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신뢰지수 하락! 테슬라 급락! 엔비디아 실적 대기! 홍콩과 같이 가는 코스피 2월 26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뉴욕증시, 소비자신뢰지수↓·기술주 매도 지속…급락 출발
2. 미국 2월 소비자신뢰지수 98.3으로 급락…2021년 이후 최대폭 후퇴
트럼프 관세 영향 불확실성 반영
고용시장 평가도 위축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26000001
3. 뉴욕증시, 美경기둔화 우려·위험회피 vs 저가매수…혼조 마감
뉴욕증시, 경제 악화 불안감에 약세...나스닥 1.35%↓
뉴욕증시, 소비자 지표 부진에 혼조 마감…나스닥 1.35%·↓
4. 테슬라 8.39% 급락, 시총 1조달러 붕괴…한달 간 25% 폭락(상보)
테슬라 8.39%-니콜라 28.74%-루시드 6.12%, 전기차 일제↓(종합)
파산 신청 니콜라 29% 폭락, 18센트까지 추락
요즘은 지표 발표에 미국 시장이 잘 흔들립니다.
언제는 악재는 호재다. 이런 모습도 잘 보이더니
너무 급락하니 반영 안 할 수가 없나 봅니다.
그런데 일부는 여론 조사 비슷한 것이어서 이걸 다 믿어야 하나 싶기도 하고요.
하여간 지난번에 나온 물가 기대도 엄청 높게 나오고
이번에는 소비자 신뢰지수가 급락하고
미국이 지표로는 좀 흔들린다 싶고요. 매번 미국만 좋다는 내용 봤는데
이제는 미국만 안 좋나 싶을 정도로 지표가 엉망입니다.
1. 테슬라, 부도난 독일 배터리업체 인수
2. 테슬라, 1월 미국·중국·유럽 시장서 모두 판매 줄어
3. 테슬라 지난달 유럽 판매량 45% 급감…英에선 中 BYD에 뒤져
테슬라, 시총 1조달러 아래로…글로벌 판매 부진 여파
테슬라 지난달 유럽 판매량 45% 급감…주가 급락
요즘 미국 시장 특징이 악재가 나온 종목 위주로 투매가 나오는 것 같습니다.
팔란티어도 지금 급락 후 계속 내리고요.
테슬라도 지금 고점에서 3분이 1토막 나는 느낌이고요.
제가 똥친막대기 신세로 전락할 것 같다고 했죠.
머스크가 저러다 테슬라 망치겠다 싶었는데
유럽 판매량 급감입니다. 히틀러식 인사하고 다니는데
트럼프도 미워죽겠는데 테슬라 살 일이 있겠습니까?
중국에서도 마찬가지죠. 미국이 중국 죽이려고 하는데
다른 전기차가 없으면 모르겠지만 차고 넘치는 것이 전기차인데
굳이 테슬라 살 것 같지도 않고요.
1. 엔비디아 실적 발표 하루 앞두고 목표주가 175∼200달러 제시돼
"실적 전망치 초과, 블랙웰 수요 지속"…주가, 장초반 4% 떨어졌다가 낙폭 줄여
-4%대까지 급락했다가 –2% 근처에서 하락한 엔비디아 하락도 심각하고요.
마이크론도 –2%대 하락이어서 일단 하이닉스는 걱정스럽네요.
오늘은 기술적 반등은 자동차에서 기대해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 토스 기준 미국 테마는 건설이 많습니다.
우리는 그린벨트 해제가 있었고요. 오늘 미국 시장 동조화라면 건설도 좋게 보이고요.
재건주도 좋겠네요.
보험, 은행도 상승 테마고요.
하락 테마는 반도체, 바이오, 보안, 로봇, 배터리 이런 쪽이네요.
우리랑 관련 테마가 많네요. 로봇이 걱정이네요.
1. 日국채 금리, 中역전 임박…'머니무브' 오나
15년 만에 최고치 터치/ 日 10년물 금리 한때 1.455%
"장기금리 1.5% 갈 것" 예측도/ 중국 10년물 금리는 '사상 최저'
일본 장기금리 中보다 높아지면/ '엔 캐리' 줄고 日자금 유입 늘듯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586091
오늘 전해드릴 소식 중 핵심은
일본 국채 금리와 중국 국채 금리 역전 현상입니다.
이렇게 되면 엔케리 트레이드 청산하고 위안화 트레이드할 판입니다.
