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똥친막대기! 先富保共富 선부촉공부! 중국으로 다 넘어가는 경쟁력! 신종 코로나 2월 24일 장전 시황

평생선물 2025. 2. 24. 06:56

똥친막대기! 先富保共富 선부촉공부! 중국으로 다 넘어가는 경쟁력! 신종 코로나 224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경기둔화’+‘인플레두려움 덮쳤다다우지수, 올 들어 하락폭 최대

 

2. 뉴욕증시, 블루칩 UNH 급락·서비스업황소비심리↓…하락 출발

소비심리 악화에 3대지수 동반 급락나스닥 2.2%[뉴욕증시 브리핑]

인플레·경기둔화 공포 커졌다다우 낙폭 올들어 최대[월스트리트in]

'경기둔화 우려'에 뉴욕증시 동반 급락다우 낙폭 올들어 최대(종합)

[속보] 미증시 일제 급락, 다우 1.70%-나스닥 2.20%

[속보] 미증시 일제 급락에 테슬라도 5% 급락

[2] '경기둔화 공포' 3대지수 급락다우 1.7%, 올들어 최대폭

뉴욕증시, 급락 마감소비 심리 ·인플레 불안 '투매 촉발'

[1] 경기둔화 공포에 다우지수 1.69% 급락올들어 최대 하락

[속보]다시 고개든 인플레 공포나스닥 2.2% 급락

[속보] 뉴욕증시, 일제 급락 마감다우, 750P'올해 최악'

트럼프 우려미증시 일제 급락나스닥 2.20%(상보)

뉴욕증시, 소비심리 꺾이자 주가도 꺾였다나스닥 2.20%마감

 

제목만 올려드려도 미국 시장이 왜 하락했는지 다 아시겠죠.

경기둔화, 기대 인플레 급등 이런 것으로 조정받았고

옵션 만기 영향도 있었고요.

주말 내내 봤을 내용이니 미국 시장으로 주목해야 할 주말 소식에 집중하죠.

다 내렸으니 뭐 이건 덜 내렸다. 정도 차이니 종목 분석도 의미가 없으니 아래 기사로 두겠습니다.

 

1. 버크셔 10분기 연속 현금 보유액 증가영업이익 71% 급증

사상 최대 480조 원 쌓아둔 버핏"비정상" 우려에 반박

지난해 12월 기준 보유 현금 3,342억 달러

보험 부문 기반 4분기 영업이익 71% 급증

보유 현금 480조 원에 의문 커지자"자산 대부분 주식에 투자"

다만 버핏 회장은 일부 평론가들이 현재 버크셔의 현금 보유를 비정상적으로 높다고 평가하고 있음에도, 자산의 대부분은 여전히 주식에 투자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현금 보유가 여전히 불리하고, 높은 유동성을 가진 상장 지분 투자가 유리하다는 설명이다. 다만 이러한 언급 외에 추가 투자 재개 가능성에 대해선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2230006

 

주말에 버크셔 실적이 나왔고요. 돈 잘 벌고 잘 나가고 있는데

현금 보유액 증가에 대한 논란입니다.

버핏은 현금 늘어나도 종목을 많이 보유중이다. 이런 주장이고요.

시장은 어라! 또 현금을 늘리네! 무슨 일을 저리 걱정하나! 이런 우려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1. 어제의 동지가 원수로AI 왕좌 노린 경쟁 치열해진다[글로벌리포트]

'오픈AI' 샘 올트먼 vs 'xAI' 일론 머스크

오픈 AI 공동 창립멤버로 활약한 머스크

이해충돌 문제로 이사직 사임·지분 처분/ 이후 'GPT'성공에 큰 충격 받기도

"비영리 설립취지 어겨" 손배소 청구 강수/ 트럼프 2AI 프로젝트에도 맹비난

올트먼 참여 몰라 퍼스트버디 체면 구긴 셈/ 10년간 자존심 싸움 벌여 온 두 사람

머스크표 생성형 AI '그록3' 공개엔/ 올트먼, GPT 후속모델 출시 알려 맞불

https://www.fnnews.com/news/202502231857084652

 

2. “오픈AI, 소프트뱅크로 데이터센터 이전 추진

 

3. "MS와 거리 두나"오픈AI, 소프트뱅크로 데이터센터 이전 계획

2030년까지 데이터센터 의존도 75% 이동MS와 동맹 관계 변화 예고

https://zdnet.co.kr/view/?no=20250223005917

 

4. 마이크로소프트의 폭탄 발언. "AI 과잉투자 위험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TVDxiZGF5Cw&t=216s

 

보여드리는 그림은 내일은 투자왕 김단테의 영상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AI 투자가 과잉이다. 이런 주장했다는 내용이고요.

저는 샘 올트만의 행보을 주목하는데요.

처음에는 머스크와 손잡고, 그러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손잡다가

이제는 마소랑은 좀 멀어지면서 소프트뱅크랑 손잡는 모습입니다.

돈은 못 벌고 자금 지원해주는 쪽으로 이리 붙고 저리 붙는 모습인데

요게 저는 옴 안 좋아 보이네요.

 

27일 우리 시장은 엔비디아 실적에 크게 움직일 것 같은데

마이크로소프트의 데이터 센터 축소! 오픈AI의 소프트뱅크 이전!

뭐 이런 것으로 혼란하네요.

