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트럼트 2.0 시대 개막! HBM4에 멀어지는 삼성전자! 미국 현대차 모델 3개 보조금 제외! 1월 21일 장전 시황

평생선물 2025. 1. 21. 07:05

트럼트 2.0 시대 개막! HBM4에 멀어지는 삼성전자! 미국 현대차 모델 3개 보조금 제외! 121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미국 시장은 휴장입니다. 유튜버 유사남과 오선의 미국 증시 라이브에

올라온 내용 소개해드립니다. 참고하시고요.

아시아 시장부터 오늘 트럼프 행정명령 영향이 시작될 것 같습니다.

 

8시에 시작하는 미국 선물 시장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달러가 많이 내려온 것도 주목해야 할 것 같고요.

 

유사남 - 쉽게 배우는 미국 경제 TV

 

트럼프 취임식 발언 총정리 BY 유사남

1. 이민자 정책 강경 대응

2. 에너지 생산 통해 인플레 조절 - 에너지 비상사태 선언

3. 친환경 뉴딜 정책 끝, 자동차 제조업 렛츠고

4. 제조업 미국 강화

5. 불공평한 관세 끝

6. 내가 받았던 불공평한 재판 없어질것.

7. 파나마 운하, 걸프 미국꺼

8. 코로나 백신 안맞아도 오케이

9. 화성 로켓 보낼것

 

오선의 미국 증시 라이브

 

🔴 긴 급 속 보

 

트럼프 대통령 취임사

 

- 남부 국경에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겠다.

- 내각에 인플레이션 억제, 비용 낮추라고 지시할 것 이다.

-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할 것이다. 전략 비축유를 가득 채울 것이다.

- 전기차 의무화 폐지한다.

- 미국인 보호 하기 해 무역 시스템 전면을 개편을 시작할 것이다.

- 외국에 관세와 세금을 부과할 것이다.

- 미국 효율성 부서를 개설할 것이다.

- 오직 두 가지 성별만 인정하는 미국 정부 정책을 추진할 것이다.

- 파리 기후 협정에서 탈퇴 할 것이다.

- 멕시코만의 이름을 미국만으로 바꿀 것이다.

- 파나마 운하를 되찾겠다.

- 화성으로 우주비행사를 보낼 것 이다.

https://www.youtube.com/post/Ugkx-4lo_cQYFG3wGhDKO6dfSvWfFGyn3k-V

 

1. 트럼프 효과에 연준 궤도 수정하나…미국 채권시장 금리 인상베팅

올해 금리 인상 확률 25%로 점쳐

트럼프 복귀에 인플레 전망치 상향

물가 3% 중반대면 인상 현실화

연준, 과거 정책 빠르게 전환 사례

https://www.etoday.co.kr/news/view/2439260

 

2. 시작됐다, 트럼프식 급진 장악...“바이든 명령 수 시간 내 폐기

바이든 행정부 행정명령, 급진적이고 어리석어

20일 정오, 미국 쇠퇴 막 내리고, 힘과 번영 시작

트럼프 2기 각인하는 힘의 과시 돌입

https://www.etoday.co.kr/news/view/2439250

 

3. 트럼프, 이번엔 틱톡 구원투수로…틱톡 美서비스 재개(종합)

틱톡금지법 혼란 틈타...인스타그램·X, 신규 동영상 툴 잇달아 선보여

인스타 편집 앱 에디츠, 틱톡 캡컷과 유사

엑스(X)도 모바일 앱 전용 동영상 탭 출시 발표

https://www.etoday.co.kr/news/view/2439204

 

4. 트럼프의 시간…개미들, 韓 ETF 자금 빼서 베팅

증시 추종 ETF, 개인 순매수 상위권

코스닥 ETF선 개인투자자 자금 이탈

트럼프 보호무역 정책에 상품 선호

관세 부과 시 증시 변동성 확대 우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066806642039688

 

5. 코스피 잘나가도 떠나는 개미…증시 주변자금 감소세

코스피 연초 이후 5.12% 상승

투자자예탁금, 3주 만에 5

CMA 잔고도 2조원 이상 줄어

증시로 이탈 연초에도 가속화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968406642039688

 

6. '친트럼프' 행보 나선 메타트럼프 리스크 딛고 상승세 지속?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12011410458189

 

7. "트럼프 수혜" 한투운용, 미국중심중소형제조업 ETF 상장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120_0003039085

 

