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엔화! 상호관세! 물가 걱정! 중국 대미 보복 시작하는 날! 현대차 렌트카 사업 진출! 2월 10일 장전 시황

평생선물 2025. 2. 10. 07:03

엔화! 상호관세! 물가 걱정! 중국 대미 보복 시작하는 날! 현대차 렌트카 사업 진출! 210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1월 고용지표 견고...연준 금리 동결 전망 강화

[종합] 미국 1월 비농업 고용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다'...시장 반응 '덤덤'

1월 고용지표 부진 143천명 증가 그쳐

 

2. 1월 실업률 하락에 임금 상승률 가속금리동결 전망 우세

미국, 낮아진 실업률상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

4%로 떨어진 실업률...금리 인하 전망 줄어

 

3. 트럼프 다음 주 다수 국가에 상호주의적 관세 발표

트럼프, '상호 관세' 도입 예고글로벌 무역 갈등 고조되나

트럼프 다음 주 '상호 관세' 발표"많이도 적게도 바라지 않아"

미일정상회담 개최

자동차 시장개방 강하게 요구할 듯

 

4. 트럼프 지지층도 관세공포에 소비심리 위축...물가 우려 심화

12개월 기대 인플레이션 한달 새 4.3%로 껑충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 168개월만에 최고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08000132

 

미국 시장은 2번 낙폭을 키웠는데 다 아시듯 처음은 기대 인플레이션이 갑자기 4.3% 급등하면서 그리고 트럼프 상호관세 언급으로 두 번 하락했습니다.

뭐 주말에 이미 많이 보고 듣고 해서 다 아는 내용이니 더 길게 말할 필요는 없을 것 같고요.

 

종목은 엔비디아 0.9% 상승, 메타가 0.35%

나머지 M7은 아마존이 4%, 구글이 3%, 애플이 2%, 마소가 1%

테슬라가 3%대 하락입니다.

 

1. "너무 올랐나" 월가서 M7 회의론 확산

AI에 자금 쏟아붓는 M7기업

자본지출 규모 1년새 43% / 이익성장률은 4분기연속 뚝

딥시크 쇼크 겹쳐 주가도 털썩/ S&P500지수 상승폭 발목잡아

https://www.mk.co.kr/news/stock/11236580

 

시장은 M7에 대한 경계감이 확실히 나오는 것이 주가로 반영되네요.

 

1. 달러화 강세 빅테크 기업 주가에 부담으로미 증시 위협 요인

'킹달러', 빅테크 실적 압박'주가 부담' 증시 위협요인 부상

아마존, 환율실적전망 악화에 주가급락BofA "달러 강세 기업 실적에 타격"

https://www.yna.co.kr/view/AKR20250209000900072?input=1195m

 

2. 트럼프 2기 매직 넘버 '3-3-3' 경제 청사진 실현될까

베센트가 원하는 3가지/ 경제 청사진에 회의론/ 어깨 무거워진 머스크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제시한 트럼프 행정부 2기의 거시경제 밑그림은 세 가지로 정리된다. 저유가와 저금리, 그리고 강달러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07000859

 

3. ‘TMF’ 물린 개미들 다시 볕 드나···금리인하 비결은 도지’?

장기채 상품 ‘TMF’ 6% 상승세

일론머스크의 정부효율부본격 가동

정부예산 절감으로 국채공급 조절

https://www.mk.co.kr/news/stock/11236433

 

저는 두 가지 주목하는데 늘 올려드리는 미국 국채와 엔화 환율입니다.

 

채권 수익률이 좀 내려오나 싶었는데 다시 1%대 반등이고요.

이게 물가 걱정으로 기대 인플레이션이 4.3% 급등한 것에 영향을 받은 것 같고요.

 

1. "강달러 유지할 것"'2 플라자합의'에 선 그은 베센트

 

2. "환율 개입하지마"무역흑자국에 경고 날렸다

베센트 재무, 중국 겨냥한 듯/ "시장 환율 시스템인지 의심"

 

3. 베센트 재무 트럼프 강달러 펼칠 것

관세발 강달러 현상 지지

트럼프 공정한 무역 원해”/ “파월 옳은 일 할 것신뢰

https://www.mk.co.kr/news/world/11235783

 

4. "1조달러 투자·방위비 2" 선물한미회담 예고편 틀었다

트럼프, 한국에도 GDP 3~3.5%로 확대 요구할 듯

한국, 대미 7위 무역흑자국에너지·무기 등 수입 확대 예상

https://www.news1.kr/world/usa-canada/5683433

 

5. 이시바 "트럼프와 궁합 맞아방위비 증액 요구 없었다"(종합)

"트럼프, 핵보유국 불인정비핵화 공통 인식"

"US스틸 인수 아닌 투자기업으로 남는 구조 검토"

"관세 일방 착취는 오래 못 가""LNG, 국익 부합"

중국·대만 정책엔 "힘에 의한 변경 반대 곰감"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210_0003058618

 

 

테슬라가 3%대 하락인데 도요타도 3.42% 하락입니다.

미국 은행주들이 신고가 영역이고 1% 미만 하락이었는데

일본 미즈호 파이낸셜이 3%, 스미토모 미쓰이 파이낸셜이 1.8%,

다른 미국 은행주보다 하락이 더 심합니다.

 

일본 수상이 트럼프와 회담하면서 온갖 아양을 다 떨었는데

달러/엔이 151까지 내려오면서 엔화 강세가 나오고요.

달러/원이 1453원으로 원화는 약세가 더 하고요.