과소 투자가 오히려 악재라고 하다가 이제 과잉투자라니 쩝

이걸 반도체가 어떻게 반응할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1. 테슬라도 엔비디아도 ``증시, 트럼프발 물가 불안에 급락

"376000대 리콜"테슬라, 모델3·Y '파워 스티어링 결함'

테슬라 4.68%-루시드 7.55%-니콜라 13.66%, 전기차 일제(종합)

테슬라 주가 4.7%337달러대 마감"업계 경쟁 심화 등 영향"

미증시 일제 급락에 루시드 8% 폭락

전기차 38만대 리콜, 테슬라 4.68% 급락(상보)

 

2. 미국 법원 트럼프 제동 계속...‘DEI 행정명령도 중단

 

3. 머스크 "연방정부 직원 업무 제출하라안하면 사임 간주"

트럼프의 "더 공격적으로 하라" 독려 후 직원 이메일

 

4. "말 잘듣네" 머스크, 트럼프 지시 따라 연방정부 직원들 '독촉'

트럼프 "머스크, 더 공격적으로 나가라" 지시머스크, 몇 시간 뒤 직원들에 독촉 글 올려

머스크 "연방정부 직원 업무 제출하라안 하면 사임 간주"

 

5. 트럼프와 머스크의 해고 칼춤미 공무원 1만명 일자리 잃는다

찍힌 기관들 사실상 폐쇄 절차사법부 일시 중단명령도 무시

 

똥친막대기! 이런 단어 듣기가 어려울 것 같은데요.

똥을 치우기 위해 사용한 막대기를 뜻합니다. 쉽게 설명하면 말입니다.

머스크를 보면 딱 저 신세가 될 것 같은데 말입니다.

똥을 치우기 위해 막대기를 이리저리 휘두르겠죠. 그때는 세상 다 가진 것처럼 말입니다.

그런데 똥 다 치우고 나면 어떻게 됩니까? 에이 더러워! 저 산에 갔다 버려라!

이렇게 되죠. 트럼프 똥친막대기 역할, 즉 악역 열심히 하다가

야 나는 그럴려고 안 했는데 머스크가 심했네! 이러면서 책임을 머스크에 넘기겠죠.

머스크 개인만 무너지는 것이 아니고 테슬라가 흔들리는 걱정 아니겠습니까?

 

자율주행 자동차, 로봇, 인공위성 사업을 머스크만 합니까?

화무도 십일홍인데 말입니다.

 

1. 한국 기업인들 만난 상무장관 "10억달러씩 내라"

뒤늦게 30분 만나주며 투자 압박

재계 "70년 동맹에 어떻게 이런..."

상무장관의 홀대한국 기업과 면담 돌연 취소, 항의하자 30분 만나줘

 

<<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 장관이 최근 방미한 한국 경제 사절단에 대미(對美) 투자를 강조하며 “(기업마다) 10억달러(14000억원)를 내면 익스프레스(express·급행) 서비스를 해주겠다고 밝혔다. 한국 경제 사절단과의 면담 일정을 일방적으로 취소했다가, 이틀간의 사절단 일정이 끝난 다음 날인 지난 21(현지 시각) 30분가량을 할애해 면담한 자리에서였다. 그는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겸 SK그룹 회장을 비롯해 삼성, 현대차, LG 4대 그룹과 한화, HD현대, 한국수력원자력 등 국내 산업계 인사 10여 명을 앞에 두고 대미 투자를 수차례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러트닉 장관은 정권 인수팀의 공동위원장을 지낸 관세·무역 전쟁의 선봉장 격인 인물로, 투자은행 캔터 피츠제럴드의 최고경영자(CEO) 출신이다.>>

 

대미 사절단이 갔는데 받은 것은 10억 달러, 14000억 청구서네요.

이것도 심각한 이야기입니다.

주말에 이 기사 보는데 화가 나더군요.

 

1. 지지자들 앞에 선 트럼프 "싸움 아직 시작도 안 해"

 

2. 트럼프, 보수단체 연례행사 연설서 또 "파이트, 파이트, 파이트"

트럼프, CPAC 참석해 화려한 복귀 선언

취임 후 성과 자랑바이든엔 날선 비판

 

3. 트럼프 "관세는 강력한 외교 수단매우 많은 돈 거둘 것"

 

4. 애플도 관세에 속수무책트럼프 "팀쿡, 멕시코 공장 미국 이전키로"

트럼프 "애플, 멕시코 공장 이전...에 수천억달러도 투자"

중국·멕시코 추가 관세 여파

 

5. , 패스트트랙 신설해 동맹 투자 확대전략분야 투자는 차단

트럼프, 21일 안보각서에 서명 예정CFIUS 통해 적대국 투자 제한

https://v.daum.net/v/20250222060739696

 

6. 트럼프 "동맹국 투자 환영10억 달러 투자하면 패스트트랙"

'미국 우선투자 정책' 각서 서명, 의 대미 투자는 제한

자본 중국 투자도 억제, "국익에 부합해야만 허용"

https://v.daum.net/v/20250222165654465

 

트럼프도 마찬가지입니다. 미국에 10억 달러 투자하라!

지금 관세 부과는 시작도 안 했다! 무시무시한 발언이죠!

이게 주말에 있었던 이야기들입니다.

 

S&P5002% 오를 때 독일, 홍콩, 코스피가 10% 상승입니다.

미국 시장 하락에 너무 겁먹을 필요 없다는 생각이고요.

더 가기 위해 쉰다는 생각입니다.

25년에는 확실히 바람 방향이 바뀌었다는 생각이고요.

 

업종, 종목 선택 잘하면 먹을 것이 제법 있는 시장이라는 생각입니다.