8. 미래에셋운용 미배당커버드콜 종결판출시현금흐름성장성 동시에

슈드 커버드콜 끝판왕’…미래운용 ‘연 분배율 12%’ 배당 ETF 출시

'TIGER 배당다우존스 커버드콜' ETF, 21일 출시

배당과 기초자산 참여율 동시에 높여

"적정 분배율 유지하면서 지속 가능성 유지"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929046642039688

# 주목해야 할 소식

 

1. [트럼프 취임] 석유증산 예고에 국제유가 하락WTI 1%

 

2. 트럼프 귀환 앞둔 아시아·유럽"미국산 에너지 구입 움직임"

"아시아·유럽, 트럼프 취임 앞두고 LNG 구입 움직임"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12016190824169

 

3. 2024년 중국, 최대 공급국 러시아로부터 원유 수입량 사상 최고치 경신

https://www.reuters.com/markets/commodities/chinas-crude-oil-imports-top-supplier-russia-reach-new-high-2024-2025-01-20/

 

4. "트럼프, 취임 첫날 에너지 국가비상사태 선포할 것"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당선인은 취임 후 몇 시간 내에 미국의 에너지 생산을 늘리겠다는 선거 공약을 이행하기 위해 이 같은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이들은 트럼프 당선인이 연방 토지에서 새로운 석유·가스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정책 변화를 강제하고 바이든 행정부의 기후 규제를 철회하도록 지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행정조치는 미국 에너지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12016225588927

 

5. 이날 특징주로는 구리 케이블 관련 주가 대거 상승했다. 워얼허차이(沃爾核材), 화마이커지(華脈科技), 신커차이랴오(鑫科材料)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최근 "우리는 계속해서 구리 케이블을 사용할 것"이라며 "향후 실리콘 광자 기술을 사용할 수 있겠지만, 이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발언했다. 구리 케이블은 전력과 데이터를 고속 전송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엔비디아는 데이터센터용 가속기에 구리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120000939

 

6. [트럼프 2기 출범] 중국도 버거운데...철강업계, '관세 폭탄' 우려에 초긴장

대중국 견제 강화 예고...25% 관세폭탄 거론도

장인화 철강협회장 "보호무역 파고 슬기롭게 대응해야"

현대제철, 미국 내 전기로 건설 검토 등 자구책 마련 분주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120000779

 

천연가스가 3% 가까운 하락, 유가도 1%대 하락

금도 0.6%, 구리도 1.17% 은이 그나마 0.19% 상승

트럼프 정부의 에너지 비상사태 선언이 유가나 천연가스에 상당히 악재인 것 같습니다.

중국은 젠슨 황 구리 케이블 발언으로 구리 관련 종목이 좋았습니다.

그런데 풍산은 3% 하락이었네요. 풍산이 12월 저점에서는 반등하는데

어제 하락이 상승이 꺾이나 싶을 정도로 크네요.

현대제철은 바닥 다지기 하는 모습도 보이고요.

어제 3.94% 반등 좋았습니다.

 

1. 대한유화, 작년 영업손실 598억…적자폭 줄여 [주목 e공시]

 

2. [마켓인]LG화학 ‘부정적’ 아웃룩…LG엔솔은 ‘안정적인 이유

NICE신평, LG화학 안정적부정적

석화 업황 불안·LG엔솔 재무부담 이중고

LG엔솔 등급은 ‘AA(안정적)’ 유지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922486642039688

 

3. ‘86모빌리티 시장 공략…석화업계, 친환경 소재 개발 불 붙었다

롯데케미칼, EV용 친환경 소재 본격 개발

GS칼텍스도 토요타 등에 친환경 소재 공급

2030EU 친환경 규제 앞두고 경쟁 격화

https://www.sedaily.com/NewsView/2GNRN8ADT6

 

적자 폭 줄였다고 대한유화가 8% 급등이 나왔습니다.

6만주 거래로 나온 급등이라 믿음은 안 가는데 하여간 화학이 어제

2차 전지와 함께 반등이 좋았습니다.

금호석유도 7% LG화학이 3% 급등

우리 시장 이야기에도 적었지만 업종별 종목별 순환매로 봅니다.

길게 볼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고요.

