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팔란티어 9%, 포드 -7% 혼란스러운 미국! 비야디 상한가 전기차와 AI가 움직이는 중국! 2월 7일 장전 시황

평생선물 2025. 2. 7. 07:05

팔란티어 9%, 포드 -7% 혼란스러운 미국! 비야디 상한가 전기차와 AI가 움직이는 중국! 27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신규실업수당 늘었지만 여전히 낮아'견조한 고용

 

2. 영국 기준금리 4.5%로 인하BOE 총재 "향후 인하 신중"

 

3. 미국 재무 트럼프 연준 압박 걱정말라...10년물 국채 금리 초점

노골적 인하 압박트럼프 스탠스 바뀌어

베센트 트럼프 관심사는 장기금리

재정적자 비율·경제성장률 3% 유지로 금리 안정 추진

https://www.etoday.co.kr/news/view/2443018

 

4. 베센트 재무 "트럼프, 강달러 정책 기조파월 옳은 일 할 것"

스콧 베센트, 블룸버그 통신 인터뷰

"강달러 원해다른 국가 환율 조작 안 돼"

Fed 비판 안 해"10년물 금리 낮출 것"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20706214562670

 

5. 뉴욕증시 혼조 마감S&P500, 3거래일 상승

[속보] 뉴욕증시 혼조 마감다우 0.2%·S&P500 0.3%

[속보]뉴욕증시, 혼조세 마감나스닥 0.51%

 

어제 나중에 살펴보겠다고 했던 미국 장기채 2% 하락은

재무부에서 호재가 나왔습니다. 재무부에서 몇 분기 동안 채권 발행 늦춘다는 내용이 나왔네요. 그런데 오늘은 0.4% 정도 상승합니다. 10년물이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저는 ISA 계좌에서 30년물 투자 중인데 좀 회복되었습니다.

4.2% 정도까지는 내려와야 할 것 같은데 거기까지 올지는 모르겠네요.

 

미국 장기물 국채 수익률 변곡점? 안심할 수 없는 이유

10년물 수익률 4.5% 아래로

베센트의 QRA '예상 밖'

머스크 예산 절감 '글쎄'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06001131

 

배런스는 옐런 전 장관을 비판했던 베센트 장관의 발언으로 인한 혼란과 불확실성이 말끔하게 해소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아울러 시장 전문가들은 장단기 국채 발행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데 입을 모은다. 특정 부문의 정부 지출을 대폭 삭감하지 않는 한 국채 발행을 늘리지 않고 세금 인하를 포함한 주요 공약을 이행하기는 어렵다는 설명이다.

 

골드만 삭스와 JP모간, 도이체방크 등 투자은행(IB)들은 11월 이후 국채 발행 규모가 늘어나는 시나리오를 점친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정부효율부(DOGE)가 공무원 감원 발표에 이어 미국 건강보험시스템을 조사에 착수 등 국가 예산을 2조달러 감축한다는 계획을 실행에 옮기는 상황.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머스크의 전략이 성공을 거두고 미국의 재정적자가 축소되면 국채 수익률 상승 압박이 둔화될 것으로 기대하지만 정부효율부(DOGE)의 행보에 비난이 쏟아지고 있어 출범 초기부터 난기류가 예고됐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06001131

 

이런 이유로 더 지켜보자고 하네요.

 

1. "트럼프, 보건복지부 직원 수천명 감원 행정명령 준비"

 

2. "아 진땀나네"'매드맨' 트럼프 행보에, 측근들 '뻘뻘'

가자지구 구상안, 국무장관 TV로 처음 접해

백악관 대변인도 사전 계획 아님 사실상 인정

"머스크 합세해 트럼프 '혼란' 더욱 가중돼"

 

3. 'DOGE 수장' 머스크 "재무부 거래, 블록체인 도입해야"정부 개혁 신호탄

 

뭐 말해 뭐해! 이런 식이지만 트럼프에 달렸습니다.

트럼프 정책이 성공하면 장기채가 많이 내여올 것이고

실패하면 시장이 굉장히 출렁일 것 같고요.

 

트럼프 정책이 지금 미국을 분열시키고 있다는 생각이고요.

성공하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생각입니다.

 

절반은 찬성하지만, 또 절반은 반대하고 있고

미국 전역에서 시위가 시작되니 말입니다.

 

Morgan Stanley, DeepSeek 우려에도 불구하고 Nvidia를 최고의 AI 선택으로 재확인

https://finance.yahoo.com/news/morgan-stanley-reaffirms-nvidia-top-211909677.html

 

팔란티어가 상승을 이어갑니다. 오늘도 무려 9% 급등

엔비디아는 3% 상승

팔란티어와 엔비디아를 가지고 있는 나스닥은 0.5%

이게 없는 다우는 하락이고요.

