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또 시작된 트럼프 영향력! 전기차, 배터리 악재! 테슬라만 달리는 미국 자동차! 중국 소비 실망감! 연기금 매수 둔화! 12월 17일 장전 시황

평생선물 2024. 12. 17. 07:09

또 시작된 트럼프 영향력! 전기차, 배터리 악재! 테슬라만 달리는 미국 자동차! 중국 소비 실망감! 연기금 매수 둔화! 1217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테슬라 주가, 장중 5% 올라 최고치 또 경신…월가 목표주가 상향

 

2. '빅테크와 AI 칩 개발' 브로드컴 주가 7%↑…엔비디아 2%

 

3. "테슬라보다 더 좋아"…팔란티어, 한 주에 2.4억불 순매수[서학픽]

 

4. 뉴욕증시, 불을 뿜는 브로드컴·반도체주…나스닥 1.24%마감

 

5. [속보]나스닥 또 사상 최고치…브로드컴 11.2%·테슬라 6.1%

 

6. [속보] 뉴욕증시, 혼조 마감반도체주 강세에 나스닥 1.24%

[뉴욕증시-1] 반도체주 강세 지속…나스닥 1.25%마감

 

다우는 하락인데 나스닥이 1.24% 불을 뿜습니다.

나스닥 100 편출입이 있었는데

편입된 종목 위주로 수급이 들어오면서 급등합니다.

이러니 반도체가 날아갔고요..

브로드컴이 또 11% 급등입니다. 24% 오르더니 오른 또 급등이고요.

반가운 소식은 마이크론이 5.62% 상승이어서 우리 하이닉스 기대감도 나오고요.

 

1. 엔비디아, 조정 구간 진입12월 들어 5% 내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1217000007

 

2. "고점" vs "AI랠리" 팰런티어 전망 갈려

올들어 주가 358% 치솟아

https://www.mk.co.kr/news/stock/11195933

 

3. AI 서버 기업으로 변신한 델, 올해 주가 2배 뛰었다

 

대신 엔비디아가 장중에 제법 하락하다가 1.68% 하락인데

느낌은 엔비디아 팔고 팔란티어나 브로드컴이나 다른 AI 반도체로 매수가 쏠리는 느낌

테슬라도 사고요.

엔비디아에 차익 매물이 나왔다는 생각이고요.

AI나 양자컴퓨터, 가상화폐로 수급이 다 쏠리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이러니 다우는 8거래 연속 하락하고요.

특정 업종, 종목 쏠림이 상당하다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엔비디아 제외하고 M7 강세가 나오고요.

구글, 아마존이 2%대 1%대가 애플 1% 미만이 마소, 메타 정도

M7도 정말 강합니다.

나스닥 100은 정말 끝없이 달리네요.

S&P 500이 자주 연중 신고가 돌파! 40, 50 몇 번째 이러다가

이제 이 추세가 나스닥으로 옮겨간 느낌입니다.

 

1. "美 9일연속 하락종목 더 많아…부담스런 영역" [장 안의 화제]

 

오늘도 미국 시장은 하락 종목이 더 많은데 나스닥이 달리죠.

이건 정말 아니다. 싶을 정도인데

나스닥 급등 원인 중 하나는 우리 서학개미 같다는 생각도 있습니다.

하락 종목이 더 많이 나오는데 지수는 신고가 행진이면

고점도 다 와 간다. 이런 생각도 가능합니다.

 

1. ‘트럼프사재기확산, 인플레 자극하나

기업 이어 소비자도 사재기 합류

 

2. TV, 자동차까지…사재기 나선 미국인들, ?

 

3. “내년 말 기준금리 3.5% 이상”...미 경제학자들 트럼프 정책에 부정적

트럼프 정책, 경제에 부정적 영향 전망

https://v.daum.net/v/20241216145709054

 

4. 트럼프인플레 우려↑…경제학자들 "연준, 내년엔 금리 동결할 수도"

FT·시카고대 공동 설문조사…경제학자 47명 대상

응답자 85%, 향후 1년간 금리 최대 1%p 인하 전망

지난 9월 조사선 과반 이상이 최소 1%p 인하 예상

https://v.daum.net/v/20241216163939043

 

