장관은 백신 회의론자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245410

 

정치적으로는 내각 인선에서 계속 잡음이 나오는 것으로 트럼프 트레이드가

흔들릴 수도 있는데 트럼프 미디어가 암호화폐 회사 인수 소식 이런 것으로

급등도 나와서 트럼프 트레이드로는 관심 있는 분들은 계속 주목해야 할 것 같네요.

저는 전혀 관심이 없습니다.

 

1. 트럼프 자율주행차 규제 완화 소식에…테슬라 한때 7% 급등

 

2. "트럼프, 자율주행차 규제 완화 추진"

"머스크에 이익"…테슬라 무인 로보택시 대량 생산 계획

https://zdnet.co.kr/view/?no=20241118135833

 

<< [뉴욕증시]엔비디아 실적 대기하며 혼조 마감…테슬라 5.6% 상승

트럼프팀 자율주행 허가가 최우선 순위, 테슬라 6% 급등(상보)

테슬라 주가, '트럼프 2기 자율주행 규제 완화 전망' 5.6%(종합)

 

뉴욕증시, 보합권 혼조 마감…다우 0.13%·나스닥 0.60%

[속보]테슬라 5.6% 급등하자…나스닥·S&P500도 강세

 

[속보] 미증시 혼조, 다우 0.13%-나스닥 0.60%>>

 

오늘 나스닥은 테슬라가 만들었습니다.

테슬라 7% 급등 때는 나스닥이 1% 근처까지 상승하고요.

테슬라가 장중에 3%대로 내려왔을 때는 0.4%대 상승까지 내려왔다가

다시 5%대 상승 유지하면서 나스닥이 0.6% 상승입니다.

 

어제 우리 배터리는 선반영으로 급등이 나왔는데

오늘 상승세 유지하는지가 관건이겠습니다.

자율 주행 테마도 그렇고 -1.29% 하락입니다.

 

1. 엔비디아 '블랙웰 과열'에 주가 1%대 하락…장중 시총 2위로

 

2. 엔비디아 실적 "블랙웰 생산 지연과 공급 극복이 관건"

3분기 매출 전년대비 83% 증가 전망

블랙웰칩 매출 50억달러~130억달러까지

CUDA 소프트웨어 성장세 여전히 세자리수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199702i

 

테슬라가 나스닥 살렸다면 다우를 힘들게 한 것은 엔비디아입니다.

발열 문제가 나왔는데 장중에 반등도 하다가 1.29% 하락입니다.

배터리와 달리 반도체와 소부장은 어제 급락하면서 선반영한 면도 있어서

AMD 2.99%, 마이크론 1.21% 상승에 우리 시장은 반도체는 반등할 가능성도

높겠습니다.

 

오늘은 우리 지수 3대축 반도체, 자동차, 2차 전지가 고르게 좋아서

다 오르기 힘들다면 어제 급등한 자동차나 2차 전지 일부가 쉴 수도 있겠습니다.

발열 문제가 선반영 되면서 반도체 반등을 더 기대하게 됩니다.

 

1. 90%이상 중국서 생산하는 아이폰···트럼프 60%관세 애플에 적용될까

트럼프와 친분으로 관세 혜택 본 팀쿡 애플 CEO

 

2. 로고만 미국인 애플···미국인 고용하는 한국 기업

 

3. "삼성만 이득"…고관세 회피 절실한 애플, 트럼프 설득 나설듯

팀 쿡, 트럼프와 친분 활용 전망'실세' 머스크와 악연은 걸림돌

https://www.yna.co.kr/view/AKR20241118150700009?input=1195m

# 주목해야 할 소식

 

1. "경제 둔화·생산 급증, 하루 100만 배럴 원유 과잉 공급 전망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2602

 

바이든, 우크라 미사일 사용 허용'추가 파병 말라' 강력 경고

장기화땐 北 10만명 파견 가능성/ 확전보다 조기 종식에 기여 판단

전문가 "에이태큼스 공급 제한적

전황 하룻밤새 바뀌지는 않을 것"

"승인, 분쟁개입…새국면에"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DGW6C4VQ2

 

원자재 시장이 난리가 났습니다.

