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와 머스크가 만드는 미국! 머스크 재무부 장악! AI 소스 공개 경쟁! 2월 3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美 12월 PCE 2.6%↑… 전망치 부합
美 물가상승 둔화세 정체 또 확인…12월 개인소비지출 지수 2.6%↑
2. [종합] 미국 12월 PCE 물가지수 상승률 전년비 2.6%로 '가속’
3. 美 12월 PCE 상승폭 확대, 달러 강세...유로 하락, 엔화환율 상승
4. 트럼프, 멕시코·캐나다 25% 관세… "2월1일부터" 재확인
트럼프, "오늘 중국·캐나다·멕시코 관세 강행“
5. 트럼프 "중국에 관세 부과 강행"... 뉴욕증시 출렁
6. 美 증시, '트럼프 관세 부과' 강행에 하락 마감… S&P지수 0.5%↓
트럼프 2월1일 관세 강행…뉴욕증시 하락 엔비디아도 출렁
트럼프 관세 재확인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0.75%↓[뉴욕마감]
물가 지표 발표되고 미국 오전 시장은 좋았습니다.
그런데 미국 기준 오후 시장에서 트럼프 관세 부과 소식이 나오면서 지수도 종목도 다 밀렸습니다.
보여드리는 그림은 2018년도 코스피, 나스닥, S&P500 지수 흐름인데요.
코스피는 18년도에 고점 보고 먼저 하락합니다.
2018년 관세 조치 타임라인
3월: 철강(25%)·알루미늄(10%) 관세 전면 부과 (중국 포함 전 세계 대상).
7월: 중국산 340억 달러 상품에 25% 관세 (1차, '중국 제조 2025' 관련 제품).
8월: 160억 달러 추가 관세 (2차, 반도체·화학제품 등).
9월: 2,000억 달러 상품에 10% 관세 (3차, 2019년 1월 25%로 인상).
12월: 90일간 무역전쟁 '휴전' 합의 (협상 기간 설정).
보시면 3월에 관세 부과에 코스피는 흔들리고요.
나스닥은 9월에 무너지죠.
여기서 고민은 트럼프 1기 관세 부과 때처럼 코스피와 나스닥 흐름이 따로 갈 것이냐?
이게 고민입니다.
지금은 코스피가 선 조정을 상당히 받았고, 나스닥이나 S&P가 고점 아닙니까?
그리고 트럼프 1기 때는 7월부터 본격화되었고요.
지금은 바로 2월부터 캐나다, 멕시코, 중국을 먼저 시작해서
우리는 아직 노출이 덜 된 상태고요.
계절적으로는 미국 대선 다음 해 2월 약세가 통계적으로 높다고 하네요.
그래서 먼저 선 조정 받은 코스피보다 이번에는 나스닥이나 S&P 조정이 더 심할까?
코스피는 2018년 내내 조정이었는데 이번 조정이 1년 내내 진행될까?
생각해 볼 부분이 많습니다.
저는 이번 2기에는 코스피가 먼저 하락폭이 심해서 덜 빠지고
우리 정치 일정으로 좀 반등도 빠를 수 있다.
이런 전망도 해봅니다.
1. 딥시크 충격 지속, 엔비디아 또 4%↓ 시총 3조달러 붕괴
엔비디아 3.67% 급락, 반도체지수 0.28% 하락(상보)
2. 젠슨 황, 트럼프 만난다...'딥시크' 아닌 칩 수출 문제 논의 예상
트럼프, 젠슨 황 회동…AI 칩 대중국 수출 규제 논의
3. "딥시크 충격, 장난 아니네"…엔비디아 급락에 반도체지수 하락
엔비디아 3.67% 급락
5거래일간 16% 폭락/ 반도체지수도 0.29%↓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166667
6. [머니플로우] 서학개미, 딥시크 충격에도 '엔비디아 사자' 베팅
7. 딥시크에 엔비디아 급락하자…'3배 레버리지' 베팅한 서학개미[서학망원경]
서학개미 순매수 1위 SOXL…3일간 3억 7847만 달러 순매수
"추가 하락은 단기 트레이딩 기회…공포 구간 견뎌야"
https://www.news1.kr/finance/general-stock/5675803
종목으로는 좀 충격적인 것이 엔비디아입니다.
반등하면서 2%대 상승도 나오던 엔비디아가 –3.67% 하락입니다.
딥시크로 흔들리다가 반등에 성공하나? 했는데
트럼프와 만남이 있다는 기사에 제재 우려로 조정을 또 받네요.
1. 중국 치켜세웠던 젠슨 황 '변심'
딥시크 사태 후 트럼프와 회동
對中 반도체 수출 제한 논의
https://v.daum.net/v/20250202172609736
2. 트럼프, '딥시크 충격' 속 젠슨황 면담 … 엔비디아, 中 수출 더 옥죄나
트럼프, "좋은 만남이었다" … 내용은 비공개
엔비디아 측 "美 AI 리더십 강화 중요성 논의"
中, AI칩 우회 확보 의혹 … 추가 규제 논의된 듯
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02/2025020200050.html
만남 이후에도 별 기사가 없었는데 우리 기사는 젠슨 황이 대중 반도체 수출에 대한
논의를 했을 것 같다. 이걸 변심이라고 표현하는데, 저는 아니올시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절대 중국 시장 포기 안 한다고 보고요.
1. 싱가포르 정부, 딥시크 수출통제 자국 우회 의혹에 "美와 협력"
美, 딥시크가 美 수출통제 우회 엔비디아 반도체 확보 정황
통상산업부 성명 "엔비디아 등 美기업, 법규 준수 기대"
엔비디아의 싱가로프 매출이 전체 22% 차지
https://www.imaeil.com/page/view/2025020216120317751
엔비디아가 싱가포르 수출 비중이 2위인가 그렇습니다.
그래서 본격적 제재라면 싱가포르를 치겠구나! 이런 생각도 해보고요.
우회 수출 길을 중동이나 싱가포르 어느 곳을 관세로, 뭐로든 때리기 시작하면
엔비디아는 좀 불안함이 더 할 것 같고요.
딥시크 악재는 단기일 수 있다고 봤는데 트럼프 반도체 관세 공격으로
단기가 아니고 중장기로도 악재가 될 것 같습니다.
1. "애플, 폴더블 디스플레이 공급사 선정 임박"
2. 애플, 스마트 글래스 개발 중단했다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1444
3. 애플, 4분기 중국 매출 급감에도 월가 호평…왜?