 

또 이유를 알 수 없는 흐름이 새벽 2시부터 나왔습니다. 미국시간으로

우리 시간으로 새벽 4시인데 지금 이유를 모르겠는데

제가 그 시간에 글 적기 시작하는데 훅 빠지더군요.

그래서 5시에 야간 선물은 0.07% 약보합 마감인데

우리 야간 선물 끝나고 또 갑자기 나스닥이 급등했습니다.

 

글은 마무리해야 하는데 계속 이유를 못 찾겠네요.

그 시간에 뭐 지표 발표도 없었거던요.

매물이 출회가 되었는데 이유는 모르겠습니다.

 

<< [속보] 아마존, 호실적 불구 가이던스 부진에 시간외 주가 하락

아마존 실적 예상 상회했으나 전망은 미달, 시간외서 4%(상보)>>

 

그리고 마감 6시 이후에도 계속되는 나스닥 100선물은 지금 0.36% 정도 상승인데

아마존 시간 외 하락 때문입니다.

글 마무리하는 650분 아마존 시간 외 주가는 2.98% 하락입니다.

 

어제 우리 시장도 장 개장하고 훅 밀리다가 10시 이후 급반등하죠.

미국 시장도 마찬가지고 장중 출렁임이 상당합니다.

 

지수 투자하는 분은 주면 빨리 챙겨야 할 것 같고요.

추세는 좀 어렵다고 볼 부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

 

1. 머스크 정치 행보, 사업엔 독?테슬라, 주가·점유율 ''

 

2. “더럽고 치사해서 안 산다트럼프 관세에 브랜드 불매

트럼프 관세 부메랑"브랜드 불매 우려"

https://www.yna.co.kr/view/AKR20250206133600009?input=1195m

 

3. '1.6조 줍줍' 서학개미 어쩌나"머스크 싫어" 테슬라 불매운동까지

유럽·미국서 테슬라 불매 운동 조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20614555244633

 

4. '비호감' 머스크 탓?테슬라, 프랑스·독일서 판매량 반토막

 

5. 머스크 나치 경례후폭풍?테슬라, 독일 판매 59% 급락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europe/1181089.html

 

6. '머스크 기대감'은행들, 골칫거리 엑스 대출 매각 성공

https://www.auto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7540

 

하락 특징은 테슬라입니다.

머스크 위험이 상당해지는 것 같습니다.

처음은 좋았는데 저항이 만만치 않고요.

이 저항을 실적이나 기술로 이겨내야 하는 숙제가 있습니다.

숫자로 실적 보기 전까지는 흔들림이 계속된다는 생각이고요.

 

1. 캐나다인 82% "미국 관세 시 석유 수출세 도입 찬성"

여론조사서 '보복 조치 찬성' 압도적"정부에 수출세 도입 명분 제공"

https://www.yna.co.kr/view/AKR20250207002400072?input=1195m

 

2. 소프트뱅크, CPU칩 설계사 암페어 인수 임박

소프트뱅크, AI 반도체 시장 공략앰페어 65억 달러 인수 추진

소프트뱅크, 미국 칩 설계업체 암페어도 인수하나"협상 진전"

 

3. 세일즈포스 베니오프, AI 영향으로 인한 인력 조정안 언급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국제유가 트럼프 압박에 WTI 70달러 턱걸이, 천연가스는 소폭 상승 이어가

천연가스, 100BTU당 전날보다 0.028달러(0.83%) 오른 3.388달러

WTI는 전장 대비 0.42달러(0.59%) 하락한 배럴당 70.61달러에 마쳐

 

2. 미 정부, '최대의 압박' 대이란 추가 제재 발표

미 재무부는 수백만 배럴의 이란산 원유의 대중국 수출과 연루된 개인과 유조선을 제재한다고 밝혔다.

 

3. 시진핑·푸틴 신바람...트럼프 대외원조기구 해체 후폭풍

 

4. 파나마 운하, 선박 통행료 면제 주장 반박 "통행료 조정 없어

 

5. [글로벌D리포트] '거절할 수 없는 제안' 또 통했나미 정부 선박 파나마 운하 통행료 면제

 

6. 트럼프, 뮌헨서 우크라 종전 청사진 내놓나

트럼프, 러 점령지 인정하고 우크라엔 안전보장

 

7. 트럼프 행정부 '종전 구상' 제시 소식에 우크라 재건강세(종합)

[6일 특징주] 우크라 재건, -우 전쟁 종식 기대에 동반 '상승'

 

8. 아라비카 커피, 사상 첫 파운드당 4달러 돌파...한잔의 여유 아닌 사치 되나

아라비카 원두 가격, 1년 새 2/ 주요 재배지 이상 기후에 작황 부진

소비국서 커피플레이션가속화 직면/ 한국 작년 수입액 2조원 달해

https://www.etoday.co.kr/news/view/2443019

 

9. '3중고'에 갇힌 한국 철강돌파구는?

https://www.korearepo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188

 

천연가스가 0.48%, 구리가 0.33% 상승

나머지는 다 하락입니다. 오늘 은과 금이 조정이네요. 쉴만도 합니다.

