괸세고 뭐고 달린다! 테슬라 급락세! 전고체 기대감! 중국은 딥시크! 삼성전자 2차 자사주 기대 2월 11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헤지펀드들, 지난 주 3년만에 최대 순매수
5주연속 순매도 후 주식 순매수 나서
소프트웨어및 반도체 주식 중심 매수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106364i
2. 뉴욕증시, 맷집 강해졌나…철강 관세에도 나스닥 1%↑ 마감
트럼프 관세 예고에 철강주 활짝…中딥시크 여파도 완화[뉴욕증시]
뉴욕증시 일제히 상승…트럼프 관세예고에 美철강주↑
[2보] 뉴욕증시, 철강관세 부과 예고 우려에도 '무덤덤'…나스닥 1%↑
철강 관세 부과에 철강주 일제 급등, 미증시 랠리(상보)
뉴욕증시 동반 강세…철강 관세 매수심리 자극
[1보] 뉴욕증시, 철강 관세 부과 예고에도 '무덤덤'…나스닥 1%↑
미국 시장은 강했습니다.
관세 부과하면 어! 수혜 업종이 어디야!
이러면서 미국 철강주가 급등하고요.
정유주도 좋고요. M7과 철강, 정유, 소매 업종이 좋았네요.
1. 달러 강세가 빅테크 실적 압박... 美 증시 위협요인 부상
미국 달러화 가치 최근 2년내 최고치 수치... 트럼프 관세 정책도 악재
http://www.seoulec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1684
달러가 계속 강세입니다. 108.210입니다.
달러/엔이 0.38% 반등 151.97엔 강세가 잠시 멈추네요.
우리 원화는 약세 지속 1351원입니다.
1. 트럼프, 머스크의 행동은 미국을 ‘일종의 채무 불이행’ 위험에 빠뜨린다고 전직 재무부 장관들이 경고
5명의 전직 재무부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와 재무부 산하 일론 머스크의 DOGE 팀의 최근 행동이 미국의 재정적 약속이 ”불법적으로” 훼손되고 있다는 ”심각한 우려”를 불러일으킨다고 경고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수석 경제 고문인 케빈 하셋은 이런 우려를 일축하고 머스크가 재무부에서 ”인형 조종자” 역할을 하고 있다는 생각은 ”헛소리”라고 비난했습니다.
이러한 상반된 이야기는 머스크의 정부효율성부 팀 구성원들이 재무부의 매우 민감한 지불 시스템에 대한 접근 권한을 놓고 법적 싸움을 벌이는 와중에 나왔습니다.
https://www.cnbc.com/2025/02/10/trump-musk-united-states-default-risk-treasury-chiefs.html
트럼프가 국가 채권에 대해서 애매 한 말을 합니다.
우리 부채 수준이 사실이 아닐 수 있다.
일단 장기채는 0.3%대 30년물은 0.4%대 정도 마감인데
야! 이게 채권 우려를 이상하게 올리네요.
채권 안 갚겠다. 이렇게 나올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갑자기 했습니다.
외신도 그런 내용이 나오고요.
1. 머스크, 오픈AI 141조에 인수 추진…올트먼 "노땡큐, 트위터 인수할 것"
엔비디아 3% 급등, 반도체지수 1.46% 상승(상보)
빅테크 올해 3250억달러 AI에 투자, 엔비디아 3% 급등
중국에서 계속 AI가 달리니 이제 미국도 여기 영향받는 것 같습니다.
미국은 AI와 반도체의 날입니다.
반도체 급등이 나스닥 1%대 상승 만들었고요.
M7이 나 아직 안 죽었어! 이런 느낌으로 M7 위주로 반등하네요.
테슬라만 –3% 하락인데 머스크 때문에 당분간 힘들다고 봐야겠습니다.
1. 트럼프, 美 국방 지출도 손질..."펜타곤도 머스크 좀 만나야"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10000798
2. 스티펠 목표가 하향, 빅테크 일제 랠리에도 테슬라는 3%↓
3. '비호감' 머스크 때문?···테슬라, 영국서 BYD보다 덜 팔렸다
1월 판매량 비야디에 처음 역전 당해
정치 간섭·나치 경례 등으로 반감 커져
머스크가 적을 너무 만들고 있습니다.
일부는 타당한 부분도 있는데 소통령 이미지화되니
타당성보다 과하게 설친다. 트럼프 때릴 수는 없으니 머스크 때려야 하는데
그럼 테슬라네! 이런 분위기라 생각하고요.