5. '트럼프 관세' 공포 연준 금리인하 스텝 꼬인다

관세 인상땐 인플레 우려/ 18FOMC 스몰컷 이후

기준금리 인하 횟수 줄일 듯/"내년말 3.5~4.0% 이를것"

https://v.daum.net/v/20241216172105467

 

6. 금리 안 떨어지네'트럼프 복병' 만난 장기채 투자자 울상

국내 30년물 ETF 수익률 -5%

금리 인하 기대감에 투자자 몰려/ 트럼프 당선 후 국채금리 치솟아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도 악재/ 국고채 ETF 수익률은 7.76%

https://www.fnnews.com/news/202412161837423245

 

미국 10년물 국채는 보합 20, 30년이 조금 하락한 정도입니다.

이번주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 보다 내년 금리 인하 동결에 더 두려워하는 것 같습니다.

미국인들도 트럼프는 지지하지만 관세는 반대라는 것이 물가 걱정 때문이고요.

사재기를 상당히 하는 것 같습니다. 기업도 개인도

 

1. "트럼프 관세 인상 여론조사…반대 42% vs 찬성 27%"

응답자 54% "트럼프 2기 지지할 준비 됐다"

https://v.daum.net/v/20241216122914034

 

이번주는 확실히 연준과 각국 중앙은행 금리 결정이 큰 변동성 줄 것 같습니다.

이 와중에 나스닥은 반도체 안에 AI와 양자컴퓨터가 날라 가고요.

 

1. 월가 "달러,내년 중반에 정점 찍고 하락세로 돌아설 것"

미국의 실질금리 하락으로 다른 국가와 금리차이 축소

모건 스탠리 "내년말 달러 현수준보다 낮아져"

SG "내년에 달러 6% 하락"추정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170860i

 

2. 월가서 달러 정점론’ 고개…원화 불안감은 지속

소시에테제네랄 “내년말 달러지수 6% 하락

모건스탠리·JP모건도 내년 달러약세 흐름

정치불안정·경제하방압력에 원화 약세 이어질 듯

금리 인하폭이 관건…전문가, 금리전망 상향 조정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DI572IYL6

 

3. 4경원 넘긴 개도국 부채디폴트 위험도 커진다

IMF 개입에 올해 부도·디폴트 국가는 '0'

만기 도래 채권 이자 비용 오르는 가운데

트럼프 2기 지정학적 불확실성도 커져

"단기 디폴트 위험 낮지만 중장기는 불안"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DI56WP8CI

 

우리는 환율 걱정해야 하는데 말입니다.

달러가 0.13% 하락하는데

달러/원은 0.2% 상승 1438원입니다.

외국인 코스피 4300억 매도도 원화 약세가 원인 중 하나가 아니겠습니까?

나스닥 특히 반도체가 급등이면 우리 MSCI 한국도 제법 올라줘야 하는데

-0.73% 주간 시장 보다 더 하락입니다.

 

주간 시장 대만이 보합인데 MSCI 대만은 0.35% 하락이어서

오늘 미국 반도체 시장 상승은 기존 AI가 아닌 새로운 AI 브로드컴 같은 곳이나

나스닥 편출입으로 나온 시세로 보고 대만, 한국 반도체는 크게 반응이 없네요.

 

그래도 마이크론이 5% 급등이니 하이닉스 정도는 반응해 주겠죠..

 

정리하면 1순위가 반도체 특히 하이닉스, 우리 반도체 부품도 양자컴퓨터나 개별 부품 쪽도 좋을 것 같고요.

 

트럼프 전기차 보조금 줄인다는 기사로는 우리 자동차, 배터리는 좀 우울합니다.

 

1. [월드 e-브리핑] 영국, 10GDP -0.1%2개월 연속 마이너스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국제 유가-천연가스, 중국 수요 둔화 뚜렷 동반 하락세 WTI 70달러로 후퇴

천연가스, 100BTU당 전날보다 0.064달러(1.95%) 내린 3.216달러

WTI는 전장 대비 0.58달러(0.81%) 떨어진 배럴당 70.71달러에 마쳐

 

유가가 좀 오르나 했는데 또 조정입니다.

중국 수요 둔화라고 하는데 전쟁 나면 오르고 중국 지표 나오면 내리고

시소게임입니다.