/원이 8.00대에서 어느 순간 9.59까지 올라왔습니다.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우려가 계속된다는 생각인데

이상하게 트럼프가 일본에 방위비 증가 요구도 없었다고 하네요.

정말 친했던 캐나다는 때리는데 일본은 함께 갈 것처럼 때리지를 않네요.

 

요게 토요일 새벽 미국 시장 특징이라는 생각입니다.

미국 시장 일본 종목들은 약세였는데

달러/엔은 보합이고 트럼프는 모든 나라를 다 때릴 듯이 하는데

일본은 넘어갑니다.

 

요 이상한 흐름이 우리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지 잘 지켜봐야 할 것 같고요.

 

1. 국고채 금리, 한은총재 매파 발언에 일제 상승3년물 2.635%

이창용 총재 "금리 인하 불가피한 것 아냐"...매파 발언에 국고채 금리 일제 상승

 

2. 과도한 '인하 기대감' 경계한 한은 총재'환율-성장' 사이 고심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20713551160520

 

3. 外人, 올 들어 국채 선물 8.7줍줍금리 인하에 베팅

외국인, 한국 금리인하에 베팅올해 8.7`폭풍 매수`

경기 성장 둔화로 하방 압력 강화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20902109963046004

 

한은총재가 금리 인하 불가피한 것 아니다. 이렇게 나오는데 외국인은 인하로 보고

우리 국채를 8.7조 매수합니다. 세계 채권국 가입으로 선취매인지

정말 금리 인하에 투자하는 것인지

우리 환율은 엔화와 달리 더 약세가 진행되는 모습이고요.

위안화와 같이 흘러가는지도 주목해야 할 것 같고

 

앞에서 떠드는 소리 관세 이야기 보다

우린 채권과 환율에 더 집중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 영향으로 주식 시장도 위아래로 흔들릴 것 같거던요.

글이 너무 길어질 것 같아서 트럼프와, 머스크 이야기는 내일이나 해야겠습니다.

 

1. "고용 탄탄", 달러 강세...유로 하락, 엔화환율 소폭 하락

엔화가치, 일본은행 금리 인상 가능성에 촉각

10년물 국채금리 4.49%로 올라...2년물도 상승

https://www.choic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2456

 

2. 엔화, G10 통화 중 독보적 강세미일 정상회담 내용에 시장 촉각

·달러환율 두달만에 150엔대

트럼프 관세 위험 덜한 '도피처'/ 日銀 금리 추가인상 기대도 반영

일각선 "회담 앞두고 엔유도"/ 강세 지속성에 회의적인 시각도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OVMQ8V2W

 

3. 아마존 성장세 둔화 경고에도올해 AI1000억달러 투자

 

4. 전기차 판매 부진에 테슬라 주가 와르르서학개미 어쩌나

테슬라, 중국 판매량 주가 닷새간 10.6%

테슬라, 지난달 판매량 11.5% 감소주가는 하락세

 

5. 테슬라, 유럽이어 중국 판매도 부진...3.4% 하락하며 이번 주 10% 가까이 하락

1월 중국 판매량, 전년 동월 대비 11.5% 감소...BYD, 47% 증가

 

6. 테슬라 중국 판매 11.5% 감소BYD와 격차 벌어져

독일·프랑스 등 유럽에서의 부진까지 이중고

춘절 기간 생산 중단도 예정돼 있어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82996

 

7. 테슬라, '나치 범죄 축소' 논란 이후 유럽서 판매량 반 토막

 

8. 병가 낸 직원들에 "미쳤다"머스크 극우 지지하는 이유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2589

 

9. 머스크 파상공세에 반격19개주 "정부효율부 불법조사" 소송

"트럼프, 효율부에 재무부 민감 결제정보 보게 한 건 위법"

민주당 장악주들 봉기"연방법·헌법 위반에 비선출 집단 보안위협"

https://www.yna.co.kr/view/AKR20250208033700009?input=1195m

 

10. 법원 "재무부 결제시스템에 DOGE 접근 안돼" 머스크에 제동

법원 "재무부 결제시스템에 DOGE 접근 불허한다"

 

11. 트럼프 타임, 거기 아직도 영업 중인가?”레거시 미디어 수난

트럼프 정부의 '비판적 신문 끊기'잇따른 구독 계약 취소

트럼프, 비판적 언론 '손보기'?...구독 계약 취소 잇따라

정부, 트럼프 언론 손보기?구독 계약 취소 착수

# 주목해야 할 소식

 

[속보]국제유가 트럼프발 관세 공포에 소폭 상승 그쳐, 천연가스도 하락 반전

천연가스, 100BTU당 전날보다 0.108달러(3.17%) 하락한 3.300달러

WTI는 전장 대비 0.39달러(0.55%) 상승한 배럴당 71.00달러에 마쳐

 

공급 불안 속...국제유가 '상승', 천연가스는 '급락'

원유 재고 증가에도, 이란 제재 등 이슈 거론

미국 '상호관세' 발표 속, 상승폭 일부 반납

엑슨모빌 등 빅3 정유주 주가 장중 '혼조'/ 국제 구리가격 · 국제 금값도 올라

https://www.choic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2457

 

트럼프 관세 전쟁에 천정부지 치솟는 금값ETF 수익률 고공행진

 

트럼프 첫 이란 제재 유조선 3척뿐경고 사격 수준

[국제유가] 트럼프, 이란 제재 발표 여파WTI 71달러

 

핵합의 찢은 트럼프에 이란 최고지도자 그런 정부와 협상 말아야

이란 하메네이 "와 협상해도 아무것도 해결 안된다"

 

우크라 종전안 공개될까트럼프 "다음 주에 젤렌스키 만날 것"

이러다 다 뺏겨!우크라 요충지 점령한 러, 협상 우위 선점

 

트럼프 '가자 구상'에 판 짜는 이스라엘강제이주 초안 마련

이스라엘, 가자지구 주민 이주 계획 검토"라몬 공항·아슈도드 항구 이용"

 

트럼프, 남아공 백인 토지 몰수 "용납 안해"전면 지원 중단 재확인

 

금이 0.38%, 구리가 갑자기 2.9% 반등합니다.