바이든 정부의 우크라이나에서 장거리 미사일 사용 허가 한다는 소식에

지정학적 위험이 올라가면서 반응이 나온 것 같습니다.

유가는 3%, 천연가스는 5% 급등

 

1. 조선업 부활 기여한 PEF···빚더미 대한조선도 살렸다 [시그널]

한투PE, 2년전 KHI와 공동인수

본업 경쟁력 제고로 실적 반등

CB 매각 IRR 24% 성과 엑시트

https://v.daum.net/v/20241118172544246

 

2. [단독] "한국만 골든타임 놓쳤다"'10조 사업' 날린 이유가

K방산 날개 꺾는 낡은 규제

(1) '기술유출범' 내모는 방산보안법

방산보안법에 막힌 'K방산 르네상스'

10호주 호위함, 지각 서류 제출로 업체 대거 탈락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1769841

 

어제는 조선주도 현대중고업이 6% 급등이었습니다.

오늘 유가 급등에 조선주가 더 달릴지 기대도 됩니다만

한화오션은 어제 쉬었는데 군함 관련 경쟁 심화인지 많이 올라서

팔고 다른 조선주로 수급이 돌았는지 이상하게 잘 가던 한화오션, 삼성중공업이 쉬었네요.

 

1. 골드만삭스 "무역전쟁에 내년 금값 최고가 오를 수도"

금값, 트럼프 와도 오른다…골드만삭스 “내년 12월까지 온스당 3000달러 전망

기존 전망, 트럼프 2기에도 유지

주변국 중앙은행 수요 증가가 동인

연준 금리 인하ㆍ무역 긴장에 따른 투기 부활도 요인

https://www.etoday.co.kr/news/view/2420648

 

2. "보조금 끊었다고?" 갑자기 돌변한 中…하루 만에 가격 '껑충' [원자재 이슈탐구]

중국 정부, 돌연 알루미늄과 구리 등 세금 환급 폐지

사실상 보조금 축소…서방 기업들 반사이익 기대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176144i

 

금이 1.7%대 은이 2.6%, 구리가 1.42% 상승인데

중국 정부의 수출 환급 폐지에 반응한 것도 있을 것 같고

골드만삭스의 금 상단을 높인 것도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하여간 원자재가 시뻘겋게 불탄 시장입니다. 대단합니다.

 

1. [단독] 한국, 재생에너지 위한 저장장치·전력망 강화서약 불참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아제르바이잔 등 4개국 참여

https://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1167690.html#cb

 

2. 한전, 사우디·괌 태양광 사업 잇따라 수주2.2조 규모

한전, 사우디·괌 태양광 발전 수주25년간 1.1조 매출 전망

사우디·괌 태양광 수주한전, 1.1조 매출전망

 

3. 갚을 빚만 3조 늘어난 한화솔루션

3분기 순적자 1조원 넘어…수요 둔화에도 재고 증가

판관비도 늘며 비효율 경영…주가도 5년 내 최저가

https://www.sme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9815

 

한화솔루션이 3.29% 상승했습니다.

어제 시장은 낙폭 과대 종목 기술적 반등이 나왔다는 생각입니다.

오를 이유가 없는 종목들이 대거 상승했거던요.

우리 전력 관련 회사들이나 건설 회사들이 해외 태양광 수주를 많이 합니다.

왜 원전에만 몰입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저렇게 수주하면 우리 태양광 지원해서 납품하게 하면 얼마나 좋을까 싶은데

어디는 수출입은행 자본까지 늘려서 지원하고

답답하네요.