천연가스도 1.8% 내리고 유가다 1.5% 내리고

은이 보합까지 갔지만 귀금속, 금속도 약보하이고요.

곡물 정도가 상승 정도

 

1. 기후대응 움직임에 산유국 반발 지속, 올해 기후회담 '총체적 난국'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76809

 

2. EPA, 캘리포니아주 ‘35년 내연기관차 전면금지 규정 승인 계획

WPNYT 보도, 빠르면 내주 승인할 계획

EPA 공식 입장은 아직 결정된 바 없다"

트럼프 2, 캘리포니아 규제 무력화 공약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9264

 

3. , '태양광 원료 관세 두배 인상' "인플레 가중" 비난

미국이 내년 1월부터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태양광 웨이퍼 및 폴리실리콘에 대한 관세를 50%로 두 배 인상한다고 발표하자 중국은 이런 조치가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가중할 것이라며 맞섰다.

https://v.daum.net/v/20241216185631966

 

퍼스트솔가가 4.58% 급락입니다. 엔페이즈에너지도 3%

태양광 하락이 심하네요.

미국이 중국 태양광 부지런히 때리는데 이게 미국 태양광에 호재로 작용 안 하는 모습입니다.

오히려 태양광이나 재생에너지에 부정적인 트럼프 시각을 반영하는 모습이네요.

 

1. [마켓인]3년째 적자 여천NCC, 등급 BBB급으로 더 떨어지나

한신평·한기평, 여천NCC 등급 ‘A-’로 하향

등급 전망 여전히 ‘부정적’…부채비율 증가 전망

등급 하향시 조달비용 높아져…은행대출·사모채 부담

한화솔루션(009830)과 DL케미칼의 합작법인(JV) 여천NCC에 대한 우려의 시선이 커지고 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135686639119176&mediaCodeNo=257&OutLnkChk=Y

 

한화솔루션이 투자한 여천NCC가 신용평가 하향을 받네요.

어제 한화솔루션이 17790원 급등 출발했다가 0.47% 상승 마감인데

오늘 한화솔루션은 여러 면에서 악재가 많네요.

 

1. 삼성SDI, GV90 배터리 ·생산 타진

https://www.etnews.com/20241216000287

 

2. 벤츠·연합, 전기차용 전고체 배터리 첫 공개…상용화 속도전

미국의 전고체 배터리 셀 개발기업인 팩토리얼 에너지가 메르세데스-벤츠와 공동 개발한 40Ah의 전고체 배터리 셀을 최초 공개했다. 대규모 생산 전환 가능성을 제시한 데다 한국과 중국 역시 샘플 테스트와 인력 충원으로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어 상용화 경쟁은 치열해질 전망이다.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4121602109932049004

 

3. CATL, 협력사 연구 자금 지원"전기차 배터리 가격 전쟁 극복

지난 13(현지시간) 전기차 매체 일렉트릭에 따르면 CATL는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전기차 배터리 분야의 격화되는 가격 전쟁을 극복하기 위해 협력사에 R&D 프로젝트 자금 일부를 부담하겠다고 발표했다.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5844

 

CATL은 돈이 차고 넘치는지 협력사 연구 자금까지 지원한다고 합니다.

우린 돈이 씨가 마르고 있는데 말입니다.

미국 쪽에서는 전고체 소식도 나오고요.

삼성SDI가 GV90 배터리 생산 타진한다고 하는데 이건 삼성에 호재고요.

 

1. "트럼프팀, 전기차 보조금 축소…전세계 배터리 소재엔 관세 계획"

인수팀 내부 문건 '전기차 지원 대폭 축소 방침'

배터리 소재에 관세 부과...동맹국에는 개별 협상

로이터는 16(현지시간) 입수한 인수팀 내부 문건에 담긴 내용이라며 "인수팀이 전기차와 충전소에 대한 지원을 줄이고 중국산 자동차 및 부품, 배터리 소재 차단을 강화하는 방안을 권고했다"고 전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1216001010

 

2. 짙어지는 산업계 '트럼프 리스크' 경고등..."전기차·배터리 등 위축 우려"

스티븐 본 전 무역대표부 대표 등 국내외 전문가, 수출다변화·원가절감계획 등 조언

https://www.g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06566

 

오늘 우리 시장은 트럼프 인수팀 문건에서 전기차 지원 대폭 축소,

배터리 소재엔 관세 부과한다는 내용이 나왔습니다.