 

1. '실적발표 주간' 조선·방산 영업이익 추정치 오르고, 제철·건설 내렸다

https://www.fnnews.com/news/202501201606328826

 

2. HD현대일렉, 최고가 찍고 7%대 급락…전력주도 내리막[핫종목]

HD현대일렉트릭, 실적발표에 주가 롤러코스터…전력관련株 차익실현

 

3. 데이터센터, 국내 전력수요 상승 이끈다…전년比 1.9% 증가 전망

한전경영연구원, ‘2025년 전력산업 경영환경 전망발표

올해 설비용량, 원자력·LNG·재생e 증가·석탄화력 감소로 158.1GW 예상

원전, 올해 전 세계서 역대 최대 발전량 기록 전망COP29 통해 필요성 공감

재생에너지, 세계 주요 친환경 정당들 낙선, 정책적 지원금 하락할 듯

https://www.e-platform.net/news/articleView.html?idxno=90924

 

그렇게 좋다고 하던 현대일렉이 갑자기 급락하고요.

조선도 어제 쉬었죠.

좋다고 따라 들어가면 고점에서 조정이다 그러고

또 손절하면 반등, 달리는 말이 달린다면서 또 신고가 경신하고

정말 종목 대응 어려운 시장입니다.

 

모아가기 정도로 대응해야지 한 방에 해결하려 들면 고난의 행군 시작입니다.

 

1. 캐나다 대형은행 4, 넷제로 은행연합 탈퇴

 

2. 미 연준, NGFS 탈퇴"NGFS 활동범위 연준 법적 권한 벗어나"

"NGFS가 연준의 법적 권한 벗어나는 광범위한 사안 다뤄"

기후리스크 대응을 위한 금융 규제 제한하는 행보 지속

바젤위원회서 ECB와 기후 관련 금융 규제 두고 이견 보이기도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9669

 

3. CITIC증권: 태양광 산업의 성수기 이후 태양광유리 가격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CITIC증권( 27.400 , 0.09 , 0.33% )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태양광유리 생산능력 변화, 재고변화 추세, 태양광발전 산업의 성수기 이후 태양광유리 가격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업계 수요. 이 중 태양광유리의 일일 용해량은 20246월 최고 115,000톤에서 현재 90,000톤 미만으로 감소했으며, 태양광유리 재고 주기도 20246월 약 40일에서 계속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년 말 현재 약 34일 정도이며 계속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요 측면에서 보면, 2025년 예상 태양광 설치 용량 약 550GW를 기준으로 태양광 유리의 일일 평균 용융 수요는 약 95,000톤에 달할 것이며 이는 현재 생산 능력 수요보다 높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성수기 가격 상승에 큰 자극을 주고 있다. 태양광유리 업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위험 요인:

 

태양광 산업의 신규 설치 용량은 예상보다 낮고, 태양광 유리의 생산 제한도 예상보다 낮으며, 태양광 유리의 재고 감소도 예상보다 낮습니다.

 

투자 전략.

 

태양광유리 생산능력 변화, 재고변화, 태양광산업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태양광산업 생산 성수기가 도래한 이후 태양광유리 가격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https://finance.sina.com.cn/stock/relnews/cn/2025-01-20/doc-inefqruf9761375.shtml

 

트럼프가 취임하면서 바로 기후 협약 탈퇴 선언합니다.

탈탄소 시장이 혼돈에 빠질 것 같습니다.

오늘은 중국 증권사의 태양광 산업 보고서 내용 올려드립니다.

감산도 하면서 공급이 조절되고 산업은 무르익으면서 제값 받기가 가능해질 것 같다는 전망이니 그동안 제가 추적하면서 기사 전해드린 것과 비슷한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악재는 트럼프의 기후협약 탈퇴, 재생에너지에 대한 무관심일 것 같은데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단기 악재는 확실한 것 같고요.

 

1. 이번엔 진짜 바닥 통과? 이차전지 밸류체인 종목 동반 급등(종합)

턴어라운드 기대감에 에코프로비엠 6% 올라

https://www.yna.co.kr/view/AKR20250120033351008?input=1195m

 

2. 2차전지 대표 매도론자, 또 승부수"이제 사라"

에코프로비엠, 22개월만 투자의견 상향

트럼프 리스크 단기적…전기차 시장 비관론 과도

단기 실적 부진 우려에도 중장기 성장성에 주목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942166642039688

 

3. 동박 판매 증가·투자의견 상향에…트럼프 취임 앞두고 2차전지株 깜짝 강세

동박솔루스첨단소재 20% 껑충

에코프로비엠 매수에 동반 상승

https://www.mk.co.kr/news/stock/11222380

 

유진투자증권의 한병화 연구원의 매수 보고서가 이런 영향을 줄지 몰랐네요.