퍼스트솔라가 오늘은 2.6%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1. 유럽 최대 배터리파산 위기경쟁사·공급사 희비

자금난 노스볼트, 회생 신청 검토

전기차 한파 장기화 수익성 회복 난항

국내 기업도 주시…소부장 타격 우려

 

2. 유럽 배터리 대항마 ‘노스볼트’...구조 패키지 결렬에 파산

 

3. 유럽 최대 배터리 제조사 노스볼트 파산 위기

https://v.daum.net/v/20241118143309742

 

4. 중국 국가지식재산권국이 화웨이(華為)가 출원한 '배터리와 단말기용 실리콘 기반 음극재 및 그 제조 방법' 특허를 공개한 점이 호재로 작용했다. 이 특허는 실리콘계 소재가 팽창 효과가 커서 배터리 주기와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음극재의 순환 안전성을 높이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1118001077

 

5. LG엔솔, 베어로보틱스에 원통형 배터리 단독 공급

서비스·산업용 자율주행로봇에

2170 원통형 배터리 단독공급

Non-EV 시장으로 외연 확장/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 주목

https://www.mk.co.kr/news/business/11171201

 

엔솔은 다양한 전기차 기업에 납품하더니 스페이스 X 납품 소식도 나오고

이제는 로봇에 납품한다는 소식이 나옵니다.

어제 3.37% 상승인데 흔들려도 계속 수주 소식이 나오는 엔솔 정도는

관심 가지고 지켜볼 일인 것 같습니다.

 

오늘 앨버말이 0.58% 상승. 중국 CATL0.99%

테슬라 급등이어서 오늘 엔솔 나쁘게 볼 일은 아닌 것 같고요.

어제 2차 전지들이 워낙 급등해서 선반영으로 오늘 쉴 수도 있겠습니다.

 

<< 메리츠證 "2차전지株 투자의견 중립…수요정체·美 불확실성 주의“>>

메리츠 증권에서 2차 전지 투자의견 중립은 수긍도 되고

주의 환기 차원에서도 꼭 살펴야 할 부분 같습니다.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오늘 A] 내수 불안 이어지며 하락...흑연 음극재 관련주 대거 상승

상하이종합지수 3323.85(-6.88, -0.21%)

선전성분지수 10544.02(-204.95, -1.91%)

촹예반지수 2190.95(-52.67, -2.35%)

커촹반50지수 968.71(-18.17, -1.84%)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1118001077

 

2. 지난 15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10월의 경제 지표가 시장 기대에 못 미쳤던 점이 이틀째 중국 증시에 악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된다. 10월의 사회 소비품 소매 총액은 전년 대비 4.8% 증가했다. 이는 전월의 상승률 대비 1.6%포인트(p) 높아진 것이며, 올해 3월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하지만 시장은 5% 이상 상승할 것으로 기대했고, 이 기대를 충족시키지는 못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1118001077

 

3. 부동산 관련 주도 상승했다. 뤼디쿵구(綠地控股), 헤이무단(黑牡丹), 뎬쯔청(電子城)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의 발표에 따르면 10월 주요 도시 분양 주택의 분양가의 전달 대비 하락 폭이 둔화되거나 상승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하락 폭 역시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면서, 부동산 시장이 더욱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1118001077

 

4. '반도체 자립' 노리는 , 12인치 웨이퍼 설립에 6조원 투입

국유기업들 투자"국내 IC 생산 비율 202116.7%202621.2%"

https://www.yna.co.kr/view/AKR20241117045000083?input=1195m

 

5. 화웨이, 신형 스마트폰 '메이트 70' 26일 출시2억대 전기차도 선봬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111815264247711

 

홍콩은 0.77% 상승, 상해는 0.21%

그런데 중국 나스닥 창예판, 과창판은 –2%1%대 하락입니다.

미국 하락을 제대로 반영하는 것 같습니다.

우리 시장 중국 태양광 ETF5.97% 급락

차이나반도체도 3.59% 하락이어서 미국 관세나 미국 제재에 취약한

업종 위주로 급락도 나왔다는 생각입니다.