오늘 미국 시장에서 테슬라 제외하고 대부분 자동차, 전기차 기업들 주가가 약세입니다.

이문건 영향으로 보이는데 우리 지수에 상당히 영향을 주는 배터리라

오늘 좀 걱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미국 앨버말은 강보합 정도입니다.

 

1. 에코비트 매각 빈손에 태영 채권단 분통…산은 "우리도 몰랐다"[시그널]

태영그룹이 2조 원이 넘는 에코비트 매각 대금을 한 푼도 건지지 못한채 해외 사모펀드 KKR에 모두 넘겨주면서 채권단 일각서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DI57DL0QO

 

2. '드론 불안'에 자국산 드론 제조업체 주가 급등세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오늘 A] 소비증가율 둔화에 지수 하락...실버산업 관련주는 초강세

상하이종합지수 3386.33(-5.55, -0.16%)

선전성분지수 10573.92(-139.15, -1.30%)

촹예반지수 2201.53(-33.73, -1.51%)

커촹반50지수 975.27(-14.51, -1.47%)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1216000884

 

2. 16일 중국 국가 통계국은 11월의 경제 운용 데이터를 발표했다. 가장 관심을 끄는 부분은 소매 관련 지표인 사회 소비품 소매 총액이었다. 11월의 소매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3.0% 상승하는 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지난 924일 부양책을 발표하며 시장의 분위기를 호전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어 10월 소매 판매액은 4.8% 증가했고, 이는 전달 대비 1.6%포인트(p) 상승한 수치였던 만큼, 시장에 내수 호전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

 

하지만 11월 소매 판매 증가율은 전달에 비해 무려 1.8%p 낮아진 3.0%에 그치며 실망감을 조성했다. 시장 분위기는 호전됐지만, 부양책이 직접적인 소득 증가 혹은 주택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았고, 증시 역시 11월 한 달 동안 횡보를 이어갔던 만큼, 소매 판매 증가율이 둔화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또한 소매 판매의 완연한 호전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1216000884

 

3. 갈길 바쁜 경제 발목 잡은 소비 침체, 5% 성장 위태

11월 소매판매 3%↑…내수부진 지속

 

4, 11월도 내수부진 여전…실망감에 중화권 증시 '울상' [Asia마감]

 

소매판매가 3% 나오면서 이구환신이니 뭐니 온갖 정책을 사용했지만

일단 실패! 이러니 실망감에 매도세가 나왔다는 생각이고요.

상해 3300 정도 돌파가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과창판도 1000이 저항 같고요..

 

1. 투자유치 팔걷었지만…11월까지 FDI 28% ''

11월 소매판매는 예상치 못 미친 3.0%

내수침체에 석유 소비 작년 정점찍고 감소

 

중국 경제에 대한 비관론이 확산하면서 대(對)중국 외국인직접투자(FDI)가 쪼그라들고 있다. 경제의 한 축인 소비가 위축된 중국은 내수 침체의 영향으로 석유 소비가 지난해 정점을 찍고 하락하고 있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DI56Q5UYE

 

2. ·펀드로 머니 무브40일 만에 1.8조 유입

증시, 트럼프 당선 후 연일 신고가 랠리

관세 부과 우려 가중···주변국 자금 순유출

, 3000억 넘게 빠져···, 800억 순유출

https://www.sedaily.com/NewsView/2DI5860Y1L

 

중국 국내 투자가 흔들리고 있을 뿐만 아니라 외국 자금 유출도 상당하죠.

우리랑 비슷한 상황 같습니다.

돈 복사기 미국이 있는데 굳이 신흥국에서 힘들 이유가 있겠나 싶고요.

억지로 배정된 신흥 시장 투자 자금 정도가 버티는 정도

그리고는 다 미국으로 향하겠죠.