이란 제재에 유가도 쉬는데 70달러 중반입니다.

다음주는 70달러 아래 볼지 모르겠습니다.

트럼프 유가 하락 압력을 받을 것 같고요.

그래서 에너지 투자는 좀 더 관망해야 할 것 같네요.

뭐 놓쳤다고 보고 있습니다.

에너지에 대한 직접 투자보다는 파생되는 곳에 투자를 찾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1. "대왕고래 매장량 경제성 없어""추가 시추 필요성 없다" 결론

 

2. “대왕고래 경제성 없다석유-가스 탐사 중단

삼성전자 시총 5라더니첫 시추만에 사실상 실패 결론

 

3. 조선 3사의 우렁찬 뱃고동13년 만에 동반 흑자

HD 영업이익 전년대비 400% 늘어

발주량·신조선가 하락 우려있지만

MRO 사업 등 믿고 올 목표 상향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755877

 

대왕고래 테마가 오늘 크게 흔들릴 것 같고요.

이상하게 미포조선이 급락이었습니다.

HD현대 그룹 전체 흑자가 상당한 것 같은데 미포조선이 7.96% 급락이어서

오늘 조선주 조정이 계속 이어지는지가 주목됩니다.

하루짜리 차익 실현이었는지? 추세가 되는지 말입니다.

 

1. , 작년 태양광 수출 증가율 34%13%''가격은 49%

유럽 수출 급감..공급 과잉 심화

https://www.ajunews.com/view/20250206154807663

 

2. [현장] 이우현 OCI 회장 "에너지시장 개척 올인AI 데이터센터 공략"

조선호텔 그랜드볼룸서 '글로벌 에너지 산업 트렌드' 주제로 CEO 특강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에는 긍정적"규제 강력해질 것" 전망

https://www.eb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50805

 

3. 트럼프 정부, '4000억 달러' 청정에너지 대출 폐지 검토삼성SDI·한화큐셀·SK실트론 '촉각'

트럼프 정부, 청정에너지 대출 폐지 위한 법적 옵션 모색

삼성SDI·스텔란티스 합작 법인 등 대출 지원 조사 진행

한화큐셀·SK실트론, 대출지원 최종계약에도 집행 여부 미확인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2897

 

4. '3000억 적자' 한화솔루션, 태양광 EPC 사업 늘려 "밸류업 창출"

 

5. 한화솔루션, 적자 고리 끊었지만순손실 1

공급 과잉에 작년 영업손실 3000

작년 1~3분기 적자끊고 4분기 흑자전환

"올 설비투자 2전년보다 1조 줄일 것"

https://news.bizwatch.co.kr/article/industry/2025/02/06/0049

 

퍼스트솔라가 3% 상승입니다.

-1조 적자인 한화솔루션이 어제 6% 급등이고요.

한화솔루션은 선반영으로 오르고 오늘은 좀 밀릴까 싶고요.

그래도 미국 시장 태양광이 좋아서 살짝 기대감도 있습니다.

 

미국 시장에서 확실히 중국 태양광이 밀리는 것이 확인되었으니

한화나 OCI가 기회일 것 같으니 말입니다.

 

1. 핵심계열사, 글로벌 삭풍에 휘청LG 영업익 1조 밑으로

LG, 지난해 영업익 9815억원전년 대비 9.6%

전자·화학·통신 동반 부진디스플레이·CNS 위안

https://news.bizwatch.co.kr/article/industry/2025/02/06/0039

 

2. LG에너지솔루션, 회사채 수요예측 흥행16000억 실탄 확보 [시그널]

 

3. 영업익 83% 줄어든 SK이노"올해 배터리 두 자릿수 매출 성장"

SK이노베이션, E&S 합병에 4분기 흑자배터리는 다시 적자

 

4. SK이노, 작년 4분기 영업익 1599억 흑자 전환

정제마진 개선-SK E&S 합병 효과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50206/130983797/2

 

5. SKIET, 각형 LFP 배터리 분리막 수주 성공5년간 2914억 규모

파우치형·원통형 이어 모든 배터리 폼팩터로 확대고객 다각화 기대

수익성 회복 청신호"고객사와 협상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도록 노력"

https://www.yna.co.kr/view/AKR20250205128800003?input=1195m

 

포스코홀딩스가 0.2% 상승하는 정도고 나머지 2차 전지 대장들은 1% 미만 하락입니다.