 

1. [올댓차이나] 골드만삭스, 홍콩증시 투자의견 '비중 축소'로 하향

모건스탠리는 중국증시에 대한 투자의견 중립비중축소 낮춰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1118_0002963661

모건스탠리가 중국 비중 축소 의견을 내었네요.

 

1. 시진핑이 트럼프에 보낸 경고 카드, "4대 레드라인은 넘지 마"

공산당의 권력 장악을 약화시키거나 중국을 민주주의로 유도하거나 중국의 경제적 부상을 억제하거나 대만의 독립을 조장하는 어떤 행동도 피해야 한다는 신호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111811013534511

 

2. 시진핑-룰라 트럼프 견제이해일치경제 손잡는 -브라질

, 관세전쟁 대비 남미시장 공들여

시진핑, 리우G20 계기 협력 강화

좌파성향 룰라, 트럼프와 관계 불편

머스크와도 악연브라질 ‘X’ 폐쇄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41119/130452746/2

 

사우스차이나모닝도 G20 참석한 시주석 이야기가 많던데

중국이 미국 제외하고 유럽, 중동, 중남미, 아프리카로 세력 확장을 나서는 모습이 구체적으로

나옵니다. 진검 승부가 나올지 회피 전략이 나올지는 더 지켜봐야겠고.

창예판, 과창판은 미국 제재에 취약한 부분도 있으니 주의해야 할 것 같고요.

 

미국 시장에서 핀둬둬가 3%, 징둥, 알리바바, 바이두는 1% 내외 상승 유지하고

오늘 미국 상장 종목은 좋네요.

홍콩 야간 선물도 0.8%대 좋네요.

어제 같은 경우는 하락 예상이었는데 반등을 잘 시키더군요.

 

1. 전기차 몰려온다…지커·리프모터스도 가세

https://www.etnews.com/20241118000274

 

2. 로봇청소기, 전기차 시장 도전

신규 사업자 진입 증가…비야디 회장 "잔혹한 탈락전" 경고

https://zdnet.co.kr/view/?no=20241118095726

 

3. '대륙의 실수' 샤오미, 전기차 인도량 10만대 돌파...주가 고공행진

https://biz.sbs.co.kr/article/20000202197

 

비야디만 우리 시장 진출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줄을 서네요. 뭐 먹으려고 쩝

샤오미도 이러다가 진출한다는 소식 나오게 생겼습니다.

 

미국 시장에서 리오토 1% 니오 3%대 지커가 4%대 상승

무슨 일인지 오늘 중국 종목들 미국 시장에서 좋습니다.

미국이 그렇게 두들겨 팬다고 하는데도 말입니다.

 

1. 파격 인사·대관 강화·트럼프 인맥 관리접점 넓히는 현대차

 

2. 성 김 고문, 사장 임명접점 넓힌다[트럼프 시대 현대차 전략]

국제 정세 정통한 미국 외교 관료 출신

국무부 은퇴 후 올 1월 현대차 고문역 합류

트럼프 2기 시대, 대미 전략 핵심 역할 전망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1115_0002960943

 

3. 뜨는 현대차, 지는 폭스바겐...'세계 2'가 바뀐다

중국 의존도 높은 폭스바겐

판매량 급감하며 창사 이래 최대 위기/ 중국 외 국가로 일찌감치 눈돌린 현대차와 대조적

현대차, 북미·유럽·인도 판매량 늘며 폭스바겐 맹추격

올해 3분기 영업이익 처음으로 폭스바겐 제쳐

https://v.daum.net/v/qErxUuSgTN

 

4. 글로벌 수요침체 불구, 기아 공장 가동률 '99%' 우뚝

국내 공장 가동률 '108.8%'

카니발·쏘렌토 등 '출고대기' 지속

미국, 슬로박 공장도 풀가동

현대차 평균 가동률은 93.1%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1118_0002962435

 

어제 정말 의외는 현대차 5.34%, 기아 5.57% 상승입니다.

현대차는 3 거래일 연속 외국인 매수입니다.

