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닉스 16단? 당장 금리 인하 요구! 트럼프가 만든 막판 반등! 일본금리 결정! 기관 동원하는 중국! 1월 24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美 Fed 압박 나선 트럼프…"즉시 금리인하 요구할 것"
[속보]트럼프 "전 세계적으로 즉시 금리 인하해야"
[속보]트럼프 "내가 '신종 녹색사기' 끝냈다"
[속보]트럼프, 국가별 "다른 관세" 시사…"美서 제품 안 만들면 관세"
[속보]트럼프 "바이든, 美 인플레·경제·국경 통제력 잃어"
[속보]트럼프 "美에 석유·가스 '액체 금' 풀 것"
2. “서학개미 잠은 다 잤네”…돌아온 트럼프, 폭풍 SNS 올릴 때마다 주가 요동
https://www.mk.co.kr/news/stock/11226001
오늘도 트럼프입니다. 이제 매일 트럼프 입만 보게 생겼습니다.
서학개미는 이러든 저러든 트럼프 연구해야 할 판이고요.
하락하던 나스닥마저 상승시킨 것은 단연 트럼프 입 때문이고요.
액체 금 푼다고 하니 유가가 떨어지고요.
당장 금리 인하 요구한다고 하면서 하락하던 반도체와 나스닥을 돌려놓고요.
대단합니다.
1. 美 신규 실업수당 청구 '예상 상회'…2주 이상 청구는 3년來 최대
美신규 실업수당 청구 22.3만건으로 소폭 증가...고용 여전히 견조
2. 美 2주 이상 실업수당 청구건수 38개월 만에 최대… 고용꺾였나 촉각
건수 급증에 새 일자리 구하는데 시간 걸린다는 분석
미 연준 금리 동결 관측되는 가운데 기류 바뀔까 촉각
블룸버그 “산불과 보잉 사태 등 일시적 영향” 관측도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NT1UGUDF
3. 블랙록 CEO, 대규모 AI투자에 "인플레·증시 악영향 우려"
블랙록 CEO "인플레이션 끝났다 믿는 게 가장 큰 리스크"
래리 핑크 "비트코인, 통화가치 하락 공포 극복할 헤지 수단"
https://www.news1.kr/world/usa-canada/5670863
4. ECB, 트럼프 복귀에도 금리 인하 지속…30일 내린다
라가르드 "트럼프 관세 연쇄 효과 우려 않아"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12311293943944
트럼프가 당장 금리 인하한다고 하면 미국 장기채 수익률이 하락해야 할 것 같은데
상승합니다.
하다못해 보합이라도 되어야 하는데 말입니다.
단기채는 하락하는데 장기채는 1% 상승입니다.
오늘 일본 금리 인상을 반영하나?
1. 日 1월 금리 인상 거의 확실시…연 0.5%로 인상
우에다 총재, 금리 인상 시사 발언
시장서도 인상 가능성 100%/ 추가 금리 인상 경로에 촉각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12314284277655
나중에 다른 기사가 나올 수 있겠습니다만 저는 일본을 일단 의식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고요.
오늘 정말 일본금리 결정 중요할 것 같습니다.
1. 세일즈포스 "AI 에이전트 기업 수요 빠르게 증가...이번 분기 수천건 계약"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7427
2. 네덜란드 총리 "트럼프, ASML 수출통제 압박 지속할 것"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12315264353542
M7이 중요합니다. 트럼프가 AI에 대단한 공을 들이고 있네요.
구글 건드리지 마라! 경고도 하고
하여간 하락하던 구글, 엔비디아 애플등을 보합 또는 상승으로 만든 것은
막판 트럼프 역할입니다.
어떤 형식으로든 트럼프는 AI 띄우겠다는 의지는 확고해 보입니다.
투자자라면 따라가야겠죠.
일단 저는 오라클 차익 실현은 했는데 AI는 모아가야 할 것 같습니다.