엔솔은 대규모 회사채 발행 성공하네요. 누가 돈 대나 싶은데 뭐 흥행은 했습니다.

이노베이션은 배터리 부분은 적자고요. 정제 마진 개선으로 이익은 흑자 전환입니다.

에코프로 집안은 1% 전후로 하락이고요.

앨버말이 1% 하락이고 테슬라도 1% 하락

현대차 생산 중단 소식도 나오면서 오늘 2차 전지는 좋을 일이 있겠나 싶습니다.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올댓차이나] 홍콩 증시, 뉴욕 증시 강세에 반등 마감H1.64%

 

2. 딥시크 덕에 웃은 증시와 관세 전쟁에도 선방

 

3. [오늘 A] 소포 차단 철회에 상승...비야디 상한가

상하이종합지수 3270.66(+41.17, +1.27%)

선전성분지수 10393.63(+229.41, +2.26%)

촹예반지수 2120.75(+57.83, +2.80%)

커촹반50지수 1011.22(+28.39, +2.89%)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06001093

 

4. 미국 연방우정청(USPS)4(미국 현지시간) 중국과 홍콩에서 들어오는 국제 소포 반입을 잠정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소포 반입이 중단되면 테무나 쉬인 등 중국의 온라인 쇼핑몰의 미국 영업이 타격을 입게 된다. 미국은 개인이 수입하는 800달러 이하 물품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고 있다. 해당 규정을 기반으로 쉬인과 테무 등 중국 온라인 쇼핑몰 업체들은 미국에서 기반을 급속히 확장해 왔다.

 

중국에서는 미국의 소포 반입 금지 조치가 이들 업체는 물론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는 중국의 수출 기업들의 영업에도 큰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하지만 미국 연방우정청은 소포 반입 중단 발표 하루 만에 중국, 홍콩발 국제 소포 반입을 재개한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중국 내에서는 한숨 돌리는 반응이 나오고 있으며, 더 나아가 미중 간에 물밑 협상이 벌어지고 있을 것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이 같은 기대감이 이날 증시에 온기를 불어넣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06001093

 

태국이 1.92%, 인도네시아가 2.12%, 인도가 0.39% 하락입니다.

특징이 뭐겠습니까? 반도체가 없고, AI가 없죠.

그런데 트럼프 관세 우려는 계속 나오고요.

 

반도체 가진 대만, 일본, 중국은 과창판, 창예판이 오르고 우리도 3 거래일 연속 상승입니다.

아시아 시장은 반도체와 AI, 딥시크가 움직였다는 생각입니다.

 

1. 9물가 상승률 발표, 커지는 디플레 우려

 

2. 내수 침체 빠진 "트럼프에 끌려갈 것"

소비, 경제성장 기여 30% 안돼

관세전쟁서 협상력 잃을 가능성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686751

 

3. , 구글 이어 애플도 조사하나반독점 조사 검토 중

 

4. 중국, 구글 이어 애플도 겨냥...“앱스토어 수수료 조사 검토

미국 관세 발표 직후 구글 반독점 조사 착수

애플은 최대 30% 수수료·외부 결제 문제 삼아

중국시장 판매 부진 이어 새 악재로 이중고

https://www.etoday.co.kr/news/view/2442927

 

5. 애플, ·무역전쟁에 불똥···삼성전자 기회 얻을까?

, 애플 반독점 정책 조사···관세 보복조치 해석

아이폰 점유율 감소 가속화···갤럭시 반등 계기 마련

인도·베트남 트럼프 관세 '사정권'···삼성전자에 '악재'

https://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547290

 

6. 캘빈 클라인과 토미 힐피거가 트럼프의 중국과의 무역 전쟁에 휘말린 사연

캘빈 클라인과 토미 힐피거의 소유주가 중국의 신뢰할 수 없는 기업목록에 올랐습니다. 이로 인해 매장을 폐쇄하고, 생산을 중단하고, 직원들을 집으로 돌려보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수입품에 10%의 새로운 관세를 부과하고, 미국 에너지 수입에 대한 새로운 관세 부과 등의 보복 조치를 취한 직후 중국은 PVH를 목록에 추가했습니다.

PVH는 중국에서 상당한 제조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18%의 공급업체와 공장이 이 지역에 있습니다.

https://www.cnbc.com/2025/02/06/calvin-klein-owner-pvh-blacklisted-in-china.html

 

미국이 소액 택배 제재를 하루 만에 변경한 것도 시장에 큰 도움이었고요.

중화권 시장이 환호한 것 같습니다.

중국이 승기를 잡았나? 이런 기대감으로 말입니다.