D.A데이비슨의 길 루리아 애널리스트는 “애플 인텔리전스는 사용 가능한 지역 및 국가에서 아이폰 성장에 분명 도움이 되고 있다”며 “아직까지 당초 예상보다 느리게 출시되고 있지만 새로운 지역에서도 곧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루리아는 애플의 목표주가를 260달러에서 290달러로 상향조정했다.
https://www.bloter.net/news/articleView.html?idxno=630558
4. 테슬라 1.08%-루시드 1.47%, 니콜라 제외 전기차 일제↑(상보)
5. 테슬라 주가, 장중 5% 가까이 급등...월가, 테슬라 주가 상승에 냉랭한 분위기
https://www.beyondpost.co.kr/view.php?ud=202502010655166392aaae0046f_30
6. 실적 부진에도 주가 '훨훨'…월가 분석가 '짜증'
투자회사 딥워터 매니지먼트의 진 먼스터는 지난 29일 엑스(X·옛 트위터)에 "테슬라 주식은 방탄(bulletproof)처럼 보인다"고 썼다.
그는 "(테슬라의 4분기) 규제 크레딧 수익을 제외한 자동차 매출총이익률이 13.6%로 근 5년 내 최악이었고, 이런 수치는 엉망이라고 본다"면서 "투자자들은 이것을 신경 쓰지 않는다"고 짚었다.
이날 블룸버그 통신은 "테슬라 주식에는 더 이상 기업의 이익과 매출 수치가 크게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 투자자들을 끌어들이는 것은 일론 머스크의 이야기"라고 지적했다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2010227&t=NN
그다음 2종목은 애플과 테슬라입니다.
상승이었던 애플은 –0.67% 하락 전환 꽤 큰 폭 상승이었던 테슬라는 1% 상승인데
둘 다 대표가 뻐꾸기 날려서 주가 방어를 했는데
안 통했다! 저는 이렇게 봅니다.
애플이 중국 판매 실적 악화에도 상승해서 의아했고, 테슬라도 뭐 자율주행, 로보택시로
판매 둔화를 극복하는데 중국과 연관 지으면 뭐 좋을게 있나 싶고요.
이게 토요일 새벽 주가에 반영되었다는 생각입니다.
그런데 아마존과 구글은 1%대 상승을 유지합니다.
트럼프 관세에 벗어난 대형주 중 이 2 종목은 피해가 덜한 것 같습니다.
서학 개미가 엔비디아 담을 일이 아니고 아마존이나 구글, 메타를 담아야 할 것 같은데 말입니다.
여기까지가 종목 이야기고요.
트럼프와 머스크 이야기를 이제 연결해서 해보겠습니다.
관세 이야기는 주목해야 할 소식이나 개인이 이미 주말에 다 보셨을 것 같고요.
저는 트럼프와 머스크의 큰 그림을 해석해 볼까 합니다.
1. ‘관세 전쟁’ 포문 연 트럼프…무역 갈등 격화 예상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될 조치라고 강조했다. 그는 전날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이것은 협상 전략이 아니다. 미국은 이들 국가와 막대한 무역적자를 보고 있다”며 관세 수입이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단기적인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에 대해 크게 우려하지 않는다’고도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조치를 통해 향후 10년간 4조 6000억 달러에 달하는 감세 정책의 재원을 마련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의회예산국(CBO)에 따르면, 캐나다·멕시코에서 연간 9000억 달러어치의 상품을 수입하는 미국이 25%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연간 2250억 달러(10년간 2조 3000억 달러)의 세수가 확보될 수 있다.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1180303.html
2. 연준 금리 '운신의 폭' 좁아졌다…트럼프 "재무부 대출규제 완화“
3. 트럼프 "재무부가 불필요한 금융규제 감축하고 대출 풀 것"(종합)
금리인하 기대 부응 안 한 연준 비판…"연준의 은행규제 형편없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130013951071?input=1195m
다 아실 것 같은데. 트럼프는 개인 소비세 감세나 기업 감세 등으로 부족해지는
제원을 관세 부과로 대체하겠다는 것입니다.
이러니 미국인은 열광하는 것이고요.
연준이 금리 인하 안 하면 재무부에서 대출 규제 완화하면서 양적 완화 하겠다고 합니다.
이러니 미국 주식 투자자들이 또 열광하면서
미국으로. 미국으로 자금이 향할 것 같고요.
1. 트럼프 "달러 대체 노리면 100% 관세"…'중러 주도' 브릭스 경고
"브릭스 통화 신설하거나 달러 아닌 다른 통화 밀어도 美시장과 작별할 것"
https://www.yna.co.kr/view/AKR20250131053100009?input=1195m
달러에 도전하면 박살 내겠다고 협박도 합니다.
이러니 달러가 강력해집니다. 108.22까지 오네요.
달러/원은 다시 1455원까지 반등했습니다.
1. 트럼프發 강달러 랠리…캐나다달러 가치 20년來 최저
신흥국 통화위기 우려
멕시코 페소 하루에만 1% 급락/ 달러인덱스 109.39 사상최고치
멕시코·캐나다 화폐의 가치 하락은 트럼프 관세가 불러온 강달러 기조에 따른 반응이다. 많은 전문가가 이미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미국에 고물가·고금리 환경을 조성해 전 세계 자금을 미국으로 쏠리게 만들고 달러 강세를 촉발할 것이라는 경고를 해왔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부터 관세 폭탄을 언급할 때마다 달러는 치솟고 달러에 영향을 받는 신흥국 통화는 추락하는 등 극심한 변동성을 보였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OTBO8IQO
보여드리는 그림은 달러/캐나다달러. 달러/멕시코 페소화 흐름인데요.
특히 페소화에 집중해서 해석하면
트럼프 관세로 물가상승 걱정하지만, 페소화는 급락하고 달러는 강해지면 말입니다.
관세로 오른 가격을 상쇄할 수 있겠죠.
페소화 하락으로 미국에서 수입 가격은 하락하고
달러는 강하니 또 싸게 사는 효과가 있고요.
멕시코는 죽을 맛이지만 달러가진 미국은 룰루랄라 노래 부를 일이죠.
요즘 우리 유튜브 영상 중 예를 들면 DB금융 문홍철 팀장 같은 사람은 트럼프를 더 신뢰하자! 이런 류의 주장을 하고요.
이런 큰 그림을 그리고 시장을 움직이는 트럼프라면 다른 것이야 손가락질할 일이 수도 없이 많지만 주식 시장에는 신뢰를 주나? 이런 생각도 하게 되고요.