1. 애플 움직임 심상찮다.. 이번주 신형 '아이폰 SE 4' 베일 벗나
애플 '아이폰 SE 4', 이번 주 출시된다... 中 제조사들과 눈치싸움
2. 애플, 가정용 로봇 개발 박차
애플, 가정용 로봇 개발하나… 개발자 채용 확대 중
초저가모델 아이폰 SE 신형 이번 주 나온다
3. 레인보우로보틱스, 외국인·기관 1600억 순매도…7거래일 만에 하락
가정용 로봇 소식이 나온 애플은 보합 마감입니다.
테슬라와 함께 중국과 분쟁이 악재로 계속 작용하는 것 같고요.
로봇으로 우리 시장에서 이상 현상은
그동안 삼성전자를 업고 달리던 레인보우는 –8% 급락
그런데 휴림로봇은 27%, 유일로보틱스는 19%, 유진로봇은 15%
로봇 안에서 순환매가 나오네요.
우리 시장은 업종별, 업종 내 종목별 순환매가 정말 빠르다. 이렇게 적고 있는데
어제 로봇 업종에서 또 느꼈네요.
1. 골드만삭스 "올해 엔비디아 '블랙웰' 포함 AI 서버 출하량 전망 18% 감소"
골드만삭스는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반도체 ‘블랙웰’을 탑재한 AI 서버인 ‘GB200’과 ‘GB300’의 출하 일정 변경과 중국의 AI ‘딥시크’가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미뤄진 AI 서버 출하는 2026년으로 넘어갈 것으로 보인다.
https://m.businesspost.co.kr/BP?command=mobile_view&num=382870
2. '큰손' 국민연금, 엔비디아 팔더니…쓸어담은 종목은
국민연금, 미국 주식 '교체'
팔란티어·슈퍼마이크로컴퓨터 '매수'
애플·엔비디아·MS·메타 등 '차익실현'
https://m.edaily.co.kr/News/Read?newsId=03942566642069208&mediaCodeNo=257
엔비디아 출하량 감소 전망도 나오고요. 국민연금도 매도했다는 기사도 있습니다.
오늘 미국 반도체가 급등하지만, 고사양 AI 반도체에 대한 회의감도 상당해서
반등 추세 유지가 어떻게 될지는 엔비디아 실적 때 나올 것 같네요.
1. 트럼프 'TSMC 반도체 관세' 대만과 협상 테이블 올린다, 실현 가능성은 분분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82881
2. 메타, 15거래일 연속 오름세…"M7 중 가장 돋보이는 별"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국제 유가-천연가스, 러시아 생산 줄인 것으로 나타나자 동반 상승세
천연가스, 100만 BTU당 전날보다 0.140달러(4.23%) 상승한 3.449달러
WTI는 전장 대비 1.32달러(1.86%) 상승한 배럴당 72.32달러에 마감
2. 관세전쟁 격화...국제유가·천연가스·국제금값·구릿값 '급등'
미국 트럼프 대통령, 새로운 관세 플랜 내놔
중국의 대미 보복관세 맞대응 속 유가 껑충, 천연가스 급등
글로벌 관세 전쟁 격화 속 안전자산 상징인 금값도 급등
장중 은값도 소폭 상승, 구리가격은 급등
3. 엘리엇, 영국 석유회사 BP 지분 인수…매각 나서나
4. 젤렌스키 “트럼프 종전안, 전쟁 종료 넘어 재발방지 담아야”
5. ‘철강·상호관세’까지 꺼내든 트럼프…글로벌 관세전쟁 ‘확전일로’
6. 美 관세 예고에 철강주 약세…POSCO홀딩스 장중 신저가(종합)
7. 美 25%관세 예고에…정부 "네트워크 총력 가동해 업계 영향 최소화"
美 철강·알루미늄 관세 긴급 점검회의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21015221578404
8. 트럼프 “지분 과반 넘으면 안돼”…일본제철 'US스틸' 인수 궤도 수정 나서나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2840
상폐 위기에 관리종목 됐는데…악재 겹치는 철강 ETF
3개월 수익률 –12% 지지부진
관세 심해지면 추가투자 가능성
https://www.mk.co.kr/news/stock/11237364
9. 1년간 반토막 났는데 "더 내린다"…목표가 내리는 롯데케미칼
오늘 원자재는 다 올랐습니다.