오늘 구리 관련은 좋겠습니다.

은은 0.55% 하락하고 유가는 0.5% 반대로 천연가스는 2.93% 하락

겨울이 끝나가면 천연가스가 좀 안정되나 싶고요.

원자재 투자는 좀 더 기다려 볼 생각이고요.

 

트럼프가 관세뿐만 아니라 지정학적 위험도 영향을 줍니다.

캐나다 먹겠다. 파나마운하 먹겠다. 그린란드 먹겠다.

서안 지구도 먹겠다. 뭐 다 먹게 생겼습니다.

 

이란 제재하고 우크라이나 종전시키고

이제 남아공도 언급하네요. 끝이 없습니다.

하여간 하나는 확실한 게 유가 잡겠다. 이 방향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1. 노르웨이 국부펀드, 기업 49곳 투자 철회안티ESG에도 지속가능 투자 강화

- 부적합 기업 49곳 투자 철회ESG 리스크 관리 선제 대응

- AI허위정보 관리 강화빅테크와 ESG 대화 박차

https://www.impacton.net/news/articleView.html?idxno=13960

 

2. 오픈AI, 텍사스 등 10여개 주서 데이터센터 추가 건설 추진

https://www.auto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7587

 

3. 태양광 관련 주도 상승했다. 솽량제넝(雙良節能), 안차이가오커(安彩高科), 쥔다구펀(鈞達股份)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이날 지방(集邦)컨설팅은 보고서를 통해 춘제(春節, 중국 설) 휴가 기간 동안 태양광용 실리콘 소재의 공급은 안정적이었으며, 3월에 태양광 패널 생산 증가가 예상되면서 실리콘 소재 가격이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한 점이 주가를 자극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07000828

 

4. 중국, 붐 이후 청정 전력 보조금 철회

 

베이징, 29(로이터) - 중국 최고 경제기획기관은 일요일에 태양광과 풍력 발전 설비가 붐을 이루자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한 보조금을 축소하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은 2024년 신규 태양광 설비에서 자체 기록을 경신했으며, 설비 용량은 전년 대비 45% 증가했습니다. 국제 재생 에너지 기구의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은 현재 약 887GW의 태양광 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의 용량의 6배가 넘습니다 .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china-roll-back-clean-power-subsidies-after-boom-2025-02-09/

 

전력이나 전선, 태양광은 계속 AI와도 연결해서 지켜봐야 할 것 같고요.

금요일 중국 시장에서는 태양광 조목이 급등하고요.

주말 로이터에서는 중국이 태양광, 풍력 보조금 축소한다는 기사가 나오네요.

중국 우회 수출이 막혀서 동남아 시설 가동 중단하더니

본토는 보조금 축소입니다.

미국 시장에서 퍼스트솔라는 0.4% 상승이지만 엔페이즈에너지는 4%대 급락하면서

신저가 영역이고요.

금요일 한화솔루션은 6% 급락인데 오늘 중국 태양광 보조금 축소가 우리나라와 오늘 밤 미국 태양광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됩니다.

 

1. [관세 전쟁] 트럼프 이후 달라진 미국시장자동차·철강·가전 '가시밭길'

중국 견제 속 멕시코가 최대 수입국 부상

일본 '주춤' vs 대만 '약진'한국 8위 지켜

자동차·반도체 선전했지만 올해 가시밭길/ 철강 '쿼터제' 발목이차전지·가전 고전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07000874

 

2. 현대차 '꿈의 배터리' 전고체 라인 3월 본격가동

9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경기 의왕 연구소에 구축한 차세대 배터리 연구동 개소식을 3월 개최할 예정이다. 이 연구동 안에는 전고체 배터리를 시험 생산할 수 있는 파일럿 라인이 구축됐다.

https://www.etnews.com/20250207000207

 

3. "혁신기업만 살아남는다"배터리소재사, LFP 돌파구로 생존 경쟁

롯데머티·엘앤에프, 파일럿 테스트 '착착'SKIET, 분리막 수주 쾌거

대중국 제재로 시장에서 반사이익 기대"초격차 위해 R&D 관심 필요"

https://www.yna.co.kr/view/AKR20250207145700003?input=1195m

 

현대차가 전고체 배터리 시험 생산하고요, LFP 배터리 대응 전략도 좀 나오는 것 같고요.

 

1. 트럼프 귀환했지만 전기차는 성장세K배터리 실적 반등할까

K배터리 3, 첫 동반 적자냈지만 북미 생산량 증가로 AMPC 수혜 확대 기대

https://www.nocutnews.co.kr/news/6289973

 

2. 트럼프 변수에도 북미 전기차 성장세K-배터리 반등 신호탄 될까

배터리 3사 첫 동반 적자북미 생산량 증가로 AMPC 수혜 확대 기대

https://www.yna.co.kr/view/AKR20250208003800003?input=1195m

 

실적으로 보면 뭐 막막한데요.

기대감은 또 살짝 나오는 것 같습니다.

미국 시장 동조화로 본다면 반도체, 자동차가 우울합니다.

이런 날은 또 2차 전지가 힘을 내기도 하니, 우린 전고체로 한번 움직이는지 지켜보겠습니다.