1. "머스크측, 연간 5조 달러 집행 재무부 결제시스템 접근권 획득"
"정부 지출 감시·제한 위한 강력한 수단 갖추게 돼"…민주당 반발
https://www.yna.co.kr/view/AKR20250202048200009?input=1195m
2. 자금 통제권·인사 정보도 틀어쥐었다…연방정부 점령한 머스크
재무장관, DOGE에 결제시스템 접근권
연간 5조弗 규모 자금 집행 관여/ 의회승인 예산에 통제수단 확보
정부와 계약한 경쟁사 정보 취득/ 이해상충 우려 등 논란도 거세져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OTAZKETJ
3. "당신 성과가 뭐야?" 트위터 해고해본 머스크, 정부에서도…
'측근' 구조조정 전문가 대거 영입,
수백만 공무원에 "사표내라" 메일…/ "성과 증명" 요구, 정서적 압박까지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13115105237019
트럼프 뒤에서 움직이는 머스크의 움직임도 주목해야 합니다.
정부 개혁으로 올해 안에 인플레 0% 만들겠다고 나서죠.
지금 하루 미국 정부 지출을 10억 달러씩 감소시키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주말에 머스크가 이제 재무부의 결제 시스템에 접근하는 권한을 가졌다고 하네요.
앞에서 트럼프가 관세로 때리면서 미국 우선주의를 실천하고
뒤에서 머스크가 정부 개혁으로 트럼프 관세 부작용 물가를 잡고요.
야 이제 무슨 재무부 결제까지 관여한다고 하네요.
이거 거의 대통령 다음 권력 가진 것 아닙니까?
기업에서 하듯이 업무 성과 질문하고 답 못하면 해고인가 봅니다.
이게 기업에 하듯이 공무원 대상으로 개혁이 성공한다면
미국은 또 화려한 전성기를 만들 것 같고요.
만약 실패한다면 미국은 강력했던 무소불위의 위치가 흔들릴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앞으로 미국 중간 선거 전까지 트럼프와 머스크의 개혁이 성공하는냐, 마느냐에 따라
시장 방향이 결정될 것 같습니다.
1. 팔란티어 1.56% 상승, 사상 최고치 경신
2. 저커버그 자신감 통할까…메타, 딥시크 충격에도 주가 강세
3. ‘챗GPT’ 아버지 샘 올트먼, 오픈AI 기술 무료 공개하나
샘 올트먼의 반성…"오픈AI 잘못된 길 걸어와, 오픈소스로 전환 검토"
챗GPT 폐쇄형 모델로 운영
'오픈소스' 中 딥시크 충격에
일부 기술 공개 가능성 비쳐
https://v.daum.net/v/20250202181804782
마지막으로 미국 시장이 토요일 새벽 흔들릴 때도
팔란티어는 사상 최고치 경신하고요, 브로드컴은 2.6%, ARM은 4% 상승입니다.
샘 올트먼은 소스 공개 언급했는데 진짜 무료 AI 발표를 하네요.
팔란티어는 이번 밀입국자, 불법 체류자 분류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합니다.
오늘 반도체가 약세일 것 같고, AI 관련주도 흔들릴 것 같지만
미국 시장처럼 일부 AI와 반도체는 방어도 할 것 같습니다.
1. BofA “M7은 잊어라...저렴한 해외 주식 매수해야”
하트넷 전략가는 유럽과 일본 은행주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두 부문 모두 글로벌 비즈니스 활동이 전환점을 맞이하는 시점에서 "저평가되고 외면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현재 유로스톡스 은행 지수는 2007년 정점 이후 67% 하락했고, 일본의 토픽스(TOPIX) 은행 지수는 1989년 고점 대비 74% 하락했다.
하트넷은 또한 경제 성장률 회복에 대비해 원자재, 하이일드 채권, 해외 주식 및 광산업과 같은 '구경제(old-economy)' 부문에 투자할 것을 권고했다.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5020104483415623bc914ac71_1/article.html
그리고 유럽, 일본 은행 주목하자는 기사도 나오네요.
지금은 지수보다 종목에 더 집중해야 할 때인 것 같습니다.
1. "역사적 증시 대폭락 온다" 섬뜩한 경고…금·은 ‘빛’ 볼까
안전자산 수요 자극되나…금 투자 '주목'
투자 방법은 ETF·현물·금 통장 등
고공행진 금값대신 은도 '주목'…향후 전망은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669526642066256
2. '트럼프 관세폭탄'에 루이비통 공장 설립 만지작…美 투자 러시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국제유가 트럼프 정부 관세 보도에 따라 롤러코스터, 천연가스는 보합세 유지
천연가스,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05달러(0.16%) 상승한 3.052달러
WTI는 전장 대비 0.20달러(0.275%) 내려간 배럴당 72.53달러에 마쳐
2. 트럼프 관세 강행하자 하락하던 WTI 1.28% 상승 반전
3. "불확실성 고조시기, 투자는 역시 금"
4. 트럼프의 `약한 고리`…캐나다 원유에는 10% 저율관세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20302100332781001
트럼프 관세 기사가 미국 시장 오후에 나오면서 원자재 시장도 다 하락입니다.
덜 내린 곳이 천연가스 정도
대부분 다 하락입니다.
오늘은 하락이 더 심해질 것 같고요.
1. 미국은 세계 최대의 원유 생산국이지만 실제 에너지 산업 생태계가 자급자족할 수 있는 구조로 짜여 있지는 않다. 석유업계와 에너지정보국 등에 따르면 미국 내에서 처리되는 전체 원유의 약 40%가 해외에서 수입되고, 캐나다산은 수입 원유의 약 60%를 차지한다. 반면 멕시코산 원유의 비중은 7%에 불과하다.
이는 캐나다산 원유에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경우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뜻한다.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20302100332781001
캐나다 원유 관세 부과가 유가 시장에 어떤 영향일지가 주목됩니다.
일요일 개장한 사우디는 –0.05%, 이스라엘은 0.37% 정도 상승이어서
원유 시장은 큰 악재가 아닌가? 이런 생각도 들고요.
캐나다 원유 관세 움직임이 관심이 높아지네요.
원자재 시장은 계속 관망입니다.