저도 2년 연속 2차 전지 안 좋다고 전해드리다가 요즘은 호재 찾기에

노력 중인데 마침 보고서가 매수로 나오네요.

이제 조정 받을 만큼 받았고 좋아질 일만 남았나 싶기도 하고요.

 

1. [단독] 삼성SDI, 中 시안 공장 대규모 투자 확대...신규 배터리 생산 설비 도입

800억 증자...최신 배터리 공법 도입 위해 신규 장비 설치

현대차 GV90용 배터리 양산 준비 일환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82291

 

오늘 찾은 호재는 삼성SDI의 중국 투자 확대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중국산 사용하면 철저하게 미국 보조금에서 제외되네요.

하필 중국 투자 확대라 좀 찜찜합니다.

2차 전지 반등이 하루짜리 일지 며칠 갈지 지켜보겠습니다.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아시아 사모펀드 조달, 8년 만의 최저...한국 전망은

중국 경제 둔화·금융 제재 투자자 불안 촉발

작년 모금액 54억 달러…전년비 34%

한국, 부실 부동산 대출 문제에 기회 늘 것

https://www.etoday.co.kr/news/view/2439191

 

2. 일학개미 5년간 1조 6000억원 사들였는데…국내 증시서 일본 비중은 매년 줄어

외국인 한국 주식 보유량 중

일본 비중 1.9%까지

닛케이지수 우상향하고 있지만/ 코스피는 지지부진 계속

https://www.mk.co.kr/news/stock/11222345

 

보여드리는 그림은 하나증권 김경환 애널의 텔레그램에 올라온 그림입니다.

어제 신흥 시장에서 자금이 빠진다고 이야기했는데

그걸 증명하는 그림이죠. 중국을 제외하고 한국, 인도, 대만 등에서 자금이 빠져서

이제 0 아래로 내려가려고 하죠.

이게 지금 자금 시장 흐름입니다.

 

기대했던 것이 중화권 풋, 한국 콜 이러면 좋겠다고 했는데

지금 분위기는 선진국 콜, 신흥시장 풋 이렇게 흘러가는 것 같습니다.

아니면 미국만 콜 나머지는 다 풋일 수도 있고요.

2번 기사 보시면 일본의 우리 시장 비중이 계속 내려오고 있죠.

그런데 일본 금리 인상이 되면서 앤 캐리 트레이드 청산 나오면 더 심해질 것 같아

걱정입니다.

 

1. [오늘 A] 트럼프 방중설에 상승...젠슨황 발언에 구리케이블 섹터 급등

상하이종합지수 3244.38(+2.56, +0.08%)

선전성분지수 10256.40(+95.08, +0.94%)

촹예반지수 2104.73(+37.46, +1.81%)

커촹반50지수 968.27(+2.37, +0.25%)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120000939

 

2.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측근들에게 취임 후 100일 안에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날 의향을 밝혔다고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이 지난 18(미국 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당선인의 보좌진은 이같이 보도에 대해 아직은 결정된 사항이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트럼프 당선인과 시진핑 주석이 통화를 했으며, 통화를 통해 두 지도자가 적극적인 소통을 펼친 것으로 전해지면서 미·중 정상회담 조기 개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트럼프 당선인과 시 주석은 17일 전화 통화를 했으며, 통상 문제를 비롯한 다양한 현안들에 대해 논의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SNS"시 주석과 방금 통화를 했다""이번 통화는 중국과 미국에 모두 좋은 통화였다"고 말했다. 중국 관영 CCTV에 따르면 시 주석은 통화에서 "트럼프 당선인의 당선을 축하하며, 우리는 모두 서로의 상호작용을 고도로 중시하고, 양국 관계가 미국 대통령 새 임기에 좋은 출발을 하길 희망한다"고 발언했다. 양국 대통령 간의 소통이 활기를 띠면서 이날 증시에 훈풍을 불어넣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120000939

 

트럼프, 시진핑 전화 통화를 중국 시장도 호재로 삼나 봅니다.

나쁜 것은 없으니 말입니다.

저는 이번 주까지는 버티는 장세는 나올 것 같고요.

설 연휴 지나고 트럼프 관세가 구체적으로 나오면서 중국 정부 대응에 따라

방향 정할 것 같습니다.