어제도 현대차가 미국 대관 업무로 외국인 대표 선정 전해드렸는데

대북 대사였던 성김씨를 사장으로 임명하네요.

외국인 수급으로 해석해 보면 현대차의 발 빠른 트럼프 정부 대응이 아닌가?

이런 소설을 적어봅니다.

 

어제 자동차부품도 3.14% 상승이었습니다.

명신산업 9%, 화신이 5% 에스엘이 4.84%, 서연이화가 4%대 상승이었고

동원금속도 장중 급등했다가 3%대 상승

어제 삼성전자만 오르고 반도체 ETF는 거의 폭락 수준이었다면

자동차는 대장 둘도 움직이고 부품도 움직이고

수면 아래에서는 어제 자동차의 날이었습니다.

# 우리 시장 이야기

 

1. '자사주 매입' 통했다…삼성전자 '6만전자'도 회복하나

 

2. 삼성전자 자사주 매입-증시 부양에트럼프 스톰일단 진정세

삼성전자 살아나자 코스피도 '펄펄'2% 상승해 2,470선 목전

 

3. "삼성이 삼성했다"…생명·화재 '불기둥'

https://v.daum.net/v/20241118120503945

 

삼성전자 자사주 매수 효과가 대단했습니다.

특히 삼성그룹주 전체 상승이 3.98% 상승이어서

삼성그룹 전체가 반등했는데 대주주 가족 반대 매매 막기 위한 자사주 매수!

이런 의심도 할 판입니다.

전자는 5.98% 상승인데 생명이 11% 화재가 10%

뜬금없이 SDI6%,

 

<< "삼전과 합병할수도" 깜짝 리포트…삼성SDS 주가 10% 급등>>

에스디에스는 또 합병 가능성 리포트에 장중에 10% 급등도 나오고요.

삼성전자의 날! 삼성그룹의 날이었습니다.

 

1. “반도체 새 역사 시작”…삼성전자, 차세대 반도체 R&D 단지 준공

삼성전자, 20조 들여 반도체 '심장' 세운다

삼성전자 새로운 반도체 역사, 기흥에서 재도약 다짐

"새 미래 도약"…삼성전자, '반도체 태동' 기흥에 20조 투자(종합)

 

2. 10조 자사주 매입에 ‘5만전자’ 회복관건은 메모리 경쟁력

 

3. 삼성 자사주 처방…반도체 우려 여전

https://biz.sbs.co.kr/article/20000202177

 

4. 10조 쏟아부은 삼성전자 살아나나... "단기 반등, 결국 실적이 관건"

'자사주 매입' 소식에 삼성전자 6%

삼성생명 등 그룹주도 일제히 반등

"기술 경쟁력 회복해야 지속 상승"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111816320005258

 

자사주 매수를 해도 본업이 엉망이면 뭔 답이 있겠습니까?

기사들이 반도체 우려는 여전하니 메모리 경쟁력 확보해야 본격적이 반등이 가능하다는 이야기고요.

 

이런 의심을 하니 어제도 외국인이 –291만주, 기관이 –54만주 매도합니다.

외국인 보유율이 51.71% 정도까지 내려오네요.

49%까지는 이제 약 2% 정도 남았는데 자사주 매수가 시작되면

외국인 보유율 낮추기가 나와도 주가는 방어가 될 수도 있겠습니다.

 

대신 기관까지 매도에 가세해서 팔기 시작하면 자사주 매수해도

주가 하단이 아래로 열릴 것 같고요.

 

1. [특징주]SK하이닉스, 2% 약세'블랙웰 발열' 우려

[특징주]SK하이닉스, 외인·기관 '팔자'에 하락세

 

2. 코스피 폭락에 반대매매 급증…빚투 개미 빨간불'

 

3. 개미들 '빚투' 1.2조 늘었다…셀트리온·하이닉스 등 집중

올해 신용융자 잔액 74% 급증

연중 최고…증시 뇌관 우려도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1893631

 

어제 시황글에 삼성전자 매수가 외국인이 되어야 한다고 했는데

개인이 매수합니다. 신용융자, 빚투가 대부분 삼성전자, 하이닉스에 쏠려있습니다.