1. ‘온실가스 배출 2위’ 미국, 국제사회 기후 대응 노력에 찬물
[토요기획] 극단적 현상 오가는 이상기후
트럼프 美 대통령, 취임 첫날 ‘파리협약’ 탈퇴 선언…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14% 차지
기후위기 대응하는 ‘파리협약’ 탈퇴… 전문가들 “국제협력에 심각한 분열”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50131/130948328/2
2. "美 정책 변화에도…ESG 큰 후퇴 없을 것"
트럼프, 취임 직후 파리협약 탈퇴
EU도 환경 등 규제 완화 움직임
전문가 "탄소포집 투자 지속될 것"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279981
3. K태양광 다시 기지개 켜나.. 미국·유럽시장 향한 '기대와 과제’
미국·유럽 태양광 수요 확대 기대감.. 정책 불확실성·중국 공세는 변수
https://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3108
리튬 앨버말은 –1.7% 하락인데 태양광 퍼스트솔라는 보합입니다.
미리 많이 내려서인지 트럼프 관세 부과가 태양광에는 호재로 작용하는지
봐야겠습니다. 미국 시장이 오후 시장에 밀렸는데 퍼스트솔라는 반등해서 보합권 마감이라
우리 OCI나 한화솔루션 오늘 움직임은 어디로 향할지가 궁금해지는데
살짝 기대감 가지는 것이 솔직한 심정입니다.
1. 미국 '좀비마약 전쟁' 끝나나…펜타닐 대체 신약 20년만에 허가
2. 비마약성 진통제 신약 나왔다…"통증 신호 뇌 도달 전 차단"
중독성 있는 오피오이드 대체 가능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3165207
3. “내놓은 건 안 팔리고”…‘자산 매각’ 나선 롯데, 원매자와 ‘동상이몽’
ATM사업·롯데케미칼 해외 계열사 등/ 부산 센텀시티점 매각도 사실상 중단
예비입찰·실사 과정서 매각 불발되기도/ “몸값 이견 커…구조조정 쉽지 않을 듯”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590806642066256
지난 금요일 삼성바이오가 상승 출발했다가 –0.55% 마감인데
미국 시장에서 일부 제약이 좀 움직여서 오늘 우리 방어 역할은 제약 바이오가 할까?
이런 기대감도 있고요.
1. 美·中서 설자리 줄어드나... '수출 효자' K푸드도 긴장 [글로벌 관세전쟁 시작]
관세 여파 양국 농식품교역 줄면
자국내 공급 늘어나며 가격 하락
현지서 韓 제품 경쟁력 떨어질듯
https://v.daum.net/v/20250202192410555
2. 2년 연속 1조 넘긴 김 수출 '사상 최대 실적' 이어갈까
아래 트럼프 관세 기사 모음을 두었습니다.
언급하려고 하다가 기사가 워낙 많아서 글 보실 분들이 이미 다 아실 내용 같아서
기사로만 올려드리고 아시아 시장 이야기에서 자동차 이야기는 충분히 해 두었습니다.
저는 관심이 식품하고 화장품인데요.
이번 관세 부과 소식에 식품주, 화장품주가 어떤 길을 갈지가 주목됩니다.
트럼프 관세가 미국에서 돈 벌면 때리는 것이라
피해 주가 될지? 아니면 찻잔 속에 태풍 정도로 비켜 갈지?
이 두 업종을 지켜볼 생각입니다.
1. 트럼프 “향후 철강·알루미늄·석유·가스·반도체 등에도 관세”
2. "캐나다·멕시코 관세는 역사상 가장 멍청한 전쟁"-WSJ 사설
"마약 유입 정당화 명분은 핑계일뿐 말이 안 되는 논리"
"자급자족 불가능…미 자동차산업 두 나라 없이 유지 안돼"
농업에도 큰 혼란 "갑자기 아보카도 민족주의자라도 됐나"
https://v.daum.net/v/20250201095714396
3. "아보카도 90%·픽업트럭 88%가 멕시코산"…美 '물가 쇼크' 불가피
자동차나 식품값 상승이 불가피해 보인다.
4. 아보카도 90% 멕시코산, 원유 56%가 캐나다산…美 물가쇼크 시간문제
동맹도 적도 없는 '트럼프 스톰'/ 농산물 수입 절반이 加·멕시코산
美기업들 수익성 악화도 불보듯/ 가구당 세금부담 年121만원 늘고
수입차 가격 418만원 인상 전망/ "1년 이상 금리인하 없을것" 지적도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OTB2JT5L
5. 中보다 동맹 더 세게 때린 트럼프…'관세-보복관세-재보복' 악순환
"美 붙어보자"…캐나다·멕시코, 즉시 보복 관세
트럼프 관세' 4일 발효…결국 총성 울린 통상전쟁
트뤼도 "155조원 규모 美 제품에 25% 부과할 것"
멕시코, 관세·비관세 모두 준비…中은 WTO 제소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279931
6. 보복엔 보복…'관세전쟁' 총성 울렸다
트럼프, 加·멕시코 25% 부과…中엔 10% 추가
"펜타닐 유입 차단…보복땐 관세 확대" 행정명령
加·中 등 즉각 맞불조치…글로벌 경제 '시계제로'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OTC3IBK2
7. 美 3대 무역국 때린 트럼프…'무차별 관세' 공격에 인플레 비상
취임 2주도 채 안되서 트럼프發 관세전쟁
美 수입 3대국 멕시코·캐나다·중국 대상
관세 부과 상대국 '눈눈이이', '맞불' 대응
"공급망 재편한 삼성 등 亞기업도 타격"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863046642066584
8. 韓 배터리·가전·車, 캐나다·멕시코에 생산기지…타격 불가피 [트럼프 관세전쟁]
트럼프, 캐나다·멕시코 관세 부과 현실화
한국 등 아시아 국가 다음 관세 표적 될 수도
캐나다·멕시코 생산 기지 둔 한국 기업 타격 클 듯
https://www.imaeil.com/page/view/2025020215270029611
9. 멕시코 진출 韓 기업 525곳…"필요땐 車·가전 등 생산지 조정"
총성 울린 관세전쟁…북미 투자기업 단기충격 불가피
작년 對멕시코 투자 역대 최고
고율관세 탓 대미 수출 직격탄/ "할인판매로 수익성에 악영향"
외신 "다음 타깃은 한국·대만"/ 환율 1470원대로 치솟을 수도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OTB7US1J
10. 멕시코 진출 韓기업 생존전략 … 가전공장 美 이전, 車는 유럽 수출
기아·LG전자·동국제강 등
美 관세 대응책 마련에 분주/ 韓, 美의 8번째 무역적자국
트럼프의 관세 표적 가능성/ 정부차원 대미 협상카드 시급
미국산 원유·LNG 수입 늘리고/ 조선·원전 분야 한미협력 강화
https://www.mk.co.kr/news/world/11230485
11. "수천만 달러 투자했는데"…캐나다에 공장 짓는 韓기업들 날벼락
부품사 한온시스템 이어 현대차·기아 가격 인상 가능성도
LG엔솔 윈저 공장도 타격...캐나다 총리 사임 겹악재
https://www.ajunews.com/view/20250202142427488
12. 트럼프가 보고 겪은 한국은…‘방위비 안 내는 부자 나라’ [트럼피디아]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50202/130825136/1
13. 배터리 3사, 올해 설비투자 20조원 전망…'규모 줄어도 미국은 지속'
https://www.etnews.com/20250131000175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트럼프 관세에 中 전문가 "예전의 중국 아냐"
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딜런 로 싱가포르 난양공대 외교정책 전공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그간 중국에 대해 60% 관세를 여러 차례 공언해온 점을 지적하며 이날 발표된 10% 관세는 "상당히 스케일이 줄어든 것"이라고 평가했다.