트럼프 철강, 알루미늄 25% 관세 부과에 우려를 하는지
구리가 2.4% 금은 또 왜 이렇게 급등하는지 1.63%
이제 3000달러가 코 앞입니다. 2934달러
에너지는 석유가 2% 천연가스가 4.17%
뭐 유가 내리게 한다더니 상승이네요.
러시아 석유 생산 감소에 반응한다고 하는데 트럼프 갈 길이 머네요.
어제 우리 철강 업종은 –0.85% 하락입니다.
철강 ETF가 3개월 수익률이 –12% 어제 현대제철이 –2% 21700원입니다.
포스코도 엉망이고요. 화학이나 철강이 이렇게 무너지면
우리만 무너지는 게 아닌데 말입니다. 세계 경제가 혼란스러워지네요.
롯데케미칼은 어제 51800원 저가에서 반등해 53600원입니다.
포스코도 그렇고 어제 장중 저점 만들고 반등한 종목 제법 많습니다.
롯데케미칼은 이러다 5만원도 무너질 것 같습니다.
롯데그룹 위태위태합니다..
1. 트럼프의 ‘기후 지우기’에도 친환경 에너지 전환이 멈추지 않는 까닭 [글로벌 이슈]
재생에너지, 가격 경쟁력 더 높아졌다
노르웨이 국부펀드 “ESG는 재무적 핵심”
https://futurechosun.com/archives/114075
2. OCI홀딩스, 지난해 영업익 1020억… 전년 대비 80.9%↓
3. OCI 홀딩스 '반전' 이룰까 … 미국向 폴리실리콘 정상화 기대
OCI홀딩스, 지난해 영업익 1015억…美 태양광 밸류체인 구축(종합)
中 공급과잉에 폴리실리콘 부진…도시개발사업 일회성 비용 반영
美 태양광 합작법인 설립 검토…안정적 수요처 확보 추진
https://www.news1.kr/industry/general-industry/5685087
4. [컨콜] OCI홀딩스 “올해도 미국 내 태양광 수요 지속 전망”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10010005001
한화솔루션이 2만원이 다시 깨졌습니다. -1.04%
OCI는 –8.93% 급락이고요.
어제 중국 태양광 보조금 감소 정책은 우리 태양광에 큰 도움이 안 되나 봅니다.
퍼스트솔라가 –3.24% 하락
오늘 태양광도 좀 우울하겠습니다.
OCI는 실적이 너무 안 좋네요.
1. SK이노 '트럼프 수혜주' 부상…SK E&S 합병 시너지 탄력받는다
트럼프 석유·셰일가스 확대 예고…美 에너지 정책 '수혜'
SK온 美 배터리 공장 가동 예정…AMPC 1조 수령 전망
https://www.news1.kr/industry/general-industry/5685123
2. "배터리 넘어 에너지 순환까지"…LG엔솔, 국내 최대 해상풍력단지 운영
LG엔솔, 국내 최대 해상풍력단지 운영···"배터리 제조 넘어 에너지 순환 기여”
여의도 면적 두 배 규모에 5.56MW 풍력 터빈 18기
“재생에너지 입찰 시장에서 압도적 1위로 시장 선도”
https://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34830
3. 전기차 대세 'LFP 배터리' 약점 재활용 길 찾았다
안전한 전기차용 LFP 배터리 경제성도 높였다…"재활용 가능"
원자력硏, 전기차 LFP 배터리 약점 극복…리튬이온 대체 '속도'
“값비싼 리튬 99.8% 회수” 전기車 배터리 재활용 OK
전기차 폐배터리에서 리튬인산철 뽑아내 재활용한다
4. 전기차 배터리 신흥강자 `리튬인산철`, 재활용 시대 왔다…리튬 99.8% 추출·순도 98.8%
원자력연, 염소기체 활용한 재활용 공정기술 개발
인산철 손상 없어 양극소재로 재합성 후 활용 가능
https://v.daum.net/v/20250210175711325
5. [특징주]유일에너테크, 현대차 전고체 3월 본격 가동…조립장비 단독 수주 부각↑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21013550343201
6. '꿈의 배터리' 전고체 내재화 나선 현대차…배터리 업계는 '긴장'
7. 글로벌 완성차 업계, 전기차 배터리 내재화에 속도
현대차, 전고체 배터리 올해 시범 생산⋯2030년 양산 목표
글로벌 OEM 배터리 자체생산 체계 구축 앞다퉈 추진
배터리 직접 생산으로 원가 낮추고 경쟁력 확대 차원
배터리 업계 "완성차 업계 내재화가 미칠 영향은 제한적"
https://www.inews24.com/view/1811975
어제 현대차 전고체 배터리 소식 전해드렸는데 현대차는 하락인데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이 24% 급등입니다.