그럼 미국 M7은 약세 중국 M7 강세도 예상할 수 있고요.
돈의 방향이 좀 달라진다는 느낌이고요.
1. 美 증시 불황에 서학개미 보관금액도 꺾였다 … 저가매수로 대응
트럼프 대통령 집권 후 물가 압박 커진 탓에
보관금액 사상 최고치 찍은 후 하락세 전환
저가매수로 대응하며 매수액은 오히려 늘어
https://www.mk.co.kr/news/stock/11250008
미국 진출 서학 개미가 최근 나스닥 약세에 지쳐 가는 모습
지금 급락하는 나스닥은 서학 개미 매물인가?
이런 생각도 들고요.
제가 나보다 바보가 점점 줄어드는 미국 시장이라고 제목 정해서 글 올린 적이 있는데
지금 그 모습으로 가는 것 같습니다.
1. 중국, 미국 추가관세에 '제한적 대응'..."GDP 손실 0.4% 그칠 것“
TD 자산 관리 "시장 우려보다 영향 제한적...혁신역량 주목해야“
미국이 온 힘을 다해서 때리지만
중국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내용이죠.
이게 요즘 중국이 잘 버티는 힘일 것 같고요.
오늘 미국 시장에서 알리바바가 3.85%, 징둥, 바이두가 1%대 상승
핀둬둬만 –0.5% 하락입니다.
홍콩이 정말 강하고요. 저는 우리 시장이 홍콩과 같이 가고 있다는 생각이고요.
1. MS, 데이터센터 2곳 임차 계약 취소…"공급과잉 우려"
"일부 지역서 인프라 투자 속도 조절 가능"
https://www.ajunews.com/view/20250225163111826
2. 멕시코 대통령 "대중국 관세 검토 중"
3. 美, '서방 5개국 정보동맹'서 캐나다 축출?…백악관은 '부인’
“미, 캐나다 ‘파이브 아이스’ 그룹 배제 검토”
4. “佛, 독일에 핵탑재 전투기 배치 검토”… 유럽 안보자강론 커져
독일 메르츠, 방위비 확보 속도전…국방 "1천억유로 필요
5. 英, 2027년까지 국방비 GDP 2.5%로 증액…국제지원은 삭감
6. "테슬라·엔비디아 비싸다" 1위 증권사의 '미국주식 쏠림' 경고
[인터뷰]박희찬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장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국제유가 경기 둔화-관세 전쟁 우려에 WTI 68달러 거래, 천연가스는 3% 상승
천연가스, 100만 BTU당 전날보다 0.117달러(2.94%) 상승한 4.099달러
WTI는 전장 대비 1.77달러(2.50%) 내려간 배럴당 68.93달러에 마감
2. 美·우크라 광물협정 이르면 이번주 타결
美국무, '나토 가입 안되면 핵무기' 젤렌스키 요구에 "비현실적"
3. 서머스 전 美재무 "우크라 광물협정, 베르사유 조약같아" 비판
4. 금 8% 오를때 비트코인은 10% 급락···무너지는 디지털금
5. 일본제철 "美와 US스틸 인수 협의…현재 합병 계약이 출발점"
천연가스 ETF는 4달러 깨지면 수익
4달러 위로 가면 손실 며칠 수익이었다가 손실이었다가
오늘은 천연가스 3.72% 상승으로 다시 손실 전환입니다.
샀다 팔았다. 4달러 근처에서는 이리해야 싶기도 하고요.
4달러 무너지면서 3.6달러까지는 밀리지 싶었는데 반등을 잘하네요. 아까비
유가는 –2%대 하락이고요. 경기둔화 반영이고 트럼프가 저유가 원하니 또 그렇게 진행되는 것 같고요. 에너지는 유가랑 천연가스가 가는 길이 다르네요.
금속은 구리가 2% 급등, 그런데 금과 은은 –1%대 하락입니다.
침체인데 구리가 2% 급등하네요.
1. “인도, 10억 달러 규모 태양광 보조금 계획 마무리 단계”
중국 의존 큰 웨이퍼, 잉곳 지원 집중
https://www.etoday.co.kr/news/view/2448034
2. 들쭉날쭉 태양광 변동성에 양수발전 급성장…"지자체 新먹거리“
https://v.daum.net/v/20250225134701266
3. First Solar, TOPCon 기술 특허 침해로 JinkoSolar에 대한 법적 조치 시작
https://finance.yahoo.com/news/first-solar-initiates-legal-action-210100818.html
퍼스트솔라가 실적 발표했고요.