https://v.daum.net/v/20250202135101389
2. 딥시크 등장으로 中 AI 칩 국산화 속도↑···반도체 시장 재편 신호탄
삼성전자 “단기적 기회요인과 위험요인 공존”
ASML “반도체 생산 수요증가에 기여할 것”
https://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409151
오늘까지 중국 본토 시장은 휴장이고요.
홍콩은 개장합니다. 미국 중국 관세 10%에 홍콩 시장은 좀 흔들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미국 시장에서 바이두 –4%, 알리바바. 핀둬둬, 징둥이 –3%대 하락이었습니다.
전기차도 안 좋았고요. 리오토, 니오가 –2%대, 지커가 –1%대 하락 정도
전반적으로 약세지만 중국 반도체, AI 관련 업종이나 종목은 선전할 것 같습니다.
내일 개장 때는 창업판이나 과창판 일부 종목 강세도 나올 수 있을 것 같고요.
1. 세계 최고 빅테크들 따돌렸다…中 헤지펀드는 어떻게 딥시크를 만들었나 [테크토크]
퀀트 개발자는 AI 산업의 숨겨진 재능풀
네트워크, 칩, 수학, 프로그램 다룬 이들
이제 딥러닝 분야서 두각 드러내기 시작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13114442782663
2. AI 골드 러시! 기술 산업 투자 경쟁, 자본 지출 3000억 달러 달성
https://money.udn.com/money/story/5612/8521569?from=ednappsharing
3. AI 열풍이 온다! OEM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Hon Hai, Quanta 등이 올해 성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https://money.udn.com/money/story/11162/8521572?from=ednappsharing#
4. 중국 YMTC, 세계 최고 294층 낸드플래시 양산 성공
삼성전자 286층 개발 진행, SK하이닉스 2024년 중반까지 321층 출시
https://m.g-enews.com/article/Global-Biz/2025/02/202502011846208618fbbec65dfb_1
중국 AI와 반도체 기사들인데 제법 호재가 될 것 같습니다.
1. “바닥 찍었나”… 中 증시 하락에도 ETF 사들이는 개미들
1월 ETF 하락률 50위 안에 中 투자 상품 14종
개인 투자자, 中 ETF 80억원 규모로 순매수
장기 투자는 아직… 증권가 “단기 반등 가능성 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50486
우리 시장에서도 중국 ETF 매수가 들어오기 시작한다고 하네요.
어떻게든 사야만 한다는 전제라면 과창판, 창업판은 주목해야 할 것 같습니다.
1. “중국에 정보 유출될라”…美·유럽, ‘딥시크’ 단속 나서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131508691
2. 中 딥시크發 AI 기술혁신…긴장한 美 "제재 더 세진다"
'스푸트니크 모멘트'에 비견되는 딥시크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
中 2017년 '차세대 AI 발전 계획' 수립 "2030년 美 따라 잡는다"
정부 전폭 지원으로 AI 기술혁신 성과 …AI 엔지니어만 200만명
美 딥시크 성과 애써 깎아 내리며 AI 반도체 수출 통제 확대 검토
https://www.nocutnews.co.kr/news/6285677
악재가 없는 것은 아니죠.
딥시크로 미국의 제재가 더 치밀해지고 미국, 유럽에서 딥시크 사용 금지도 나오고요.
중국 시장은 이걸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달린 것 같습니다.
1. 단독 보도: 폭스바겐, 인도를 상대로 '엄청난' 14억 달러 세금 요구 무산을 위한 소송 제기
2. BYD: 1월 신에너지차 판매량은 약 30만5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49.16% 증가
주식 거래에 관해서는 Golden Kylin 분석가의 연구 보고서를 살펴보세요 . 그들은 권위 있고, 전문적이며, 시기적절하고 포괄적이어서 잠재적인 주제별 기회를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BYD( 274.500 , -4.58 , -1.64 % ) 주가는 2025년 1월 신에너지차 생산량이 약 327,900대로 전년 대비 59.48% 증가했으며, 판매량은 약 300,500대로 전년 대비 10.5%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 전년 대비 49.16% 증가.
https://finance.sina.com.cn/stock/s/2025-02-02/doc-ineiaxkv8393745.shtml
3. 잘나가는 BYD가 부실덩어리? 숨겨진 부채가 무려 60조7천억 원
https://v.daum.net/v/f3RmMb1mm9
우리 언론에서 비야디 부정적인 기사를 계속 올리네요.
품질이 안 좋다. 호주에서는 몇 달 안 되었는데 부식이 생겼다.
에어컨에서 흰 가루가 나온다 등등
3번 기사는 숨겨진 부채가 어마어마하다는 등 비야디 부정적 기사를 생산하는데
비야디가 1월 생산이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 소식은 안 전하죠.
과거 배터리 때도 이랬습니다.
중국 배터리 성능이나, 특허 등 아주 낮게 보다가 당했죠.
우리 배터리 우수성 전하고 말입니다.
언론이 그때 제대로 역할 했다면 지금의 배터리 모습이 좀 변했을 것 같은데 말입니다.
비야디나 중국 제품 기사를 이런 식으로 뽑으면 우리 경쟁력에 도움이 안 된다는 생각입니다.
1. ‘중국산=성능 저하’ 공식 옛말… 국내 산업계 전반 불안감 확산
반도체·배터리, 중국 저가 공세에 직격탄
비야디 진출로 자동차 시장 위기감 고조
샤오미, 지커 등도 한국 자동차 시장 노려
조선업은 고부가가치선박서 우위 경쟁력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5020211474720437
언론이 진실을 제대로 이야기 해야 우리 산업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겠죠.