 

오늘 미국 시장에서 애플이 보합권에서 등락 중이었는데

구글 제재야 뭐 이미 철수했으니 의미가 없다는 새앆인데

애플 앱 수수료 점검한다는 소식이 나오네요.

CNBC 기사는 의류 기업이 또 중국 제재에 걸리는 것 같고요.

 

트럼프 1기 때 일방적으로 얻어맞던 중국이 아니네!

뭔가 준비했네! 이런 분위기도 감지가 됩니다.

 

1. 화웨이, 제재에도 작년 매출 22%↑…역대 두번째

 

2. 중국 기업들 'AI 올인'2의 딥시크가 몰려온다

'AI 호랑이' 스타트업들 경쟁 치열

알리바바 등 대기업도 AI에 올인

https://www.goodnews1.com/news/articleView.html?idxno=444160

 

3. 정부가 키우는 AI2의 딥시크도 중국에서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50206026342654

 

4. 오픈AI, 딥시크에 놀랐나...슈퍼볼 광고로 고객 붙들기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06000841

 

창예판, 과창판 분위기로 보면 중국 딥시크가 상당한 시장 파급 효과가 있는 것 같고요.

오픈AI 위치가 묘합니다. 딥시크가 무료니 말입니다.

그리고 딥시크 탈옥하면 별별 정보를 다 무료로 주는데

오픈 AI를 사용해야 할까?

더해서 구글도 가성비 AI 출시하니 그동안 투자한 자금을 어떻게 회수하지?

이런 숙제가 나올 것 같습니다.

 

1. "공개 1년 맞는 '소라', 기대와 달리 아무 성과 없어"

블룸버그는 5(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 오픈AI가 동영상 모델 소라로 할리우드 주요 스튜디오와 협상을 벌였으나, 계약에는 실패했다고 보도했다.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7746

 

2. "딥시크 나와" 구글도 '가성비 AI'로 맞불

AI 패권경쟁 본격화

비용효율 높인 제미나이 2.0 출시

초경량·추론모델로 오픈AI도 견제/ 소뱅, 반도체 설계사 인수 탄력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OV5YA07Z

 

3. 구글, 딥시크 겨냥 가성비 AI 출시올트먼은 저비용 AI 협력

[딥시크 차단 전방위 확산]

글로벌 빅테크, 딥시크 견제 잰걸음

구글, 초경량 모델로 고객 이탈 방어

올트먼, -이어 UAE-등 방문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50207/130985141/2

 

중국에서는 딥시크 외, 더 많은 AI가 나오고

미국에서도 AI가 계속 출시가 되는데 오픈AI는 돈을 못 번다.

이럼 곤란하지 않겠습니까?

 

1. 이날 특징주로는 중국 전기차 1위 업체인 비야디(比亞迪) 관련 주가 급등했다. 비야디가 상한가를 기록하며 시가총액 9000억 위안을 넘어섰다. 이와 함께 위퉁광쉐(宇瞳光學), 보터리(伯特利) 등 비야디 관련 주들도 상한가를 기록했다.

 

비야디는 오는 10일 저녁에 광둥(廣東)성 선전(深圳)시에 위치한 본사에서 스마트화 전략 발표회를 개최한다고 이날 발표했다. 발표회에서 새로운 기술과 미래 비전이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관련 주가 상승했다. 또한 지난 1월 비야디의 판매량이 30538대를 기록하며 중국 내 판매 1위 자리를 지켰다. 또한 1월 해외 판매량은 66336대로 전년 대비 83.4% 증가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06001093

 

2. 볼보 자동차, 관세 주도 생산 움직임 검토, 중국 과도한 경쟁경고

 

스웨덴의 볼보 자동차는 목요일에 매출이 8% 증가하고 매출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영업 수익이 12% 증가해 223억 스웨덴 크로나(204천만 달러)에 달했다고 보고했습니다.

그러나 2025년은 장기적인 성장 목표를 향한 도전과 전환의 해가 될 것이라고 말하며, 업계 전반에 걸쳐 시장 성장이 둔화되고 할인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볼보 자동차 CEO 짐 로완은 CNBC에 회사가 미국 관세의 결과로 생산 이전 또는 공급업체 이전을 고려하고 있으며, 중국에서 비롯된 과도한 경쟁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https://www.cnbc.com/2025/02/06/volvo-cars-hikes-2024-profit-as-it-considers-relocation-due-to-tariffs.html

 

3. 트럼프의 중국 관세 인상은 포드와 GM 차량, 수십억 달러 규모의 자동차 부품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중국 수입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는 조치는 소수의 미국 차량에 영향을 미칠 것이지만, 자동차 부품 비용의 상승은 이미 높은 자동차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자동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차량은 포드 모터스의 링컨 노틸러스와 제너럴 모터스의 뷰익 엔비전일 것이다.

https://www.cnbc.com/2025/02/05/trump-china-tariffs-ford-gm-vehicles.html

 

어제도 전해드렸는데 포드가 관세 우려를 상당히 합니다.