 

1. 앞서가는 반고체 배터리..."2027년 전기차 시장 침투율"

'꿈의 배터리' 전 단계로 평가액체 전해질 대비 안정성 높아

https://zdnet.co.kr/view/?no=20250208173022

 

2. K배터리 3, 사상최대 적자 허덕·은 흑자 휘파람

확장 나선 '전기차 캐즘' 타격

파나소닉은 테슬라 집중 효과

은 자국 전기차 성장 올라타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934651

 

3. 한국 기업은 한푼도 못 받는데'현금 1' 팍팍 꽂아준 중국

'한국판 IRA' 시동배터리 탈출 막는다

여야, 조만간 법안 발의

배터리 투자 96% 해외로/ 현금 아닌 쥐꼬리 공제 탓/ ·은 보조금 파상공세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934991

 

중국 배터리 잘 가는 것은 참고하시고요.

미국 앨버말은 2% 하락입니다.

금요일 우리 시장처럼 미국 시장이 반도체, 자동차, 배러리가 다 약세였습니다.

1. “내실 있는 은행 어딘가 보니강달러 공습에 금융회사 실력 드러났다는데,

원화 약세 추세 지속되면서

금융지주 위험가중자산 증가/ 보통주 자본비율 하락한 KB

4분기 호실적에도 주가 털썩/ 하나는 안정적 관리로 선방

https://www.mk.co.kr/news/stock/11236731

 

2. 소액 급전 대출도 못 갚아... 은행 신용카드 연체율 '빨간불'

일반은행 연체율 두 달 연속 3.4%

카드사태 이후 최악 수준 치달아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20914560004890

 

3. 최대이익에도 영업점 줄이는 은행KB·신한 28개씩 무더기 폐쇄(종합)

신한 1·KB 3월 없애5대 은행 약 1년새 165개점 축소

노인 등 취약층 금융접근성 우려금융노조, 4.5일제·영업시간 단축 주장까지

https://www.yna.co.kr/view/AKR20250208055551002?input=1195m

 

4. "서학개미 효과 톡톡"증권사 줄줄이 영업익 '1조 클럽' 재등극

미래·삼성·키움·메리츠, 작년 영업익 1조 돌파

한투는 3분기 이미 누적 영업익 1조 넘어

2023년 글로벌 경기 침체에 1조 클럽 전무

'서학개미' 덕에 해외주식 거래대금 수수료 급증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702326642068880

 

오늘 주목하는 기사는 금융 업종인데요.

이상하게 삼성생명이 계속 하락입니다. 지배 구조 때문 같기도 하고요.

이제 90900원까지 내려왔습니다.

 

급락했던 KB금융은 1%대 반등하지만, 나머지 은행주들은 하락이고요.

오늘 주목하는 기사는 증권주입니다.

 

지금 증권주 중에 액면가 5000원도 안 되는 종목이 많습니다.

부동산 때문인 것 같은데 하락이 끝이 없네요.

실적이 개선되는데도 이렇습니다.

중소형 증권사로 유진투자증권을 조금 담아 봤는데

반등이 쉽지가 않네요.

중소형 증권사를 좀 주목해보자!

이런 내용입니다.

 

1. 충당금 쌓아올린 중소형 증권사들...실적 반등은 난망

iM·다올·SK·현대차 등 당국 기준 강화에 작년 집중 적립

22년 이후 부동산시장 악화에 비용↑…새해부터 부담 완화

대형사 대비 회복 속도 저하낮은 사업 다각화 수준 발목

https://www.dailian.co.kr/news/view/1459443/

# 아시아 시장 이야기

 

[오늘 A] 밸류에이션 재평가 기대에 상승...딥시크 유저 급증에 관련주 폭등

상하이종합지수 3303.67(+33.01, +1.01%)

선전성분지수 10576.00(+182.37, +1.75%)

촹예반지수 2174.35(+53.60, +2.53%)

커촹반50지수 1018.80(+7.58, +0.75%)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07000828

 

골드만삭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MSCI 중국 지수가 올해 14%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낙관적인 상황이 전개된다면 상승 폭은 28%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도 평가했다.

 

골드만삭스는 중국의 기술주가 재평가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거론하면서 66%에 달하는 미국과 중국의 기술주 밸류에이션 격차가 줄어들 것이라고도 진단했다. 특히 중국 제조업은 첨단 기술, 특허 수, 산업 클러스터, 인재 등의 측면에서 상당한 강점을 지니고 있다고도 평가했다.

 

도이체방크는 보고서를 통해 딥시크의 사례를 거론하며, 이는 중국의 지식 재산권의 가치를 증명한다고 평가했다. 또한 중국이 고부가가치 분야에서의 강점과 공급망에서의 주도적인 지위가 확장되고 있다고도 강조했다.

 

도이체방크는 중국 주식에 대한 디스카운트가 점차 사라질 것으로 전망하며, 중국 A주와 홍콩 주식이 올해 지속적으로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신(中信)증권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중국 자산을 재평가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으며, 봄철 상승장에 대한 기대감 역시 높아지고 있다""유동성은 본토 A주보다는 홍콩증시로 더 많이 유입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AI 관련 주가 강세를 보일 것이며, 미국 이외의 지역에 진출하는 기업들, 그리고 배당 성향이 높은 기업들이 상승세를 주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07000828

 

트럼프, 소액 배송 중국 상품 관세 부과 연기 행정명령

관세청이 중국 저가 쇼핑몰 배송 상품 검사 능력 갖출 때까지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208_0003057875

 

중화권 정규 시장도 좋았고요. 미국 상장 중국 종목들도 좋았습니다.

