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소비심리 위축, 월마트 급락! 트럼프 테슬라 인도 진출 반대! GM과 협업 현대차! 2월 21일 장전 시황

평생선물 2025. 2. 21. 07:11

소비심리 위축, 월마트 급락! 트럼프 테슬라 인도 진출 반대! GM과 협업 현대차! 221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신규 실업수당 청구 21.9만건 '예상 상회'

신규 실업수당 청구 소폭 증가한 21.9만건…코로나19 이전 수준 유지

신규 '실업수당 청구' 소폭 증가"트럼프 구조조정 여파 주목"

넌 해고현실이 된 트럼프 TV공무원 10만명 집으로

 

2. 트럼프 "·반도체 등 관세, 한 달 내 발표"

사우디 국부펀드 주최 행사서 연설

"관세가 에 긍정적 영향…전략비축유 채울것"

 

3. "트럼프 관세로 시장 변동성 높아져…당분간 지속될 것"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22002109963062004

 

개장 전 선물 시장은 그렇게 큰 하락이 아니었는데

개장하면서 월마트, 팔란티어가 급락하면서 분위기 망쳤다는 생각입니다.

 

1. 소비심리 '바로미터' 월마트, '기대 이상' 실적에도 가이던스 실망에 주가 8%

관세 불확실성에 월마트 올해 매출·이익 전망 낮춰

 

2. 아마존 분기 매출 월마트 처음 제쳤다기업 첫 1

 

3. 국방예산 삭감 소식에 팔란티어·방산주 개장전 하락

 

월마트로는 소비심리 악화, 침체를 걱정한 것 같고요.

팔란티어는 누가 먼저 던지나? 내기하듯이 던지면서 차익 실현 욕구가 분출되었다는 생각이고요. 우리 시장은 어제 조선주가 그랬고요.

 

1. 트럼프, 테슬라 인도 진출 제동?"공장 지으면 에 불공평"

 

2. 테슬라, '세계 3' 인도 진출 재시동…판매 임박?

 

테슬라는 인도 모디 총리까지 만나면서 머스크가 인도 진출을 시도했는데

어라! 트럼프가 반대하는 듯 한 모습이 나왔습니다.

인도에 공장 지으면 불공평하다! 이런 모습이 테슬라를 또 하락시키고요.

 

1. 미 연준 QT 속도 조절 언급에 경계10년물 금리, 연중 최고치(종합)

국고채 10년물, 2.888% 마감/지난해 12월26일 이래 최고치

FOMC 의사록서 QT 속도 언급/ “국고 10년물 금리, 3%까지 봐야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018006642072488

 

2. 모간스탠리 “성장 전망치 하향에 2월 금리인하 예상

성장전망 1.5%로 낮출듯”

연말 금리 2.0% 전망 유지

https://www.mk.co.kr/news/stock/11245822

 

3. [채권/외환] 국채가, 베센트 재무 발언에 상승...달러는 약세

미 국채 가격은 장기 채권 발행량이 조만간 늘어날 가능성을 일축한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의 발언에 따른 안도감 속에 일제히 상승했다. 베센트의 발언과 예상에 못 미친 경제 지표에 따른 미 경제 둔화 우려 속 미 달러화는 약세를 보였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21000013

 

4. 엔화 0.8% 강세, 연중 최고…일본은행 7월 금리인상 확률 83%

"CPI 예상 상회하면 달러당 엔화 환율 150엔 밑으로"

https://www.news1.kr/world/international-economy/5696268

 

5. /달러 장중 150엔선 밑돌아…엔화 가치 두달여만에 최고

https://www.yna.co.kr/view/AKR20250220140800073?input=1195m

 

우리 채권 시장은 2월 금리 인하 예상 소식도 나오고 미국 소식에 흔들리기도 하고

사실 미국 장기채 걱정을 좀 했는데 오늘 미국 장기채 수익률이 하락 전환하더군요.

지난번처럼 베센트 재무장관이 살렸습니다.

발행량 우려가 있었는데 지난번처럼 안 한다. 이렇게 힘을 실어주네요.

!

그리고 특이한 현상이 환율에서 나오는데요.

엔화 강세가 나오고 있습니다. 150엔이 무너지고 149엔으로 오고요.

달러 강세도 쉬면서 106.240달러까지 내려오네요.

이러니 달러/원도 1423원까지 내려오고요.

 

엔화 강세가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까지 가는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고요.

느낌은 장기 국채랑 환율에서 이상 현상이 나온다는 생각입니다.

 

미국 금융주 하락이 심했습니다.