 

엔비디아 실적은 좋겠지만 어제처럼 발열 문제가 있고

성장률이 떨어지면 엔비디아 연합군이 흔들릴 가능성도 있는데

아직 엔비디아 연합군에도 들어가지 못 한 삼성전자가 과연 안전할 수가 있겠나 싶고요.

 

일단은 삼성전자 하단은 방어했지만 예단은 하지 말자!!

또 그렇다고 너무 부정적으로도 보지 말자!

이런 판단입니다.

 

1. 낙폭 과다 한국증시…밸류업 펀드 2000억 투입한다

"국내 증시 낙폭 과도"2000억 규모 밸류업 펀드 가동

밸류업 펀드 2000억 투입밸류업 동력으로는 부족

 

2. 당국, 밸류업 펀드 2000억 투입…증시 구원투엔 '글쎄?'

2000억원 규모 1차 밸류업 펀드 이번주부터 투입

3000억원 2차 밸류업 펀드 조성도 본격화

"규모 작아 영향 한계" "결국 트럼프 2.0이 좌우" 목소리도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519446639087032&mediaCodeNo=257&OutLnkChk=Y

 

3. 거래소 밸류업 지수 종목 변경고려아연은 퇴출되지 않는다

코리아 밸류업 지수 종목 확대…다음 달 20일 특별편입

 

4. 거래소, 내달 20일 밸류업 지수 구성종목 특별변경

특별 리밸런싱 발표일 1220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1889586

 

코스피, 코스닥 시총이 얼만데 2000억으로 지수 방어한다니

답답하긴 하지만 뭐 안 하면 어쩔 건데!! 그럼 하는 게 낫지 싶긴 합니다.

주목해야 하는 것은 밸류업 구성종목 특별변경이 있다고 하니

편입 가능 종목으로 매수 수급이 나올 수 있을 것 같네요.

예를 들면 KB금융 같은 곳으로 말입니다.

 

1. (위기의 롯데)①5대그룹서 밀린 롯데…차입금 4·순익은 17

이익보다 차입금 부담 커 신용위험도 가중

11개 롯데 상장사, 1년새 유동부채 5조 커져

3분기도 주력 상장사 부진…빚 갚을 여력 쇠퇴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245063

 

2. 코스피 상장사, 3분기 누적 영업익 '역대 최대'

614개사 155.6조원

전기전자 등 상반기 호실적 덕 3분기 들어서는 성장세 '둔화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111821461081357

 

주목해야 할 기사에서 롯데, SK, 신세계 그룹 조심하자고 몇 번 적었는데

이번에 루머가 제대로 돌았나 봅니다.

롯데 그룹주가 폭락했습니다.

하여간 3 그룹 종목들은 상당히 조심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외국인이 선물 7000억대 매수로 지수 상승을 만들더니 마감에는 1819억 매수입니다.

심지어 코스피는 코스닥 모두 매도입니다. -503

전기전자를 1935억 매도하는데 어제 위클리옵션 만기 대응이어서 그런지

오늘 현물 수급은 확인해야 하는데 어제 수급으로 보면 외국인은 상방으로 본다고

말 못 할 것 같습니다.

 

대형주가 2.46% 상승인데 중형주가 0.69%, 소형주가 0.76% 상승이어서

중소형주가 오늘 위로 키 맞추기 하는지도 살펴봐야 할 것 같고요.

 

삼성전자와 삼성 그룹 급등으로만 과하게 위로 볼 일도 아닌 것 같습니다.

 

어제 업종 ETF 중에 하락이 2%가 넘은 ETF 중 대부분이 AI 반도체 관련 ETF입니다.

ETF들이 반토막 난 것이 한 둘이 아닙니다.

14000원 가까이 같던 것들이 앞자리가 대부분 7자입니다.

 

반도체 소부장 심각합니다.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