 

1. 워싱턴 대신 베이징 찾은 젠슨 황차세대 휴머노이드 기업 챙겨

https://v.daum.net/v/20250120134324395

 

2. '시진핑 특사'로 미국 간 한정 부주석, 밴스·머스크와 만났다

양국 대화 강화 강조, 미 기업의 대중 투자 확대 촉구

"중국, 트럼프 취임 전 양국 관계 개선 희망 신호 보내"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12016112311664

 

3. 비구이위안 청산심리 5월로 또 연기"내달 합의 예상

https://biz.sbs.co.kr/article/20000213791

 

4. , 스마트폰에 최대 10만원 보조금···내수 살리기 총력전

판매가 120만원 미만 제품에 적용

애플·화웨이 등 판매가 하향 조정

선인상, 후할인불만 제기하기도

https://v.daum.net/v/20250120153630364

 

5. 트럼프 취임 앞두고 '' 오른 중국 반도체…올해만 36% 급등

[자오자오 차이나]중국 파운드리 SMIC, 올해 들어 주가 36%대 상승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12012285480742

 

중국은 내수를 살려야 하고요.

스스로 내수로만 살 수 있다는 것, 증명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젠슨 황 행보로 보면 중국, 홍콩, 대만으로 나뉘어있지만

화교라는 공통점으로 언제든지 힘을 모을 수 있다는 생각이고요.

그래서 중국이 무섭다는 것, 이 정도로 마무리합니다.

다 아시겠지만 무제한 정부 돈으로 업종을 키우고 내수에서 살아남으면

이제 동남아부터 진출하면서 돈 벌기 시작하면서 전 세계 시장을 먹습니다.

태양광, 배터리, 디스플레이가 다 그렇게 먹은 시장입니다.

 

1. 연구 보고서 | 고급 자율주행 및 물류 수요가 LiDAR 시장을 주도하며 2029년 생산량은 535200만 달러로 추산됩니다.

로봇 공학, 공장 자동화 및 물류. 레벨 3 이상의 첨단 자율주행 시스템과 물류 운송에 힘입어 라이다 시장의 생산량은 2024118100만 달러에서 2029535200만 달러로 연평균 성장률 35%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https://www.163.com/dy/article/JMC3M3OD05119RSA.html

 

2. 베이징·우한 등 자율주행 조례 제정에 기업들 L3 개발 속도

https://csf.kiep.go.kr/issueInfoView.es?article_id=56137&board_id=2&mid=a20200000000&search_option=&search_keyword=&search_year=&search_month=%C2%A4tPage=1&pageCnt=10

 

3. [Interview] 1호 로보택시 업체 포니닷에이아이 장닝 부사장 | "로보택시 1000대 이상으로 확충도요타, 지분 투자하며 협력

https://v.daum.net/v/20250120111235815

 

4. 글로벌 전기차 보조금 폐지 속 독주하는 "미래시장 내줄 판"

보조금 없이 저렴한 가격 세워

유럽·북미 넘어 한국시장 넘봐

선두권 제외 업체들 존폐 위기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12002109932091004

 

5. "올해 전기차 17% 성장하지만 무역 불확실성 심화"

가트너 전망"2030년 판매 차종 중 절반이 전기차로 바뀔 것

https://zdnet.co.kr/view/?no=20250120091941

 

이제 자율주행, 로봇, 드론 시장도 다 먹을 기세죠.

정말 정신 안 차리면 다 먹히게 생겼습니다.

뭐 돌아보면 중국산이 차고 넘치기 시작하네요.

 

1. 디리스킹에…독일 최대 교역국 '중국미국' 교체

베트남 등 대안 모색", 통상분쟁에 동참 요구할 수도"

https://v.daum.net/v/20250120192734024

 

2. 벤츠 CEO "EU자동차 공장 건설 장려해야"

올라 켈레니우스 벤츠 CEO19(현지시간) 보도된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EU를 향해 "보호주의에 박차를 가하지 말라. 왜냐하면 우리가 잃을 것이 많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https://v.daum.net/v/20250120151824623

 

독일 최대 무역국이 중국에서 미국으로 바뀌었다고 하는데

트럼프 시대도 이럴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벤츠 대표가 중국 진출 막지 말아야 한다고 하죠.

왜 벤츠 대표가 이런 말 할까요? 당연하죠. 벤츠 최대 주주가 베이징자동차니

그렇지 않겠습니까? 중국은 자기들이 먹은 유럽 회사에서

계속 이런 식의 여론전 펼칠 것입니다.

