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미국 노동시장 둔화! 시간 외 구글 –7%, AMD –5%, 전기차 선전! 타이어 기대감 2월 5일 장전 시황

평생선물 2025. 2. 5. 07:07

미국 노동시장 둔화! 시간 외 구글 7%, AMD 5%, 전기차 선전! 타이어 기대감 25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지난해 12월 구인공고 7개월 만에 최저…고용시장 둔화 신호

노동시장 약화 경고등12월 구인 760만건 '3개월 만 최저'

미국, 지난해 12월 구인건수 '예상 하회'…노동시장 둔화 신호

 

2. 팔란티어 24% 폭등, 100달러 돌파...1년간 510%(상보)

 

3. "미중 관세전쟁 감내할 수준" 뉴욕증시 상승…팔란티어 24%[뉴욕마감]

 

4. [속보]뉴욕증시, 일제 상승 마감…나스닥 1.35%

[속보]트럼프 관세에 적응한 시장…나스닥 1.35%

[속보] 중국 반격에도 미증시 일제 상승, 나스닥 1.35%

 

5. 트럼프 "이란 '최대 압박' 재개, 핵무기 보유 불가"…시진핑과는 "적절한 때 통화"

 

6. [속보] 알파벳 실적 예상 미달, 시간외서 7% 급락

구글 모회사 알파벳 실적 실망, 시간외서 7% 급락(상보)

 

미국 노동시장이 둔화 지표가 나오고 상승하던 미국 장기 국채가 하락 전환한 것으로 보면

금리 인하 기대감이 좀 나왔나 싶습니다.

 

미국과 중국 관세 분쟁이 중국 제재가 협상의 여지를 보여서인지

큰 악재로 작용 안 하고 캐나다, 멕시코처럼 협상 기대감이 더 높았다는 생각이고요.

 

어제 미중 관계 악화로 흔들렸던 애플과 테슬라가 2%대 상승한 것 보면

오늘은 좀 안도감이 있었던 같고요.

팔란티어가 23% 급등하면서 AI나 기술주 기대감이 나오면서

반도체에도 영향을 주면서 엔비디아가 상승 전환

 

문제가 AMD인데 정규장에서는 4.58% 상승 실적 발표 후 상승하더니 글 적는 635분에는

-3.94% 하락입니다. 그리고 정규장에서 2.5% 상승한 구글이 실적 발표 후 6.88% 하락입니다.

 

졍규 장에서는 좋았는데 시간 외 실적 발표 후에는 좀 흔들리는 느낌이네요.

나스닥 100 선물이 지금 0.92%까지 왔습니다.

1.3%까지 상승했는데 이럼 8시 아시아 시장 개장 때 시작하는 선물은 좀 하락할 수도 있겠습니다.

 

1. 금리 인하 신중론 확산…연준 인사들 서두를 필요 없어

인플레이션·정책 불확실성 강조…시장은 3월 금리 동결 전망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82376

 

2. 미국, 국부펀드 설립한다…트럼프 “틱톡 인수에 쓰일 수도

 

3. 트럼프의 미국판 국부펀드 '' 현실적인 쟁점 따져보니

국부펀드 돈줄 어떻게 확보할까

"정치인 쌈짓돈 된다" 경고

코인 매입? 벌써 투기 움직임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04000935

 

4. ‘충격과 공포트럼프식 전략 통했나···혼란한 관세 전쟁전망은

협상용 아냐말과 달리 성취 앞세워 유예 조치

모호한 요구마저 전략관세 무기화여지 남아

관세 전쟁전운 도는 중국으로 쏠리는 관심

https://www.khan.co.kr/article/202502041637001

 

계속 적고 있습니다. 2월은 트럼프 입 조심해야겠습니다.

언제 무슨 발언이 나올지 알 수가 없습니다.

오늘은 이란이 나오고요.

전 세계를 여기저기 쑤시고 있는데

그때마다 시장은 출렁일 수 있습니다.