어찌 보면 신흥 시장 전체가 어려워진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1. 트럼프 당선 중국 경제에 '전화위복' 되나, 수출 의존 낮추고 내수 진작 주력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76872

 

2. 무디스, 2025GDP 성장률 전망치 4.0%에서 4.2%로 상향

중국 정부, 경기 부양 노력-신용 여건 개선 등 긍정적 요인 작용

https://m.g-enews.com/view.php?ud=202412161510527555e250e8e188_1

 

해외 시각이 다 안 좋은 것은 아니고요.

중국을 좋게 보는 곳도 있습니다.

그러려니 합니다. 그럼 사세요! 그런 느낌!

무역 전쟁을 2차 전을 앞두고 있는데 굳이 중국 투자할 시점일까?

이런 기본적인 의심이 있습니다.

 

1. 비보, 업체와 합작 법인 설립..."비보 및 다른 브랜드 스마트폰 만들 것"

"정부, 스마트폰 기업에 현지 기업과 합작 투자 압박"

https://m.newspim.com/news/view/20241216000964

 

2. 텐센트, 14억명 플랫폼서 실험 자체 AI모델, GPT도 넘본다

텐센트 선전 본사 가보니

슈퍼앱 위챗서 다양한 테스트/ AI특허 1.5만건 중국 최다보유

GPT보다 학습속도 더 빨라/ 화상회의·교육 플랫폼은 물론

게임·광고·클라우드 등에 적용/ 에 맞선 AI굴기 상징기업

https://v.daum.net/v/20241216175743513

 

그런데 개별 기업으로 보면 중국 무섭다는 생각이고요.

배터리 다 먹은 곳이 CATL이고 배터리부터 전기차까지 다 하는 곳이 비야디고

태양광 론지가 있고요.

뭐 가장 최고점 위에는 화웨이가 있을 것이고요.

바이두나 텐센트가 AI 투자나 완성도도 높아진다는 생각이고요.

중국 전체는 좀 힘들다고 보지만 개별 기업은 주의하자.

제들 다 우리 경쟁자다 싶고요.

 

삼성전자 3만원 우려가 세계 곳곳에서 반도체 생산한다는 것이 이유라고 했습니다.

 

1. '이젠 싱가포르·말레이시아까지' 반도체 수출 전선 위협

중국, 대만 수출 경합도 상승

싱가포르, 미중 갈등 수혜지로 부상

https://v.daum.net/v/20241216165312501

 

싱가포르, 말레이시아까지 반도체 생산, 인도도 그렇고 머리 아픕니다.

 

1. 폭스바겐 노조, 새해 모든 공장서 24시간 파업 준비

"수만명 해고" 사측에 반발

https://zdnet.co.kr/view/?no=20241216161923

 

2. '자율주행' 포니AI "내년 무인택시 흑자 기대"

"규모의 경제로 생산비 줄이고 보급 확대"

https://v.daum.net/v/20241216164007052

 

3. 중국 자동차가 1%에서 거의 40%까지 도달하는 데 20년이 걸렸습니다.

지난 20년 동안 세계 자동차 생산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1%에서 39%로 급등했고, 유럽은 34%에서 13%, 일본은 21%에서 12%, 미국은 12%로 떨어졌습니다. 3%. (출처: 뱅크 오브 아메리카 메릴린치)

https://wallstreetcn.com/charts/41956095

 

중국 판매가 안 되면서 폭스바겐이 어려워지는데 새해 모든 공장에서 파업 준비한다고 하니

폭스바겐은 더 어려워지겠습니다.

중국은 무인택시가 흑자 전화도 하고

중국 자동차가 20년동안 성장해서 이제 세계 비중이 39%까지 올라오네요.

자동차 수입국에서 수출국이 되었고 그럼 우리랑 경쟁하겠죠.

반도체 삼성전자나 자동차 현대차나 고난의 길입니다.