오늘 포드가 549분에 7% 하락이고요.

도요타가 2.6%, 혼다가 1%, GM이 약보합 정도

그런데 중국 전기차는 난리 났습니다.

중국에서는 비야디가 상한가 미국 시장에서 리오토가 5%, 지커가 7%, 샤오펑이 3%

중국 전기차는 정말 잔칫날입니다.

유럽 자동차는 중국과 경쟁에서 치이고 트럼프 관세에 겁먹고 쩝

 

1. 현대차, ‘캐즘여파에 아이오닉 코나EV 생산 일시 중단할인 승부수 통할까

울산 1공장 12라인 24~28일 가동 중단

내수 부진, 주문량 감소 따른 생산량 조정 차원

1월 아이오닉 5 판매량 75대 머물러

전기차 9개 차종 대상 300~500만원 할인 카드 꺼내

 

2. 캐즘 여파현대차, 아이오닉5 생산 일시 중단

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아이오닉5를 생산하는 울산1공장 2라인 가동을 24일부터 28일까지 중단한다. 전기차 수요 둔화로 재고가 쌓이자 이를 관리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현대차는 같은 이유로 지난해 11월에도 생산 라인의 가동을 중단한 바 있다.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50206/130983792/2

 

3. "괜히 바꿨나"불황에 잘 팔리던 차 '눈물의 할인', 무슨 일?

전기 1t 트럭, 판매량 급감

현대차·기아, 연초부터 할인 공세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OV5S773B

 

4. “세계 최저가로 모십니다몸값 낮추는 전기차

국산·수입차 업계 할인 경쟁/ 보조금 줄자 최대 500만원 깎아

3000만원대 BYD 진출도 부담/ “판매량 늘려 시장 선점하려는 듯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1738833730

 

어제 우리 전기차 할인 소식 전해드렸는데

현대차가 아이오닉, 코나 전기차 생산 중단 소식이 나오네요.

공장 돌리기 바쁘다고 하더니 이제 생산 중단이고 트럭 판매는

뭐 떨이 판매하는 것 같고요.

미국 시장으로 보면 오늘 자동차는 좀 걱정 해야 할 것 같습니다.

 

1. 현대글로비스, 지난해 이어 올해 'BYD·에어인천' 효과로 최대실적 쓴다

2025년 사상 첫 영업이익 2조원 돌파 전망

BYD, 올해 국내공략 나서면서 양사 협업 본격화

에어인천에 1500억 투자, 해상까지 영역 넓혀

호실적 기조에 이규복 대표 입지도 강화

 

2. 현대글로비스 "매출 30조 눈앞불확실성 뚫고 올해도 성장"

지난해 매출 28.4, 2년만 최대 실적 경신

자동차운반선 용선료 오르며 수익성 개선

올해도 매출 최대 29, 영업익 1.9조 제시

"자산 확대, 비계열 고객 확대 원년 삼겠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195126642067896

 

3. HL만도, 작년 매출·영업익 역대 최대“SUV·HEV 확대 영향

지난해 매출 8.8·영업익 3603

최대 실적현대차 판매 호조 영향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06010003454

 

계속 적고 있는데 현대차나 기아보다는 부품이 나아 보이고요.

현매모비스는 현대차, 기아 외 다른 자동차 납품 시작해서 실적이 잘 나오고

현대글로비스도 비야디 수입 담당하면서 실적이 잘 나왔네요.

참 경쟁 전기차를 현대차 그룹에서 합니다. 모순되는 어이없는 현상이지만

이렇게 자동차 부품이나 관련 쪽이 완성차보다는 나아 보입니다.

# 우리 시장 이야기

 

1. 코스피, 외인·기관 '사자'2530선 회복1.10%

코스피, 사흘째 상승해 2536 마감...딥시크·관세충격 직전 수준 회복

 

2. [올댓차이나] 대만 증시, 나스닥 강세에 사흘째 상승 마감0.67%

 

3. [일본 증시] 엔고 추세에도 3일 연속 상승...39000선 회복

증시, 반도체주도로 상승 출발

 

4. "1400원대 환율이 뉴노멀"자산가들, 강달러에 베팅

 

845분 개장 후에 고점 돌파 시도로 0.8% 상승까지 만들고

훅 빠지더군요. 9시 개장 후에 밀려서 2일 연속 오르고 하루 쉬나 했습니다.