정규장에서 –3.56% 고점에서 반 토막 난 주가입니다.
오늘 정도는 반등이라도 해야 할 자리 보이네요.
어제 한화솔루션이 –2.18% 하락이고요. 오늘도 암울하겠습니다.
1. 코스피, 외국인 매도에 2630선으로 밀려…2차전지주 '와르르’
2. "와 싸다" 저가 매수세 몰렸던 이차전지 株 다시 '뚝'
증권가 이차전지 주 일시적 상승세 경계해야... 반등 기대는 섣불러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22511054633277
3. SOL 전고체배터리&실리콘음극재 1개월 수익률 24%
2차 전지 반등은 기술적 반등으로 봐야 한다고 했고요.
어제는 그게 증명되었습니다. 엔솔이 –3%, SDI가 –4%. 포스코가 –2%대 하락
코스닥 에코 집안은 –5%대 하락이고요.
여긴 가격이 싸니 지수 올리고 싶을 때 이용하는 곳으로 저는 보고 있습니다.
돈질로 가볍게 올일 수 있는 업종, 쳐다도 안 보는 업종
그래서 지수 장난질, 수익률 게임 때 이용하기 좋은 곳으로 봅니다.
1. ‘美제재 회피’ 韓 통로삼는 중국… 배터리 등 공장 세워 우회 수출
中, 對한국투자 1년새 4배로 늘어
전기전자-기계장비 등 분야 집중
법인 세워 반도체 장비 우회 수입도
“우회 투자 늘면 韓도 美제재 리스크… 국가안보 위해 中자본 심사 강화를”
https://v.daum.net/v/20250226030220718
2. 글로벌 시장에서 승승장구 中 배터리, 韓 안방시장에도 몰려든다
https://v.daum.net/v/20250225114927205
3. 폭스바겐, 세계 1위 배터리 中 CATL과 전기차 협력
전략협력파트너관계 확립 양해각서 체결
4. 中 마이너 배터리도 유럽으로…CALB, 포르투갈 공장 설립
중국의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인 CALB가 2028년 가동을 목표로 포르투갈에 대규모 배터리 생산공장(기가팩토리)을 건설한다. CATL과 BYD 등 선두업체들의 전략을 답습해왔던 하위권 중국 배터리 제조사들마저도 최근 유럽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https://v.daum.net/v/20250225160214759
5. 중국에 포위당한 전기차·ESS 시장…고전하는 국내 배터리 3사
국내 배터리 3사 점유율 하락, 중국 업체 독주 체제 강화
LFP 배터리 확산에 따른 대응 전략 마련 시급
북미·유럽 시장 공략 통한 중장기 경쟁력 확보 필요
https://v.daum.net/v/20250225110107870
이유는 간단하죠. 우리 배터리는 경쟁력 상실을 한참 전에 했습니다.
해외 시장 잠식에 넘어서 이제 우리 안방 시장도 내 줄 판이죠.
우리 시장을 미국 시장 진출 교두보로 삼을 정도니 말입니다.
생산력이나 가격에서는 이제 당할 수가 없고요.
1. 현대차·기아, 삼성SDI와 로봇용 배터리 만든다.
현대차·기아, 삼성과 손 잡고 로봇 배터리 개발한다
로봇산업의 미래, 현대차와 삼성SDI 협력으로 시너지
2. "캐즘 극복"…포스코퓨처엠, 양·음극재 신기술 공개
3월5일~3월7일 인터배터리 참가
3. 꿈의 기술로 캐즘 뚫는다…K배터리, 전고체 개발 풀액셀
삼성SDI·SK온, 올해 시작부터 적자 전망/ 흑자전환 성공 LG엔솔도 500억원 수준
전기차 캐즘에 트럼프 리스크까지 겹쳐/ 앞선 기술 및 제품 다변화로 힘 기르기
https://v.daum.net/v/20250225173833593
배터리 3사가 박 터지라 싸울 일이 아니고요.
협력하면서 전고체 배터리 기술을 먼저 양산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LFP 배터리로 잃은 시간을 전고체로 만회해야만 답이 있다는 생각입니다.