1. “실적도 성과급도 최대”…SK하이닉스 “HBM4 16단 내년 공급”
“HBM, D램 매출의 40%”…하반기 HBM4 16단 공급 예정
“기본급 1500%”…PS·성과급 ‘역대 최고’
SK하이닉스 관계자는 이날 세계일보와의 통화에서 “6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4) 공급은 10나노급 1b(5세대) 기술을 적용해 개발하고 있다”며 “올해 하반기 HBM4 12단 공급을 시작으로, 16단은 내년 하반기를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123509385
우리 시장 이야기에서 어제 하이닉스 하락 이유를 길게 설명해 두었습니다..
미국 시장 이야기에서는 마이크론과 함께 설명하겠습니다.
우리 시장 이야기에서 하이닉스가 막판에 밀린 것을 중국 범용 반도체 우려로 설명을 했는데
여기서는 HBM4 16단 내년 하반기 공급 예상 기사를 소개합니다.
이렇게 되면 마이크론보다 16단이 늦어질 수 있다고 하네요.
마이크론이 오늘 –4% 하락입니다.
ARM이 –7% 하락이고요. 스타게이트에 대한 비판이 작용하는 것 같고요.
마이크론은 하이닉스 실적과 기업 설명회 내용이 좀 반영된 것 같습니다.
오늘 우리 시장에서 하이닉스가 선반영으로 끝나고 반등하는지
밀리는지가 중요할 것 같고요, 하이닉스에서 16단 내년 하반기 공급에 대한
새로운 언급이 나와야 할 것 같고요.
아니면 하이닉스가 오늘 좀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리고 반도체 텍사스인스트루먼트가 시간 외에서 –2.66% 하락 중입니다.
자동차용 반도체는 좀 약할 수 있을 것 같고요.
우리 야간 선물은 나스닥 막판 반등을 반영 안 했습니다.
그래서 일단은 상승 출발하는데
고비가 일본금리 결정과 오후 연휴 걱정 반영하면서 좀 변동성 나올 것
이 정도로 그려봅니다.
1. "트럼프, 바이러스 '인위적 진화' 연구 정부지원 중단 추진"
WSJ, 소식통 인용 보도…학계는 "또다른 팬데믹 부른다" 반발
https://www.yna.co.kr/view/AKR20250123140900009?input=1195m
2. 마가 올라탄 세계…트럼프 "3조弗 유치"…美연간 예산의 절반
빈살만과 취임후 첫 통화 가져/ 사우디 "6000억弗 투자 의향"
관세·친시장·美호황 '3박자'에/ 印, 철강·원유 수입확대 검토
UAE·日·대만도 투자 늘릴 듯/ "美정책 실현 두고봐야" 신중론도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NT0Z0V9X
3. 印, 모디 총리 방미 조율 중..."관세 리스크 피하고자 일부 '양보'할
4. 미국산 더 사고, 불법체류자 데려오고…인도 '트럼프 선물' 준비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12314522411765
5. 트럼프 관세 대응해 선물 바구니 준비하는 국가들
인도, 미국산위스키·철강·석유 등 수입 증대 고려
EU, 미국산 LNG와 방위물품 조달 고려
멕시코, 니어쇼어링 정책 강화…저가 중국산 제품 단속
日, 방위비 증대·대미 일본 투자 어필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578486642040672
6. 아르헨 "미국과 FTA 막으면 남미 시장 탈퇴"
트럼프 취임식부터 다보스까지 밀레이, 글로벌 무대 '종횡무진'
환율 방어 전면전 나선 亞 신흥국, 스리랑카 전철 '경고'
인니, 원자재 업계 해외 이익 전액 송환
신흥국들 비전통적 카드 연이어
중앙은행 개입 한계 온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123001174
7. 外人, 올해 인도 증시서 7조 '팔자'..."印 증시 투자자 관심 밖, 더 내린다"
8. 일본도 '주식 이민' 열풍…"개인 해외 유출에 엔 약세 압력↑"
NISA 계좌 수 늘면서 해외 투자 규모 증가/ "엔화 매도 압력 더 강해질 수도"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12314305822819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국제유가 공급 확대 가능성에 하락 지속 WTI 74달러, 천연가스는 여전히 기세등등
천연가스,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05달러(0.13%) 상승한 3.965달러
WTI는 전장 대비 0.82달러(1.09%) 하락한 배럴당 74.62달러에 마쳐
2. "유럽 나쁘다"던 트럼프, 러엔 "사랑한다"…관세 협박 온도차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9673
3. 젤렌스키 “우크라 배치 평화유지군에 미군 반드시 포함돼야”
4. 우크라 “평화유지군 논의 초기 단계”…러 “긴장 고조 우려”
외무부 "규모 언급 시기상조"…젤렌스키는 '20만 병력·미군' 요구
https://www.yna.co.kr/view/AKR20250124004700109?input=1195m
5. [GAM]'드릴 베이비 드릴' 트럼프 에너지 야심, 기대와 냉소 - ②
베이커 휴스 이익 급증
석유 메이저들 생산 확대 '글쎄'
경제 논리-환경 등 산넘어 산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123001176
구리 제외하고 다 하락입니다.