 

이번엔 교육부 해체트럼프 행정부 보수화가속+

국제원조 기관 국제개발처 이어/ 교육부 해체 입법 행정명령 작업

이미 세부사항·시행시기 논의 단계/ WSJ “직원 60명 유급 휴가 신청

국제개발처는 폐쇄 수순 돌입해/ 국무부 산하로 축소 운영될 전망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204515439

 

시스템 위에 선 머스크... 표적 된 국제개발처 결국 폐쇄 수순

정부효율부, USAID 본부 기습 후/ USAID 직원들 정직, 건물 폐쇄돼

폐쇄 수순... 국무부로 흡수될 듯/ "의회 권력 도전" "위헌" 비판 봇물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20405590003363

 

"8개월 임금 받고 나가라"…미 연방 공무원 벌써 2만 명 사임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05000013

 

테슬라, ‘관세판매 부진브랜드 리스크삼중고

관세 직격탄에 주가 5%이상 폭락

·유럽 판매 급감에 브랜드 가치도 추락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82390

 

테슬라와 머스크는 동일체입니다.

그런데 머스크가 적을 너무 만드는 것 같습니다.

국제개발처를 폐쇄시키더니 이제는 교육부 해체 이야기가 나오고요.

무소불위의 권능을 가진 것처럼 행동하는데

미국이 이런 사회가 아니지 않습니까?

아마 반대 작용도 상당할 것 같고 테슬라는 이 가운데 있으니

오늘 2% 상승이지만 걱정스럽네요.

 

오늘 정리하면 미국 중국 갈등이 수습 가능하다는 기대감은 있지만

하루하루 살얼음이니 줄 때 잘 챙겨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정규 시장은 좋았는데

어제 팔란티어가 미국 시장을 만들었다면 오늘은 구글과 AMD가 또 하방으로 만들 수도 있겠습니다.

 

1순위는 자동차고요, 반도체는 시간 외 움직임으로 보면 좀 조심스럽고요.

2순위는 2차 전지의 기술적 반등

이렇게 오늘 우리 시장 동조화 전망해 봅니다..

 

1. 클라르나 CEO “AI에 일자리 다 내줄 판…직원들 충격에 대비해야

채용 중단, AI 대체로 마케팅비 연간 146억원 절감

 

2. 세일즈포스, 직원 1천명 해고AI 영업 인력은 확대

해고 직원, 타 부서 지원 기회COO "효율성 강화·사업 확장 위한 투자 지속"

https://zdnet.co.kr/view/?no=20250204153211

 

3. 제조업 27개월 만에 확장 국면···‘관세 유예로 날개 다나

1月 美 제조업 PMI 50.9

·멕시코 관세 철회되자/ 가슴 쓸어내린 제조업계

https://www.mk.co.kr/news/stock/11232134

 

4. ·멕시코, 마약·이민단속 강화…손 안대고 얻은 트럼프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국제 유가-천연가스, 중국의 미국산 관세 예고에 동반 하락 브렌트유는 상승

천연가스, 100BTU당 전날보다 0.106달러(3.16%) 하락한 3.246달러

WTI는 전장 대비 0.46달러(0.63%) 하락한 배럴당 72.70달러에 마감

 

2. 한 돈짜리 돌반지 60만원 육박…금시세 연일 고공행진

 

3. 상승곡선 가스 가격에 에너지위기 다시 불붙나…비수기가 더 불안

TTF 현물가 지난해 218일 최저점 찍은 후 우상향 그래프

빨라진 유럽 가스재고 소진 속도에 봄부터 가격 추가 상승 전망

과거와 달리 공급 여건 완화급격한 인상폭 억누를 것시각도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49848

 

4. , 미국산 LNG에 보복 관세…세계 최대 구매·판매자 결별하나

중국, 작년 미국산 6% 수입

LNG 수입업자, 유럽 등으로 물량 돌려

장기계약 체결도 사라질 듯…미국 수출업체엔 악재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922886642067240

 

5. , 석탄·석유 등 1015% 맞불 관세... 트럼프에게 즉각 맞대응

텅스텐·비스무트·몰리브덴 등 수출통제…구글 반독점법 위반 조사 개시

https://www.kdf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9288

 

6. “우린 트럼프 안 무서워”…맞불 놓는 , 핵심광물 수출 막고 기업 때리기

, 텅스텐 등 미국 수출통제

타미힐피거 등 기업 2곳은

신뢰 할수 없는 기업 명단에/ 미국은 즉각 관세 발효했지만

은 관세부과 10일로 기한둬/ 강대강 대치 속 협상여지 남겨

https://m.mk.co.kr/news/world/11232600

 