계속 적고 있지만, 중국처럼 정부 자금 지원을 못 받고
미국에는 받을지 못 받을지 애매한 상황에서는 우리는 기술 개발이 답이고요.
전고체에서 앞서 나간다면 답이 있다는 생각이고요.
LFP 배터리 재활용 기술도 개발이 되네요.
우린 기술 밖에 비빌 언덕이 없다는 생각입니다.
4위로 내려간 LG엔솔이 다시 시총 3위가 됩니다. 3% 상승 나오고
삼바는 반대로 –2.5% 하락
삼성SDI도 반등해서 0.72%
그런데 철강 관세 이야기에 –4%대 급락까지 하던 포스코은 –0.84% 하락입니다.
어제 정도면 기술적 반등도 할 때니 그렇다 치고
오늘은 테슬라가 또 –2%, 앨버말이 –2.88%
오늘 반도체 위주로 시장이 상승하면 엔솔이나 배터리 대장들 수급이 또 다른 쪽으로 움직일 수도 있겠습니다. 대체적으로는 부정적이겠습니다.
며칠 하락하면 기술적 반등 기대. 이 정도가 당분간 배터리 시황입니다.
1. K팝→K콘텐츠→'?'… 외신이 새로운 한류로 지목한 아주 뜻밖의 '분야'
블룸버그 오리지널 공식 유튜브 채널에 올라와 눈길 끈 내용
지난해 10월 블룸버그 오리지널 공식 유튜브 채널에는 '왜 한국의 건축이 다음 한류 열풍이 될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와 화제를 모았다. 영상은 K-팝과 K-콘텐츠가 전 세계를 강타한 가운데, 한국 건축이 차세대 한류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조명했다.
https://www.wikitree.co.kr/articles/1024477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日 작년 경상수지 흑자 280조원 ‘역대 최대’
'황금시대' 열겠다는 美·日 정상…일본 투자자 '방긋'
훈훈했던 트럼프·이시바 회담에…일본 투자자들 일단 안도
2. 印 모디 총리 방미…“무기 구입 및 관세 인하 등 논의”
3. TSMC 성장세 지속 ··· 1월 매출 36% 증가
4. [올댓차이나] 中 증시, 경기우려 완화로 상승 마감…창업판 0.44%↑
5. [오늘 A주] 트럼 관세 불구 CPI 상승하며 강세...둥펑기차 관련주 폭등
상하이종합지수 3322.17(+18.50, +0.56%)
선전성분지수 10631.25(+55.25, +0.52%)
촹예반지수 2183.88(+9.53, +0.44%)
커촹반50지수 1034.36(+15.56, +1.53%)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10000953
6. 중국 국가통계국은 9일 중국의 1월 CPI(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대비 0.5%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중국의 월별 CPI 상승률은 지난해 8월 0.6%를 기록한 후 9월 0.4%, 10월 0.3%, 11월 0.2%, 12월 0.1%로 상승률이 하락해 오다가 지난달에 상승폭을 확대했다. 또한 이는 블룸버그 통신의 예측치인 0.4%를 웃도는 수치다.
국가통계국은 "1월 CPI는 춘제 영향을 받아 상승했다"며 춘제 연휴 여행·문화·오락·항공권·영화 등 서비스 부문 수요와 가격이 오르고 식료품 가격 역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는 "춘제 연휴 동안 나타난 일시적인 소비 붐이 중국이 직면한 디플레이션 리스크를 일정 부분 완화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평가했다.
1월 소비가 살아난 것으로 확인되면서, 이날 불거진 무역전쟁 리스크를 잠재웠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9일(미국 현지시간) 발표했다. 다만 이는 중국만을 겨냥한 추가 관세가 아니라는 점에서, 미중 무역전쟁 리스크를 크게 부각시키지는 않았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10000953
중국은 지표 해석이 엿장수 맘 대로입니다.
디플레이션 지속으로도 해석 가능하고 완화로 해석 가능한 수치였는데
기사들은 지속으로 나오더니 중국 시장은 완화로 해석하면서 상승했고요.
계속 적고 있지만 과창판이 대장입니다.