앨버말이 –3.22% 하락이고 테슬라가 –8% 급락이고
전기차 안 팔리고 오늘 배터리가 오를 수가 없지만
지수 올리려면 또 기술적 반등이라도 만들 수 있는 곳입니다.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올댓차이나] 중국 증시 하락 마감…상하이지수 0.8%↓
2. [오늘A주] MLF 금리동결에 2일째 하락...화웨이 스마트폰 관련주는 급등
상하이종합지수 3346.04(-26.99, -0.80%)
선전성분지수 10854.50(-128.54, -1.17%)
촹예반지수 2240.59(-25.65, -1.13%)
커촹반50지수 1102.90(+2.85, +0.26%)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25000924
3. 중국의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25일 공지를 통해 1년물 MLF 금리를 이전과 동일한 2.0%로 동결한다고 밝혔다. 인민은행은 이날 3000억 위안 규모의 MLF 운영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이달 만기가 도래하는 MLF는 5,000억 위안이다.
MLF는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과 함께 인민은행이 시중 유동성을 조절하는 정책 수단이다. MLF 금리의 변동은 기준금리 변동으로 이어진다. 인민은행은 작년 7월 MLF 금리를 0.2%포인트(p), 9월에 0.3%p 인하한 바 있다.
이와 함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1일에 공개한 '미국 우선주의 투자 정책'이 중국에 대한 가장 강한 규제책이라는 해석이 나오면서 증시를 억눌렀다.
해당 정책은 중국 등 6개국을 적대국으로 규정했으며, 중국의 대미 투자와 미국의 대중국 투자를 제한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은 중국 하이테크 분야에 대한 미국 연기금 및 기관 투자자에 대한 부담과 압박을 가중시켰다"고 평가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25000924
4. [아시아증시] 미국 대중국 투자 제한에 일제히 하락…항셍 1.5%↓
트럼프 정부, 중국의 투자 제한
美 증시 상장한 중국 종목 급락
전날 블룸버그통신 보도를 보면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포함한 6개국을 적대국으로 규정하고 제재를 밝혔다. 그가 서명한 ‘미국 우선주의 투자정책’ 지금까지 나온 조치 중 가장 강력하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이 각서는 중국 등 6개국을 적대국으로 규정하고,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를 포함한 모든 법적 수단을 이용해 미국의 기술, 핵심 기반 시설, 의료, 농업, 에너지, 원자재, 기타 전략 분야에 대한 중국의 투자를 제한하겠다고 명시했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448026
상해가 –0.8% 하락하는데도 반도체 과창판은 0.26% 상승입니다.
과창판은 트럼프 공격의 무풍지대 같은 느낌도 받고요.
1. 딥시크 효과로 중국 ‘M-7’ 급부상…지금 투자해도 늦지 않아
https://www.news1.kr/world/usa-canada/5700955
2. M7 주춤한 사이 中기술주 랠리…중학개미 웃는다
항셍테크 ETF 한달새 20% 넘게 올라
딥시크로 증시 전반 투심 개선
中정부 민영기업 지원 기조 전환 기대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149206642074128
3. “봄이 오긴 오네요” 中·AI 훈풍에 웃음꽃 핀 ‘이 시장’ [투자360]
中, 이구환신 정책에 IT 기기 판매 증가→MLCC 수요 증가로
삼성전기, 中 내수 부양책 시행 이후 주가 12.09%↑
日 무라타제작소 주가 15.5% 상승·대만 Yageo 14.78%↑
“MLCC, ‘AI’와 ‘중국’ 동시 수혜 가능”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428432
4. 바이두, 1년전 인수불발 영상플랫폼 손에…시진핑 좌담회 영향?
YY라이브 3조원에 사들여…바이트댄스 등 라이벌과 경쟁
https://www.yna.co.kr/view/AKR20250225177500009?input=1195m
미국 M7과 대칭해서 중국 M7이 나옵니다.
<< M-7은 샤오미, 알리바바, SMIC, 텐센트, 메이퇀, 레노보, 비야디(BYD) 등이다.>>
중국은 중국 M7으로 나는 내 갈 길 간다. 이런 느낌입니다.
특히 과창판이!
1. 美 제재에도..."中 화웨이 AI 칩 수율 2배로 향상“
파이낸셜타임스(FT)는 현지시간 25일 이 사안을 잘 아는 2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화웨이의 최신 AI 반도체 생산 수율이 40% 가까이로 향상됐다고 보도했습니다. 1년 전의 20%와 비교해 2배가량 높아진 수치입니다
https://v.daum.net/v/20250226042700090
이유는 딥시크와 반도체 굴기 성공 기대감 같고요.