버핏 옹이 은행 팔았다고 하더니 본격적으로 은행주 하락인지

신고가로 잘 달린 은행주들이 흔들리네요.

JP모건이 4%, 시티가 3% 하락입니다.

 

오늘 정리하면 소비주, 은행주가 오늘 우리 시장 경계해야 할 업종 같고요.

반도체, 자동차는 반등한다면 이곳에서 나올 것 같고요.

삼성바이오가 하락이었는데 오늘 정도는 미국 시장 바이오 상승으로 살짝 기대도 해보고요.

 

팔란티어가 이틀 연속 하락이어서 어제 반등한 방산이 오늘 정도는 영향을 받을 것 같고요.

반대로 급락한 조선은 기술적 반등도 가능해 보이고요.

 

1. 너무 뜨거운 개미들…월가 베테랑, 과열 경고

개인 투자 열풍, 강세장 3년차 흔들릴 가능성 커진다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84512

 

미국 주식 시장이 미쳐간다?! ‘한국화의 충격적 진실!

https://www.youtube.com/watch?v=B7tPIZYRy_s

 

내일은 투자왕 김 단테 씨가 미국 시장이 한국화 되어간다는 내용의 유튜브 영상 소개합니다.

1번 기사도 비슷한데요. 개인 투자자들이 과열을 만들었다는 내용이고요.

이런 모습이 시장을 쉬게 할 수도 있다는 생각입니다.

주의 차원에서 구독해 보시기 바랍니다.

 

계절적으로 2월 하순이 미국 시장에서 안 좋은 기간이니

주의 정도는 하는 것이 좋겠네요.

 

1. '보급형 아이폰도 AI'…글로벌 AI생태계 경쟁 본막 오른다

 

2. MS, 첫 양자컴퓨팅 칩 '마요라나1' 공개구글 이어 세계 2번째

 

3. 코스피 '강세장'에도 서학개미 늘었다...주식 보유액 167조원

 

4. 국장 강세에도 서학개미 미국주식 보유 더 늘었다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국제유가 공급 우려와 달러 약세로 상승세, 천연가스는 반락하며 숨고르기

천연가스, 100BTU당 전날보다 0.128달러(2.99%) 하락한 4.152달러

WTI는 전장 대비 0.32달러(0.44%) 상승한 배럴당 72.57달러에 마쳐

 

2. 트럼프, 관세 시간표 앞당기고 목재도 추가전략비축유 빨리 채울 것

42일 발표 예정했다가 한 달 내로 변경

캐나다와의 갈등 심화할 듯

바이든 때 반 토막 난 비축유 회복 약속

수요 확대로 유가 상승 부추길 우려도

https://www.etoday.co.kr/news/view/2446858

 

3. 트럼프 변수에 '뉴 골드러시'…안전자산 金 놓고 진풍경

 

4. 젤렌스키 "특사와 좋은 논의…건설적 안보·투자협정 제안"(종합)

젤렌스키·특사 키이우서 회담…공동기자회견은 취소

"미국, G7 우크라전 3주년 공동성명에 '러 침공' 표현 반대"

", 우크라 지지·러 규탄 유엔 결의안 공동발의 거부"

 

5. 트럼프 1기 참모 볼턴 "트럼프 우크라이나 계획은 '항복작전'"

우크라에 등돌리는 트럼프정부, 다자외교 무대서도 러 옹호

 

6. 백악관 "젤렌스키의 미국 비난, 용납 못 해"

백악관 젤렌스키, 자제하고 광물협정 서명해야”…대러제재 조정도 시사

백악관 우크라 자제하고, 광물협정 사인해야

https://www.seoul.co.kr/news/international/2025/02/21/20250221500003

 

급등하던 천연가스가 3% 정도 쉬고요.

금속은 모두 다 올랐습니다.

은이나 구리가 1%대 금은 0.59% 올라서 2953달러

 

1. '대미 무역흑자국' 태국, 농산물 매년 4조원어치 구매 추진

 

2. 밀 생산량 2위 인도, 가뭄에 수확량 20% 감소 전망

인도 정부가 수입 늘릴 경우 국제 밀 가격 상승 우려

https://www.yna.co.kr/view/AKR20250220125500104?input=1195m

 

오늘 미국 곡물은 강보합이지만 여기도 움직임이 나올 것 같네요.

인도 작황 부진에 미국산 곡물을 관세 공격 방어로 사용할 국가가 계속 는다면 말입니다.

 

추위로 천연가스가 4달러 돌파하면서 급등했다면 이건 일시적이라는 생각이고요.