1.53% 상승, 반도체와 AI, 딥스크가 다 과창판 수혜입니다.
1. 무시했던 中 낸드…'하이브리드 본딩'으로 韓 턱밑까지 왔다
9일 시장조사업체인 테크인사이츠에 따르면 YMTC는 270단 수준의 1테라비트(Tb) 트리플레벨셀(TLC) 5세대 3D 낸드를 양산한 것으로 파악됐다. 테크인사이츠가 YMTC 자회사 치타이의 소비자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를 분해해 분석한 결과 이같은 YMTC 낸드가 확인된 것이다.
https://m.etnews.com/20250207000095
2. 한국 321단, 중국 270단…턱밑까지 쫓아왔다
중국 메모리 기술력 보니
YMTC의 자회사 치타이는 1테라비트(Tb) 트리플레벨셀(TLC) 5세대 3차원 낸드가 적용된 소비자용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를 생산했다. 270단으로 현재 최고층양산 제품인 321단(SK하이닉스)보다는 낮지만, 반도체 두 개를 이어 붙이는 하이브리드 본딩 방식을 낸드에 적용했다.
https://v.daum.net/v/20250211000150332
반도체 굴기가 성공하는 분위기도 나오죠.
이게 창예판이나 과창판 호재고요.
미국 시장에서 알리바바가 7%대 급등 중인데 여기가 AI도 취급하는데
요즘 상승이 정말 좋습니다. 딥시크, AI가 중국 증시 대세입니다.
1. '美 대중관세 직격탄' 쉬인…"공급업체에 베트남으로 생산시설 다변화 촉구"
블룸버그통신, 소식통 인용 보도
조달 가격 인상·원단 운송 지원 등 '인센티브' 제시
2. ‘관세 물릴라’…“쉬인, 중국 협력사에 생산라인 베트남 이전 요구”
"관세 피하자"…쉬인, 中 협력사에 베트남 이전 요구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2100321
핀둬둬가 2%, 징둥도 4%대 상승인데
미국 관세 대응을 잘하는 것으로 반응하는 것 같고요.
제가 중국 3배 ETF로 가끔 투자하는 것이
상방인 YANG과 하방인 YINN인데
YINN이 연초 대비로는 –30.91% 하락이고요.
1년 기준으로는 –82% 하락입니다.
미국이 때리는 곳이 중국 아닙니까? 그런데 미국 주식 시장에서는
중국 투자 상방으로 보는 YINN이 연초 대비 37% 상승으로
미국 투자자들은 관세 전쟁보다 중국 시장 반등 기대감이 더 높죠.
이게 지금 현실입니다.
1. 이날 특징주로는 둥펑(東風)기차 관련주가 강세를 띄었다. 둥펑구펀(東風股份), 둥펑커지(東風科技)가 상한가를 기록했다.
둥펑기차 계열사들이 모기업인 둥펑기차가 또 다른 대형 국유 자동차업체와 합병할 것임을 시사하는 공시를 발표했다. 계열사들은 직간접적으로 지배주주가 변경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시장에서는 둥펑기차가 창안(長安)기차와 합병할 것이라는 루머가 돌고 있다. 양대 자동차 회사가 합병하면 시너지가 창출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이날 주가가 상승했다.
이와 함께 중국병기장비그룹의 자회사들 역시 다른 국유기업과 합병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공시를 내면서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폭등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10000953
비야디 상한가 소식도 전해드렸고요. 어제도 중국 전기차 주가가 좋습니다.
합종연횡이 생기나 봅니다. 이렇게 되면 수익이 나올 수 있겠죠.
미국 시장에서 니오가 2%, 리오토가 1%대 상승
중국 전기차 주가는 중국 시장이나 미국 시장에서 잘 달립니다.
1. "이게 진짜 된다고?"…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 파격 변신
캐스퍼 일렉트릭 크로스 출시
아웃도어 디자인 테마 입혀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104163g
2. 현대차 "전기차 구매 고객 위한 차량 구매 혜택 강화"
3. 기아 "주요 전기차 모델 대상 추가 혜택 제공"
4. 기아 "전기차 라이프 토털 케어 프로그램 출시"
5. BYD 메기효과?…현대기아차 서비스 강화 나서
점검 횟수 늘리고, 전기차 화재 100억 지원
낮은 서비스 만족도 보완...소비자엔 이익
https://www.kpinews.kr/newsView/1065595840938915
6. 현대차·기아, 유럽서 車구독 서비스 확대…신차로 젊은층 공략
현대차는 비야디 대응으로 캘로퍼 전기차로 대응하는 것 같고요.