 

1. "내년 전세계 전기차 판매 2000만대↑…中 PHEV, 유럽은 전기차"

자동차연구원, 내년 시장 전망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4121618275198229

 

2. 현대차·기아 하이브리드차 400만대 판매 돌파15년만 성과

하이브리드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10월까지 425만6024대 판매/ 2009년 첫 하이브리드차 아반떼·포르테 출시

최다 판매 차종은 기아 니로·현대차 투싼/ 전기차 캐즘 대응 '하이브리드차 증산'

https://www.fnnews.com/news/202412161512033499

 

3. 현대차 동남아 공략 지원사격…오토에버, 현지 내비 제공한다

인도 기업과 합작법인 설립

고품질 차량 지도 제작나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1604161

 

4. 11월 자동차 수출 56억4000만달러, 13.6%↓…현대차 생산 8.5%

현대차·기아 수출량 5.8%·24.5% 감소…핵심부품 계열사 파업여파

수출 하이브리드 약진, 한국GM 트렉스1위…기아 쏘렌토 내수1위

https://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77694

 

어제 외국인이 4300억 매도하는데 전기전자가 953

운수장비가 1307억입니다. 삼성전자보다 자동차를 더 팔았다는 이야기죠.

현대차 –15만주 4거래일 연속 외국인 매도

기아 –33만주 2거래일 연속 외국인 매도 그래서 기아는 2.85% 하락

10만원보다 9만원이 더 가까워지나 싶고요.

 

미국 수출이 제일 좋은 곳인데 우리 대미 수출이 감소세에 들어가는 것이

좀 위태해 보이고 트럼프 관세 폭탄이 제일 큰 악재 아니겠습니까?

 

미국 시장에서 테슬라만 급등이고

스텔란티스가 5%, 포드가 4% 페라리가 3%

혼다는 1.7%대 하락인데 계속 신저가 행진

도요타, GM1%대 미만 하락이고

중국 전기차 리오토, 니오도 1%대 하락이어서

테슬라 5% 급등 이외 다른 자동차, 전기차는 죽을 쑤었습니다.

그럼 오늘 우리 시장 자동차도 어제처럼 외국인 매도가 계속 나오면 좀 힘들다고 봐야겠습니다.

 

트럼프 전기차 보조금 줄이고 배터리 관세 부과 이런 이야기로 다 힘든 것 같습니다.

수혜 종목은 테슬라 밖에 없고요.

미국과 동조화라면 자동차는 좀 어렵게 봐야겠습니다.

 

1. 서 루이싱에 밀린 스타벅스, 최고성장책임자 신설로 재기 모색

스타벅스, 중국에 최고성장책임자 신설…위기 돌파구 마련하나

토종에 밀린 스타벅스, CGO 신설 재기 모색

 

2. 중국시장 실적 개선에…중소형 화장품주 화색

파마리서치·실리콘투 강세

화장품주가 연일 급등하고 있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1604661

 

3. 삼양식품, 중국에 첫 해외공장 짓는다…싱가포르에 645억 들여 법인 설립

647억 출자해 싱가포르 법인공장 건립 투자

https://v.daum.net/v/20241216180852878

 

미국 스타벅스는 중국 시장 회복 시도하는 것 같고

우리 화장품은 중국 실적 개선이 나오고요. 삼양심품이 중국 공장 건설 소식도 나오네요.

기사로 주목되는 내용입니다.

# 우리 시장 이야기

 

1. 탄핵 가결에도 잠잠했던 코스피"외국인 매도세 지속 영향"

탄핵 뒤 열린 첫 증시, 외국인 팔자’ 2500 돌파 실패

탄핵안 가결에도 외국인 '팔자'…코스피↓·환율↑

탄핵 가결 후 첫날 금융시장 살얼음판…주가 환율 변동성 커져

 

2. 불확실성 걷히자 돌아온 개미외국인 '셀 코리아'에 시장은 잠잠

탄핵 리스크 털어내니…개인 컴백, 外人 매도

외국인 4780억 차익실현

변수는 다시 트럼프·통화정책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1605701

 

수급으로 보면 개인이 매수하면 지수가 상승하기가 힘듭니다.

장중 대화 때 이거 개인 매수라 지수 힘들겠다고 적었는데

지수가 결국 하락 전환하더군요.

 

개장 때는 매도하던 연기금이 1423억 매수하는데 지난주는 3000억대 매수로

지수 방어했는데 2500 가까워 오니 절반 정도로 줄였죠.

 

외국인은 4321억 매도고 기관은 1억 매수입니다.

금투, 투신, 보험이 다 팔았습니다.

수급으로 보면 지수가 오를 수가 없는 구조였다.

 

기관 연기금만 매수하고 외국인, 기관 동반 매도하고 개인이 방어하는 시장이

2500 돌파를 쉽게 하겠나? 이런 고민이 생기죠.