 

1. 미국 LNG 수출 사상 최대'가격 안정·관세 압박 회피' 일석이조

 

2. 미국 LNG 수출 사상 최대…생산ㆍ공급과잉 우려도 공존

미국 하루 사용량 1/6 수출/ 일본 이틀 동안 사용할 물량

LNG 생산 자본집약적 산업/ WSJ "향후 생산 과잉 우려"

https://www.etoday.co.kr/news/view/2446838

 

3. 한파에 천연가스 ETF 수익률 ''

 

4. "관세 압박 낮추고 원가 절감"···LNG 수입, 정유·화학사 숨통 열어줄까

미국 LNG 수출 물량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

SK이노베이션 E&S·SK가스, 저렴한 LNG 도입으로 원가 절감

유가 안정화로 석유화학 업계 부담 완화 전망

https://www.goodkyung.com/news/articleView.html?idxno=258422

 

석유나 가스나 모두 수출을 최대치로 올린다면 공급과잉이라

더 상승 가능 하겠나? 싶기도 합니다.

그래서 천연가스 하방 ETF를 조금 매수해 봤습니다..

4달러 아래로 다시 내려가는 것을 전망하면서

 

1. 잘 키운 'K방산'에 웃었다한화운용 PLUS ETF, 상승률 '축포'

 

2. 깜짝 놀란 유럽 "무기를 계속 사자"…방산주 '불기둥'(종합)

 

3. KAI, 말레이 2차 수출 기대감에 3개월 만에 6만원 선 돌파

 

4. “어느새 무기수입 큰 손 됐다”…냉전 때보다 더 불안하다는 유럽

"냉전 시기보다 더 위험"·러 밀착 불안한 유럽 '재무장

 

5. "국방비 줄인다" 조선주 줄줄이 회항하는데…방산은 '굳건', ?

다만 유럽 각지에서 일어난 국방 자강론이 K방산에 기회가 될 것이란 관측도 존재한다. 덴마크는 19(현지시간) 올해와 내년 국방비를 500억 크로네(약 10조원) 추가 편성한다고 밝혔다. 국내 방산업체들은 저렴하고 빠르게 고품질 무기를 생산하는 능력이 방위산업시장에서 주목을 받아 왔다. 냉전 종식 이후 재래식 무기 개발에 소원한 상태인 미국과 달리 재래식 무기 생산에도 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22014152957742

 

방산 이야기는 가급적 안 하는데 오늘은 지수 영향이 있으니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미국 팔란티어가 어제 급락한 것이 방위비 예산 삭감이었고

어제 장전에 제 시황 글 댓글과 장중 대화에 빨리 방산주 조심하자고 적었는데

한화에어로가 개장 때 급락 출발 후 오후에 반등해서 0.94% 상승 마감이더군요.

심지어 한국항공우주는 7% 급등이고요.

 

미국 군비 연간 8% 감축이 실행 불가 이런 분위기도 있고요.

미국이 감축한다고 유럽이 감축하는 것은 아니니

이런 의견들이 어제 우리 방산은 반등에 성공한 것 같습니다.

그 결과 세상에나 만상에나 한화에어로가 시총 11

급락한 현대중공업을 이겨서 무려 시총 11위가 되네요.

그럼 저는 또 적어야겠죠. 실적 좋지만 너무 달렸다. 이렇게 말입니다.

조선 무너지는 것 보셨죠. 어느 순간 차익 매물 나올 수 있습니다.

 

1. 한화솔루션, 보통주 300·우선주 350원 현금배당 결정

 

2. "한화솔루션, 美 모듈 수입 급감에 반등 기대" DB금융투자

작년 12월 미국 모듈 수입 1.8GW...2022년 2월 이후 최저

https://www.fnnews.com/news/202502191836129582

 

어제 급등한 솔라엣지가 오늘은 7% 급락

퍼스트솔라는 0.9% 상승, 어제 한화솔루션은 3.88% 하락

배당을 주긴 하네요. 한화솔루션이

 

1. 상폐 위기 놓였던 2차전지 테마 ETF, 국장 부활에 다시 돌아왔다 [투자360]

긴 겨울 끝에 2차전지주 반등

전날 수익률 상위 1~10ETF 중 2차전지 테마 4

BNK 2차전지 양극재 ETF 상폐 위기도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424315

 

2. "초격차 건식전극 기술로 LFP배터리 판도 바꿀것"

김제영 LG엔솔 CTO 전무

기술 혁신·특허 전략으로/ 미래 배터리 산업 이끌 것

 

3. K배터리 3"관세 대응"공동메시지 만든다

이르면 이달 내 제작 완성

양국 협력 필요성 등 핵심 내용

https://www.fnnews.com/news/202502201839267357

 

4. [단독] 도요타 전기차 생산량 5개월 만에 또 줄였다배터리 보릿고개 현실로

내년 100만대서 80만대로 하향/ 상하이공장CATL탑재 전망

K-배터리 점유율 하락 '빨간불'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22002109932049004

 

앤솔이 이틀 연속 상승했습니다.