이때 곱버스 잘 청산하고 나왔고요.

 

일본 시장도 제법 상승 출발했다가 0.3%대까지 밀리더군요.

프로그램은 옆으로 누워서 별 움직임이 없었는데

 

반전은 홍콩 시장 개장 즈음 때 나오기 시작하더군요.

현물 매수도 별로 안 하던 외국인이 현물 매수 전환

기관도 따라 매수 전환

 

조금씩 흔들리기는 했지만 장중 고점 1.15% 상승을 두 번 만들었습니다.

보시면 일본도 반도체 때문에 올랐다고 하죠.

대만도 오르고

 

미국 시장 반도체 강세를 아시아 시장이 처음에는 차익 실현으로 나오다가

홍콩 개장 후, 중국 AI 급등이 나오면서

같이 반도체가 올랐다는 생각입니다.

 

중국 반도체 과창판이나 중국 나스닥 창예판이 2.8% 급등이죠.

아시아 시장은 반도체, AI가 움직였다는 생각입니다.

 

1. 하드냐, 소프트냐AI 랠리 이끌 주도?

엔비디아 등 하드웨어반등

빅테크 투자 확대에 회복세/ "당분간 SW업종 우위" 전망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90695

 

2. 50배 빨라지는 6G 통신백서낸 삼성전자, ‘AI 내재화제시

삼성, 6G 백서 공개 AI·지속가능성 강조

삼성전자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동향과 방향을 담은 6G 백서 AI 내재화·지속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6일 공개했다.

https://www.safe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5275

 

외국인이 전기전자를 2200억 매수합니다.

삼성전자를 수요일 217만주 매도했는데 어제는 또 100만주 매수하고요.

기관도 삼성전자는 매수합니다.

막판까지 삼성전자는 올라서 2% 상승

 

1. 삼성전자, 외국인 보유율 50% 무너졌다...2년래 최저

외국인, 지난해 7월부터 24조 순매도

반도체 실적 1위 자리도 내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반등 마중물 기대

https://www.etoday.co.kr/news/view/2442953

 

51000원이 단기 바닥권으로 보이는 것 같습니다.

외국인 보유율이 50% 아래로 내려오고 51000원에서는

여러 문제가 있으니 주가 방어 기대감이 나오는지 외국인이나 기관이 삼성전자를 사네요.

 

앞서도 아시아 시장이 반도체와 AI가 살렸다고 했는데

카카오가 또 3% 올랐습니다. 최근 반등이 좋습니다.

 

위클리 옵션 만기였고요.

이제 다음 주 2월 옵션 만기 전략이 나올 것 같습니다.

묘한 것은 외국인이 현물을 사면서 선물도 사다가 매도 전환입니다.

 

4시까지 상승 유지하던 야간 선물이 미국 하락으로 하락 전환하고

-0.07% 하락 마감입니다.

 

8시 미국 야간 선물 출발이 크게 안 내린다면 우리 선물은 보합권 근처

갭 출발 없이 평범하게 출발할 것 같고요.

 

3거래일 상승인데 이게 1%대로 상승해서

좀 쉬려고 할 수도 있을 것 같고요.

 

선물 기준 330선 코스피 2500선 근처에서 지수가 계속 놀려고 합니다.

2500이 깨지면서 2450근처 가면 반등도 잘 하고

2550선 근처 가면 또 쉴려고 하고요.

박스권이라고 계속 적고 있고요.

큰 사건이 생기면 상하단이 열릴 것 같은데

눈치 보기가 상당한 것 같습니다.

 

<< '롤러코스터 장세' 일단 관망증시 대기성 자금 늘었다

CMA 87·MMF 204조로 증가

관세 전쟁·딥시크 충격 등 영향/ 코스피 7일중 51% 이상 등락>>

 

증시 자금도 눈치 보기 한다는 생각이고요.

프로그램 수급이 중요하다는 생각이고요.

프로그램이 변곡점을 잘 만들고 있습니다.

연기금이 471억 매수입니다.

기관은 2550선에서는 큰 매수 안 할 분위기입니다.