7. 트럼프 "우크라 지원, 대가 있어야"…희토류 거래 언급

트럼프 "우크라에 3000억달러 지원"

'희토류 공급' 거래 등 대가 강조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409247

 

8. 트럼프 관세 폭탄’ 우려에…태국 “미국산 에탄·농산물 수입 확대

 

금속은 구리와 은이 1%대 금이 0.5%대 상승

유가는 0.78%, 천연가스는 3.82% 급락

천연가스는 급등하면 다음 날 급락, 또 급락하면 급등

뭐 투자 대상이 아닙니다. 너무 어질어질합니다.

 

석유, 가스, 희토류로 미국과 중국이 한판 싸우는데

좋을 일이 있겠나 싶습니다.

희토류에서 뭔가 큰 움직임이 나오겠습니다.

이미 우리는 희토류 테마가 움직였고요.

 

1. 글로벌 투자자 그룹, EU ESG 규제 간소화 정책에 우려 표명

ESG 규제가 투자자들에 고품질 데이터 제공...투자 결정 도와

EU, "데이터 수집과 정보 공개 중복 피하는 기술적 수정에 그쳐"

"중소·중견기업 보고 부담 완화하기 위한 조치 상당수" 전망도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9816

 

퍼스트솔라가 0.57% 하락 전환입니다. 새벽에 볼 때는 상승이었는데

대신 엔페이즈에너지가 3.6%, 캐나디안솔라가 4%대 상승

어제 한화솔루션은 2.3% 상승

트럼프가 태양광은 그렇게 부정적으로 안 보는 것이 호재였던 것 같습니다.

 

1. "중국산 때문에 초토화" 눈물 흘렸는데1년 만에 '대반전'

라이신 '저가 터널' 탈출…유럽·中서 동시 반등

가축 사료에 쓰이는 아미노산/ 저가 공세에 가격 추락하다

EU 반덤핑 관세 부과로 급반등/ CJ제일제당과 대상 수혜 전망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43228i

 

2. 대상, 작년 영업익 전년47.1% 급증"글로벌 수요·바이오 개선"(상보)

대상, 작년 영업이익 47% 증가"소재시장 업황 개선"

 

대상이 영업이익이 급등이네요. 업황 개선도 함께 나오나 봅니다.

대상이 작년 고점이 30900원으로 6월에 나오고 지금 신저가 나오고 18750원입니다.

오늘 대상을 담아볼까 싶습니다.

 

1. 포스코홀딩스 "전기로 연내 준공…차세대 배터리 기술 선점"

 

2. 포스코인터, 2년 연속 '영업익 1조원' 유지…에너지 실적 견인(종합)

지난해 영업이익, 4% 감소한 1.1조원…LNG 탐사·생산·터미널 사업 호조

https://v.daum.net/v/20250203150432659

 

3. 삼성SDI, 3년간 배당 중단 '테슬라 될까 노키아 될까

https://m.news.nate.com/view/20250204n19799

 

4. "부진했던 2차전지주, 2월엔 반등한다"…상승 전망 이유는

NH투자증권 리포트

"리튬 가격 반등·모델Y 사전판매 호조…주가 반등 예상"

"배터리 업황·정책 불확실성으로 상승세 오래가지 않을 것"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383556

 

5. [특징주] '관세 유예'에 2차전지주 재충전에코프로, 7.34%

'관세 유예' 소식에 2차전지株 '줍줍'…에코프로 4% 강세[핫종목]

 

6. LG에너지솔루션, 8000억 규모 회사채 발행

 

7. LG엔솔, 8천억원 회사채 발행…북미 시설투자 자금 조달

 

야 엔솔이 또 8천억 회사채 발행이네요. 계속 적고 있지만 2차 전지는 돈 먹는 하마입니다.

어제 묘한 것이 시장이 반등하고 코스닥 2차 전지 소부장은 상승하는데

코스피 배터리 대장은 약합니다. 엔솔은 상승 전환도 하다가 1% 하락이고

실적이 엉망이었던 포스코는 4.83% 하락이고요.

삼성SDI는 –1.2% 하락하면서 신저가입니다.

그런데 에코프로는 장 초반에 9% 가까운 상승도 나오다가 3.67% 상승 마감이고요.