 

선물을 매수하던 외국인이 선물마저 매도 전환이니 종가가 저가로 마감하죠.

선물 기준으로

 

비빌 언덕은 중형주가 0.23%, 소형주가 0.32% 상승입니다.

코스닥 상승과 같은 길을 갔는데

 

1. 우원식뜨고 한동훈급락 정치테마에 휘둘리는 코스닥

주도주 실종에 썰렁한 증시…정치 테마주만 롤러코스터'

 

2. 요동치는 정치테마주…한동훈·이재명株에 카카오까지 ''[핫종목]

 

3. 외풍 덜 타는 중소형株…하락장에도 버틴다

외국인 매도세에 대형주 급락/ 중소형외인 비중적어 선방

기관은 전력인프라사들여/ LS에코에너지 2주새 30%

https://www.mk.co.kr/news/stock/11195992

 

원인은 테마주, 급락주, 동전주, 정치 등등 여러 테마들이 움직이면서

중소형주는 강세였다는 생각이고요.

뭐 워낙 하락이어서 이렇습니다. 호가 비우고 급락했으니

수급이 조금만 들어와도 주가 반등이 좋죠.

 

코스피가 3개 코스닥이 9개가 상한가가 나옵니다.

극심한 테마주 장세인 것 같습니다.

 

1. 이젠 '트럼프 리스크'에 발목증시 산넘어 산

탄핵 가결로 불확실성 일부 해소

개미 돌아왔지만 외국인은 매도/ 코스피 0.22% 내리며 '게걸음'

시장 "트럼프 2기 변수도 여전"/ USTR 대표 ", 소통 나서야"

https://www.fnnews.com/news/202412161812306249

 

2. “트럼프 등판도 안 했는데”…잘나가던 수출 고꾸라질 판, 3가지 이유는

對美수출 16개월만에 감소

자동차 수출액도 13.6% / 중국 저가공세 치열해지고

운임비용은 2배 이상 늘어/ 내년엔 트럼프 험로도 부상

https://v.daum.net/v/20241216193306620

 

그럼 외국인 매도는 왜 계속될까?

어제 저도 박스권 전망하면서 우리가 3중고에 빠졌다는 기사 소개 해드렸습니다.

위 기사 2개도 비슷한 내용이죠.

한국 경제가 심각하게 어려워질 것이라는 이야기죠.

수출 감소가 시작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대미 수출이 16개월 만에 감소가 치명적이겠죠.

반도체도 감소 전망이고요.

 

1. 코스피 지수 방어 숨은 공신, 삼성 자사주 매입?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4121702101763046001

 

외국인 삼성전자 보유율이 50.92%로 내려왔습니다.

이건 정말 소설이고 그냥 파생 시장에 오래 있었던 입장에서는

삼성전자를 외국인이 꾸준히 팔다가 공매도가 재개되어야 멈출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전에도 적었는데 주식 선물로는 시장이 작아서 외국인이 헤지 하기가 너무 힘들어지니

일단 내년 공매도 전까지 삼성전자를 꾸준히 팔아서 비중을 줄이고

공매도가 시작되면 삼성전자 매수 공매도로 헤지 하면서 반등이나 지지선 확보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고요.

 

내년 3월이 자사주 매수가 끝나고, 공매도 시작하고, 반도체 악재도 어느 정도 소멸될 시기가 오지 않을까? 뭐 이런 식의 소설을 적어봅니다.

 

트럼프 취임 이후 정책이 어디로 향하는지. 강도는 얼마나 강한지

여러 가지 확인 절차를 걸치고 나면 반등도 가능하지 않겠습니까?

외국인 입장에서는 삼성전자를 보는 시각이 너무 불안할 것 같다는 생각이고요.

 

1. 2400~2600 박스피 전망…급반등 대신 키 맞추기 이어질듯 [포스트 탄핵 연말연시 투자 지형도]

개인·외국인 수급 일단 '긍정적'

신용잔고 감소 움직임도 적지만/ 가결 기대감 이미 반영된 점 부담

"반등폭 제한적" 예상이 지배적/ 단기적으론 내수·중소형주 유망

https://www.fnnews.com/news/202412161816010864

 

2. 증시 내년초까지 2600선 회복 전망

 

3. "혼란 최대 6개월…코스피, 내년 점진적 회복

 

기사들도 저랑 생각이 비슷한 부분이 많죠.