그동안 상승한 종목 위주로 하락이었으니 그동안 많이 내린 엔솔이나 2차 전지들은

반등을 유지했다는 생각이고요.

코스피 대형 2차 전지는 상승 유지했지만, 코스닥 에코 집안은 초반에 좋다가

비엠이 0.3% 에코프로는 0.78% 하락입니다.

우리 2차 전지는 호재도 악재도 공존하는데 일단 전기차 판매 둔화

중국 배터리 시장 잠식은 너무 큰 악재 같습니다.

그래서 올라도 기술적 반등 정도로만 봅니다. 저 같은 경우는

그래서 어제 시초가로 사서 바로 팔았는데 이틀 연속 올라서 이건 아까비!

테슬라 하락! 앨버말 1%대 하락

미국 시장만 보면 2차 전지는 크게 희망이 생기지는 않네요.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오늘A주] 트럼프 발언에 혼조세...AI 글래스 상용화 기대감에 무더기 상한가

상하이종합지수 3350.78(-0.76, -0.02%)

선전성분지수 10809.56(+36.91, +0.34%)

촹예반지수 2228.91(+1.93, +0.09%)

커촹반50지수 1035.30(+0.73, +0.07%)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20000894

 

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9(미국 현지 시간) 기자들과의 대화에서 '올해 중국을 방문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나는 초청을 받았고, 그럴 수도 있다"라며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미국을 방문하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중국과의 새로운 무역 합의가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가능하다"고 답했다.

 

또한 이날 뉴욕 타임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주석과 무역 합의를 뛰어넘는 더욱 광범위한 합의를 타결 짓고 싶어 한다는 보도를 내놓았다.

 

뉴욕 타임스는 무역 협상뿐만 아니라 핵무기 안보, 중국의 대미 투자와 미국 내 일자리 창출, 동북아 평화 유지,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달러화 기축 통화 유지 등을 거론하며 미중 양국 간의 빅딜 가능성을 거론했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1개월 내에 자동차, 반도체, 약품, 목재 등에 대한 관세 조치를 발표할 것이라고도 발언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합의를 거론한 점은 호재로 받아들여졌지만, 또 다른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한 점은 악재로 받아들여지면서 이날 증시는 혼조세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된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20000894

 

아시아 시장 대부분이 하락이었는데 심지어 홍콩은 1%대 하락인데

본토는 약보합 근처로 반등했습니다.

 

1. 트럼프 미중 새로운 무역합의 가능…시진핑 방미 기대

 

2. "미국 올 거야"…트럼프, 시진핑 만나 '무역+α 합의' 이룰까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22014382220014

 

장중에 트럼프가 제대로 펌프질 해주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홍콩은 왜 하락했나? 과열에 따른 조정이라는 생각이고요.

코스피도 그래서 내렸다는 생각입니다.

 

537분 미국 상장 중국 종목 중 알리바바가 눈부시게 급등 중입니다.

무려 9%대 급등

이유는 인공지능입니다.

 

1. 알리바바, AI로 컴백, 매출 8% 상승

알리바바는 강력한 AI 제품과 전자상거래 성장 에 힘입어 최근 3분기 매출이 급증했다고 보고했습니다 .

 

1231일로 끝난 3개월 동안 중국 기술 대기업의 매출은 전년 대비 8%나 급증해 2,801억 위안(383억 달러)을 기록했으며, 이는 분석가들의 예상을 뛰어넘은 수치입니다.

https://finance.yahoo.com/m/0a60d536-6b82-3d70-acb3-a6eb0a5fb6fa/alibaba-makes-ai-driven.html

 

오늘 중화권 시장은 또 딥시크와 함께 알리바바 등등이 인공지능으로 움직일 것 같네요.

 

1. 네이버, 저비용 고성능 AI ‘하이퍼클로바X’ 공개

운영비용 절반 줄이고 성능 개선

 

2. 네이버, 딥시크 대항마 내놨다

'하이퍼클로바X' 신모델 공개

MMLU 정답률 68%79.6%/ 운영비 기존보다 50% 이상 개선

https://news.bizwatch.co.kr/article/mobile/2025/02/20/0019

 

오늘 우리 시장은 알리바바와 연결해서 네이버 모습 주목해 봅니다..