오늘 미국 전기차가 선전하고 앨버말도 2%, 테슬라도 2%대 상승이어서

오늘 코스피 2차 전지 대장들이 반등 가능하지 않을까?

이런 기대감이 있습니다.

 

1. 전기차 업체가 '카사블랑카의 나라'로 향하는 이유 [클릭 차이나]

세계 전구체(배터리 소재) 점유율 1위인 중국 CNGR(CNGR Advanced Material)의 자회사인 CNGR모로코뉴에너지 얘기입니다. 모로코의 항구 근처에 있는 공장에서 지난달부터 니켈 기반 전구체 양극 활성 물질(PCAM)을 생산하기 시작한 겁니다.

 

이같은 사례는 중국 업체가 미국과 유럽연합이 부과한 관세와 기타 수입 제한을 우회하기 위해 중국에서 취한 최근 조치이기도 합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42038i

 

중국 참 무섭습니다. 자금이 부족한 우리 배터리와 다르게 해외 진출이 정말 활발하네요.

우린 회사채 발행으로 버티는데 말입니다.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올댓차이나] 홍콩 증시, 미중마찰 불투명감 후퇴에 큰폭 상승 마감H3.52%

 

2. 미중 무역전쟁 재점화하나...관세 발효에 보복관세·자원 통제·기업 제재로 반격

미국산 일부 수입품에 10~15% 관세 부과

생산량 80% 쥐고 있는 텅스텐 등 수출 통제

구글 반독점 조사, PVH그룹·일루미나 제재

전문가들, '상징적' 조치에 불과...협상 여지 충분

https://www.ajunews.com/view/20250204154515992

 

3. , 모든 중국산에 10% 더…전기차 관세 110%

 

4. "우리는 우리 길 간다"···AI, 글로벌 고립 속 '독자 생존' 노선

 

5. 글로벌 반도체社 직격탄?…모건스탠리 "무역 리스크에 기술주 20% 하락할 듯"

"향후 수익 대비 주가 높아…실적 상승 여력도 부족"

"중국 내수 비중 높은 기업은 관세전쟁에도 주목해야"

 

6. 모건스탠리 무역 위험에 아시아 기술주 20% 하락 가능성

관세 인상에 무역긴장 다시 고조

단기적으로 익스포저 줄이는 게 필요

https://www.etoday.co.kr/news/view/2442242

 

어제 본토가 개장하는 것으로 잘못 알았습니다.

오늘부터는 개장합니다.

어제 미중 관세 전쟁이 터졌는데 홍콩이 2% 상승입니다.

중국 ETFMCHI가 5거래일로는 1%대 상승이고요.

오늘 2.58% 상승이고 중국 상방 ETFYINN545분에 6.96% 상승이어서

오늘 미중 무역 분쟁 속에서도 본토도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 과창판, 창예판 기대감이 좀 많고요.

트럼프가 때린 핀둬둬도 오늘 8% 급등이어서

관세 전쟁하고 있나 실을 정도입니다.

중화권 오늘 좋네요. 알리바바 징둥도 3%대 상승

 

1. 페라리 첫 전기차 109일 공개…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

https://v.daum.net/v/20250205014808885

 

2. 페라리 주가, 고급 자동차 제조업체가 2025년에 수익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8% 상승

고급 자동차 제조업체인 페라리는 화요일에 강력한 제품 믹스와 개인화에 대한 수요 증가를 이유로 연간 순이익이 크게 증가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올해는 우리 회사에 매우 좋은 한 해였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지난 지침에서 만든 모든 지표를 통과할 수 있었습니다.” 페라리 CEO 베네데토 비냐가 화요일에 CNBC의 샬럿 리드에게 말했습니다.

작년 말 분석가들은 많은 기업이 미국 관세로 인해 압박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페라리는 유럽 자동차 업계에서 어느 정도 예외적인 모습을 보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https://www.cnbc.com/2025/02/04/luxury-carmaker-ferrari-posts-21percent-uptick-in-full-year-profit-sees-2025-growth.html

 

3. 노르웨이 1월 신차 96%는 전기차100% 결승점 보인다

"전기차 혜택 유지해 중고차 시장으로 확산 시켜야"

https://www.news1.kr/world/europe/5678214

 

미국 상장 페라리가 6% 급등, 스탤란티스도 2% 혼다도 2%

도요타 1%GM1%대 포드는 2%

그럼 내연 자동차만 달렸냐? 아니고요.