트럼프 유가 하락을 계속 언급하니 상승도 하던 유가가 –1.6%
은이 –1.87% 하락 30달러가 간당간당. 금은 –0.37% 정도
구리만 0.62% 상승, 천연가스도 급등 후 –0.13% 정도 쉬었습니다.
여긴 트럼프 입보다 추위가 더 작용하는 것 같습니다.
큰 그림에서는 중동 평화가 찾아오고 우크라이나도 휴전 이야기가 급 진전하는 것 같습니다.
이러니 유가가 더 힘들어지는 모습이고요.
1. HD현대重, 지난해 영업이익 7052억…전년比 294% ‘급증’
2. HD현대미포, 지난해 영업익 885억 '흑자전환’
제가 우리 시장 이야기에서 순환매 다음은 옥석 가리기가 나올 것 같다고 적었는데
어제 조선주에서 먼저 나왔다는 생각입니다.
한화오션은 미국발 호재로
현대중공업은 수주와 호실적 기대감으로 신고가로 날아가고요.
미포조선, 삼성중공업은 뒤에 키 맞추기, 순환매로 뒤 따라 올라가는데
어제 실적 뚜껑 열리면서
어제 미포조선은 –7%, 삼성중공업는 –4% 하락입니다.
현대중공업도 미포조선과 함께 떠내려 가버리네요. 5.89% 하락
오늘은 한화오션 실적이 나오는데 방향이 궁금해지네요.
조선주에서 옥석 가리기가 먼저 나왔고
앞으로 화장품, 엔터 등등 2월에는 옥석가리기가 더 심해진다는 생각입니다.
1. “韓 석화업계 불황인데”…금호석유화학, 든든한 이유는?
합성고무 수출로 실적 견인
글로벌 NB라텍스 시장 점유율 25%
SSBR로 전기차 타이어 시장 공략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81448
지난번에도 적었는데 석유화학 안에도 금호석유가 그나마 나은 형편이다.
금호는 고무 위주이니 그렇다 이렇게 적었는데
이것도 옥석 가리기겠죠. 화학 업종 안에서도 순환매 나오고
키 맞추기 하다가 그나마 버틸 종목은 상승 유지하거나 방어는 하겠죠.
이번 주 월요일, 화요일 금호가 합쳐서 17% 급등이고 지금 2일 쉬고 있습니다.
2월은 옥석 가리기! 이렇습니다.
블룸버그, 트럼프가 탈퇴한 기후협정에 “대신 분담금 내겠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도 대신 납부 선언
https://www.etoday.co.kr/news/view/2440504
트럼프의 DEI 정책 철회...재계, 일부 '순응' 다수 '반발'
트럼프, 연방 정부 DEI 대거 종료 명령...민간 동참 압박
메타·아마존, DEI 정책 축소...DEI 명칠 변경 기업 늘어
BoA, DEI "상업적 가치" 있어...단순한 정치적 올바름 아냐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9729
RE100 전력 소비량 지속 증가세…글로벌 기업 수요 대응 촉구
글로벌 재생에너지 이니셔티브인 RE100 캠페인은 23일 한국 정부에 RE100 기업의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을 위해 연내 확정 예정인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하 전기본)’ 내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목표를 상향할 것을 촉구했다.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501231323329924edf69f862c_1/article.html
블룸버그가 미국 기후협정 탙퇴에 분담금 대신 내겠다고 합니다.