그리고 트럼프 관세에 지쳐서 중국과 손잡는 날이 올 것이고요.

 

우린 유럽과 손잡은 중국 자동차와

대만과 일본이 손잡은 반도체와 싸워서 이겨야 합니다.

갈 길이 참 험난합니다.

 

1. " BYD, 공급사 대금 결제 미뤄 막대한 부채 왜곡"

미지급금 등 반영 순부채 3230억위안

같은 기간 비야디 발표 규모의 11

공급업체 대금 결제 평균 275일 걸려

 

2. “BYD, 급증하는 부채를 공급망 금융으로 덮어

하청업체 대금 지급 미루는 방식 사용

GMT리서치 부채 가리려 손재주 부려

실제 순부채 지난해 기준 64조원 될 것

https://www.mk.co.kr/news/world/11222381

 

비야디에 대한 여론전이 시작되는 것 같습니다.

이런 식의 여론전은 안 통한다는 생각입니다.

비야디 전기차에 관심 가지는 사람은 그러든가 말든가 일 것 같습니다.

 

1. [단독] 현대차 '전기차 3개 모델' 보조금 제외…기아 2개만 포함

IRA 부품·광물 세부 요건 미충족

현대차 "2분기 이후 보조금 포함"

EREV 개발·공급망 다변화도 병행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NRMPSS2Z

 

2. ‘아메리카 퍼스트에 당했다부품 쓴 현대차 3, 보조금 대상서 제외

에너지부, 리스트 업데이트

부품 원산지 규정 적용하는

우선주의 강화 정책 여파/ 아이오닉5·eGV70 제외돼/ 현대차 “2분기에 요건 맞출 것

https://www.mk.co.kr/news/business/11222774

 

3. "EV5 효과 통했다"…기아, 중국 내 수입차 중 성장률 1

지난해 중국서 24만대 판매…전년 대비 49.2% 증가

https://v.daum.net/v/20250120142710102

 

1106% 급등 후 현대차가 매일 하락하는 느낌입니다.

208500원까지 내려와서 이제 20만원이 다시 간당간당하네요.

기아도 10만원이 위태롭고요.

현대차는 기관, 외국인이 계속 매도합니다.

도요타 미국 주가랑 비슷한 흐름이 나오네요.

 

오늘은 현대차 미국 보조금에서 3개 모델이 제외된 것으로 20만원이 흔들릴 수도 있겠습니다.

오늘 이 기사로 자동차는 좀 조심해야 할 것 같습니다.

 

1. LG생건 어닝쇼크에도 ··· 화장품주 기대감 솔솔

중국부진에 LG생건 52주 신저가

내수, 중국 비중 적은 화장품주/ 연초 주가 상승 시동

중국적자 축소한 아모레퍼시픽/ 생산캐파 늘린 코스맥스는 실적 기대감

https://www.mk.co.kr/news/stock/11222386

 

LG생활건강 시총 순위가 80위입니다.

진짜 많이 내려왔죠.

어제 신저가 봤습니다.

화장품도 업종 안에서 순환매가 상당하고요.

중국 향은 답이 없네요.

아모레가 겨우 바닥에서 20% 정도 올라왔는데 중국 비중이 높은 곳은 주의해야 할 것 같습니다.

# 우리 시장 이야기

 

1. 트럼프 관세 명령’ 긴장…환율 1451.7원으로 하락[외환마감]

트럼프 취임 앞두고 관망세…환율 6.6원 하락

 

2. 2.4조원 규모 입찰 소화10년물 금리, 5.5bp 상승[채권마감]

 

3. 트럼프 행정명령 긴장감...코스피, 2520에 약보합 마감

코스피, 트럼프 2기 출범 하루 앞두고 외인 '팔자'에 하락마감[시황종합]

트럼프 입에 주목하는 증시"실적시즌 변수, 종목 차별화 전망"

외인 '팔자'에 코스피 약보합 마감"관망세 강해"

 

4. 한국 산업계 "나 떨고 있니?"…트럼프 2기 출범에 초긴장

트럼프 취임 첫날 행정명령 폭탄 예고

산업계 긴장…반도체·車 부담, 석유·조선 기대감

https://www.nocutnews.co.kr/news/6280930

 

외국인 매도가 4162억인데 지수가 0.14% 정도면 잘 버텼다는 생각이고요.