 

 

1. HSBC 엔비디아 목표가 175달러로 하향, 엔비디아 4%

미증시 일제 급락에 인텔도 4.68% 급락

 

2. 주요 주식 일제 하락에도 알리바바는 6% 급등

'딥시크 효과' 미증시 중국 ETF 6주 연속 상승

 

3. 미국 '우선주의 투자정책' 발표에중국 "기업 시장 빼앗길 것"

중국 상무부 입장문"필요한 대응 조치 취할 것"

 

4. 마크롱 "트럼프에게 동맹국 관세고통 주지 말라 할 것

 

5. 트럼프, ·프와 정상회담 앞두고 비난"전쟁 안 끝내고 뭐 했냐"

6. "마크롱은 친구"스타머엔 "아주 좋은 사람"

 

7. "트뤼도 총리, 주지사 회의 안 올래?"···또 캐나다 도발한 트럼프

 

8. '2의 팔란티어' 찾는 서학개미들중소형주 투자 열풍

 

9. "주가 150% 뛰었다"투자 고수도 담자 서학 개미 '우르르' 몰려간 곳

최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들은 지난 7~13일 일주일간 템퍼스AI 주식 4719만달러(683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상장지수펀드(ETF)를 제외할 경우 테슬라에 이어 2위다.

# 주목해야 할 소식

 

1. 금값 '사상 최고' 3천 달러 눈앞금 품귀에 은·동도 불티

 

2. 미증시 급락에 국제유가도 3%WTI 70달러 턱걸이

 

3. 누적 미수금 141조 넘는 당기익에도 못웃는 가스

매출액 6.2조 줄었지만···당기순익은 흑자로 전환

일회성 비용 해소 덕···민수용 미수금 여전히 숙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2GP2WR3AP7

 

4. 트럼프 관세 압박에 천연가스 가격 급등개미는 인버스에 베팅

트럼프 시대 천연가스 가격 치솟는데개미는 과감한 하락 베팅

 

5. 거세지는 관세압박 속 정유업계, 반사이익 보나

, 값싼 이란 원유 수입 막혀

국내 정유사 가격 경쟁력 오를 전망

https://www.smartf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430

 

유가가 3%, 금은 0.1% 정도 버텼는데

은과 구리는 1% 정도 하락 천연가스는 장중에 4% 가까이 또 급등하다가

1.93% 상승으로 마감입니다.

느낌은 원자재 폭락 느낌을 받았습니다.

오늘 유가 관련 종목들은 좀 쉴 것 같네요.

 

1. 광물부터 유엔결의안 폐기까지...우크라 압박 수위 높이는 트럼프

·우크라 광물 협상 난항“5000억달러에서 5배 낮춰야

 

2. 전쟁 재건시장 열렸다우크라 700vs 러시아 16000

 

3. '미러 견제' 급한 EU, 우크라에 29조 추가 군사지원 추진

 

4. 블룸버그 "EU, 러시아 동결자산 403조 원 압류 검토"

"EU, 러시아 동결자산 403조원 압류 검토"우크라 지원 강화하나

"러시아가 배상금 지급 거부 시 압류 검토"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22315351149032

 

4. 우크라, 트럼프 720조원 요구에 굴복하나광물협정 타결 임박

 

5. 최대 720, 우크라 광물로 재건기금 만든다

[우크라이나 침공 3]

, 젤렌스키와 광물 협정 임박/ "우크라 자원 수익으로 조성

미국이 관리하며 재건 계획"/ 안보 보장 확약, 막판 변수될 듯

 

미국은 우크라 광물 먹고 그 수익으로 재건 사업한다.

이런 계획으로 보이네요. 젤렌스키가 동의할지가 관건이겠습니다.

저는 전혀 동의가 안 되는데 또 우리 우크라 재건 테마가 불지는 모르겠네요.

하락 때는 뭐 온갖 핑계로 급등시키는 테마가 있기 마련인데

오늘 우크라 재건 테마가 주목됩니다.

 

1. 철강에 반덤핑 관세로 철강업계 숨통트럼프 관세는 먹구름

 

2. 현대제철, 중국산 후판 AD 예비 판정 수혜 기대2분기 실적 개선 전망

 

3. 후판 고율 관세에철강불기둥

국내산 가격 경쟁력 높아져/ 동국제강 이틀 만에 14%

증권가 "경기 부양책 기대/ 철강매수 기회 다가왔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114361

 

우리 정부 중국 철강 반덤핑 관세로 모처럼 철강이 달렸고요.

이제 중요한 것은 추세인데 마침 미국 시장이 쉬어서

오늘 어떻게 될지 걱정이네요.

 

1.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로"EU 수출 42조 원 타격 추정

 

오늘은 미국 관세 우려를 반영할 수도 있다는 생각입니다.

 

1. 씨에스윈드, 4분기 실적 부진2025년 전망은 우려 반 기대 반

 

2. [청기홍기]트럼프에 엇갈린 '에너지주'두산vs 씨에스윈드

한주간 증권가 목표주가 상향·하향 종목 리뷰

"두산, 깜짝 실적과 자회사 지분 가치 상향"

"풍력 사업 씨에스윈드, 트럼프 영향에 주가"

https://news.bizwatch.co.kr/article/market/2025/02/21/0019

 

금요일 한화솔루션은 보합이고요.

미국 퍼스트솔라는 5.24% 급락이고요.

오늘 우리 태양광, 풍력은 좀 힘들겠습니다.

미국 시장에서 전력도 하락이어서 우리 전선, 전력도 오늘은 좀 쉬려고 할 것 같고요.