리비안 4%, 리오토 6%, 샤오펑이 9%, 중국 전기차도 좋죠.

니오도 2%대 상승

오늘 자동차는 내연이나 전기차나 다 좋습니다.

 

1. 한 달 뒤 미뤄진 캐나다·멕시코 관세기업 '대응책 마련' 분주

 

2. 국내 대기업, 캐나다·멕시코 법인 201곳…삼성·현대차만 96

88개 대기업집단 대상 멕시코 및 캐나다 진출 해외계열사 현황 조사

캐나다 110·멕시코 91곳 운영…한화·LG·포스코도 10곳 넘는 해외법인

https://www.inews24.com/view/1809809

 

3. 관세 폭탄에 배당락 부담도…발목잡힌 자동차

멕시코·캐나다 관세 한 달 유예에도 불확실성 잔존

배당락일 앞두고 추가 하락 우려…투자심리 위축

1년 전 대비 15% 이상 하락…시장 수익률 하회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847446642067240

 

4. "전기차 상복 터졌네"…현대차·기아, 해외 시상식 '싹쓸이'

해외서 더 인정받는 현대차·기아

·자동차 시상식 휩쓴 현대차·기아·제네시스

현대차그룹, 영미 자동차 어워드 '싹쓸이'

해외서 더 인정받는 현대차·기아, ·시상식 싹쓸이

 

어제 현대차가 0.5% 하락, 기아가 0.62% 상승

3%까지 기아는 상승했다가 다 까먹었습니다.

오늘 우리 지수는 자동차가 만들지 않을까?

기아 기대감이 상당히 높아집니다.

 

1. 한국타이어, 2년 연속 최대실적 갈아치웠다고성능제품 비중 '절반'

 

2. '고성능·전기차' 집중 통했다…한국타이어, 사상 최대 실적

작년 영업익 1.7조원…전년대비 32.7%

https://zdnet.co.kr/view/?no=20250204174004

 

3. 전기차 타이어 교체 주기 도래…타이어 3사 최대 실적 전망

 

오늘 시초가 매매는 현대차, 기아, 타이어 위 주목해야 할 소식의 대상

이렇게 4 종목 한번 담아 볼 생각입니다.

기아는 복수해야죠. 어제 익절 못 했는데 말입니다.

12주 샀는데 더 살까? 고민하고 있습니다.

 

1. “토종 쇼핑앱 초토화 될 판서 뺨맞은 알리·테무, 한국 더 파고든다

 

2. LG생활건강 작년 순이익 25% 증가…보통주 3500원씩 배당(종합)

# 우리 시장 이야기

 

1. "10% 관세" 때리자 "그럼 10~15% 보복"…미·중 싸움 커졌다

 

2. [올댓차이나] 대만 증시, 관세발동 유예에 반등 마감0.44%

 

3. 증시, 관세 부과 유예에 상승…닛케이지수 0.72%

 

선물로 보면 두 번의 출렁임이 있었다는 생각입니다.

1019분 정도에 2.5% 이상 상승하면서 전날 하락분을 다 회복하면서

당일 고점 우려 뭐 이런 것으로 밀리고요.

 

2시에는 미국이 중국 관세 부과하고 중국이 더해서 또 관세 부과하면서

우려감이 나오면서 1%대가 무너지는 모습도 나왔습니다.

이게 2차였고요. 나스닥 선물도 하락 전환하고요.

1.3%대까지도 상승하던 일본 시장이 1% 미만으로 끝난 것은 미중 무역분쟁 우려를

반영했다는 생각입니다.

 

1. [올댓차이나] 홍콩 증시, 미중마찰 불투명감 후퇴에 큰폭 상승 마감H3.52%

 

2. "자세히 보면 협상 해보자는 것"보복조치에 담긴 메시지

시진핑 보복관세, 일부 제품만 적용'반독점 조사' 구글, 중국 사업 이미 철수

"보복관세는 정상적인 패턴…테이블 앉기 전 협상력 확보 노력"

https://www.news1.kr/world/international-economy/5678876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우리 선물이 2시 반 이후에 반등한 것은

중국이 부과하는 기간이 10일 뒤고, 구글이 중국 사업 안 하는데 반독점 조사한다고 하고

뭔가 협상의 여지나 협상 우위를 잡기 위한 노력 정도로 해석되면서

홍콩은 2%대 상승, 우리는 1%대 상승을 유지했다는 생각입니다.