화웨이 포함, 여러 반도체 기업들이 실력으로 증명하고 있다는 생각이고요.
1. 트럼프가 정조준한 中 알리바바...美 증시서 퇴출되나 [데일리 아시아]
각서는 미국에 대한 중국 투자를 제한하고, 미국 기업의 중국 투자도 제한한다는 게 골자입니다.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2250570
2. 'D램 강자' 中 창신메모리, 美 반도체 제재 타깃되나
美, 창신에 장비 수출 통제 검토
日·네덜란드에도 中 제재 요구
이러니 미국이 가만있지 않겠죠.
어제는 트럼프가 반도체 통제 강화할 것으로 이야기했고,
1. 美재무 "반도체 포함 안전한 공급망 명단 작성할 것“
베센트 장관은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 주재 호주대사관에서 열린 행사에서 "안전한 공급망이 필요한 산업 명단을 작성할 것"이라며 "그런 산업에 반도체와 의약품이 포함된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22602362196494
오늘은 재무장관이 반도체 포함 안전한 공급망 명단 작성할 것이다.
이런, 발표합니다.
1. 美 트럼프 통제 전 사들이자?…“中 기업들, 엔비디아칩 주문 늘려”
트럼프, 반도체 수출 통제 강화하나…中기업은 엔비디아 칩 구매 확대
엔비디아 '딥시크' 덕 보나…中 기업들 H20칩 주문 급증
이렇게 되니 중국은 수입 가능한 엔비디아 칩 더 사고요.
1. "中 반도체 유지 보수 제한"…트럼프 행정부 日·네덜란드 압박
2. 블룸버그 “美 정부, 日·네덜란드에 중국 반도체 규제 강화 압박”
https://www.etnews.com/20250225000434
3. 트럼프, 對中 반도체 통제 강화 움직임…관세 넘어 첨단 기술 충돌하나
CXMT·SMIC 등 中반도체 기업 제재 고려
엔비디아 中수출 칩 제한 가능성도
日·네덜란드에도 규제 강화 압박
https://www.ajunews.com/view/20250225160821796
4. 미국은 수출만 막는 것이 아니고 유지 보수도 제한하려고 하네요.
이건 바이든 때도 있었는데요. 트럼프가 요구하면 무시무시하죠.
그래서 네덜란드, 일본이 수용할 것 같은데
문제는 우리 반도체입니다. 중국에 반도체 공장이 있지 않습니까?
이게 얼마나 악재로 작용할지 모르겠습니다.
바이든 때는 예외 조항으로 취급받았는데 트럼프가 우리 반도체만
응 그래 너그들은 수출해도 돼! 이럴까요?
이 움직임이 우리 반도체 기업에 큰 악재라는 생각이고요.
1. 중국, ‘저가 전기차’ 혁명 이어 ‘저가 자율주행’ 정조준
현지 업체 자율주행 가격 절반으로 떨어져
테슬라, 중국 고객 대상 FSD 기능 배포
https://www.etoday.co.kr/news/view/2448025
2. 테슬라, 중국에서 첨단 주행보조 기능 출시
테슬라, 중국서 첨단 주행보조 기능 출시...“FSD와 유사하지만 완전 자율주행 아냐”
中 전기차 시장 경쟁 본격화...1260만원에 판매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50992
3. 글로벌 車업계 ‘트럼프’ 후폭풍… 전기차 공장 운영축소
스텔란티스·BMW 등 전동화 전략 대폭 수정
수익 유리한 내연기관·하이브리드 출시 예고
https://v.daum.net/v/20250226002908036
중국에 자율주행 비슷한 프로그램 출시한 테슬라가 실망감만 주나 봅니다.
중국은 자체 자율 주행으로 기대감이 제법 올라와 있는데
이런 것으로는 만족 못 한다. 뭐 이런 분위기 같고요.
어제 BMW 영국 전기차 시장 진출 속도 조절 이야기했는데요.
트럼프의 전기차 무시 정책이 더해져서 상당 기간 전기차가 무시받을 모습 같고요.