 

1. 삼성·LG 죽 쑤는데'3인방' 심상치 않더니 '결국 일냈다'

 

2. 글로벌 TV시장 내줬다진격의 , 첫 추월

옴디아, 출하량 조사 기준

 

3. , 세계 TV 출하량 한국 첫 추월매출 점유율도 맹추격

옴디아 TV 시장 분석삼성·LG, 1위는 유지했지만 점유율

https://v.daum.net/v/20250223070307816

 

4. 가성비 중국폰에 '싼 아이폰'까지 총공세삼성의 대항마는?

 

5. 이렇게 차이가 난다고? 갤럭시 S25 잘나왔지만 삼성이 위기인 이유

https://www.youtube.com/watch?v=_hMWHvYX56c&t=339s

 

보여드리는 그림은 구독자 86만명의 테크몽의 삼성 휴대전화기 이야기인데요.

좋은데 발열이나 배터리 성능이 이제 중국에 밀린다는 경고입니다.

위 기사 보시면 TV 시장도 중국에 넘어가고요.

정말 위기입니다. 삼성전자가 뭘 잘하는 것이 안 보이는 암울한 상황입니다.

 

1. "각형이 답"삼성SDI, 열전파 차단·전고체 배터리 기술 대거 공개

내달 5~7'인터배터리 2025' 참가'인셀리전트 라이프' 솔루션 소개

https://v.daum.net/v/20250223120337455

 

2. SK‘3대 폼팩터배터리 전격 공개

https://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3237494

 

3. "차세대 혁신 솔루션 선봬"배터리 3, 내달 '인터배터리 2025'

국내 배터리 3, 내달 인터배터리 2025 출격다양한 혁신 기술 전시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50223021549079

 

무슨 의료 박람회 하면 제약 바이오가 움직이고요.

전기전자 박람회 하면 또 해당 업종이 반응할 때가 많습니다.

이번에는 배터리 박람회가 있습니다.

그래서 2차 전지 대형주들이 살짝 움직이는 것 같고요.

포스코는 2차전지와 철강 반등 둘 다 수혜로 반등이 좋았고요.

SK이노는 합병으로 또 달리고요.

그래도 오늘 정도는 좀 쉴 것 같습니다.

앨버말이 1.59% 하락이고요. 비빌 언덕이 좀 안 보이네요.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올댓차이나] 증시, 추가 지원책 기대로 상승 마감창업판 2.51%

 

2. [오늘A] 테크기업 부양책 기대감에 상승...커촹반지수 6% 급등

상하이종합지수 3379.11(+28.33, +0.85%)

선전성분지수 10991.37(+196.82, +1.82%)

촹예반지수 2281.51(+55.93, +2.51%)

커촹반50지수 1094.77(+61.68, +5.97%)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21000683

 

3. 리창(李强) 중국 국무원 총리는 20일 소비 촉진을 주제로 한 국무원 세미나에서 AI와 결합한 제품 개발을 적극 지원해 내수 확대를 견인해야 한다는 발언을 내놓았다.

 

리창 총리는 "과학기술 소비를 적극적으로 촉진하고, AI 기술 보급을 가속화하고, AI 단말기 제품 등의 소비 잠재력을 현실화해야 한다""더 많은 세분된 분야에서 양질의 AI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해 새로운 수요를 자극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발언이 전해지면서 시장에는 중국이 첨단 기술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보조금 정책과 세제 정책 등 부양 정책을 발표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조성됐으며, 기술주 위주로 증시가 상승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21000683

 

4. 이날 기술주들이 전반적으로 상승한 가운데, 데이터 센터 관련주들이 초강세를 나타냈다. 광환신왕(光環新網), 선링환징(申菱環境), 랑웨이구펀(朗威股份)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알리바바가 20일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알리바바는 4분기 매출액이 2801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8% 증가했고, 순이익은 333% 증가한 464억 위안을 기록해 '어닝 서프라이즈'를 나타냈다. 특히 4분기 자본 지출이 전 분기 대비 80% 증가한 318억 위안을 기록했고, 이 중 상당 부분이 데이터 센터 확보에 쓰인 것으로 전해지면서 관련주들이 대거 상승했다.

 

공공 클라우드 관련주도 상승했다. 톈지커지(天璣科技), 룽지롼젠(榕基軟件)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차이나모바일, 차이나유니콤, 차이나텔레콤 등 3대 국영 통신업체들이 각각 올해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에 대대적인 자본 투자를 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련 기업들이 강세를 보였다. 중국 정부는 행정 시스템 스마트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3대 통신사가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21000683

 

<< 先富保共富 선부촉공부>>

 

시진핑의 말씀: “나라를 위해 봉사하는 야망을 갖고, 발전에 헌신하고, 법을 지키고, 사업을 잘하며, 부를 먼저 만들고 공동 번영을 촉진하라

 

"나라를 위해 봉사하고, 개발에 집중하고, 법을 준수하고, 사업을 잘 운영하고, 먼저 부자가 되어 공동 번영을 도모하는 야망을 가지십시오." 총서기는 사적 경제와 사적 기업가를 깊이 걱정합니다. 이 말은 지시일 뿐만 아니라 기대이기도 합니다!

https://www.jfdaily.com/wx/detail.do?id=864348

 

중국의 중요 변화는 선공촉공부입니다.

이전에는 공동보유다. 이래서 공산당 색채를 드러내었다면 이제 부를 먼저 만들고 공동 번영을 촉진한다로 진로를 변경했습니다. 이게 25년 중국의 변화입니다.