나스닥이 1.3% 하락하는데

알리바바가 3%, 핀둬둬가 1%대 바이두나 징둥은 1% 미만 상승이고요.

알리바바가 딥시크에 투자했다는 호재로 상승한 것 같은데 회사는 부인했다고 하네요.

 

트럼프가 소액 배송 부과 연기도 이 종목들에 악재는 아닌 것 같고요.

 

1. , 1CPI 전년0.5%↑…춘제 소비 영향

 

2. 중국 소비자 물가 상승률 5개월 만에 최고치, 생산자 디플레이션 지속

중국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1월에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고 생산자 물가 하락도 지속되어 소비자 지출이 엇갈리고 공장 활동이 약화되었습니다.

분석가들은 정책 입안자들이 침체된 국내 수요를 되살리지 못한다면 올해 중국에서는 디플레이션 압력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상품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면서 베이징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 규모를 자랑하는 중국의 성장을 촉진하라는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https://www.cnbc.com/2025/02/09/chinas-consumer-inflation-at-5-month-high-producer-deflation-persists.html

 

홍콩 야간 선물은 대신 0.33% 정도 하락이었습니다.

차이나 A50 선물도 0.31% 정도 하락이어서 출발은 좀 부정적이고요.

주말 소식은 중국 CPI가 있었는데 오늘 개장 때는 이 지표 소화 과정이 있을 것 같고요.

상해가 3300까지 와서 박스권 상단에 다 왔다는 생각이고

좀 쉴 때도 되었다는 생각이고요.

 

대신 선전이나 창예판, 과창판은 방어도 가능하지 않을까?

이런 기대감도 있습니다.

 

1. BofA "올해 증시, 글로벌 지배력 약화...채권·증시 등 유망"

중국 증시 오를 일만 남았다?딥시크·전기차에 투자자들 몰린다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50207027253330

 

2. "트럼프, 중국에 되치기 당할 수도"

미국 싱크탱크 스팀슨센터의 윤선 중국 담당 국장은 지난 6일 외교전문지 포린어페어스에 게재된 "중국의 트럼프 전략(China's Trump Strategy)"이란 제목의 기고문에서 "중국 지도부는 트럼프의 정책이 장기적으로 미국의 국력을 약화시키고 국제적 위상을 낮출 것으로 본다"면서 "그러한 변화가 올 때 중국은 이를 활용할 준비를 갖추는 것이 목표"라고 분석했다.

https://v.daum.net/v/20250209141742850

 

3. ‘트럼프 관세에 뿔난 , 빅테크 정조준

트럼프 10% 추가 관세에 , 빅테크 반독점 조사 착수·검토

애플의 경우 고율 앱스토어 수수료·외부결제 제한을 문제 삼아

, 對美 협상 카드로 사용하기 위한 빌드업차원이라는 분석

내부서 기업 반독점조사 부작용 낳을수 있다우려 나와

https://www.dailian.co.kr/news/view/1459493/

 

중국 좋게 보는 금융사 보고서도 나오고요.

이번 관세 전쟁에서는 중국이 역전 가능하다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크게 한번 상승할 계기는 트럼프, 시진핑 전화 대화에서 타협 윤곽이 나온다면

한번 강한 상승도 가능할 것 같고요.

 

중국 지표는 엉망입니다. 그런데 묘하게 수급이 들어가는지 강하네요.

기관 매수, 외국인 일부 매수 그리고 개인들은 테마 매수 이러면서 중화권 증시가

뭐랄까? 활력이 좀 느껴집니다. 전에 못 느끼던 분위기고요.

 

1. 트럼프 "딥시크, 안보 위협 아냐", 사용차단 풀까

"딥시크는 매우 좋은 발전. (안보위협) 아니다"

트럼프 발언은 중국에 유화적 제스처란 평가도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708886642068552

 

2. AI 굴기생성형 분야 특허 점유율 74%

매경·렉시스넥시스 분석/ 10년새 점유율 10배 증가

··은 크게 줄어들어/ 경쟁력 TOP 15 기관에도/ 한국은 삼성전자가 유일

https://v.daum.net/v/20250209165400789

 

3. ‘포스트 딥시크는 나!...60개 스타트업 경합

1. 2의 딥시크 되려는 경쟁 이미 치열.

2. 인공지능 용처가 점점 세분화 되는 중.

3. 북미가 가장 활발, 아시아는 잠잠.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5874&kind=

 

4. K반도체 운명 좌우할 2025, “‘딥시크 쇼크는 위기이자 기회

불투명의 늪과 새로운 기회한국 반도체 운명 좌우할 2025

 

이날 특징주로는 딥시크 관련 주가 재차 상승했다. 메이거즈넝(美格智能), 칭윈커지(青雲科技), 유커더(優刻得) 10여 개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딥시크가 6일 저녁 API(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서비스 충전을 잠정 중단했다고 발표했다. 딥시크 사용자 수가 급증하면서 일부 서비스에서 API 사용을 제한하거나 고객들의 충전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킨 것으로 분석된다.

 

현지 전문가는 "딥시크는 밀려드는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컴퓨팅 파워 인프라를 시급히 확충해야 할 것"이라며 "인프라를 시급히 구축한 후 API 서비스 충전이 재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장에서는 이를 호재로 인식했으며 관련 주가 상승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07000828

 

그 분위기가 딱 느껴지기 시작한 것이 딥시크 발표 이후입니다.

그동안에는 중국 당국이 정책적으로 기관들 팔 비틀어서 주식 사게 하는 억지스러움이라면

이번에는 딥시크로 중국이 자신감을 가졌다고 할까요?