퍼스트솔라가 1.29%, 엔페이즈에너지가 5% 급등
오늘 태양광은 기술적 반등이라도 하네요.
1. [뭔데이 메탈-니켈] 니켈價 7거래일 연속 상승… 리튬이온 배터리價는 2년 연속 하락
美 연준, 완화 기조
인도네시아 공급 제한
배터리 산업 불황 지속
https://www.meconom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7605
2. 일본언론 "SK온, 닛산 미국 공장에 배터리 17억8천만 달러 규모 공급하기로"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81382
3. 세계 1위 CATL도 녹록치 않은 '캐즘'...유럽 공세 강화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2527
4. 이수페타시스, 2차전지 기업 제이오 인수 결국 철회
<< "악재 다 나왔다" 바닥 다지는 2차전지株 ‘반등’ 출발>>
장 초반에는 2차 전지들이 반등을 시작하더군요.
뭐 워낙 하락했으니 기술적 반등이라도 해야겠죠.
그러다 프로그램 매도에 그냥 떠내려 가버렸습니다.
<< 일본언론 "SK온, 닛산 미국 공장에 배터리 17억8천만 달러 규모 공급하기로">>
이것도 옥석 가리기 일부인데
다른 2차 전지는 신저가 행진인데
SK이노베이션은 석유 정제가 포함되어 있으니
1월 20일 신고가 돌파했습니다.
다른 2차 전지는 굴 파고 맨홀로 들어가고 있는데 말입니다.
SK이노베이션 시총 순위가 30위 대까지 내려갔다가
지금 17위입니다. 포스코홀딩스가 14위입니다.
시총 차이가 2000억 조금 넘습니다.
업종 내 옥석 가리기! 명심해야 할 것 같습니다.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올댓차이나] 홍콩 증시, 미중관계 악화 우려에 속락 마감…H주 0.18%↓
2. [오늘 A주] 증시 부양책에 강보합...기관자금 증시 유입 전망에 금융주는 상승
상하이종합지수 3230.16(+16.54, +0.51%)
선전성분지수 10176.17(-49.70, -0.49%)
촹예반지수 2093.31(-7.72, -0.37%)
커촹반50지수 966.11(-9.23, -0.95%)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123001160
3. 우칭(吴清)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증감위) 주석은 23일 기자회견에서 "중장기 자금의 증시 유입 촉진을 위한 실행 방안으로 인해 향후 3년 동안 매년 공모 펀드의 시가총액이 최소 10%씩 증가하게 될 것"이라며 "또한 대형 국유 보험사들은 올해부터 신규 모집하는 보험료의 30%를 중국 증시에 투자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증감위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금융판공실, 국무원 재정부, 인력자원사회보장부, 인민은행, 금융감독관리총국 등과 공동으로 '중장기 자금의 증시 진입 추진을 위한 실행 방안'을 22일 저녁에 발표했다.
실행 방안은 보험사, 전국사회보장기금, 기본연금보험기금, 직장연금기금, 공모기금 등 중장기 투자 자금의 증시 유입을 유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상장 기업들의 자사주 매입을 독려하고 1년에 여러 차례 배당하도록 하며, 유상증자에 각종 기금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들도 발표됐다.
광파(廣發)증권은 "중장기 자금의 증시 유입은 투자자 구조를 최적화하고, 가치 투자와 장기 투자를 유도하며, 시장 변동성과 투기성을 줄여 투자자의 신뢰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외부 불확실성에 대한 중국 내부 대응 정책이 실행되어 갈 예정이며, 추가 유동성이 유입되면 증시가 더욱 활발해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123001160
4. 中, '기관투자 확대' 증시 부양 … "국영보험사 신규보험료 30% 주식투자...