 

1. `딥시크 쇼크` 이면에 소수정예 뽑아 특별교육

https://v.daum.net/v/20250223111817440

 

2. 빅테크들, AI 투자 '러시'5년만에 복권된 마윈이 앞장

알리바바 "향후 3년간 지난 10년보다 많은 자금 투입"시진핑 지원 약속 후 나와

, 별도 AI 투자기금 조성"2030년 세계 선두 목표"

https://v.daum.net/v/20250222115852986

 

3. 차세대 AI 대장마윈 돌아오자 급등한 '알리바바

알리바바 실적 호재"클라우드 호조"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22118152293938

 

딥시크 출현이 딥시크 민간 자체적인 움직임이였는지

트럼프 관세 발표에 맞추어서 중국 대응이었는지 알 수가 없지만

트럼프 중국 관세 발표 이후 분위기는 오히려 승기를 중국이 잡은 느낌입니다.

 

인공지능, 자율주행, 로봇, 드론 이런 것들로 중국이 미국을 앞서간다는 느낌도 받고요.

미국 반도체 종목이 4%대 하락하고 M72%대 내외로 하락하는데

알리바바가, 핀둬둬가 미국 시장에서 5%대 상승

징둥, 바이두는 2% 내외 상승을 지켰습니다.

 

1. ‘트럼프 관세위협안 통하나아시아 증시에 글로벌 뭉칫돈

23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은 지난 한 주간 중국을 제외한 MSCI 아시아 신흥시장 주식을 7억달러(1조원) 넘게 순매수해 7주 연속 이어졌던 순매도 행렬을 멈췄다. 이 기간 MSCI 아시아 지수(중국 제외)1.8% 오른 반면 미국 뉴욕증시를 대표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71% 하락했다.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50223023019117

 

이런 분위기를 느낀 것인지 외국인이 들어오고 있고요.

 

1. 한한령 '빗장' 풀릴까최대 수혜주는 '이곳'

엔터4사 올해 급등 중BTS 등 컴백 기대감

실적 회복세에 한한령 해제 기대감까지 더해져

"엔터, 한한령 해제 최대 수혜주"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880246642072816

 

2. SM, 디어유 지분 11.4% 추가 취득팬 플랫폼 사업 강화

21일 이사회 통해 연결 자회사 편입

SM 3.0 IP 비즈니스 확장 가속화 기대

JYP 지분 10% 유지협력 체제 지속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854006642072816

 

중국 분위기 수혜 업종이 엔터로 향하는 모습이고요.

처음에는 드라마 쪽에 더 크게 작용했는데, 이제 엔터, 가수 쪽으로 움직일 기대도

생기네요.

 

1. "좀비카 떠안았다" 분노줄줄이 먹통되더니 '어쩌나'

제조사 파산으로 차량 유지·보수 불가능

"전기차 스타트업 난립에 따른 부작용"

https://v.daum.net/v/20250223102602343

 

2. 중국 창안ㆍ둥펑 합병 속도, 중국발 구조조정 가시화

 

미국 시장 하락에도 미국 시장에서 리오토, 샤오펑이 4%, 니오가 1.6% 상승입니다.

본토에서는 이제 구조조정이 시작되는 모습입니다.

살아남을 종목 위주로 달리는 모습이네요.

미국 시장에서 중국 종목들은 대단했습니다.

 

1. "올해부터는 한국산"테슬라도 제친 수입 전기차 '비결'

폴스타4, 1월 수입 전기차 1위 올라

테슬라 제쳐"보조금 정책 영향"

올해 하반기 부산에서 생산 계획

https://v.daum.net/v/20250223140102043

 

2. 현대차, 인도법인 IPO 자사주 매입 조기 완료주가 변동성 확대 경고

 

3. “나 떨고 있니?”테슬라 인도 진출에 현대도 긴장 모드

가격경쟁력 낮아 일단 안심테슬라 현지제조공장 세우면 얘기 달라져

https://www.tfmedia.co.kr/news/article.html?no=179246

 

4. '복병' 만난 현대차·기아, 테슬라 인도 진출 재시동

인도 뉴델리와 뭄바이에서 매장 임차

매장 관리·고객 대면 업무 담당자 모집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3634

 

5. 현대차 호세 무뇨스 사장 품질과 안전은 타협해선 안 되는 최우선

 

6. 무뇨스 현대차 사장 "파트너사와 조립공장 설립 중추가 생산능력 확보"

일찍이 현지화 진행해 불확실성 극복

아마존 등 협력사와의 협업도 강조

https://www.sedaily.com/NewsView/2GP21PLHIR

 

7. 현대차 '아이오닉 5', 서 타사 고객 유입률 1

 

8. 현대차 vs 롯데렌탈올해 중고차 시장 더 치열해진다

 

9. '캐즘 돌파' 소형 전기차 승부수2000만원대 경쟁 시작

 

테슬라 4.68%, GM 3.34%, 도요타 1.98% 하락이어서

우리 자동차 버티기는 힘들 것 같고요.

인도에 공을 들이고 있었는데 테슬라가 인도 진출을 본격화한다고 하네요.

트럼프가 반대한다고 해서 좀 안심했는데 아닌가 봅니다.

공장은 안 지어도 판매는 시작할 것 같네요.

이게 현대차 새로운 악재고요.

 

1. 개인 사고, 외인 팔고... 현대차·기아, 엇갈린 투자 전략

 

2. 자동차 부품 업계 미국 25% 관세에 한숨

2024년 대미 자동차 부품 수출액 최대치수출 비중 36.5%

관세 파급 효과 예측하기 어려워현지 진출 비중도 부담

https://www.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264001

 

3. 트럼프 '25% 관세'에 현대차-GM 협업 돌파구 모색부품업계는 '어쩌나

2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미국 현지 생산량을 현재 연 70만대에서 120만대로, 50만대 이상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는 현대차 앨라배마공장(36만대), 기아 조지아공장(34만대),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생산능력을 최대로 끌어올려 국내 생산분을 미국으로 이전해 관세 충격을 줄이려는 전략이다.