네이버도 저비용 고성능 인공지능 발표했습니다.

27일 신고가 보고 좀 조정받았는데 어제 0.23% 하락이었지만

좀 선방했다는 느낌이고요. 알리바바와 손잡고 우리 네이버가 한 번 달려주길 기대합니다.

 

1. 모건스탠리, 중국주식 약세 전망 철회...MSCI 중국지수 목표치 22%

모건스탠리, 하락장 전망 철회

중국 AI 발전·중국 규제 초점 전환 영향

골드만·UBS도 중국 주식 낙관론 제시

https://www.etoday.co.kr/news/view/2446837

 

모건스탠리가 과감하게 중국 약세 전망 철회하고 목표치를 22% 올렸네요.

쉽지 않은 결정인데 최근 분위기 반영한 것 같습니다.

중국은 인공지능이 시장 살렸습니다.

미국과 싸워서 이길 수 있겠네! 이런 분위기가 나오네요.

 

1. 수성웹툰 "회원 300만 돌파"…한한령 해제 수혜 기대

 

2. “최대 시장 중국 다시 가보자한한령 해제 소식에 엔터ETF 강세

 

3. 이번엔 진짜? 한한령 해제 기대에 엔터·화장품·여행다 올랐다(종합)

최대 시장 중국 다시 가보자한한령 해제 기대에 엔터·K팝주 강세

"중국 때문에" 마음고생한 개미들…한한령 해제 기대감에 화색

한한령 해제 기대감 확산…화장품·엔터·영상株 급등

 

4. 한한령 8년만에 해제?…미디어·엔터·화장품株 '날개'[핫종목]

(종합) 미디어·엔터주 6곳 상한가…토니모리 16% 급등

https://www.news1.kr/finance/general-stock/5696542

 

5. 중국 손만 잡으면 대박?…깜짝 소식에 '상한가' 터졌다

"한한령, 5월 해제"…콘텐츠·엔터·뷰티株 날았다

드라마 제작사 키이스트 상한가

YG엔터 13%·디어유 9% 올라/ 아모레퍼시픽 등 뷰티반등

한경에이셀, 화장품분석/ 지난달 對中 수출은 45% 줄어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089171

 

잊을만하면 좀비처럼 올라오는 것이 한한령 해제인데요.

벌써 8년째입니다. 뭐 해 먹자! 하면 기사 내어서 한한령 해제다.

이러면서 엔터주들 올리는데

하여간 중국이 무비자 입국으로 관광에서 재미 봤고

게임 판호도 개방 많이 했고, 한한령 해제로 뭐 먹일 것이 있으면

할 것 같고, 한국 가수들 연예인이 중국 티브이에 나와서 인기와

돈 다 가져간다. 이런 분위기를 반길까 싶기도 하고요.

 

1. '트럼프 관세' 현대차 10조 부담GM 123만대·토요타 119만대 사정권

GM·토요타 등 미국 내 판매 상위 브랜드 판매량 절반 '수입'

현대차, 최대 120만대 美 생산 가능"위기이자 기회

https://www.news1.kr/industry/auto-industry/5696317

 

2. "한달 내 혹은 더 빨리"트럼프, ·반도체 관세 앞당긴다

 

3. 트럼프 자동차 관세 25% 적용 시 현대차 수출 9조원 준다

 

4. 트럼프 관세 엄포에도 덤덤…자동차株 끄떡없다는데, ?

이날 소폭 약세 전환…차익실현·관세 시기 재조정 영향

관세 예고, 시장서 유예로 해석…완성차 저평가 여전

단순 협상카드25% 관세 직격타 가능성 희박

https://www.mk.co.kr/news/stock/11245900

 

미국 시장에서 자동차가 제법 장 초반에는 하락도 하더니

반등도 제법 합니다. 며칠 하락해서 더 떨어지기보다는 방어하는 모습도 보이고요.

 

트럼프가 자동차, 반도체 관세는 4월에 앞당겨서 3월에 가능하다는 발언도 했는데

선 조정받았다로 보는지 오늘 미국 시장에서는 잘 버텼습니다.

 

어제 외국인 기관 모두 매도한 곳이 기아고요.

현대차는 외국인만 팔았고요.

외국인이 운수장비를 집중 매도해서 1333억 매도합니다.