첨단 산업에서 미국을 이길 수 있다는 그런 분위기?

사실일지 거짓일지야 알 수 없지만 말입니다.

반도체 굴기 때와는 다른 AI 굴기 분위기는 느껴지네요.

 

<< 속도전에 중 시간끌기10일부터 대미 보복 관세

·중 관세전쟁 본격화, 10일부터 에 보복관세

중국, 내일부터 대미 보복관세...퇴로 안보이는 미중 무역전쟁>>

 

오늘은 중국이 예고한 대미 보복 관세 예정 날이고요.

미국은 상호관세 언급했고요.

이걸 어떻게 해석할지가 관건이겠습니다.

 

<< 트럼프 "차 팔기만 하는 나라 있어"···에 절반 수출하는 비상

[향하는 트럼프 청구서···자동차 관세 부과 시사]

자동차 수출 연간 143만대···전체 51%

미국산 수입은 799, 금액은 21억 달러

향후 수출쿼터제 도입 배제못해/ 현대차 현지 공장 생산량 확대

최대 50만대까지 생산 확보 나서/ 상호관세 여부따라 영향 받을듯>>

 

1. 포드 CEO "산 현대차에도 관세 부과해야"포괄적 관세 촉구

한국의 현대차에는 왜 관세를 부과하지 않느냐며 노골적인 불만과 경계심을 드러냈습니다.

https://biz.sbs.co.kr/article/20000216551

 

포드 대표가 현대차도 똑같이 관세 부과해라! 이런 주장을 하고

트럼프가 차 팔기만 하는 나라 있다. 이런 언급을 합니다.

이게 우리나라을 꼭 집어 이야기하는 것 같습니다.

수출은 143만대 하는데 수입은 799대 하니 말입니다.

 

오늘 현대차는 미국 관세 우려가 심각할 것 같고요.

 

1. 열도 공략 쉽지 않네전기차에도 밀린 성적[현대차 재진출 3]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207_0003057461

 

2. 소형 전기차 투입, 토요타와 협력분위기 반전 노린다[현대차 재진출 3]

현대차, 캐스퍼EV 출시시장 본격 조준

앞서 출시한 '아이오닉 5 N'도 호평 이어져

토요타 협력 가시화한글 우승 축하 광고도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207_0003057370

 

 

GM과 협력 기사가 나오고 이제는 도요타 협력 기사도 나오고

 

1. "미국에서 테슬라 잡는다"현대차·기아, 북미 충전소 확장

GM·벤츠·도요타와 손잡고 '아이오나' 출범

글로벌 8메이커 북미 충전소 확충 총력전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OWH1POO7

 

미국에서는 충전기로 또 협력을 확장하는 모습입니다.

이건 대외적으로 호재고요.

자체 호재는

 

1. 롯데·SK렌터카 연합군 탄생판 커진 렌터카시장 [시그널]

 

2. 중기 적합업종 풀리자현대차, 8년만에 렌터카 진출 [시그널

 

3. [단독]현대차의 빅플랜렌터카 뛰어든다[시그널]

정의선 플랫폼 구상 8년만에 실현

중형업체 '아마존카' 인수 추진/ 빅데이터로 모빌리티 경쟁력 강화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OWJ5H8GK

 

4. 운행 데이터로 자율주행 고도화신차·중고차·렌터카 라인업 수직계열화 효과도 [시그널]

[현대차 렌터카 출사표]

글로벌 시장 데이터 전쟁 돌입/ 테슬라·BYD 등 이미 시장 진출

정체된 국내 판매 활로 기대도/ 인수 성공땐 시장점유율 2위 우뚝

https://www.sedaily.com/NewsView/2GOWIMJ4OC

 

현대차를 외국인이 정말 부지런히 팔고 있습니다.

주가도 200500, 20만원 깨지냐 마냐고요.

오늘 미국 관세 부과에 20만원이 깨지느냐? 렌트카 사업 진출 호재로

반등하는갸가 관건이겠습니다.

 

기아는 먼저 10만 원이 무너졌습니다.

더 흔들리면 이제 9만 원이 걱정이고요.

1. 인도, 기아에 'FTA 오용' 200억 과세기아 '이의 제기'

로이터 인도 정부, FTA 잘못 이용한 기아에 200억 과세 통보

기아, 인도에서 200억 과세 논란... "해석상의 문제" 주장

 

2. 기아, 올해 필리핀 12500대 목표작년 보다 86%

 

기아 탈세는 해석 상의 문제라 해명은 했는데 금요일 2.33% 하락

좀 걱정스럽네요. 대신 필리핀 판매 호조 기사는 도움이 되겠습니다.

 

미국 시장에서 도요타가 3.42% 하락입니다.

GM1.13% 하락이고요. 포드는 신저가 영역이고요.

미국 우선이면 두 종목은 급등해야 하는데 GM은 흘러내리고 포드는 신저가고

도요타는 급락이고 내연차가 그렇게 좋아 보이지 않고요.

이런데 리오토 중국 전기차는 4% 급등이 나옵니다.

 

미국 시장 동조화 전제로 자동차 전망한다면 이건 뭐 많이 흐리다고 봐야겠습니다.