개인 매수 기관이 664억 매수로 도와서 개인이 지수 방어했네요.

 

토요일 새벽 미국 시장 상승은 대부분 미국 호재지

우리 시장과 연결해서 호재가 될까?

이런 의문으로 시작했는데 역시 우리 시장에 호재가 아니었습니다.

그나마 덜 하락한 것으로 위로 삼아야 할 정도

 

트럼프 취임과 우리 정치 위험이 상존했다는 생각이고요.

오늘 새벽에 트럼프 행정명령이 나오기 시작했으니

아시아 시장은 그 행정명령에 따라 업종별로 움직일 것 같습니다.

 

1. "트럼프 2, 칩스법 이어갈 것...상무장관 지명자 확인"

블룸버그 통신, 바이든 정부 미 상무장관 발언 인용 보도

https://www.inews24.com/view/1806049

 

2.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삼성·SK '칩스법 축소·관세 부과' 가능성에 긴장 높아져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80784

 

3. [기획]트럼프 재집권에도K-반도체, 현지 투자 박차

삼성·SK, 최첨단 반도체기지 건립 추진

, 대중 압박 강화K-반도체 수혜 기대도

https://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1200844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바이든 정부 법안 중 하나는 칩스법이고요.

아직 내용은 안 나왔는데

 

외국인은 삼성전자를 어제 –254만주 매도 보유율을 50.29%로 낮추고요.

3거래일 연속 매수하던 하이닉스도 어제는 소량 매도했습니다.

전기전자 전체를 외국인이 1951, 기관도 78억 매도여서

어제 외국인, 기관은 우리 시장을 매도했고 반도체 걱정을 했다는 것을

수급으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새벽 533분 기준 달러가 1.21% 하락, 107.86까지 내려오고

달러/원이 1439원까지 내려옵니다. -1.13% 하락입니다.

 

오늘 호재는 원화 약세 둔화! 이런 정도 될 것 같고요.

외국인 매도가 좀 덜할까? 이런 기대감이 살짝 생기고요.

야간 선물은 트럼프 취임식 이후 조금 반등해서 0.1% 상승입니다.

 

트럼프 행정명령에 우리나라 악재가 좀 덜하면

오늘 정도는 반등도 가능할 것 같고요.

글 마무리하는 미국 시장 이야기에서 우리 시장에 해당되는 행정명령 악재가

출현하면 좀 답이 없습니다.

 

중심에는 반도체법, IRA법으로 자동차와 배터리 두 법이 중요하겠습니다.

또 시장 해석도 중요할 것 같고요.

 

내용은 악재지만 해석하면 우리 시장에 큰 악재는 아니다.

이런 해석이 나오면 뭐 달릴 수도 있겠습니다.

 

1. [단독] 샤오미 이어 TCL, 가전 전라인업 총공세 예고

중국 가전 제조사들의 공세가 거세다. 최근 한국 시장에 공식 상륙한 샤오미에 이어, 오는 3월에는 중국 TCL이 국내 가전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

https://m.ddaily.co.kr/page/view/2025012017280825879

 

2. “이게 삼성보다 훨씬 낫다?” 한때 압도적 1위였는데…결국 뺏겼다 충격

베트남, 4G 미만 통신망 종료4G 스마트폰 수요

베트남서 삼성·중국 기업 중저가 모델 격전

https://v.daum.net/v/20250120204017056

 

22, 23년에 보였던 2차 전지 악재가 삼성전자에 보이는 모습입니다.

뭐 기사 나오면 대부분 악재 같습니다.

샤오미 진출 기사가 나오더니 TCL이 또 진출을 본격화하네요.

관심 없는 분들은 모르시겠지만, 저같이 TV 크기에 관심 있는 분들은

TCL115인치 2000만원 아래 가격 아실 것 같습니다.

샤오미나 TCL이 자신들만의 특화된 제품으로 한국 가전 공략이 본격화되었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동남아 시장에서 휴대폰 시장 1위 자리도 흔들리고요.

베트남 시장에서도 1위를 중국에 빼앗겼다고 합니다.

세계 시장에서 1위를 중국에 뺏기고 국내 시장도 중국 제품이 침투하기 시작했다.

A/S를 무기로 가격이 급격히 인상된 국산 제품을 마냥 사기에는

부담스러운 가격으로 왔다. 이런 평가를 합니다.