1. 현대차, 中 시장점유율 0%대로⋯친환경차로 반등 모색
판매량 2016년 114만대에서 지난해 12.5만대로 급감
"제품 믹스·판매량·브랜드 가치 향상으로 반등 모색"
https://www.inews24.com/view/1817638
2. 현대차·기아, 1월 유럽 판매 8만3297대…전년 比 3.7% 감소
유럽 시장점유율 8.4%, 0.1%p 하락
https://www.news1.kr/industry/auto-industry/5701048
3. 현대차, 美공장 가동률 얼마나 높일까 '주판알 튕기기'
트럼프 관세폭탄 후 美 현지생산 확대 시나리오 검토 중
내달 관세정책 확정 시 조지아 공장 50만대로 증설 검토
증설 시 美 판매차 현지생산 비중 42%→85% 확대 전망도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640806642074128
유럽 자동차만 중국 시장에서 죽 쑤는 것이 아니고요.
현대차도 엉망입니다. 중국에서는 안 팔리고, 유럽에서는 또 판매 감소 이야기 나오고
그나마 잘 파는 곳은 미국인데 여긴 또 관세 부과 악재가 즐비하고요.
계속 적고 있지만, 현대차, 기아보다 지금은 투자로 보면 자동차 부품이 유리하다는 생각입니다. 외국인이 정말 운수장비를 많이 팝니다.
외인은 현대차 5거래일 연속 매도고요, 기관은 2 거래일 연속 매도
기아는 외인, 기관 동반 4거래일 연속 매도
수급이 이러면 답이 없습니다.
그래도 비빌 언덕은 오늘 테슬라가 급락이지만
도요타가 1%대 혼다가 2%대 포드, GM이 1%대 미만 다 상승입니다.
현대차, 기아는 오늘 정도는 기술적 반등 가능 구간 진입 정도는 볼 수 있겠습니다.
1. 하이브 2년 연속 연매출 2조원대 '사상 최고'…영업익은 37.5%↓(종합)
2. 한한령 해제에 힘받는 화장품·식료품주…증권가 기대감↑
한한령 해제 가능성 보도 직후 토니모리 주가 28% 상승
증권가 "수출 호조에 따른 실적개선 기대되나, 중국 내수회복세 등 지켜봐야"
https://www.fnnews.com/news/202502251352515593
3. "해외서 대박, 순식간에 62% 급등"…불닭에 가려진 '이 식품주' 질주
풀무원 이달 들어 62% 올라…"해외 사업 성장 기대"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22515420755804
# 우리 시장 이야기
1. 코스피, 미국발 삭풍에도 낙폭 줄여 2,630대 마감…코스닥 하락(종합)
2. "韓 증시, 미국 대비 선방"…금리 인하에 낙폭 줄인 코스피[시황종합]
AI 투심 악화로 美 기술주 투매 계속…한국 증시는 비교적 선방
1%대 하락 출발한 코스피 -0.57%로 2630선 회복…코스닥 -0.5%
3. 한은 금리 인하에도…'악재 민감성' 코스피, 외인·기관 매도
4. 코스피 조정 패턴…美 기술주 약세, 관세 우려 재확산[마감시황]
코스피 2630.29, 코스닥 769.43에 거래 종료
"국내 증시 매물 소화 연장" 분석도 나와
5. 미국發 한파 버텨낸 코스피, 낙폭 줄여 2630대 마감…반도체·이차전지주 약세 [투자360]
외인 현·선물 ‘팔자’ 지속…개인·연기금 ‘사자’에 낙폭 제한
‘금리 인하 수혜’ 바이오주 강세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428507
변동성이 4P 정도 나왔습니다.
화요일이지만 큰 변동성 약 6P에서 7P 정도, 아래로 열릴 가능성을 봤는데
위로 열렸습니다.
오늘 수요일인데 수요일은 변동성이 원래 강한 날이니
월, 화요일 미룬 변동성이 오늘 집중될지 모르겠습니다.
미국 시장이 내리 하락 중이면 지난번 선물 1조 매수하던 외국인이 다시 –1조대
매도를 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안 파네요.
어제 –1600억 정도, 이제 중립 정도로 왔습니다.
3월 14일 선물, 옵션 동시 만기에 대한 발톱을 안 들어내고 있다고 봐야 할 것 같고요.
외인 선물 매도가 크게 안 나온다면 2600선에서 버티다가 미국 반등 때 다시 2700선 돌파 시도할 수도 있겠고요. 이럼, 가장 좋은 그림이죠.