 

1. 현대차, HMGMA 인력 확보 사활"생산 늘려라"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전쟁' 등 불확실성 커지자

신공장 HMGMA서 연 50만대까지 생산 확대 채비

현대차, 올해 들어 추가 인력 충원 속도

품질, 부품개발, 엔지니어링 등 대규모 채용

https://www.fnnews.com/news/202502091121029182

 

2. "관세 전쟁, 패션 OEM 기업엔 기회"

저가 브랜드 점유율 하락

한세실업·영원무역 강세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934161

 

3. 관세 전쟁 반사 수혜 기대...인도증시 줍는 투자자

'관세전쟁 반사이익' 기대인도펀드로 돈 몰린다

# 우리 시장 이야기

 

1. 코스피, 나흘 만에 2520선 하락 마감삼성바이오 시총 3'등극

코스피, 나흘만에 2520대 하락 마감...대왕고래 관련급락

[시황] 코스피, 나흘 만에 하락 마감···0.58%

 

2. 트럼프의 `상호관세`, 다시 코스피 흔들까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20902109963062002

 

야간 선물이 0.66% 하락이고요.

토요일 새벽 MSCI 한국지수는 1.96% 하락 마감입니다.

미국 시장이 하락해도 주간 시장 영향으로 상승도 하던 MSCI 한국지수가

주간 시장대비 좀 과하게 하락했죠.

 

일요일 개장하는 이스라엘이 0.67% 하락.

여기도 기술주가 많은데 토요일 새벽 마감한 미국 시장 분위기가 좀 반영되었다고 봐야겠습니다.

 

중화권, 대만은 금요일 상승입니다. 1%대 상승이고 대만이 0.69% 상승까지 하는데

일본이 0.6%, 울기 0.58% 하락한 것 보면

저는 환율 영향이라는 생각이고요. 미국 시장 눈치 보기를 두 시장이 강하게 했다는 생각입니다.

 

그럼 오늘은 어떻게 될까?

우리는 선반영해서 내렸으니 낙폭이 나스닥 1.3%만큼은 아닐 수도 있고요.

아니면 더 크게 내릴 수도 있는데, 이제 목요일 2월 옵션 만기 구간 진입이라

종가는 덜 내려도 장중에는 변동성이 수요일까지 제법 클 수 있다고 봐야 할 부분도 있다는 생각입니다.

 

<< 한국의 경우 FTA 협정에 따라 상호 낮은 관세율을 하고 있어 관련 법안에서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관련 법안이 시행될 경우 무역 위축으로 한국 수출에 부담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 나아가 발표시 보편관세 도입 여부가 나오는지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증권가에선 이번주 예상 코스피 밴드로 2450~2580선을 제시했다. 전주 코스피 종가(2521.92) 대비 하단 기준 2.85% 하락, 상단 기준 2.30% 상승이다. 코스피 상승 요인으로는 업종별 낮은 가격 매력도, AI 협력 소식 등이 언급되며 하락 요인으로는 트럼프의 관세정책 및 중국의 보복 정책 등이 예상된다.>>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20902109963062002

 

미국 시장이 상호관세로 흔들렸는데 우린 FTA가 있는데 이게 흔들릴지가 관건이겠고요.

저는 계속 적고 있지만, 박스권이라는 생각입니다.

1월부터 신기하게 2450선 근처 가면 미국 시장에서 트럼프나 주변 인사들이 호재를 만들어서 반등시키고요. 2500선 중반에 오면 또 무슨 악재가 터져서 흔들리고요.

 

트럼프 취임 후, 하고 싶은 말 다 나오고 정책이 자리 잡을 때까지는 이 현상은 계속될 것 같고요. 우리 단독으로는 조기 대선, 상법 개정, 밸류업, 같은 큰일이 생겨야 추세가 한번 생긴다는 생각이고요. 오늘 시장 하락한다고 다 죽었다. 끝났네!

이럴 일도 아니고요. 또 좀 오른다고 악재 다 끝났다. 이럴 일도 아닌 것 같습니다.

 

1. "형보다 나은 아우" 연초 코스닥 강한 반등세코스피 앞서

코스닥 지난해 '세계 꼴찌' 수익률 오명 벗고 선두권 등극

로봇 등 성장주목도 커져거래대금·회전율도 상승세

https://www.yna.co.kr/view/AKR20250207173400008?input=1195m

 

2. 달라진 코스닥로봇·바이오 뜨고 소부장 지고

레인보우로보틱스

시총 7조 넘어 5위로/ 삼천당제약, 6'껑충'

에코프로비엠 시총/ HLB에 바짝 추격당해/ 신성델타테크도 약세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934191

 

3. 호시절 맞은 코스닥로봇, 우주·항공 수익률 뜀박질

주도주 부재 속 저가 매수세 이어져

건설·출판 등 일부 빼고 고르게 올라

코스피 수익률 추월, 오름세 지속 전망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1739086931

 

분명한 현상은 코스닥이 요즘 좋습니다.

처음에는 AI 하드웨어로, 양자컴으로 반도체 소부장이 달리더군요.

리노공업이나, HPSP 같은 종목이 좋았고요.

 

다음에는 로봇이 달리더군요.

지금 레인보우가 코스닥 시총 5위까지 왔습니다.

 

삼천당제약이 시총 6위로 올라오고요.

코스피에서 삼성바이오가 시총 3위가 되면서

HLB 같은 제약 바이오도 치고 올라오죠. 파마리서치가 시총 11위가 됩니다.

엔터주 JYP가 시총 12위가 되고요.

 

반도체 수부장에서 로봇, 제약바이오, 엔터 이런 식으로 확산되는 모습이 확연하고요.

저 시총주가 장중 급등 현상도 계속 되고 말입니다.