기관도 1014억 매도 어제 우리 시장 기관, 외국인은 운수장비에 집중되었거던요..

그래서 오늘도 기술적 반등이 아니면 좀 힘들다고 보고요.

미국 시장 분위기는 하락이 멈춘 정도

 

1. 현대차 공장 간 이재명 국내생산 촉진 세액공제 도입해야

현대차 찾은 이재명 "국내 산업 보호 위한 '생산 촉진 세제' 필요"

현대차 아산공장 찾은 국내 생산 촉진 세제 도입해야

현대차 방문한 이재명 "국내생산 촉진 위한 세제제도 도입 필요"

 

2. 이재명 "국내생산 세제혜택 줘야" 현대차 "좋은 아이디어지만..."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22007580536918

 

3. 글로벌 톱 정조준 정의선, 현대차 배터리 '두뇌 기지' 가동한다

경기 의왕에 짓는 차세대 배터리 연구동 완공 초읽기내재화 추진 속도

안전·성능 담보된 기술 역량 차별화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초점

샘플 제작·품질관리·장비 유지보수·소재부품 관리 등 담당 기술 인력도 채용

https://www.moneys.co.kr/article/2025022015292364010

 

4. 기자가 꼽은 올해의 차에 기아 EV3

 

이어진 비공개 간담회에서 현대차 측은 이 대표 제안에 대해 "좋은 아이디어이지만 시기나 방법에 있어 조금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의 우려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22007580536918

 

야당 대표가 공장에 와서 세액 공제 펌프질을 엄청해 주는데 당사자 현대차는 환호를 안 하네요. 한국 안에서 생산한 자동차 세금 지원이니 미국에서 또 무슨 반응이 나올지 조심하는 것 같고요.

 

1. [단독] 현대차·GM '생산 동맹’ 체결…트럼프 관세 피한다.

20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과 GM은 이르면 내달 글로벌 생산 시설과 공급망을 공유하는 1차 포괄적 협력 방안을 발표한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P1KRU97Z

 

이 기사를 보니 좀 고개가 끄덕여지더군요. 생산을 GM과 함께 미국에서 하겠다.

이런 계획이 있었나 봅니다.

 

오늘 현대차가 이 소식을 반등 가능할지 지켜볼 일 같습니다.

GM과 도요타와 동맹하려는 모습이 최근에 많이 보입니다.

오늘은 미국 공동 생산 가능성으로 현대차는 기대를 살짝 해볼 생각입니다.

# 우리 시장 이야기

 

1. 올댓차이나] 홍콩 증시, 관세정책 경계로 속락 마감H1.66%

"당분간 관세 정책 경계 계속"닛케이지수 1.24%

[올댓차이나] 대만 증시, 관세정책 우려로 속락 마감0.49%

 

2. 코스피 8거래일만에 하락 2,650대 마감…코스닥도 내려

8거래일만에 하락한 코스피"외인·기관 팔자" 2650선으로 밀려[시황종합]

코스피·코스닥 하락 마감"매물 소화 과정, 악재 아냐"

숨 고른 韓증시…코스피, 8일 만에 하락 마감

외국인·기관 순매도…코스피 2650선 하락 마감

 

3. [마켓뷰] 에 울고 에 웃었다코스피·코스닥 상승 행진 멈춤

 

같이 달리던 홍콩 하락이 제일 심하고요.

대만도 내렸습니다. 이렇게 되면 우리 하락은 중간 정도입니다.

일본도 1%대 하락이니 말입니다. 선물은 1%대 하락도 봤지만 오후 3시에 좀 반등해서

-0.8%대 하락 마감이고요.

 

이제 묘합니다.

어제 하락을 트럼프 관세 정책 때문에 내린 것으로 보며 하락한 것으로 볼지

단기 과열에 따른 조정으로 볼지 말입니다.

 

<< 트럼프, 중국과 새 무역협정 체결 ”가능하다“>>

 

중국 본토 시장은 트럼프의 시진핑 초대나 새 무역협정 체결 가능성 언급으로

반등해서 약보합 마감이란 말입니다.

보통 이런 호재면 우리 반등하던지 요즘처럼 강한 장세면 상승 전환도 해야 하고 말입니다.

12시 근처에 살짝 반등하는 척하다가 그냥 다시 하락했거던요..

 

야간선물이 미국 시장 하락에도 견조합니다.

455MSCI 한국도 0.25% 상승하고요.

주간 시장이 하락했는데 MSCI 한국 지수가 상승 유지하고

야간선물도 상승이라?

최근 상승 분위기가 또 느껴지네? 이런 생각도 해볼 수 있죠.