中 증시부양책…"펀드의 A주 투자 3년간 30%늘린다"
5. 中 '기관투자 확대'로 증시부양…"보험사 신규보험료 30% A주에"(종합)
대형 국유보험사 증시투자 장려…"상반기 20조원 수혈, 10조원 설 전 승인"
공모펀드의 A주 보유량 매년 최소 10%씩 3년간 30%↑
6. 중국, 기관 장기투자자 증시에 대거 끌어들인다
국유 보험사 신규 수입 30% 의무 투자
‘개미’ 위주 극복 자본시장 부양책 발표
https://www.khan.co.kr/article/202501231646001
7. 中 "보험사 주식 투자 상반기 19조 만들 것"…증시 부양책 발표
매년 신규 보험료 30% 주식 투자
공모펀드 투자도 매년 10% 확대
펀드 수수료 인하·배당금 조기 지급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NT10W47T
중국 당국이 기관 특히 이번에는 보험사들이 주식 장기 투자하도록
팔목을 비틀고 있는데 지수 보시면 그렇게 큰 호재로 작용 안 하죠.
중국도 설 연휴 전에 당국이 뭔가 한다는 보여주기 하는 모습이라는 생각입니다.
연휴 전에는 급락 없다는 정도로 봤는데 뭐 그 정도는 지켜지는 모습이고요.
2월부터 트럼프 관세가 구체화되고 중국 대응이 나오면서
진검승부가 진행될 것으로 봅니다.
1. 등잔 밑 어두웠네…남미·중국 20년 만에 교역액 40배 급증
대미 교역액 1.5배 이상 앞질러
트럼프 관세에 밀월 깊어질라
밀레이 “中 훌륭한 무역 파트너”
https://www.etoday.co.kr/news/view/2440477
미국이 중국 때리기를 최종은 실패할 것으로 보는데
트럼프가 워낙 전방위적으로 때리니 당장은 네! 네 하지만
뒤에서는 유럽과, 아프리카와 중동과 남미와 손잡고 미국에 대항할 것으로 봅니다.
트럼프 자기야 임기 때 중국 잘 때렸다. 자화자찬하겠지만
미국 경쟁력을 다 까먹는 악재가 될 수 있습니다.
1. 현대차, 지난해 펄펄 날았다…1등 기업 입지 다져
현대차, 연매출 기록 또 갈아치웠다…'175조원' 돌파
2. 현대차, 지난해 4분기 비싼차 잘 팔았다… 매출액 46.6조원 (상보)
현대차, 차 덜 팔고 역대 최대 매출 낸 비결
고부가가치 차종덕에 작년 역대 최대 매출
GM과 공동구매부터 리배징등 협력 구체화
https://news.bizwatch.co.kr/article/industry/2025/01/23/0064
3. 현대차, 작년 매출 175조 사상 최대⋯영업익은 5.9%↓
현대차, 작년 매출액 사상 최대… 强달러에 영업이익은 5.9% 감소
4. 환율 상승에 영업익 줄어든 현대차…"올해 417만대 판매" [종합]
5. 기아 "올해 7천억원 자사주 취득·소각…주당배당금 16%↑"
외국인이 운수장비를 –1076억 매도합니다.
이런 호실적에 매도라니 하여간 현대차, 기아를 외국인은 매도
그나마 기관 매수로 현대차 상승, 기아는 –0.29% 하락입니다.
1. 현대차·기아, 또 역대급 실적 전망…실적 눈높이는 낮춘 이유
판매보증 충당금 증가 영향으로 환율 상승의 수혜를 온전히 누리진 못해 당초 시장 기대치에는 미치지 못할 거라는 분석이 나온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12010321841726
원화 약세가 수출주 특히 자동차에 호재 같지만,
지난번에도 소개해드렸는데 판매 보증 충당금이 환율 수혜를 막고
미국 현지화 중이니 임금을 달러로 줘야 할 것 아닙니까?