 

1. 올트먼 '의료AI' 운 띄우자서학개미, 템퍼스AI 1000억 넘게 쓸어담았다

조직검사·데이터 판매 등 서비스

테슬라·엔비디아 이어 순매수 4

https://www.sedaily.com/NewsView/2GOWJROQKY

 

상하이 증시, 딥시크 효과AI주에 자금 '밀물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934011

 

딥시크·관세 쇼크에외국인, 삼전·하이닉스 팔고 '네카오' 샀다

저비용·고효율 AI 개발 가능성에

연휴이후 네이버 가장 많이 매수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OWIZR2KC

 

저비용 AI에 볕드는 네카오국민주다시 웃나

실적 시즌 속 'AI 소프트웨어' 날았다ETF'불기둥'[펀드와치]

 

관세 전쟁 피해가는 K소프트웨어 4총사 AI 업고 기지개 켠다

사용자 수·앱 개발 능력 갖춘 소프트웨어 종목

"트럼프 '관세 텐트럼(발작)' 속에서도 투자 수익을 낼 업종은 소프트웨어다."

https://www.mk.co.kr/news/it/11235607

 

삼성 'AGI ' 수장, 딥시크 언급하며 "새로운 SW 인프라 개발 중"

https://v.daum.net/v/20250209063102368

 

[단독] “한국도 AI에서 일내나기아·연세대 ‘AI드림팀결성

그룹서 100억 이상 지원

총장이 직접 연구원장 맡아

https://www.mk.co.kr/news/business/11235786

 

고영이 작년 1297610원 저가 보고 금요일 3% 상승 18120원 입니다.

의료 AI 테마고요.

아시아 시장 이야기에서 과창판 강세 예상했고 중국 딥시크 흐름 전해드리고 있는데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네이버, 카카오, 이스트소프트, 더존비즈온이 달리죠.

저사양 AI 테마가 여기로 집중됩니다.

 

1. 'AI소프트웨어주 모멘텀' 지속 전망美中 관세갈등은 부담 [주간전망]

 

2. 삼성전자도 뛰어드는 유리기판투자자들 환호

 

3. ·관세 갈등 경계감"실적주 선별 투자"[주간증시전망]

 

관세 전쟁에서 자유로운 곳이 AI 소프트웨어이니 여기로 계속 수급이 몰린다는 생각이고요.

오늘 같은 날도 역시 AI 테마가 방어 역할 한다는 생각입니다.

자금은 한정되어 있고 산다면 안전한 것, 뉴스가 있는 것 사지 않겠나?

이런 판단입니다.

 

1. 20년 동업자가 원수로삼성까지 골탕먹인 한국계 일본인 [황정수의 반도체 이슈 짚어보기]

50조 스마트폰 AP 시장 놓고

퀄컴, Arm 세기의 소송전/ 삼성전자 갤럭시에 불똥

퀄컴, 1차전 승리했지만/ 추가 소송 불씨는 남아 있어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82148i

 

2. 삼성전자 반도체 매출, TSMC에 또 밀리고 격차도 확대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 매출 2개 분기 연속 TSMC에 추월

작년 4분기 매출 삼성 DS 30조원, TSMC 38조원3분기보다 차이

삼성은 범용 메모리 부진, TSMCAI 수혜1분기도 실적 격차 예상

https://www.yna.co.kr/view/AKR20250207125200003?input=1195m

 

3. AI 폰도 반도체도 빨간불, 삼성스럽지 않은 삼성의 자화상 [IT+]

더스쿠프 IT언더라인

삼성전자의 현재와 미래 4/ 숫자로 본 삼성전자의 미래

AI 기능 강화한 갤S25 호평/ 하지만 방심하기는 아직 일러/ 애플 AI 지원 언어 대폭 확대

중국 제조사들 AI 추격 나서/ 반도체는 SK하이닉스에 고전/ 1분기에 1위 자리 내줄 수도

https://v.daum.net/v/20250209145932636

 

4. 관세전쟁이 빚은 삼성전자 미 세탁기 공장의 명암

https://www.fnnews.com/news/202502090210152107

 

5. 하이닉스 HBM 수출 급감"주가, 계절적 수요에 민감해져"

1월 수출액 30% 줄어

21개월 만에 최대폭/ 대만 수출액은 반토막/ "고속성장하는 HBM

계절성 나타내는 신호"/ HBM 키워드 검색량/ 주가 약세 이후 주춤

https://v.daum.net/v/20250209173904727

 

금요일 외국인이 코스피를 2389억 매도인데

전기전자를 1086억 매도합니다. 운수장비 862, 화학 858

딱 우리 지수 3대 축인 반도체, 자동차, 2차 전지 판 것이죠.

이럼, 지수는 답이 없습니다. 종목 대응 할 수 밖에 없고요.

 

토요일 새벽 미국 시자에서 엔비디아는 0.9% 상승이지만

TSMC, 브로드컴, 마이크론 모두 2%대 하락이거던요.

오늘 삼성전자, 하이닉스가 이런 분위기를 이길 수 있을까?

금요일 선반영으로 우린 따로 반등할까?

좀 힘들지 않겠나 싶고요.

 

만약 변화가 시작된다면 환율에서부터 나올 것 같고요.

9시 시작하는 우리와 일본 시장이 환율로 좀 더 힘들어진 상황에서 개장할 것 같다.

이게 개장 시나리오입니다.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1. 금감원, 영문 공시 확대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기대

외국인 투자자 위한 영문공시 콘텐츠 확대데이터 플랫폼 오픈

중국·일본은 없는 영문공시, 한국은 가능...83종 다트에 개방

 

2. 한숨 돌린 관세전쟁AI 성장주에 주목[주간 증시 전망]

우주·방산 등 성장산업 투자 미국정책 수혜 기대감도

인터넷·로봇 업종 'AI 훈풍이차전지는 트럼프 리스크’[ETF 스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