1. 트럼프 2월 1일 관세 강행…어떤 주식들이 타격받나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로 가장 큰 타격을 입게 될 분야로는 멕시코, 캐나다와 중국에 익스포져가 큰 미국 자동차 산업으로 꼽혔다. 에버코어 ISI의 크리스 맥날리 애널리스트는 제너랄모터스(GM), 포드, 스텔란티스는 물론 공급업체들의 주가에도 변동이 클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특히 멕시코에 관세가 10%씩 부가될 때마다 GM와 포드의 주당순이익(EPS)가 각각 20%, 10%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RBC 캐피탈마켓의 톰 나라얀 애널리스트는 “멕시코 관세는 미국 자동차 소비자에게 매우 파괴적이고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또 테슬라, 리비안, 루시드 등 전기차 업체에 이어 차지포인트, 빔 글로벌, 블링크 차징 등 전기차 충전 기업들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전했다.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50201024210638
2. 트럼프, 멕시코·캐나다 25% 관세 강행…국내 車업계 여파 우려
기아·현대모비스, 관세 대응책 마련
생산지 조정·가격 전략으로 대응
“트럼프 1기처럼 협상 가능성 있어”
https://www.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2895
3. 멕시코·캐나다 현지 공장 둔 삼성·LG·현대車도 비상… 전략수정 불가피 [뉴스 투데이]
‘美 관세폭탄’ 한국도 사정권
일부 물량 美 공장 등서 제작 검토
재계 “정부, 통상 압력 최소화해야”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202508406
4. 미국의 주요 수입품:
멕시코: 자동차, 트럭, 버스, 전자제품
캐나다: 석유, 자동차, 부품, 보크사이트, 알루미늄 (에너지 제품은 10% 관세)
중국: 휴대폰, 컴퓨터, 장난감, 의류·섬유, 스포츠 용품 등
트럼프 멕시코 관세 부과로 타격을 가장 심하게 받을 곳은 기아가 될 것 같습니다.
오늘 기아 움직임 잘 지켜봐야 할 것 같고요.
전체적으로는 자동차 역시 부정적인 부분이 상당한 것 같습니다.
1. 내수 위축에도 SUV는 팔린다… 신차 줄줄이 대기
2. 현대차 1월 美 판매 전년대비 15%↑…기아도 12% 증가
3. 현대차, 1월 美판매 15% 늘어…역대 최대
美시장 하이브리드 공들인 현대차그룹… 1월 역대최고 실적
4. 현대차·기아, 1월 美 판매 질주
11만대 팔아…1월 역대 최대/ 싼타페 하이브리드 160% 증가
5. “미국인 현대차 사랑 못말리겠네”…1월 판매량도 역대 최대, 효자 모델은
1월 미국 판매 15% 늘어난 5만4500대
현대차의 경우 모델별로는 싼타페 하이브리드(HEV) 판매량이 작년 동월보다 160% 증가한 것을 비롯해 투싼 HEV(89%), 아이오닉 5(54%), 아이오닉 6(15%) 등 차종의 판매량이 증가하며 역대 1월 판매 기록을 경신했다.
https://www.mk.co.kr/news/business/11230548
악재만 있는 것은 아니고요.
미국 1월 자동차 판매에 현대차, 기아가 1월 역대 최대 판매를 달성합니다.
이건 호재죠. 보조금 안 받아도 잘 팔리는 자동차가 있으니 말입니다.
오늘 관세와 판매 호조, 호, 악재의 싸움 같습니다.
부디 호재가 이기길 바래야죠.
1. ‘순환출자’ 해결할 정의선의 마지막 퍼즐…핵심은 현대모비스
[숙제로 남은 지주체계] ② 후진적 지배구조 해결 시급
순환출자 해소 위해 현대모비스 지분 확보 나서나
미래사업 재편과 지배구조 개선 동시 진행 “쉽지않아”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50202029300582
2. 현대차·기아 잘 나갈수록 부품 계열사들 박탈감 커진다
부품 계열사들이 내연차 시대에 현대차·기아에 부품을 공급하는 것만으로 생존하던 데서 벗어나 미래차 시대에 걸맞은 독자 생존 방안을 찾으라는 현대차그룹의 방향성은 앞으로 더 뚜렷해질 전망이다.
https://www.khan.co.kr/article/202502021830001
지배구조나, 실적으로나, 최근 주가를 보나,
현대모비스 흐름이 좋습니다. 다른 부품은 현대차, 기아만 쳐다보는데 현대모비스는
다른 자동차 업체에 밥품도 상당히 하고요.
자동차 3총사 중에는 현대모비스가 1순위로 보면서 시장 볼 생각입니다.
# 우리 시장 이야기
1. 트럼프가 던진 ‘관세 폭탄’...한국도 비상
2월 1일(현지시간)부터 캐나다·멕시코·중국 관세 인상
철강 및 반도체 등에 대해서도 관세 인상 시사
구체적 국가는 언급 안 해
한국 기업에 어떤 영향 미칠지 이목 집중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2016667b
2. 中 AI발 쇼크 증시 강타… K반도체 15조 증발·외국인 1.6조 매도
수급으로 보면 금요일 어마어마한 일이 생겼죠.
외국인이 코스피를 –1조 1679억 매도입니다.
그런데 전기전자를 –1조 3135억, 운수장비를 –1264억 매도입니다.
제가 1월에 삼성전자 외국인 보유율 앞자리가 4자로 바뀔 것 같다고 했는데
31일 외국인 보유율이 49.99%입니다.
기관이 200만 주 매수하면서 방어했는데도 –2.42% 하락입니다.
엔비디아에 비해 덜 내렸다고 볼 수도 있을 것 같고요.
연휴 중 MSCI 한국 지수가 5거래일로 보면 –1% 정도 하락이어서 금요일 하락폭은 그 근처가 되지 않을까? 이런 전망을 했는데
선물이 –1% 코스피는 –0.77% 하락이어서 전망과 비슷하게 흘러간 것 같습니다.
연휴 전 24일 올린 외국인 수급이 급락을 막고 일정 부분 반등도 시켰다는 생각입니다.
속임수 수급일 수도 있는데 8시 45분 시작한 선물에서는 외국인이 처음은 선물 매수로 시작했고요. 9시 정규장 때는 프로그램 매수도 있었고요.
하루로 보면 W자여서 역방향 진입한 투자자라면 탈탈 털렸을 것 같습니다.