그러니 원화 약세를 온전히 못 누린다는 생각입니다.
가장 좋게 보이는 것은 자동차를 제값을 넘어서 고가에 팔고
이게 잘 팔린다는 것이고요. 그래서 저의 선호주는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이고요.
1. 현대모비스 영업익 3조735억 역대 최대
현대모비스 영업익 3조 신기록…"해외수주 비중 40%로 늘릴 것"
벤츠·GM 등 완성차 고객사 확보
작년 글로벌 수주 12조 넘을 듯
매출은 3.4% 줄어들며 57.2조
https://www.sedaily.com/NewsView/2GNT0YVE93
보시면 현대모비스도 현대차, 기아를 넘어서 완성차 영업을 확대해서
여러 고객사를 확보했죠.
현대차, 기아 주가가 빌빌거리지만 간다는 생각입니다.
실적이 말해준다는 생각이고요.
현대차 3 총사를 믿어보죠.
1. '악성 재고'에 발목잡힌 포드, 침체 장기화
트럼프 '관세 폭풍' 우려도 겹쳐
반년새 29% 하락…목표가 하향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2366761
오늘 미국 시장에서 도요타는 보합권,
그런데 GM이 2%대 포드는 1%대 상승이어서
오늘 우리 자동차는 그렇게 나빠 보이지는 않는데
그놈의 연휴가 너무 길어서 쩝 안 내리면 다행이다 이런 각오는 합니다만
2월에 달린다면 현대차 3총사가 아닐까? 이렇게 기대합니다.
# 우리 시장 이야기
1. 코스피, 외국인·기관 '팔자' 2510선 하락 마감
2. 작년 4분기 GDP 0.1% 성장 '충격'…연간 GDP 2.0% 턱걸이
지난해 4분기 GDP 성장률 0.1%…연간 2.0% ↑
지난해 4분기 GDP 0.1% '뚝'…연간 2% 성장 그쳐
GDP 성장률 2.0%…계엄 충격에 전망치 밑돌아
개장 때 곱버스를 시초가 매수했습니다.
이유는
8시 발표한 우리나라 성장률이 충격적이더군요.
연간은 2%, 4분기는 0.1% 그런데 올 1분기도 장담을 할 수가 없고요.
<< 작년 4분기 GDP 0.1%…전망치 5분의 1토막(2보)>>
1. 트럼프의 ‘700조 원대 AI 프로젝트’에 찬물 뿌린 머스크… 이유는?
오픈AI·오러클·소프트뱅크 투자사 참여
'정권 실세' 머스크, 트럼프와 균열 첫 노출
"'오랜 악연' 샘 올트먼 견제 목적" 분석도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12310180000543
2. [종합] 트럼프 ‘AI 투자’ 발표에 쏟아지는 딴지…“돈 없잖아·카오스 상태”
‘1호 친구’ 머스크, 트럼프와 균열
“5000억 달러, 터무니없는 숫자”
올트먼 “머스크, 미국 최우선으로 둬야”
앤스로픽 CEO도 “이해하기 어려워”
생성형 AI 스타트업인 앤스로픽의 다리오 아모데이 CEO는 스타게이트 계획에 대해 “약간 혼란스럽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해하기 어렵다”며 “실제로 얼마나 많은 돈이 투입될지, 얼마나 많은 자금이 확정된 건지 명확하지 않다”고 짚었다. 또 “이 프로젝트에서 정부가 어떠한 역할을 할지도 불분명하다”고 덧붙였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440476
개장 전에 저는 외신과 속보로 머스크가 스타게이트에 딴지를 걸고 있는데
무슨 돈으로 하냐? 이런 식의 비판이었습니다.