차트 좋아하는 사람들은 상승 5파 중 아직 마지막 상승 파동 남았다.
이런 주장도 있고요. 이게 3월 조기 대선 시작, 공매도 시작 이런 것으로 우리만 달릴 수도 있을 것 같고요.
1. 日증시, 반도체주 약세에 하락 마감…닛케이지수 1.39%↓
2. [대만증시-마감] 관세 우려 재점화에 하락…TSMC 1.86%↓
3. 10%·13% 뛴 국장, 미장에 발목 잡히나…"걱정말라"는 전문가들, 왜?
연이틀 내리막이지만 "괜찮아"…올해들어 코스피 10%가량↑
미국 경기둔화 우려 제기…"국내 시장 미치는 영향을 제한적일 것"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22515353350223
4. '버블붕괴 vs 추가랠리'…증시 분수령 '초긴장'
코스피, 0.57% 하락 마감…개인, 매수 우위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2250507
일본은 휴장 다음 개장하면서 월요일 하락까지 반영했다고 해도
대만은 또 –1%대 하락이 거던요..
그런데 우리는 –0.57%로 방어, 어제 현물보다 더 하락한 선물은 –0.27%로 마감하면서
정말 강했죠. 선물 –0.27%는 월요일 정규장 마치고 1P 정도 하락한 것을
화요일에는 되돌렸다는 생각이고요.
저는 홍콩을 계속 주목하는데요. -2%대 하락 출발한 홍콩이 –1.32% 하락 마감한 것도 도움이 된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급락을 이겨서 장중에는 –0.8%대까지 반등했거던요.
우리는 홍콩 움직임과 비슷하게 간다는 느낌도 받고요.
오늘 반등도 기대하는 것은 홍콩 야간 선물이 0.6% 상승 마감입니다.
미국 시장이 무너지는데도 잘 버티죠.
우리 야간 선물은 –0.32% 마감인데 미국 시장 하락에 비해 잘 버티죠.
심지어 미국 시장 급락 때도 MSCI 한국 지수가 상승도 했습니다.
글 적는 5시 25분에 MSCI 한국이 0.29%입니다.
잘하면 오늘은 우리 시장이 홍콩이랑 함께 기술적 반등도 가능할 것 같고요.
1. 중형주, 2월 증시 대세로 자리잡아…대형주서 내려가는 종목도 유망주
https://www.mk.co.kr/news/stock/11249998
2. “트럼프 리스크 덜한 업종들 여기 몰렸네”…국장 다크호스로 떠오른 중형주
트럼프 리스크 피한 업종/ 방산·원전·조선주 강세에
한화시스템 31%·두산 27%↑/ 내수주 CJ·롯데쇼핑도 ‘껑충’
내달 시총별 지수 리밸런싱/ 대형주→중형주 편입 주목
https://www.mk.co.kr/news/stock/11250318
한국 시장이 유독 강하게 느껴지는 일이 왜 생기느냐?
트럼프 수혜 테마가 우리 시장에 많았습니다.
방산, 원전, 조선, 전선, 전력,
우리 시장은 트럼프 수혜 업종, 종목이 달리면서
어제도 소형주는 0.11% 상승, 중형주 –0.31% 하락
지수 대비 계속 중소형주가 좋죠.
이 모습이 우리 지수만의 강세를 만들었고요.
개인 투자자는 이번 장에서 제법 수익이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고요.
계속 이 추세가 유지되면 좋을 것인데 뭐 끝없이 이럴 수는 없을 것 같고요.
1. MS發 미국 반도체주 하락에…'20만닉스' 겨우 사수[핫종목]
(종합)SK하이닉스, 2.2% 하락한 20만 500원 마감
2. 美빅테크 약세에 반도체株 찬바람…삼전·하이닉스 4일째 하락(종합)
3. 흔들리는 엔비디아…삼성전자 HBM 기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199758
외국인 매도가 전기전자, 운수방비, 유통업, 금융업에 집중됩니다.
그런데 삼성전자는 외인이 이틀 연속 매수 보유율을 50.04%로 유지합니다.
최악으로 48% 보유율까지 가정했는데 잘 버티네요.
49%대로 가면 외인이 들어와서 50% 유지하네요.
2차 자사주 매수가 큰 힘이 된 것 같고요.
이러니 외인 매도가 하이닉스에 집중됩니다. 4거래일 연속 매도합니다.