수급으로, 야! 내리나 보다! 이렇게 보면 9시 15분대에 반등도 하고 힘이 좋네!
우리 시장은 나스닥 선물 상승에 반등하나 싶으면 또 10시 10분대부터는
또 밀리고요. 그래 급락장이네! 미국 시장이 그렇게 하락했는데
그렇게 하방 보면 12시부터 급반등하고요.
이러니 파생시장은 개인 투자자가 탈탈 털리기 쉬운 시장이었다는 생각입니다.
현물 외국인 –1조 1679억 매도에 선물 –4000억 매도
콜 –41억 매도 풋 18억 매수면 2월 14일 옵션 만기 외국인은 하방으로 좀 잡는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큰 수급 변화가 없다면 2월 옵션 만기도 외국인 하방으로 좀 흔들린다고 보고
대응할 생각입니다.
지수가 2600 돌파를 못 하고 2500 중반이 박스권 상단이고
2400선이 박스권 하단으로 박스권 만들면 그나마 다행이고요.
2월 옵션 만기 전까지 직전 저점을 깰리?
3월 선물, 옵션 동시 만기까지 밀지는 더 지켜봐야 할 것 같고요.
지수로 보면 좀 힘든 구간에 진입했다는 생각입니다.
1. ‘33년 왕좌’ 내준 삼성전자, 메모리 ‘초격차’ 더 벌어지나
4분기 반도체 영업익 2.9조…기대치 하회
“경영현황 어렵지만 단시간 내 해결”
SK하이닉스는 HBM3·HBM3E 공급을 사실상 독점하며 AI 반도체 시장의 최대 수혜자로 자리매김했다. 주력 제품 중 하나인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3E)는 엔비디아의 고성능 칩 H100 등의 핵심 부품이다. 하이닉스가 지난해 4분기 HBM에서 올린 매출은 5조8510억원으로 전체 D램 매출의 40%를 차지한다. 삼성전자 전체 D램 매출 중 HBM의 비중(10% 초중반, 2024년 3분기 기준)의 2배를 뛰어넘는 격차가 발생한 셈이다.
https://www.f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6328
2. [칩톡]메모리도 '딥시크 충격'…저성능 HBM 수요 커지나
대규모 연산 보조하는 부품
AI칩 발전과 함께 진화 거듭/ 저성능 칩 수요 높아지면/ HBM 역시 고성능 수요↓
SK하이닉스·삼성전자 등/ 시장 전략 수정 불가피/ HBM 제품 전반 가격대
현재보다 낮아질 가능성/ 韓기업에 고부가가치 제품/ 가격 하락하면 실적악화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13103551663155
3. 마침내 엔비디아 뚫은 삼성전자...HBM3E 8단 공급 승인 얻어
4. 삼성전자 반도체 영업익 2.9조… “6세대 HBM4 하반기 양산 목표”
삼성전자 "1Q HBM3E 개선 제품 공급…HBM4는 하반기 양산 목표"
5. 삼성전자 “HBM3E 개선 제품 1분기 말부터 고객사 공급”
메모리 한파, 삼성전자 전략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0913
6. "삼성, D램 근원 기술력 최우선…6세대 HBM4서 반전 이뤄야"
7. 부진한 실적 받아든 삼성전자…D램 비중 줄이고 HBM비중 확대 ‘사활’
D램 비중 한자릿수 수준까지 축소…HBM 공급량 전년比 2배 확대
파운드리, 2나노 2세대 공정 PDK 고객사 배포예정
MX·VD·생활가전, AI 서비스 앞세워 수익성 강화
딥시크 등 급변하는 대외환경에 적기 대응할 방침
https://www.g-enews.com/article/Industry/2025/02/2025020203215973046ed0c62d49_1
8. 삼성전자 "3개월간 자사주 3조원 취득 및 소각"
실적발표 콘퍼런스콜 주주환원 계획 설명 위기 극복 의지 표명
"나머지 7조원 실행 시기 방법 등 차후 구체화되는 대로 공유"
"다양한 포트폴리오 주요 사업 경쟁력 이슈 점차 회복 가능"
9. [단독] 넷리스트, 삼성전자 DDR4 영구 제조·판매 금지 청구 기각
삼성전자, 앞선 판결서 패소
넷리스트, 법원에 영구금지 요청
法 "일시불로 라이선싱 완료, 기각"
https://www.seoulwire.com/news/articleView.html?idxno=636600
우리 시장이 W자를 만든 원인 중 하나가 삼성전자 HBM 납품 소식이었지 않았나?
개장 전에 블룸버그 발 삼성전자 엔비디아 납품 소식이 나왔고
갭 하락한 선물이 급반등하고요.
그리고 참 걱정스러운 것은 엔비디아 납품 소식에도 –2%대 하락이고
외국인 보유율 50%가 무너진 것이죠.
내용을 살펴보니 중국에 들어가는 저사양 AI 칩에 납품하는 것이어서
삼성전자 엔비디아 납품이 큰 호재로 작동은 안 되는 것 같습니다.
1. SK하이닉스 '쇼크' 딛고 반등 전망[딥시크 파장 주가 어디로①]
"1분기 실적 둔화 숨고르기, 저가 매수 기회"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131_0003048805
2. HBM이 가른 희비…SK하이닉스, 삼성 메모리 반도체 추월
기관이 삼성전자는 200만주 매수하면서 방어했는데 하이닉스는 3만 6천주 정도
매도하면서 방어를 안 해주네요. 외국인이 –198만주 정도 던지니
-9.86% 하락입니다. 엔비디아 악재를 고스란히 받는 모습이고요.
24년 처음에는 물려도 반도체였고, 하반기에는 물려도 하이닉스였고
느낌은 이제 물려도가? 안 통할 것 같은 느낌도 드네요.
장기로 보면 모르겠지만 하이닉스가 –9% 얻어맞은 저 자리는 상당히 부담스러운 자리가 될 것 같습니다. 어렵게 22만원 돌파하다가 한 방에 훅 가버렸네요.
작년 하이닉스 고점 중에 외국인 보유율이 56%대 정도였고
24일 하이닉스 외국인 보유율이 55.89%에서 밀렸는데
2월은 외국인이 하이닉스 보유율을 낮추는 기간 진입하지 않을까?
삼성전자는 자사주 소각, 대주주 반대매매 우려로 5만원 선은 지키려는 움직임도
있을 것 같은데 하이닉스은 삼성전자에 비해서 방어 힘이 좀 약할 것 같고요.