 

1. , 멕시코·캐나다 관세 유예에 코스피 반등

 

2. 샘 올트먼·트럼프 말 한마디에 코스피 ‘방긋’…코스피 1%대 상승 마감

 

장중 미중 무역 분쟁 소식이 있었지만 우리는 멕시코, 캐나다 관세 유예와

샘 울트만이 만든 AI 기대감, 실적주들의 분전 등이 합쳐서 지수 방어를 잘했다는 생각이고요.

 

1. 사라지지 않은 관세전쟁 경계감코스피, 2500선 탈환 실패

코스피, '관세부과 유예'2480선 회복…코스닥 2%(종합)

 

2. "한달 유예"에 반등했지만…코스피 '살얼음판

 

3. "오르락 내리락, 멀미 난다"…롤러코스터 장세 언제까지

 

4. 트럼프 관세 정책에 출렁이는 증시…증권가, 코스피 하단 탐색 분주

중장기적 불확실성 지속…하반기 변곡점 형성

코스피 2400선 하단 지지…최악의 경우 2250

무역 구조 변화 고려해 투자기회 모색 필요

https://www.dailian.co.kr/news/view/1457940

 

5. "급락? 오히려 기회"…기관·외인, 인버스ETF 순매수 지속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20502101563062001

 

야간 선물이 0.96% 마감입니다.

4번 기사 보시면, 하단 탐색이 분주하다고 하죠.

5번 기사는 기관이나 외국인이 인버스 ETF 매수한다고 하고

이런 힘이 코스피를 박스피로 만드는 원인 같습니다.

수급에서 강한 상방 수급이 안 보입니다.

연기금이 지수 하락 때 3000억 대 매수하다가 어제 1387억 매수 정도로 더는 안 사죠.

어제도 장중 대화 때 외인이 1000억 대 매수면 지수 어렵겠다고 했는데

1010분대에 선물로만 올리던 장세가 밀리기도 하고요.

기관 매수는 프로그램 매수가 많고요.

 

대외 악재는 중국 관세 악재가 진행 중이고

유럽과 아시아에서는 우리나라, 베트남 같은 미국 무역 흑자국이나 중국 우회 수출국

제재가 아직 나오지도 않았고요.

반등은 즐기지만 상단에서는 늘 조심하자는 생각입니다.

 

어제는 외인이 선물 4266억 매수 콜 28억 매수 파생과 기관 프로그램 매수로 올린 시장인데,

이게 지속될지는 지켜봐야 할 일 아니겠습니까?

내일 때는 1조도 넘게 매도하다가 어제 급등 때 외인은 코스피를 799억 정도 밖에 안 사니

이런 경계감은 확실히 유효해 보입니다.

 

1. ‘오픈AI’ 올트먼 국내 광폭 행보에 관련주 ‘들썩’…삼성전자 3%대 상승 [투자360]

 

2. 샘 알트먼, 재계 오너 3·4세 회동..."에너지·반도체·데이터센터 협업"

SBVA가 마련한 라운드테이블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도 설명

"한국은 AI 도입에 적극적인 시장이며, 특히 에너지, 메모리 반도체, 데이터센터 인프라 분야에서 협업 가능성이 크다. 한국은 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챗GPT 구독자를 보유한 국가로, AI 기술 적용이 활발한 시장 중 하나다."

https://zdnet.co.kr/view/?no=20250204181805

 

3. 오픈AI, AI 단말기·서버 칩에 로봇·양자 컴퓨팅도 개발?..

오픈AI, AI 단말기 · 서버 칩에 로봇 · 양자 컴퓨팅도 개발?