미국 반도체 약세를 하이닉스 매도로 대응하네요.
어제 하이닉스가 일시적으로 20만원 깨지면서 199200원이었습니다.
이제 이게 깨질 일만 남은 느낌이네요.
미국 시장만 보면 반도체 답이 없고요.
우리 시장은 언제든지 홍콩과 함께 반등도 가능한데 이게 기관 수급 때문이 거던요..
어제도 기관이 덜 팔고 매도하던 연기금이 또 마지막에는 138억 매수 전환입니다.
오늘까지는 기관, 연기금을 믿고 마지막 배당을 위한 매수가 나온다고 보고요.
진짜 모습은 내일부터 나온다는 생각이고요.
고배당 종목 위주로 배당락 나오고, 기관 차익 매물 나오면
중형주 강세 시장도 끝물일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내일부터 기관 수급이 정말 중요하다는 생각이고요.
1. 상법개정 초읽기…밸류업 테마 기대 속 증권가 “속도조절”
동력 떨어진 밸류업, 상법개정이 호재 될지 주목
성장주보다 가치주에 우호적…주주환원 활성화 기대
증권가, 도입 공감하나 “남용 방지 대책도 필요”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086886642074128
2. '우클릭' 이재명이 상법 개정 속도 내는 이유… 개미들의 기업 불신, 임계치 넘었다
국내 기업들, 지배주주 위해 나머지 주주 희생
국장 떠나 미장으로... 일반주주 실망 커
"상법 개정, 끝 아닌 시작... 후속 개정 필요"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22513440001223?did=NA
3. 기업 잡는 민주당? 상법 개정은 윤석열 정부가 먼저 띄웠다
4·10 총선을 앞두고 정부부처를 동원한 민생토론회를 열기 시작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1월 금융위원회·법무부 등이 참석한 민생토론회에서 ‘소액주주 권익 보호를 위한 상법 개정’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이사가 회사 사업기회를 유용하지 못하도록 손해배상책임 구체화 등 이사 책임 강화 △소액주주의 편리한 주주총회 참석을 위한 전자 주주총회 도입 방안 등이 논의됐다.
https://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1184087.html
4. 與, 상법·명태균특검법 거부권 요청키로…단일대오 내부정비
상법 개정 법안이 통과되어도 내년 시행이라 당장 올해 호재는 아닙니다.
중장기로 호재인데요.
분명 지난 대선 때 여당은 상법개정 약속했는데 이러네요.
최대행이 거부권 행사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당장 호재가 아니고요. 좀 멀리 보고 기대해야 할 것 같은데
확실해 보이는 것은 어떻게든 개정될 것 같다는 생각이고요.
멀리 보고 생각해야 할 주제 같습니다.
한국은행장 성장률 전망 하향, 공매도 이야기는 기사로 올려드립니다.
거시 경제에 매몰되어서 주식 시장 보면 답이 없을 때가 있습니다.
주변 경제 상황으로는 주식 시장이 도저히 달릴 수가 없죠.
그런데 2700선 가까이도 왔지 않습니까?
그러니 과하게 거시 경제 상황을 투자에 대입하면 낭패당할 것 같고요.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1. '1.9%→1.5%' 고꾸라진 성장률 전망에 금리 인하...경기 끌어올릴까
올해 성장률 '1.5%' 충격적 하향…금리 내려도 경기 방어에 한계
2. 증권가 "3~4월 추경 이뤄지면 5월에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
3. 공매도 전면 재개 앞둔 韓에 글로벌 투자자 '눈길'
韓 금융당국, 3월31일부터 공매도 허용 예정
글로벌 투자자들이 공매도 전면 재개를 앞둔 한국 증시에 주목하고 있다.
4. 관세·공매도 온다…불안한 韓 증시에 대기자금 '고개'
21일 기준 예탁금 54조9588억…전월비 4%↑
MMF 설정액 200조원 돌파하며 증가세
'트럼프 관세' 유예 종료 임박에 투심 위축
3월 말 전 종목 공매도 재개도 우려 요인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208246642074128
5. 임원들도 나섰다… 건설 빅2, 자사주 베팅 한달새 '25억'
현대건설·삼성물산 경영진 3년 만의 최대 규모 자사주 매입
https://www.moneys.co.kr/article/2025022513361556782
6. 창업주 별세 동진쎄미켐 장중 15% 급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