 

MSCI 일본, 대만도 다 상승이고요.

어제는 과열에 따른 일시 조정이고 다시 달릴까? 이런 생각이 좀 더 강한 새벽입니다.

 

여기까지가 오늘 새벽 미국 시장과 연결해서 본 우리 시장 전망이고요.

어제 수급으로 보면 좀 심각합니다.

외국인 코스피 매도가 2900억 심지어 코스닥도 2166억 매도

현물 매도는 기관도 같이 합니다. 코스피 1079, 코스닥 1228

여기서 딱 비빌 언덕은 연기금이 또 매수하네요. 808

일시 조정치고는 좀 외국인이 많이 판 느낌!

운수장비에 집중한 것으로 자동차 걱정이 많고요.

전기전자는 169억 매도, 기관은 40억 매수라

반등한다면 전기전자, 즉 삼성전자, 하이닉스 위주로 반등할 모양이고요.

 

대형주가 0.71% 하락이지만 소형주는 0.07% 약보합입니다.

소형주 개인은 큰 변화가 없는 하루죠.

대형주가 급등했으니 대형주 위주로 쉬었고

, 소형주는 큰 영향이 없었던 하루였다. 이렇습니다.

 

1. 트럼프발 조선주 랠리 급제동

간 큰 개미들이 돌아왔다”…국장 살아나자 다시 빚투 과열 조짐

 

2. “주가 이렇게 오르는 건 설명 안돼”…질주했던 조선, 공매도 역풍 주의보

올해 109% 뛴 주식"하선하라" 리포트에 출렁, 외국인도 던졌다

트럼프 열기 과했나...조선주 급등에 증권가 '제동'

'대장주' 불렸는데…증권사 보고서에 '폭삭' 내려앉은 종목

너무 올랐다물 빠진 조선株…공매도 타깃 의견에 ETF 순자산도 급감

 

제가 현대중공업 PER113배다. 이건 뭐라 설명할 수 없는 고평가다.

이렇게 적을 때는 별 반응이 없더니 그래도 증권사 보고서에는 타격이 좀 있네요.

 

제가 그린 시나리오는 공매도 전 어느 시점까지는 더 달리나?

이런 그림도 그렸는데 발 빠른 증권사가 있었습니다.

 

제가 시황 글 제목을 나만 사면 내리는 시장이라고 했는데 지금 그 현상이 분출되기 시작했다는 생각이고요.

 

1, 2월 상승이 좋았던 시장의 공통점은

트럼프 관세에 벗어나 있는 나라의 지수나 극복이 가능한 국가 위주로 상승했다는 생각입니다.

 

우리는 조선, 방산, 전력, 바이오가 좋았고요.

그러다 조정은 이런 종목 위주로 흔들리고요.

끝이냐? 어제 급락 한 번으로 끝난 것 같지는 않고요.

또 반등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우려먹겠죠. 공매도 전까지

 

1. 트럼프가 자사주보다 강했나삼성전자 '6만 전자' 앞두고 뒷걸음

'트럼프 리스크' 지속…SK하이닉스 3% [핫종목]

 

2. 삼성전자, 연이은 호재…'6만전자' 안착할까

상승 흐름 탄 삼성전자, 6만전자 회복할까

자사주 매입·소각, K-칩스법 통과 기대감

 

3. ASML CEO,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공장 찾아…협력 강화

 

4. 단독] 삼성 반도체설계 수장 센서 흑자 전환…사업부 이익 예상보다 늘어

박용인, 사업부 직원에 보낸 이메일서 밝혀

플래그십 제품 동시 생산 등 상황 쉽지 않아

웃도는 이익에도···월별론 흑자·적자 오갈 것

https://www.sedaily.com/NewsView/2GP1K9J60F

 

이제 510분입니다. 야간선물이 막판에 조금 더 올려서 0.31% 마감이고요.

엔비디아가 하락하다가 지금 시간에는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어제 외국인은 삼성전자를 3 거래일 연속 매수했고 적지만 25만주 매수고요.

외국인은 하이닉스를 –18만주 정도 매도했네요.

 

큰 매도가 아닙니다. 지금 마이크론이 1%대 하락이어서

큰 하락은 아니고요. 오늘 반등한다면 전기전자 위주로 반등하지 않을까?

이런 기대가 되기도 합니다.