 

1. ‘밸류업 대표주자’ KB금융, 주주환원 실망감에 5%대 하락

 

2. KB금융, 순익 '5조 클럽' 입성주주환원 '밸류업'1.8..

'5조 클럽' KB금융, 밸류업 드라이브 "자사주 5200억 매입·

 

3. 신한금융, 5000억 자사주 또 소각..1.7조 주주환원 '밸류업' 속도

신한금융 분기배당 540원 확정“1분기 이후 밸류업 계획 재공시

신한금융, 5000억 자사주 또 소각..1.7조 주주환원 '밸류업'

 

4. 대신증권 "키움증권 해외주식 점유율 역전당해목표가"

"키움증권, 해외 주식 1위 토스에 내줘목표가"

키움증권, 해외주식 점유율 1위 수성 못해목표가

 

5. 밸류업 1호 공시 무색한 키움증권주가 1년째 지지부진

키움증권, 3년만에 영업이익 1조 탈환

 

6. 대신증권, 작년 영업이익 전년55.6%↓…올해 실적 회복

대신증권, 작년 영업이익 716억원전년 대비 55% 줄어

 

7. LS증권, 지난해 당기순익 116전년 대비 42% 감소

LS증권, 지난해 영업익 34%↓…"부동산 PF 충당금 설정 영향"

 

8. 유안타증권, 작년 영업이익 948전년27%

 

9. 현대차증권, CEO 중장기 기업가치제고 기업설명회 개최

 

10. 유진투자증권, 지난해 영업익 583전년 115.8%

 

금융주에서 이상한 일이 계속 나오네요.

키움증권이 실적 발표 후 해외주식 점유율 1위 실패로 6% 급락

어제도 1%대 하락이고요.

KB금융은 순익 5조 달성했는데 주주환원 미미라는 핑계로 또 6% 급락이네요.

 

밸류업으로 금융주들 은행, 증권을 주목했는데

잘 가다가 이상한 흐름이 나오고 있습니다.

부동산에 물린 증권사 실적은 엉망으로 나오고요.

해외주식 못 하는 곳도 좀 실적이 별로고요.

그런데 유진투자증권은 영업이익이 작년보다 110% 이상 상승인데

어제는 0.63% 하락

밸류업으로 잘 가던 메리츠금융이 3% 하락

 

뭔가 금융주 은행, 증권이 심한 조정을 받는 느낌입니다.

기사들 보시면 대부분 증권사 이익 감소니 오늘도 증권주는 흔들릴 것 같은데

유진 정도는 그래도 상승해야 하지 않나?

이런 생각입니다.

 

삼성생명 때문에 자사주 편입 논란이 나오는 삼성화재는 어제 3% 상승이고요.

금융주 안에서 요상한 바람이 부네요.

 

오늘 자동차는 흐림 같고, 2차 전지는 기술적 반등 후 어제는 또 쉬고요.

지수 올리는 도구로는 잘 사용됩니다. 언제든지 돈 별로 안 들이고 올릴 수 있는 업종이니

지수 올릴 때 사용하니 오늘 지수 방향에 따라 여기는 움직일 것 같은데

저는 쉴 것 같다는 생각이고요.

 

엔비디아 상승으로 보면 AI와 반도체가 계속 움직인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에 지수가 움직인다는 생각입니다.

 

그동안 잘 가다가 최근 쉬고 있는 금융이나 조선 이런 쪽에서 반등도 가능할 것 같고요.

 

동해 유전 개발 테마가 제일 우려가 되는 테마고요.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1.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직접 뛰어든다

난도 높아 직접 개발 추진

기술·장비 주도제조는 외주

차세대 반도체·파운드리 강화

https://www.etnews.com/20250206000317

 

2. D램 가격, 6개월 연속 답보 상태삼성전자, 1분기 영업익 4조원대 전망

1분기 영업익 전망치 5조원대서 4조원대로

비메모리 적자 규모 28000억원으로 확대

국내 8개 증권사 삼성전자 1분기 영업익 4조원대로 예상

 

3. [특징주] SK하이닉스, 업계 최초 'TISAX' 획득 소식에 상승세

SK하이닉스, 전 사업장 메모리 글로벌 정보보안 인증 확득

 

4. 'HBM 검사 속도 5UP' SK하이닉스, 코비스와 신장비 적용

 

5. 신용등급 유지한 피치올 성장률 전망 1.7%로 낮춰(종합)

 

6. '국장 탈출' 심화이복현 "장기투자 방안 마련"

국내증시 이탈 심화이복현 "자본시장 선진화 마지막 기회"

 

7. KG그룹, 자사주 매입·소각 실행 "기업 밸류업 확대"

KG그룹, 자사주 매입·소각 확대'밸류업' 시동

KG그룹, 기업가치 제고 이어간다"자사주 매입·소각 확대

 

8. "증권사 새 먹거리"라더니석달 만에 나온 공개매수 [시그널]

'올 마수걸이 딜' 잉글우드랩 나와

주가 하루 14%또 정보 샜나 의혹

금감원 제도개선 시사로 시장 위축

강화된 의무공개매수 개정안 촉각

https://www.sedaily.com/NewsView/2GOV4K7BM1

 

9. USTR 대표 지명자 "생산자 나라 돼야"플랫폼 규제 등에 강력 대응 예고

제이미슨 그리어, 상원 인사청문회 출석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20704014113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