 

1. 대만, AI칩 기술 위상 강화...과 격차 더 벌려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0336

 

2. [단독]삼성전자, 10나노급 6세대 D램 개발 목표 6개월 미뤘다

당초 지난해 연말에 개발을 최종 완료하고 양산에 돌입하려 했지만, 수율이 올라오지 않아 반년 가량 개발 시점을 늦췄다. 1c D램 개발이 예정대로 되지 않으면 올해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했던 6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4)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12014431430512

 

3. 매서운 마이크론, 설비투자도 SK하이닉스와 어깨 나란히

미국 마이크론이 올해 SK하이닉스와 맞먹는 설비투자(CAPEX)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이은 전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 3위인 마이크론이 선발주자들과 비등하게 CAPEX를 투자하는 건 이례적으로, 기술적 측면 뿐만 아니라 생산능력에서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빠르게 추격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https://www.etnews.com/20250120000313

 

과거에는 삼성전자 기술 1위 대만과 격차 벌여!

이런 기사가 많았는데 이제 대만 중국과 기술 격차가 상당하다는 기사가 올라오네요.

우린 대만과 중국 사이 정도인 것 같습니다.

이래서 살아남겠나 싶은데. 2번 기사보면 HBM4도 하반기 양산이 어려울 것 같네요.

저 기사가 부디 틀렸기를 바래야 하는데 사실일 것 같은 느낌입니다.

마이크론은 우리 기술 인력 다 빼가고 투자는 미국 정부 자금 덕택으로 최대한 늘리고

삼성전자가 갈 길이 참 멀고 험하네요.

 

1. "SK하이닉스, 변함 없는 HBM 대장주…목표가 29만원"-신한.

[주가동향] "SK하이닉스, 변함없는 HBM 대장주...메모리 업종 탑픽"

SK하이닉스, HBM 기술 경쟁 우위 지속에 주가 닷새째 상승

"SK하이닉스, 서버용 고부가 수요 확대로 양호한 실적 기대"

SK하이닉스, 4Q 레거시 메모리 부진 속 견조한 실적 기대-신한

 

물려도 반도체, 물려도 하이닉스였는데 하이닉스 가격이 상당히 올라와

이제 물리지 말아야지! 이렇게 적습니다.

하이닉스 실적이 나오면 지금 주가가 증명될 것 같습니다.

 

1. `야금야금` 자사주 출연에 최대주주된 비영리법인`꼼수``상생`이냐

행동주의펀드 KT&G 1조원대 주주대표소송

현금 아닌 자사주 출연으로 '우호지분' 확보

"이사 충실대상 '회사' 한정…손해증명 한계"

사측 "일방적 허위주장…공익·복지 상생 취지"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12002109963046009

 

2. 하나증권 "은행주 상생금융 확대에도 밸류업 지속, 최선호주 KB·신한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80726

 

3. “한껏 기대했는데”…제약·바이오주, JPM 헬스케어 컨퍼런스 효과는 딱히’ [투자360]

셀트리온·알테오젠·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등 하락

삼성바이오로직스, 2조원대 CMO 계약에 주가 소폭 상승

전문가 금리 인하, 트럼프 정책 등이 더 큰 영향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402466

 

4. 대기업 그룹주 ETF로 살펴보는 올해 유망 그룹은?…한화·SK ‘방긋

트럼프 수혜 기대…한화그룹주 17% 상승

SK그룹주, ‘HBM 선두하이닉스 효과

https://www.mk.co.kr/news/stock/11222403

 

지금 시장은 업종별 종목별 순환매가 정말 빠른 시장입니다.

조선이 간다고 하지만 삼성중공업은 한참 뒤에 상승했고요.

조선, 전선, 원전 달린다고 사면 조정이 나오고

화학, 철강, 태양광 저가 매수다. 이렇게 들어가면 더 아래가 열리고요.

기가 막히게 내가 손절하면 그때부터 또 기술적 반등이라고 상승하고요.

종목으로 투자한다면 자기 순서 인내심으로 기다리는 것이 중요하고요.

쉽게 대규모 투자보다는 모아가기 전략으로 접근해야 할 것 같습니다.

하락하기 시작하면 뭐 20%가 보통입니다.

 

지수 투자는 풋 시장에서 풋으로 망한다.

계속 적고 있는 내용입니다.

 

당일 진입하면 전 당일 청산하고 있습니다.

내일 무슨 내용으로 급등할지. 급락할지 알 수가 없습니다.

지금 시장은 혼돈의 시장! 이렇습니다.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