 

1. [단독] 삼성전자 2년 연속 법인세 0

2024년 감사보고서 법인세 항목 -1조8329억원

영업익은 12조3610억원지만 세액공제 등 조정

별도기준 영업손실 낸 2023년엔 –7조8655억원

창립 이후 처음 2년 연속으로 법인세 안낼 수도

https://www.inews24.com/view/1815848

 

삼성전자가 세금으로 대한민국 먹여 살린다. 그래서 대주주가 잘못해도 눈감아주고

지켜봐 주고 응원도 하고 말입니다.

그런데 2년 연속 법인세 감면받을 수 있다는 기사가 나오네요.

그럼 이제 제 역할을 좀 해줘야 할 때가 아닙니까?

직원 52시간 더 일 시키는 것에 집중하지 말고 임원들이 나서서 뭔가 만들어야 할 때라는 생각입니다. 하이닉스는 그 환경에서 기술 개발 잘도 하고요.

삼성전자는 핑계만 잔뜩이라는 느낌이네요.

 

1. 여야 또 평행선'소액주주 보호' 자본시장법 처리 불발

국회 정무위원회 법안소위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22019323915003

 

여당이 작년에 그렇게 한국 주식 시장 걱정하면서 금투세 폐지 주장하고

개인 주주들 보호해야 한다고 하더니

상법 개정은 발목을 제대로 잡네요. 일관성이 있어야지 쩝

 

1. ‘벚꽃배당기대감에 SKT 주가 봄바람

 

2. 삼성생명, 4분기 부진했지만…연간 순익·배당 '역대 최고'

최대 배당 삼성생명 "삼성전자 주식 매각도 배당 재원 활용

삼성생명 "자회사 편입해도 삼성화재 경영 변화는 없어“

 

3. SOOP, 배당 갑절로 확대…서수길 곳간 두둑해지나

 

4. 우진, 배당금 늘리고 자사주 매입·소각 결정"주주가치 제고"

 

5. [단독] 한미반도체, 비과세 배당 수순JP모건도 러브콜 [마켓딥다이브]

한미반도체,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전입 안건

JP모건, 한미반도체 목표가 15만원…"장기투자 매력"

45% 하락한 주가 방어…자사주 소각·매입 적극적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2200405

 

<< 226일까지 투자하면 배당금 받는 기업 리스트 | 배당주 추천 종목>>

https://www.youtube.com/watch?v=Xe5og7HqsEU

 

트럼프 발 여러 논란으로 시장이 좀 흔들릴 때 편하게 매수 가능한 곳이

배당주라는 생각입니다. 배당 정책이 바뀌어서 12월 말이 아니고

기업 배당 발표 후 매수할 수 있는 종목이 많아졌습니다.

유튜브 영상에 잘 담겨있으니 참고해 보시고요..

오늘부터 다음 주까지는 배당주들이 좀 달리는 주간이 되지 않을까?

이런 생각입니다.

 

<< [단독] 국세청, 6년 만에 와이지엔터 정기 세무조사>>

 

그리고 요즘은 뉴스가 정말 중요한 시기입니다.

뉴스에 움직임이 정말 빠르네요. 외신도 그렇고 국내 뉴스도 그렇고

잠깐 흘려 봤다가는 낭패 보기 딱 좋습니다.

 

오늘은 중요한 날입니다.

어제 조정이 단기 하루짜리 조정인지? 미국과 같이 쉴 것인지

오늘은 어딜 올리고 어딜 뺄지 순환매는 어디로 나올지?

예를 들면 월마트 급락으로 이마트는 백화점 종목들이 또 급락할지

생각할 부분이 많네요.

 

9시 전까지 외국인 선물 매도가 1000억대 이상 아니면 1500억 이상 나오면

좀 긴장하고요. -1000억대 아래면 위아래 공방전도 가능하다고 봐야 할 것 같고요.

매수 나오면 고맙고요.

 

공매도 시작하면서 시장 움직임에 대한 각자의 그림도 주말에 좀 정리해 보면 좋을 것 같고요.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1. 공매도 종목 전면 확대될듯…이복현 “다양한 종목에 재개 필요

전종목 공매도 재개할까…금감원 “증시 신뢰 위해 필요

 

2. 전종목 재개?…이복현 "증시 신뢰 위해 다양한 종목 공매도 필요"

이복현 "새 전산시스템, 불법 공매도 99% 잡을 수 있어"

3월말 공매도 재개···이복현 무차입, 99% 잡아낼 수 있다

 

3. '무차입 공매도 99% 적발' 공매도 점검시스템에 반응 엇갈려

금감원 20일 증시 인프라 개선 열린 토론회

공매도 잔고관리 시스템 시연

"현행법상 최선" vs "성긴 그물"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084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