 

지난해 현대차·기아의 전체 수출량(2177788) 46.6%1013931대가 미국으로 향했다. 이는 국내에서 생산된 차량 10대 중 5대가 미국으로 수출됐다는 의미다. 만약 이 물량이 현지 생산으로 대체되면 국내 부품업체들은 납품 물량 감소로 타격이 불가피하다.

 

현대모비스·HL만도·한온시스템 등 국내 1차 부품 협력사들은 고객사인 완성차 업체의 대응 방안을 지켜보며 지침에 맞춰 대응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https://www.newswork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5567

 

2, 3번 기사보면 자동차 부품 걱정을 해야 하는데요.

 

생산기지 보유한 부품주 '질주'

에스엘, 하루 18% 급등

화신·서연이화도 강세/ 트럼프, 25% 관세 땐

완성차 현지 생산 늘 듯/ 부품 매출도 상승 기대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333231

 

제가 조지아주에 현대차랑 같이 진출한 부품 기업들 주목하자고 몇 번 적었는데요.

최근 이 부품 종목들 움직임이 좋습니다.

대장은 에스엘이고요, 저는 동원금속 보유 중이고요.

 

1. 에스엘은 테네시와 앨라배마, 서연이화는 앨라배마와 조지아에 생산공장을 갖췄다. 화신과 현대공업, 아진산업은 앨라배마와 조지아 등에 공장이 있다. 김귀연 대신증권 연구원은 관세 때문에 완성차 업체들은 현지 생산을 늘려나갈 것이라며 미국 공장을 보유하고 현대차와 GM 대상 매출 비중이 높은 부품사 중심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분석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333231

 

현대차가 미국 생산량 늘리면 움직일 수밖에 없는 종목들이라는 생각이고요.

현대공업, 아진산업, 화신도 주목해야겠습니다.

 

대장 현대차, 기아보다 부품에 좀 더 관심 가져야 할 때라는 생각입니다.

 

1. 버핏 "5종합상사 투자는 확대·지속"

10분기 연속 버크셔의 현금 보유액 증가하는 판에 매우 이례적

연례 주주 서한에서 "버크셔의 5개 종합상사 지분 다소 느는 것 보게 될 것"

이토추, 마루베니, 미쓰비시, 미쓰이, 스미토모

이들 종합상사의 경영진, 투자자 관계, 자본운용 전략 높이 평가

https://www.businessplus.kr/news/articleView.html?idxno=81714

 

2. 자동화 산업의 봄이 왔다신규 수주 늘리는 화낙

[주목!e해외주식] 화낙

“2025회계연도 3분기 신규 수주 성장률 인상적

제조업 사이클 강해지면 화낙 기업가치 상승

트럼프관세 정책, ‘자동화 사업긍정적 가능성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879446642073144

# 우리 시장 이야기

 

1. 국장 돌아오나연기금 최장 순매수[K증시 훈풍]

연기금 35거래일 연속 순매수 '역대 최장'

코스피 일평균 거래대금 1월 보다 29% 증가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221_0003073859

 

2. [마켓인사이트] 열심히 달려온 코스피쉬어갈 타이밍? 빅이벤트 산재

코스피·코스닥 나란히 3주 연속 상승연기금 최장 순매수 진행 중

K칩스법 추진·한한령 해제 가능성·에 반덤핑 관세업종별 호재에 반색

"일부 업종 가격부담에 변동성 불가피"한은 금통위·엔비디아 실적 주목

https://www.yna.co.kr/view/AKR20250222020100008?input=1195m

 

주식 시장을 단순하게 이야기하면

안 팔면 안 내리고, 덜 팔면 덜 내리고, 팔면 내리는 시장이죠.

쉽죠.

 

자 그럼 1월과 2월의 주포, 즉 우리 시장을 올린 주체는 어디입니까?

외국인이 아니죠. 기관, 그리고 핵심은 연기금입니다.

 

35일 동안 사고 있죠. 신기록이고요.

그럼 신기록은 언젠가 멈추죠. 그 일이 오늘 일어나면 어떻게 되죠?

네 내리는 것이죠. 얼마나 내릴까? 주포 맘대로이니 기관이 얼마나 파느냐에 달렸습니다.

 

금요일 시장의 놀라운 점은 943분 저가를 만들고 말아 올린 것이죠

밀리면 다시 올리고 또 밀리면 다시 올리고

그렇게 올려서 종가를 세상에 상승 전환 시켰습니다.

 

토요일 미국 시장 하락 보기 전에는 야! 우리 시장 정말 강하네!

승부 볼만 하네! 미국이 하락해도 이제는 다 말아 올리네!

2600 선에서 연기금이 포기 안 하고 743억 매수하는 시장!

기대해봐야 하나? 이런 생각 누구나 할 수 있지 않습니까?

 

야간 선물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큰 하락은 아니지만, 자정 전까지 미국 시장이 조금 하락하는데도

상승하더군요. 장 마감 후 느꼈던 감정이 밤까지 어어지더군요.

 

그런데 12시 미국 지표 발표 후 한 차례 무너졌습니다.

그래도 새벽 2시까지는 버텼습니다.

마지막 하락은 새벽 3시 이후 그냥 무너졌고요.

정리하면 토요일 새벽 2시까지는 우리 지수는 주간 시장에서 잘 반등했고

야간 시장에서는 상승 전환했고 미국이 하락해도 잘 버텼다.