뭐 2월 조정은 하이닉스 위주로 나오지 않을까?
그래서 물려도 하이닉스는 잠시 유보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마이크론이 –1%대 하락 91달러 마감인데
작년 8월부터 80달러가 깨지면 반등을 제법 잘했습니다.
이번에도 110달러 대에 왔다가 밀리는데 이번 주에 다시 80달러대에 오는데
쌍둥이 하이닉스가 마이크론보다 더 잘 달렸는데 이번에는 또 비슷한 흐름으로 갈 것 같다는 생각이고요.
오늘도 엔비디아 –3%대, 마이크론 –1%대 하락이니
AI 반도체 약세는 확실해질 것 같고요.
트럼프 반도체 관세 우려까지 더해지면서 얼마나 덜 내리느냐가 관건이겠습니다.
1. 상법 개정 논쟁 ‘현재 진행형’ …증권·운용업계 ‘촉각’
민주당, 이달 임시 국회서 처리 예고
개미 vs 재개 찬반 팽팽 속 추이 주목
https://www.dailian.co.kr/news/view/1456138
2. 호실적·고배당 매력 솔솔… 기업銀 '은행주 빅4' 굳히나
3. 삼성화재, 2028년까지 주주환원율 50% 확대…"밸류업 동참"
자사주 비중 5% 미만 축소키로
"K-ICS 비율 220% 수준 관리"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315797i
4. 주총시즌 앞두고 커지는 자사주 모멘텀...'소각' 3배 가까이 늘어
https://www.fnnews.com/news/202502021139078526
5. 작년 자사주 소각 13조9천억 7년만에 최대
주주행동주의 확대 따라
자사주 매입·소각 늘어날듯
https://www.fnnews.com/news/202502021817407852
딥시크, 트럼프 관세로 지수 약세는 당연할 것 같은데
이제 남은 것은 우리는 밸류업입니다.
2월 중에 탄핵 인용되고 조기 대선이 시작되고, 야당이 상법 개정에
본격적으로 나선다면 일시적으로 해외 악재보다 우리 단독 강세도 나올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지금은 아니지만, 어느 순간 저점 매수 기회도 나올 수 있다는 생각인데
2월 말일지? 3월 선물 옵션 동시 만기 이후 일지?
3월 31일 공매도 재개 때일지?
상법 개정 추진 때일지? 개정이 시작될 때일지 모르겠지만
우리는 우리 시장 단독으로 움직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각자 시장에 대한 기준점을 잘 만들고 대응해야 할 것 같습니다.
1. 뚜껑 열어보니 ‘어닝 쇼크’...위기의 한국 기업들
4분기 실적 공개 상장사 70%가 컨센서스 하회
영업이익 추락한 기업도 상당수
코스피 EPS 하향 조정 예상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2027391b
2. 반도체 호조에도 수출 16개월 만에 감소…일평균은 7.7%↑(종합2보)
설 연휴에 1월 수출·수입 10.3%·6.4% 감소…무역적자 18.9억弗
반도체·컴퓨터SSD 수출 증가…일 평균 수출은 10개 품목 상승
반도체 9개월 연속 100억弗 넘어서…조업일수 줄며 車 19.6%↓
중국 수출 91.9억弗 14.1%↓…미국 수출액 92.9억弗 9.4% 줄어
2월 중 수출전략회의 개최…범정부 비상수출 대책 발표 예정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201_0003049514
3. 1월 수출 10.3%↓,16개월만에 마이너스…설연휴 조업일수 감소 영향(종합)
조업일수 감안 일평균 수출 7.7%↑ … 역대 1월 기준 두번째 높아
반도체, 9개월 연속 100억달러 이상 달성…對美 수출, 對中 앞질러
정부, 범정부 비상수출대책 발표…민관 합동, 트럼프 2기 행정부 대응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409636
코스피 PBR 0.8배 근처는 담을 때라고 하지만
1번 기사처럼 코스피 실적이 낮아지면 2400대가 0.8배가 아닐 수 있습니다.
조업 일수 감소 때문이기도 하지만 1월 수출이 감소하죠.
반도체가 그나마 살렸는데 미국 반도체 관세 부과, 제재로 이것도 흔들릴 수 있겠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2월은 각자 기준을 잘 정해서 대응해야 할 시기로 봅니다.
24년 하반기와 1월 우리 시장 단독 상승에 취하면 안 될 것 같습니다.
1. 한때는 17만원 “5분의 1토막, 충격적 추락”…‘딥시크 쇼크’ 속 살길 뚫리나? [투자360]
2. '국민손실주' 네이버, 딥시크가 살리나…외국인 순매수 1위
네이버 주가 상승세/ 딥시크에 기대감 '쑥'
3. 세계 뒤흔든 中 딥시크...'네카오' 기회될까
'H100' 아닌 'H800' 쓰고도…中 스타트업의 반란
"韓 SW기업, 빅테크와 간격 따라잡을 기회될것"
https://news.bizwatch.co.kr/article/mobile/2025/01/31/0036
4. 딥시크는 '파괴神'?…AI 산업 활성화 새장 열어
가성비 오픈소스 AI 봇물…비용 내려 시장 확대 계기 전망
한국 SW 기업 입지 '쑥'…美 빅테크 '차별화 고민' 커질 듯
https://www.yna.co.kr/view/AKR20250131127300008?input=1195m
그렇다고 마냥 쳐다만 볼 시장도 아닐 수 있겠죠.
금요일 네이버 급등이 나오듯이 업종 순환매나 종목 순환매로
대응할 수 있는 종목도 나온다는 생각입니다.
삼성에스디에스는 신저가 갔다가 6% 급등도 나오고요.
오리온은 10만원 깨지자마자 바로 회복력도 나오고요.
반도체, 자동차에 쏠린 수급이 어느 방향으로 가는지 흐름을 잘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종목 대응은
1. 연초 개미만 피봤다…'트럼프 공략' 외국인 수익률 '최고'
외인 순매수 상위 5개 종목 평균수익률 6.9%
조선, 방산 등 트럼프 수혜주 매수로 수익권
화장품 등 수출주 담은 기관도 선방
트럼프發 여진에 2차전지 담은 개인 손실률↑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528486642066584
2. 더 강해진 관세폭탄, 2월 증시 충격줄까 / 인플레 0% 만든다는 머스크, 역효과 날까 / 돈 푸는 속도 빨라지는 미국, 수혜주는
https://www.youtube.com/watch?v=EyHvoNIb7QQ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