구독 서비스 개선으로 고객 관리하는 모습인데
비야디 대응이 될지 모르겠습니다.
어제 현대차가 20만원이 무너지고 199400원입니다.
기아는 –1.97% 하락이고요.
오늘도 미국은 테슬라 –2%대 하락
도요타가 0.6% 반등, 혼다도 0.3% 정도
그런데 미국 자동차 GM은 –1.89%, 포드는 0.2% 정도
기아가 기술적 반등이라도 해줘야 할 때인데 말입니다.
도요타처럼 오늘은 기술적 반등 기대감, 이 정도이고요.
어제도 외국인, 기관이 운수장비 매도라 수급이 좀 돌아와야겠습니다. 쩝 아까비
1. [단독] 진격의 기아, 글로벌 판매 6000만대 '대기록' 썼다
2년째 사상최대 판매 갈아치워
SUV·HEV로 美 등서 승승장구/ 국내 생산량 늘어나 수출 견인도
타스만·시로스 등 신차 8종 출격/ 올해 판매목표 4% 늘린 321만대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OWYUGXCY
2. 넥센타이어, 현대차 ‘디 올 뉴 팰리세이드’에 신차용 타이어 공급
넥센타이어, 현대차 플래그십 SUV 팰리세이드에 신차용 타이어 공급
넥센타이어는 어제 신저가 5200원 보고 장중 반등 –1.48% 마감입니다.
여기도 뭐 기술적 반등이라도 해줘야 할 때가 아닌가 싶고요.
자동차 부품 일부는 그래도 반등도 하고 급등도 나오는데
타이어는 영 아니올시다. 이렇네요.
# 우리 시장 이야기
1. 트럼프發 관세 충격 버텨낸 코스피…2500 붕괴→2520대 ‘회복’ [투자3...
'미국발 관세 우려' 코스피 약보합…2520선 지켜
'반복되는 관세 이슈' 코스피 0.03% 마감…코스닥 5일째↑
'반복되는 관세 이슈' 코스피 0.03% 약보합 마감…코스닥 5일째↑(종합)
코스피, 미국 철강 제품 관세 정책 우려에 약보합 마감
2. "관세 우려에도" 코스피, 기관 '매수'에 약보합 마감… 2600억원 '사자'
코스피, 개인·외인 동반 매도에 약보합 마감…코스닥 0.91%↑
3. ‘미치광이 트럼프’에 철렁…살얼음 걷는 韓증시
4. 이재명, 30조 추경 제안… "'제2의 산업화' 이끌겠다"
선물이 9시 27분에 1.1% 이상 하락했습니다.
그즈음 국회에서 야당 대표의 30조 추경이 나와서 이것에 반응했는지 모르겠습니다.
나스닥 선물은 우리 개장 전부터 반등에 성공해서 0.3%대 상승 유지 중이었습니다.
프로그램이 반등한 부분도 있고요.
그리고 1시 정도부터 움직이기 시작해서 2시에 급반등 합니다..
삼성전자가 움직였거던요.
1. 삼성전자 올해 미국 빅테크 자체 AI칩용 HBM 싹쓸이하나, 전체 HBM의 20% 이상 수요 전망
SK하이닉스가 올해 생산하는 HBM 물량은 이미 지난해 엔비디아 등에 공급하기로 해, ASIC AI 반도체용 HBM을 공급할 여력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삼성전자가 올해 전체 HBM의 20% 이상을 차지할 ASIC용 HBM의 상당 부분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82848
2. 삼성電, 차세대 D램 '칩 사이즈' 키운다…HBM 수율 향상 최우선
생산성 대신 수율 안정화에 무게…2분기 말께 성과 기대
https://zdnet.co.kr/view/?no=20250210164808#_enliple
장 마감 후 나온 분석은 중국 이구환신으로 반도체 소비가 잘 되어서 재고가 줄었다.
그럼 삼성전자에 호재다. 이런 내용으로 올랐다고 했는데 설득력이 떨어지고요.
다른 원인으로 HBM 20% 이상 수요 전망에 삼성전자도 수혜다.
이걸로 올랐다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본격적으로 삼성전자가 HBM 생산이 되면서 실적 개선 기대감 뭐 이런 내용입니다.
그래도 좀 부족하죠.