박스권으로 표현하기 쉬운 것이 우리 시장 파생 시장에 국내 헤지펀드들이

추세 상승이나, 급등 보다 보합권, 박스권에 가두면 수익이 극대화되는

수급도 있거던요. 이런 수급도 지수를 누른다는 생각이고요.

 

어제 외국인이 삼성전자를 –303만주 매도합니다.

진짜 자사주 매수 없으면 4만원대 중반까지도 보고 있었을 것 같습니다.

 

2500선 바로 보면서는 연기금 매수가 준다.

다른 기관은 매도한다, 외국인은 한국 시장 살 생각이 없다.

이럼 2600선이 박스권 상단이 아니고

좁은 2400선과 2500선 사이 전망이 무난하고

해외 시장발 급등락은 23002600선을 급등락 상하선을 보면 될 것 같고요.

 

저는 2100선이 최고 하락 선으로 보고 기다리고 있습니다.

 

야간 선물이 0.47% 상승이고

글 적는 520분 기준으로는 브로드컴이 11%, 마이크론이 7% 상승입니다.

이럼 또 1순위가 하이닉스가 되겠습니다.

어제 외국인이 하이닉스는 50만주 매수하거던요.

그러니 2.17% 상승이고요. 오늘도 하이닉스가 좋아 보이고요..

삼성전자는 하락이라도 안 하면 다행이다 싶고요.

하여간 반도체가 제일 좋아 보입니다..

 

1. KB·하나·SKT·KT·현대모비스 5개 종목, 밸류업지수 신규 편입

거래소, 밸류업지수에 'KB·하나금융·SKT·KT·모비스' 특별편입

KB금융·하나금융 등 5밸류업 지수편입

 

2. 하나금융, 밸류업지수 추가 편입"금융 밸류업 선도할 것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1216_0002999344

 

3. 외국인이 팔아치운 금융주... 정치 불확실성 해소에 다시 살아나나

https://www.moneys.co.kr/article/2024121610101660038

 

4. 걸음마 걷는 비금융 밸류업…당근책은 언제쯤

비금융 밸류업 프로그램 참여율 저조

경기 불확실성에 동참 이끌 정책 지원 미미

추진 동력 유지 불안…기업 체질 개선 노력 병행해야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526006639119176&mediaCodeNo=257&OutLnkChk=Y

 

5. 밸류업 지수 구성 기업이 '밸류다운'…경영권 분쟁에 적자까지

'밸류업 지수' 리밸런싱…편출 없고 편입만

배당수익률 2% 하회 종목 53개 과반 넘어

'주주배정 유증' 이수페타시스, 소액주주와 갈등

고려아연·한미약품 경영권 분쟁에 엔씨는 적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529286639119176&mediaCodeNo=257&OutLnkChk=Y

 

어제 지수 반등하면 은행주 행보 주목해보자 싶었는데

KB금융이 0.47%, 신한지주 보합, 하나금융지주가 1.34%

오늘은 밸류업 지수에 은행주들이 편입된다는 기사가 있으니

반도체와 은행주 밸류업 위주의 반등 시장도 그려볼 수 있겠습니다.

 

반도체, 2. 은행주, 3. 통신주

이렇게 주목하면 될 것 같고요.

어제 제약바이오가 좋았는데 여기는 연속성이 있는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일단 9시 개장 후 현물 수급 보시고 또 개인이 사면

시장을 좀 주의해서 보고 개인이 매도하면 더 윗 공간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같고요.

연기금 수급도 들어와야 합니다.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1. 배당주 큰 장…올 배당수익률 5% 넘는 종목 139

증시 조정에 30% 급증

현대엘리베이터 7% 넘어/ 롯데지주·GS 6%대 짭짤

외국인 투매에 투자매력 커져/밸류업 지속…배당금도 증가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1604701

 

2. AI주 팔고 AI주 쓸어담은 개미

SK하이닉스·네이버 집중매도

팰런티어·테슬라 순매수 1·2

"낙폭 큰 국내 IT주 매수 기회"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1604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