 

1. 미국 밸류에이션 고평가올해 주인공은 국장?

올해들어 코스피는 지난해 낙폭을 60%가량 회복했고 수급이 부족했던 지난해와 달리 코스닥도 바이오, 로봇, 게임 등 여러 업종에서 종목장세가 펼쳐지며 회복세를 보인다. 국내증시 밸류에이션이 저평가됐다는 인식과 홀수해 국내증시 성과가 좋았다는 통계가 국내증시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최근 상승에도 코스피 PBR(주가순자산비율)0.93배 수준으로 여전히 밸류에이션 매력을 갖추고 있다""하반기로 갈수록 국내정치적 리스크도 해소될 것이란 점도 모멘텀"이라고 설명했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22116073842328

 

2. 하루 만에 '주르륵' 맥없이 무너졌다조선주 개미들 '쇼크' [종목+]

"너무 올라서 공매도 타깃 될라"이틀 만에 조선주 ETF 565억 증발

트럼프방산·조선60% 급등정부 밸류업 정책은 성과 미흡

 

3. , 선사·제조 선박에 수수료 부과 추진 기회 맞나

USTR, 중국 선박·용적물 미국 항구 입항 시 수수료 부과 추진

해상 운송 미국산 제품, 최소 1% 자국 선박 이용 규제안 마련

블룸버그 중국 선박 운송 비용 상승 시 한국 조선업계에 기회

 

4. 한국에 기회 되나, 상선 입항때마다 수십억원 징수 추진

'해양굴기' 견제책"선사·제조선박에 거액 수수료 책정"

'선박 애용' 정책 드라이브내달 공청회 거쳐 확정여부 결론

https://v.daum.net/v/20250222184712174

 

반도체도, 자동차도 뭐 다 내렸는데 미국 시장 동조화면 뭐로 버티겠습니까?

그래도 비빌 언덕을 찾는다면

첫 번째는 조선이고요. 조선이 선 조정 받았는데

오늘은 선 조정 이후 급락 때 먼저 반등하는 업종이 될 수 있겠죠.

 

<< , 중국 조선·해운 견제 본격화선박에 최대 150만 달러 수수료 부과

·조선업 기회 기대... 소비자 부담 우려도>>

 

주말에 나온 소식은 중국 선박에 수수료 부과입니다.

조선과 해운이 급등하면 급락은 피할 수 있을까?

뭐 이런 기대감이죠.

현대중공업이 고점에서 약 10% 정도 조정받았으니 이런 날은 또 대장주 역할 해주면 좋죠.

 

1. 중국서 신종 코로나 발견백신업체 주가도 띄웠다

https://biz.sbs.co.kr/article/20000219324

 

2. "다시 마스크 써야 하나"더 강력한 '신종 코로나' 발견됐다

신종 박쥐 코로나발견인간 수용체 통해 침투 가능

우한서 신종 박쥐 코로나바이러스 발견"사람에 전파 가능"

"더 강력, 인간 전염 가능성"··· 연구진, 신종 코로나 발견

"세포 외 장기 조직도 감염 가능"

증시서 백신업체 주가 급등세

https://v.daum.net/v/20250222162230704

 

3. "중국서 신종 코로나 발견"백신업체 모더나 주가 급등

 

미국 시장 하락에 버틴 업종이 헬스케어, 제약바이오입니다.

모더나가 5% 급등인데요. 우한에 더 강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발견입니다.

보여드리는 그림은 유튜버 대륙남 신종 코노나 관련 영상입니다.

 

<< 중국이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직접 발표했다? 의심해봐야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0iS0LmZFQPI

 

그래서 오늘 우리 제약바이오가 또 방어 역할 기대해볼 수 있고요.

 

1. 트럼프, 화이자 등 제약사 CEO 불러모아 "해외 생산 시 관세" 압박

트럼프, 글로벌 제약사들 대표 만나 "미국서 생산 않으면 관세"

관세 압박하는 트럼프제약업계 "미국CMO 업체 이용·현지 생산 시설 투자"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에게 관세를 고리로 해외 생산 기지를 미국으로 서둘러 이전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8일 미국으로 수입되는 의약품에 최소 25%의 관세를 물리겠다면서도 미국으로 생산시설을 이전하면 관세가 없다며 협상 여지를 남겼다.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22302109931027001

 

2. 의약품 관세 폭풍에현지 공장 확보하는 셀트리온·SK바팜

SK바팜 "필요시 즉시 생산 가능"

셀트리온 "현지 공장 투자 검토"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P2HGZYO7

 

트럼프가 의약품 관세 언급도 했습니다.

미국에 공장 건설해라! 아니면 25%

그럼 코로나와 의약품 관세에 반응할 종목은 SK바이오팜이 아닐까?

삼성바이오는 국내 생산에 집중하는데 SK바이오팜은 필요시 즉각 미국 생산이 가능하다고 하니 말입니다.

 

1. 최태원, 트럼프 '인센티브' 결정하면 추가 투자

최태원 미국, 외국인 투자 세금 감면 약속구체적 내용은 안 나와

워싱턴 방문한미일 AI·에너지 협력 등 강조

 

2. ‘방미최태원 트럼프 행정부에 6개 시너지 분야 제안흥미 보였다

대한상의 사절단 활동성과 있었다

대미 투자 검토는 계속, 인센티브 필요

“AI·에너지 한미일 협력, 선택 아닌 필수

 

하이닉스 이야기겠지만 미국 방문 중인 SK그룹 대장 최회장도 인센티브 결정하면

미국 투자한다고 밝히네요.