1. [올댓차이나] 대만 증시, 트럼프 관세 우려로 닷새 만에 반락 마감…0.96%↓
2. 삼전, 돌아온 외국인에 3.5% 상승…하이닉스는 2%대 하락[핫종목]
반도체 대만이 TSMC 하락으로 –0.96% 하락이고 하이닉스도 –2%대 하락이니 말입니다.
1. 이재용 회장, 선물 보따리 풀까..삼성전자, 2차 자사주 매입 기대에 주가 급등
김선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장중 코멘트를 통해 "삼성전자의 2차 자사주 매입안은 빠르면 이번주 내 공개가 가능할 것"이라며 "시장의 관심은 2차 매입 규모와 강도, 그리고 매입 후 '소각'을 통한 주주환원 실현 여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www.smart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72190
2. 갤S25 시리즈 사전예약 5명 중 1명은 'AI 구독클럽' 가입
3. 150兆 투자 결실… 삼성전자, 특허 출원 1만3300건 '역대 최고’
4. [단독]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에 용량·속도 키우는 배터리 도입 검토
1번 기사 보시면 2차 자사주 매수 기대감 이야기 나오죠.
저는 이게 유력하다는 생각입니다.
지난 51000원일 때 삼성전자 주가가 대주주뿐 아니라 삼성생명에도 영향을 준다고 했죠.
그래서 삼성화재 편입 이야기도 나오고
51000원에서는 삼성전자에서 주가 방어를 위해 뭐라도 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었는데
51000원 저가 보고 나서부터 주가 상승이 좋았습니다.
556000원 어제 3.54% 상승까지 나왔습니다.
그다음 특징이 2월 3일 저가 때 이후 지금 외국인 수급이 퐁당퐁당입니다..
하루 사고 하루 팔고 보유율도 49% 후반에서 유지 중이고요.
48%는 안 가려는 힘이 느껴지는 것 같고요.
2월 나오는 외국인 수급은 검은 머리 외국인인가? 요런 고민도 하고요.
삼성전자 주가 방어하려는 힘 정도로 말입니다.
두 번째 고민은 제가 하이닉스가 외국인 보유율 56% 보고 나서 고점인가?
이런 고민을 했는데 4거래일 연속 외국인은 하이닉스를 사는데
기관이 계속 하이닉스를 팔고 있습니다.
어제 전기전자를 외국인은 꼴랑 62억 대신 기관이 2149억
하이닉스는 기관이 –5만주 매도했으니 기관이 삼성전자를 매수했다고 봐야겠습니다.
어제 기관이 코스피를 2626억 매수인데 전기전자를 2149억 매수했으니
뭐 삼성전자만 샀다고 봐야겠죠.
그럼 2차 자사주 매수 기대감이 오후에 찌라시로 돌았고
기관이 매수했나? 이런 소설은 가능하겠습니다.
기관이 4거래일 연속 삼성전자를 매수하면서 주가를 9% 정도 올렸다.
기관 매수 지속성이 더 중요하다.
하이닉스는 외국인이 4거래일 연속 매수하지만 여긴 또 20만원 주가가 부러졌다.
삼성전자와 하이닉스가 같이 못 가고 따로 달리는지가 관건이다.
저는 이 정도로 둘을 비교하면서 지수 볼 생각입니다.
1. 딥시크에 경쟁자까지…한미반도체 6% 밀리며 10만원 붕괴
[줌인e종목]TC본더 독점 납품 구조 우려 반영된 듯
https://www.news1.kr/industry/sb-founded/5684513#_enliple
2. 트럼프 '관세 폭탄' 피할 무풍 지대는…"소프트웨어·엔터"
삼성전자가 3.54% 급등이면 지수가 상승해야 하는데
지수는 –0.03% 보합권입니다.
대형주에 무슨 일이 있었냐면요.
잘 가던 카카오가 –4.49% 하락, 한화오션은 –6%, 현대중공업은 –3% 하락입니다.
기관이 인터넷 소프트웨어 일부와 조선을 팔고 삼성전자 산 느낌이고요.
한미반도체가 –6% 급락하면서 시총 순위가 51위로 내려왔습니다.
10만원이 깨졌는데 하이닉스 독점 구조가 깨질 것을 우려한 수급 때문으로 보이고요.
1. 곽동신 한미반도체 회장, 20억 규모 자사주 취득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48876
한미반도체는 주가가 밀리면 회장이 자사주 자주 매수합니다.