<< 트럼프에 찬물 끼얹은 머스크 “AI 프로젝트 돈 없을 것”>>
그래서 야 이럼, 반도체 안 좋겠는데? 이런 걱정을 하는데
1. 삼성전자, 임원 성과급 일부 자사주로.."주가 하락하면 지급 수량 감축"
초과이익성과급(OPI)일부 자사주로 1년뒤 지급
상무·부사장 2년, 사장단 3년 매도 제한
https://www.4th.kr/news/articleView.html?idxno=2077533
삼성전자는 자사주를 바로 주는 방식이었습니다.
주가가 떨어지면 지급 수량이 줄어드니 열심히 일해서 주가 올려라!
이런 방식이었는데 하이닉스 공시에 자사주 매도가 나오는데 700억 넘는 자사주를 매도해서 임원 성과급을 주는 방식이더군요.
<< SK하이닉스, 작년 성과급 '기본급 1500%' 확정
SK하이닉스, 보통주 1천305원 현금배당…총 9천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도 없고 직원에게 1500% 주면서 주주에게는 9000억 준다.
너무 한 것 아닙니까?
그런데 이걸 비판하는 기사가 없더군요.
그래서 하이닉스 발 악재로 보고 곱버스 담았습니다.
1. "HBM 날개 달고 훨훨" SK하이닉스, 삼성전자 제쳤다
2. '미장' 투자자 10명 중 7명 수익…엔비디아 오르는데, 하이닉스는 하락
SK하이닉스, 사상 최대 실적에도 2%대 하락[핫스탁]
3. '스타게이트' 순풍 못탄 국내 반도체株
SK하이닉스·한미반도체 하락
美 AI 관련주 상승세와 대조/ HBM 수요에 주가반등 기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34107
장중 대화 때 –4%까지 급락하는 하이닉스는 이제 기업 설명회에
기대할 수밖에 없다고 했는데 오후 1시 반 정도에는 거의 보합권까지 반등하더군요.
제 생각에는 설명회 내용이 시장에 반응했다는 생각인데
1. SK하이닉스 "中업체 D램, 품질·성능 확실한 차이"
SK하이닉스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중국 D램 공급사의 DDR4 등 제품 공급 확대와 수요 둔화가 맞물려 레거시(범용) 제품 가격 하락이 이어지고 있다"며 "최근에는 DDR5 개발과 판매가 거론되고 DDR5 시장의 영향도 우려되고 있다"고 짚었다.
다만 "현재 고성능 제품 대응을 위해 주요 업체들이 적용하는 D램 선단 공정에 비해서는 후발 업체들이 적용하는 기술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며 "이를 기반으로 한 DDR5 제품의 품질과 성능은 확실한 차이가 존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대중 제재 강화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 기업은 선단 공정 개발 과정에서 더 많은 불확실성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123_0003043442
2. [단독] 中 DDR5 생산에 놀란 삼성…현지서 동향 살핀다
삼성전자, 中 메모리 기술력 수준 파악 나서
"中 무시할 수 없어" 기술력 격차 좁히는 속도 빨라져
범용에 이어 선단 제품에서도 韓기업에 위기감 조성
종가로 –2.66% 하락한 것은 어제 전해드렸던 내용인데
삼성전자가 중국 D램 현지 동향 살핀다는 기사 기억하실 것 같습니다.
HBM 호실적은 알겠는데 중국 공격을 어떻게 이길 것에 대한 정확한 확신이 없었던 것 같고
오늘 일본금리 결정
4거래일 휴장이라는 부담
이 2가지가 함께 작용하면서 차익 매물이 나온 것으로 봅니다.
새벽 3시 정도에는 –3%대 그러다 반등하더니 글 적기 시작하는 5시에
미국 마이크론이 –4.3% 하락입니다.
참 뜬금없죠. 저는 하이닉스 영향이라고 봅니다.
우리는 미국 시장 움직임 해석하면서 오늘 시장 전망하는데
미국 시장 참여자들도 우리 시장 반도체 주목하겠죠.
그리고 딱 전망치 8조 이익 나오고
스타게이트 의문점이 부각되면서 이런 모습이 나온 것 같습니다.