로봇·양자컴 신사업 구상 밝힌 오픈AI

 

4. AI칩 절실한 소뱅·오픈AI…손정의 "삼성은 훌륭한 파트너"

이재용·올트먼·손정의 'AI 3각 동맹'

·AI 동맹에 삼성 가세 첨단칩부터 TV·폰까지 협력 타진

이재용-올트먼-손정의 'AI 회동'…삼성, 스타게이트 합류하나(종합)

 

5. 샘 올트먼 "딥시크 성능 새롭지 않아"AI 기술력 견제

딥시크에 한방 먹은 오픈AI, ‘딥 리서치로 맞불실시간 웹 탐색 강화

오픈AI vs 딥시크AI 검색 전쟁 본격화

딥 리서치로 챗GPT 실시간 정보 활용 높여

생성형 AI, ‘추론 능력이 승부처

 

6. 오픈AI-카카오 전격 동맹"공동제품 개발"

 

7. 손정의 "삼성전자는 훌륭한 파트너AI 협력 계속 논의"

 

낙폭 과대로 하이닉스를 진입했는데 하이닉스는 손실인데

삼성전자가 4% 급등해서 야 배 아프더군요.

그래도 하이닉스가 수익 줘서 잘 익절하고는 나왔는데

샘 알트만의 행보에서 하이닉스보다 삼성전자가 더 부각되는 것 같네요.

미국 샘 알트만, 일본 손 마사요시, 한국 최태원 이런 고리로 가나 했는데

그 자리를 이재용 이런 모습으로 부각 됩니다.

뭐 어디든 달려라 싶지만 좀 아쉽네요. 하이닉스는

 

오늘 미국 시장은 엔비디아, TSMC, 마이크론 모두 상승이어서

하이닉스도 달릴 공간이 나왔다는 생각이고요.

 

1. [특징주] 삼성전자, 5거래일만에 빨간불'사법리스크' 해소에 3.3%

 

2. 갤럭시S25 사전판매만 130만대…역대 S시리즈 최대

전작 갤럭시S24 121만대 기록 1년만에 갈아치워

삼성닷컴 고객 10명 중 3'뉴 갤럭시 AI 클럽' 가입

 

3. 갤럭시 S25, AI 통했다…사전판매서 역대 최대 실적 경신

https://v.daum.net/v/20250204090203910

 

삼성전자는 갤럭시 S25에 대한 기대감도 같이 나올 것 같은 분위기네요.

23일 외국인 –800만주 근처 매도로 보유율이 49.87%까지 갔다가

어제 360만주 외인 매수로 보유율이 49.93%까지 올라왔습니다.

 

자사주 매수가 거의 막바지라는 것이 수급에서는 좀 걱정이고

반도체 걱정도 산만큼 큰데 삼성전자가 얼마나 반등할지는 고민스럽네요.

 

대주주 사법 우려가 내려오고 AI 동맹 기대감으로 하루짜리 반등이나

외인 매수였다면 단기로 봐야 하고

우리 반도체 안에서 삼성전자 콜, 하이닉스 풋으로

이제 하이닉스 보유율 낮추고 삼성전자 보유율 올린다면 삼성전자는 호재고요.

 

오늘 저는 삼성전자, 하이닉스 같이 움직이는지

따로 움직이는지 지켜볼 생각입니다.

 

1. 외국인은 네이버, 개인은 카카오…주식투자 수익률 승부는?

 

2. 나홀로 상승 카카오, 올해 더 오른다? "AI 개편에 쏠리는 관심"

 

3. '딥시크'보다 싸게?…국내서도 게임용 칩으로 104배 빠른 AI 기술

https://v.daum.net/v/20250204050005721

 

국내에서는 이미 지난해 딥시크가 사용한 H800보다 저렴한 '게임용 GPU(그래픽처리장치)'AI를 학습한 사례가 있어 뒤늦게 주목받고 있다. 딥시크 AI의 개발비용을 낮춘 핵심기술인 'MoE'(Mixture of Expert)도 국내에서 구현됐다.

 

중국 딥시크가 저가로 AI를 구현한 것으로 관심이 집중되었는데

우리는 개인 컴퓨터 수준의 칩으로 AI를 구동시켰다는 내용이 나오네요.

소스가 지금 개방되어서 우리 기술로 딥시크 수준 이상의 AI 개발이 가능한가?

이런 기대감도 나오고요, 네이버냐, 카아오냐? 이런 기대감도 있고요.

모처럼 우리 AI용 소프트웨어 기대감이 나와서 기분 좋은데

실현되어야 하는 숙제가 있네요.