 

정리하면

먼저 조정받아 급락했던 조선주가 오늘 같은 하락 장에 방어주 역할 할 것 같고

신종 코로나나 의약품 관세에 제약바이오도 뭐 방어 역할 가능하지 않겠나?

이런 생각입니다.

 

1. 공매도 수요 증가 대비 대차잔고 확대

솟커버링 예상 종목 주목

지난 한 달 동안(121~220) 대차잔고가 가장 많이 늘어난 종목은 우리금융지주(731452)로 집계됐다. 이외에 포스코DX(661608), 삼성중공업(59803), 두산에너빌리티(56819), 대한항공(419446), 삼성전자(198270) 등이 뒤를 이었다.

https://www.dailian.co.kr/news/view/1464740/

 

2. 3월 공매도 재개예상되는 효과와 수혜주는?

유동성 공급 등 시장 질적 개선 기대감

 

 

저는 공매도로 3월에 움직일 것 같았는데, 연기금이 먼저 움직여서

2월에 반등을 강하게 했고요. 대차잔고가 계속 늘어나는 종목은

3월 말 공매도 재개되면 공매도 물량에 흔들릴 수도 있습니다.

급등한 종목들은 대차잔고도 잘 확인해야 할 것 같고요.

 

지수로 보면 2500선을 중심으로 위, 아래 100P 정도 박스권으로 보고

위나 아래로 상단 돌파는 언제든 가능하다고 말하고 있고요.

이번 2월에는 상단 돌파가 나왔고요.

 

미국 시장이 2% 상승할 때 코스피는 10% 상승하는 기염을 토해낸 시장이라

우리 시장 선방도 가능할까? 이런 기대도 하고 말입니다.

 

문제는 314일 선물, 옵션 동시 만기까지 이제 3주가 남았는데요.

지난주에 외국인 선물이 환매수로 상, 하방 중립에서 조금 위로 자세를 잡고 있었는데

오늘 외국인이 선물 대량 매도가 나오면 지수 기대감을 살짝 내려놔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일요일 개장한 이스라엘 증시는 1.2% 정도 하락이고

가상화폐는 일요일 반등하더니 글 적는 새벽 5시에는 이더리움은 반등하는데

비트코인은 하락하는 정도네요. 시장 악재로 작용할 것 같지는 않습니다.

 

8시 개장하는 미국 야간 선물이 중요하고요. 여기서 반등 나오면 정말 감사한 일이고요.

그럼 비빌 언덕 생깁니다.

 

2. 845분 개장한 선물에서 외국인이 매도 금액이 9시까지 2000억 내외면 지수 답이 없습니다. 금요일 반등한 것까지 합쳐서 밀어버릴 수도 있습니다.

 

3. 9시 개장 후는 연기금, 기관 매도가 얼마나 나오는지가 중요하고요.

 

최근 월요일 급락장이 자주 나와서 이걸 습관화할 수도 있고

뭐 하락해도 다 말아 올리더라. 이러면서 현물 매수가 들어올 수도 있고요.

과하게 반응하면 안 될 것 같습니다.

 

반도체 기술 추월당했다. 밸류업 이야기는 아래 기사에 두겠습니다.

참고하시고요.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1. “한국 반도체 기술, 중국에 추월당했다5개 기술 기초역량 모두 중국에 뒤져

KISTEP 기술수준 심층분석 결과/ 5개 기술 기초역량 중국보다 하위

사업화 수준도 2개 기술에선 밀려/ "한국 반도체 과제 1순위는 인재"

 

2. ", 반도체 기술수준 다 추월"전문가 평가 2년만에 뒤집혀

KISTEP 3대 게임체인저 분석 보고서

23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발간한 '3대 게임체인저 분야 기술수준 심층분석' 브리프에 따르면 국내 전문가 39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지난해 기준 한국의 반도체 분야 기술 기초역량은 모든 분야에서 중국에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 기술 선도국을 100%로 봤을 때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기술 분야는 한국이 90.9%로 중국의 94.1%보다 낮은 2위였고, 고성능·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기술도 한국이 84.1%로 중국의 88.3%보다 낮았다.

https://v.daum.net/v/20250223060019703

 

3. 삼성전자 "초격차 기술력 결집, 환경 난제 해결" 2030년까지 7조이상 투자

https://www.mk.co.kr/news/special-edition/11247861

 

4. '이것' 하니 주가 4배 껑충"우리도 한다" 밝히자 주주 환호할 결과

밸류업 흐름 등으로 주주환원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비과세 배당이 주목받는다. 비과세 배당이란 자본준비금을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해 주주들에게 배당으로 지급하는 '감액 배당'을 일컫는 말로 최근 도입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실질적으로 배당이 늘어나는 효과를 주면서 주가 상승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이에 비과세 배당을 실시하는 기업들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22123272495697

 

5. [단독] 밸류업 앞장서는 거래소배당 성향 33%45% 확대

상장기업에게 밸류업 모범 취지

주주 친화적 배당 정책 기조 확산

https://www.sedaily.com/NewsView/2GP221UOOW

 

6. “대주주와 개인은 동등12주식부자 탄생 배경은[증시핫피플]

이번주 증시를 달군 핫피플 조정호 메리츠금융 회장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767926642073144

 

7. 코리아 디스카운트 진짜 원인은"'성장기업 부재' 산업구조 탓"

PBR 결정 요소는 "주주환원·거버넌스보다 기업 성장 잠재력"

"적극적 R&D 투자로 첨단 성장기업 육성할 정부 지원책 필요"

https://www.yna.co.kr/view/AKR20250221155400008?input=1195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