아직 미장 마치려면 1시간 더 남았는데 마이크론과 함께
중요하게 봐야 할 것이 어제 급등한 ARM이 –8% 하락이고요.
특히 ASML 포함 미국 반도체 소부장들이 –3%대 하락입니다.
한국 시장 하이닉스, 한미반도체 하락을 미국 시장이 반영한 것으로 끝날지
오늘 우리 시장은 또 미국 시장 마이크론 약세, 반도체 소부장 하락을
반영할지가 궁금해지는데 저는 스타게이트에 대한 논란으로
우리 시장 반도체는 좀 힘들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1. 10분 영상 10초 만에 요약 뚝딱…갤럭시 S25 출시 AI폰 경쟁 불붙는다
2. “이렇게 얇은데 성능은 빵빵하네”...두께 6㎜ 갤럭시 엣지, 실물 공개에 깜짝
6mm두께...올 상반기 출시
XR기기 ‘무한’도 최초 공개
https://www.mk.co.kr/news/world/11226022
3. 구글, 대만 HTC XR 사업부 인수…'삼성 참여' 안드로이드XR 개발 박차
HTC바이브 엔지니어링 팀 일부 3600억 인수
XR 기기 전용 운영체제 개발 속도 기대감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2585
그럼 남은 것은 삼성전자가 방어해주느냐? 이게 핵심이겠습니다.
갤럭시S25에 대한 기대감이 살아나면 뭐 하락은 방어하나?
이 정도 기대감을 살짝 가지게 됩니다만
다음 주 긴 연휴와 오늘 일본금리 인상이 거의 확실하게 보여서
좀 걱정은 됩니다. 어제처럼 프로그램 매도가 나오면 바구니째 코스피를 던져서
삼성전자 하락은 뭐 당연하게 받아들여야 할 것 같고요.
1. 8시 45분 선물 개장 때 외국인 선물 수급
2. 장 초반 프로그램 매수,
중요하게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장중에 외국인 선물 수급 보여드렸는데
12월 만기 이후 외인 선물 매도가 2조가 넘었습니다.
이게 연휴 이후 환매수가 되어야 2월 만기나 3월 만기에 희망이 생기고요.
계속 현물 샀다, 팔았다 하면서 선물 매도 구축하면 지수 힘들다고 봐야 합니다.
1. 소액주주 단체행동, 기업 주가 끌어올릴까…전문가들 “반짝 상승은 있겠지만…”
행동주의 대상 기업 40곳 분석
캠페인 직후 평균 5% 상승
SK스퀘어 24%, 코웨이 4%
https://www.mk.co.kr/news/stock/11225951
2. [단독] “수익성 안 높이면 단체행동할 것”…뿔난 소액주주, 기업에 목소리 높인다
익명 투자자 “밸류업 미진하면 소액주주와 대응”
주주연대 플랫폼 가입자 1년새 2배로
https://www.mk.co.kr/news/stock/11225915
3. '주주행동'은 전세계 흐름 … 밸류업 나선 日도 급증
◆ 주주행동 확산 ◆
https://www.mk.co.kr/news/stock/11225905
4. 행동주의 개미, 기업에 첫 도전장
농심 밸류업 계획 미진하면 소액주주들과 공동 대응
전문성 진화 … 주주연대 플랫폼 가입자 1년새 2배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34143
매일경제신문에서 소액주주 단체행동 이런 테마로 기사를 몇 개를 올리네요.
단체행동 나온 종목은 평균 5% 상승, 시간이 지나면 별 효과 없다는 식으로
기사도 적고 이런 단체행동이 급증한다는 내용도 담았는데
저는 앞으로 이런 단체행동 계속된다는 생각입니다.
야간 선물이 주간 시장 하락에 반해서
기술적 반등이라도 하는 것 같습니다.
0.27% 상승 정도입니다.
아직 미국 시장 마감이 아니지만
개장은 상승 출발하고 일본금리 결정에 출렁이다가
연휴 반영하면서 눈치 보기로 마무리하는 그림 그려봅니다.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