 

1. 삼성생명, 삼성화재 자회사 편입 검토…삼성화재 밸류업 자사주 소각 영향

 

2. [단독] 밸류업發 '교통정리'…삼성생명, 화재 자회사 편입 검토

재정비 나선 삼성 금융/ 화재, 자사주 165% 축소 결정

삼성생명 지분 16.9%로 상승/ 보험사, 타사지분 15%까지 허용

자회사 편입하거나 초과분 팔아야/ 삼성생명, 화재 자회사 편입땐

연간 순이익 늘어날 수도/ 화재는 '과잉매도' 불확실성 해소/ 양측 주주 '윈윈효과' 기대감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431031

 

3. 하나증권, 지난해 영업이익 1420억…흑자전환 성공

'역대 최대' 3.7조 순익 낸 하나금융…자사주 4000억 매입·소각(종합)

 

4. [밸류업 리포트] 신세계, 업황 부진 반전 카드로 '밸류업 계획' 공개

신세계는 최근 소비 환경 악화로 인한 업황 부진을 반전시킬 모멘텀 확보 차원에서 사업 경쟁력 강화를 통한 재무제표 개선과 주주환원 확대를 토대로 중단기 ROE 목표를 7% 이상으로 올려 잡았다. 자사주 소각과 주당배당금 확대 등 업계에서 파격적인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개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161141i

 

어제 밸류업으로 증권주 보자고 했는데 유진투자는 2%대 다올은 0.7%대 하락입니다.

같이 안 가네요. 업종은 1.34% 상승인데

 

삼성 그룹의 금융 쪽으로 밸류업은 삼성화재, 삼성생명 자회사 편입 기사가 나오네요.

화재가 급등했는데 둘 다 달릴지 하나는 쉴지 궁금하기도 하고요.

오늘은 밸류업으로는 하나금융지주가 관심이 가네요.

증권에서 최대 실적이었습니다.

어제 이미 3%로 다른 금융지주보다 더 좋았는데 오늘도 연속성이 나오나 궁금해지고요.

 

1.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명확한 방향성 주목’ [밸류업 리스타트]

코스피 PBR 0.88배…밸류업 이후 저평가 심화

사례 벤치마킹에도 단기 정책 효과 미미

자사주 보유 계획 공시 등 구체안 실효성 기대

https://www.dailian.co.kr/news/view/1457493

 

2. “좀비기업 OUT”...17개 종목 상장폐지 사정권

 

어제 외인이 코스닥을 3713억 매수합니다.

하루 거래 대금으로 좀 많이 매수하네요. 이 덕택으로 장중에 3%대 급등이었는데

2월은 코스닥이 더 좋으려나?

외인이 왜 이렇게 많이 사지?

밸류업으로 코스닥 상장폐지 기준을 강화하는 것이 호재일 것 같고요.

조심스러운 외인 수급이 코스닥 3700억대 매수라 관심이 가는 수급입니다.

코스피는 박스권, 코스닥은 큰 변동성 위도 크게 아래도 크게 보고 있습니다.

 

1. 저성장·인플레이션 이중고'스태그플레이션' 그림자

낮아지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최저 1.6%대 예상

보편관세에 글로벌 관세전쟁수출 감소 우려

수입물가 상승에 소비심리 꺾여…내수부진 장기화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04000772

 

2. 한은 美中 관세전쟁땐 성장률 더 위축1.5% 밑돌 우려

 

3. 금통위원들 "성장부진에 금리인하 필요하지만…환율위험에 동결"

금통위원들 "금리인하 필요하지만, 환율 위험에 동결"

 

4. 글로벌 불확실성 더 커져상장사들 올 실적 눈높이 줄하향

IT·이차전지 업종 전망 부진에/ 상반기 매출·영업익 감소 우려

순익 성장률 전망치도 떨어져/ 작년 9월말 225%173% 급감

https://www.fnnews.com/news/202502041757423169

 

우리 성장이나, 금리, 환율로 보면 캄캄한 밤입니다.

알 수가 없습니다.

금방 금융위기로 간다고 떠드는 유튜버들 주장에 쏠리기도 하는데

시장이 그리 단순하게 무너지겠습니까?

더 지켜봐야겠습니다. 그래도 조심은 해야겠죠.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