어제도 공시가 나오네요.
한미반도체는 급락인데 하락 출발한 리노공업은 5% 상승입니다.
반도체 소부장에서도 변동성이 크게 나오네요.
5시 30분 필 반도체 지수가 1.5% 상승이고요.
엔비디아, 마이크론이 약 4% 상승 근처고요.
오늘 우리 지수로 궁금한 것은 삼성전자, 하이닉스가 같이 달릴까?
삼성전자는 급등 후 좀 쉬고 하이닉스 반등이 나올까?
이게 궁금하고요. 한미반도체 반등도 좀 궁금하고요.
어제처럼 삼성전자 사려고 다른 업종 파는 모습이 보이면
지수는 상승하는데 대형주 중 일부는 약세일 수도 있겠습니다.
야간 선물은 0.84%, MSCI 한국 지수는 1.7%대 상승입니다.
어제 우리 시장이 금요일 하락이 선반영일 수 있다.
그래서 반등도 가능하다고 적었고요.
오늘은 또 어제 반등으로 선반영으로 보면서 0.8%대 갭 상승 후
밀릴 수도 있고요. 요즘 우리 시장이 미국 시장 선반영을 잘합니다..
그래서 한 방향으로만 보면 안 될 것 같고요.
목요일 위클리 옵션 만기 대응으로 여러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어제 프로그램은 매수가 아니고 매도였거던요..
요즘 프로그램으로 지수 방향이 잘 정해졌는데 말입니다.
3월 선물 만기 대응으로 보면 외국인은 하방인데
목요일은 옵션 만기고 어제 외인이 콜을 36억 매수하면서 위클리 옵션 만기 대응하지 않습니까? 옵션 위클리나 월 만기와 선물 만기 대응이 다를 수도 있고요.
어렵죠. 그래서 딱 줄 때 잘 챙겨야 할 것 같고
지나치게 하방으로 쏠리면 안 될 것 같고요.
1. 다음달 시작되는 '밸류업 드라이브'...대체거래소 문연다
2. 우리금융, 돋보이는 주주가치 제고…밸류업 기대감 ↑-SK
3. 희비 엇갈린 지방금융그룹 실적…밸류업 속도는 높인다
4. 코스닥에 물었다..."적자에 인력도 없는데 밸류업 공시라뇨"
밸류업 1년…코스닥 상장사, 밸류업 공시 참여율 0%대
5. 금감원, 유상증자·분할합병 심사 기준 강화한다…이복현 "주주 소통 필요"
6. ‘주주배정 유증’ 현대차證 손 들어준 법원…"밸류업 추진 속도"
7. 작년 유상증자 발행액 전년比 7% 늘었다…코스닥·비상장 급증
밸류업으로는 사실 모르겠습니다. 특히 금융주들 KB금융은 다시 –1.28% 하락
대신 신한지주는 0.3% 상승, 하나금융도 –1.48%
증권주 약세는 계속되고요. 조기 대선이 시작되어야 밸류업 기대감이 크게 나올 것 같다는 정도는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여간 오늘 반도체 기대감이 1순위입니다.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1. "정치 리스크 여전" GIC·KKR 등 해외 큰손, 韓 투자 두달 째 '멈칫' [시그널]
저가매수 나섰던 물류 등 대체시장서
작년 말부터 투자 집행 속속 보류
"탄핵·대선 불확실성이 시장에 영향"/ IPO 시장서도 해외 투심은 싸늘해
https://www.sedaily.com/NewsView/2GOWZX84UT
2. NH투자증권, 지난해 순이익 6866억원…전년 대비 24% 상승
3. 대웅제약, 4년 연속 전진…매출·영업익 '역대 최대’
4. CJ제일제당, 2024 영업이익 1조323억원… 전년비 26% 증가
5. CJ, 지난해 영업익 2조5475억원…전년比 24.9% 증가
6. 두산밥캣, 지난해 영업익 8714억원…전년比 37%↓
7. 롯데칠성음료 작년 매출 첫 4조 돌파… 영업익은 12% ↓
8. 이창용 "금리인하 미확정" 발언 후폭풍···2월 금통위 매파색 짙어지나
2월 금통위서 동결 소수의견 가능성 확대 전망
"환율 튀거나 추경 가사화시 인하 가능성 축소"
"총재 발언 원론적···아직 인하 전망 80% 이상"
https://www.newsway.co.kr/news/view?ud=2025021016110446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