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미국에 덤빈 대만, MSCI 대만 –4% 급락, 한국은 –3%! 미국 유럽은 우방국 아님! 2월 28일 장전 시황

평생선물 2025. 2. 28. 07:04

미국에 덤빈 대만, MSCI 대만 4% 급락, 한국은 3%! 미국 유럽은 우방국 아님! 228일 장전 시황

 

트럼프 "마약 유입 중단 안 되면 3월4일 중국에 10% 추가 관세"(종합)

트럼프 내달 4일 중국에 10% 추가 관세…멕시코·캐나다 예정대로

상호 관세는 4 2일부터 부과

# 미국 시장 이야기

 

1.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예상치 상회

견조한 미 경제 '균열' 신호?...신규 실업수당 '올해 최다'

 

2. 소비가 이끈 경제4분기 성장률 잠정치 2.3%

4분기 GDP 잠정치도 2.3% 성장튼튼한 소비 계속될까

속보치와 동일…민간 판매 호조 지속/ 분기 PCE2.5%2.7%로 높아져

경기 기대 불안 속 인플레이션 우려/ 애틀랜타 연은, 1분기 GDP2.3% 전망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P4TFR4L8

 

오늘은 미국 장기채가 1%대 상승으로 시작해서

10년물 수익률이 0.42% 정도로 마감하네요.

신규 실업수당이 올해 최다고요.

뭔가 미국에서 침체의 그림자를 보는 것 같고요.

 

1. 흔들리는 '미국 예외주의' 미국 10년물 3% 진입에 베팅

경제 지표 연이은 적신호

연준 세 차례 금리 인하 기대감/ 인플레 리스크 여전, 반대 목소리도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27000903

 

2. 장단기 국채 금리 또 역전…경기침체 전조일까

10년물-3개월물 금리차 0.04%p

3개월물 연준 기준금리 더 민감

10년물, 트럼프 취임 한달 되돌림 현상

"PCE 물가 확인 후 4% 깨질 수도"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611686642074784

 

10년물이 3% 진입할 것으로 전망하는 곳도 생기는데 원인은 다 침에입니다.

물가가 안 잡히고 성장은 멈추고

그럼 금리 인하해야지! 이런 분위기가 감지됩니다.

 

1. 미국인 10명 중 6관세로 생필품값 오를 것

 

2. 트럼프 관세 부과, 경제에 빨간불값싼 수입 중국산, 공식통계보다 많아

뉴욕 연준 이코노미스트 "대중국 관세 타격 예상보다 클 듯"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22702109969058004

 

트럼프 관세가 오히려 미국을 어렵게 할 것이다.

통계보다 더 미국 타격이 심하다. 이런 기사입니다.

물가와 금리가 지금 다 트럼프를 의심하는 것 같고요.

오늘은 계속 하락하던 미국 장기채 수익률이 이런 분위기에서도 반등한 것이

특이 상황입니다.

 

1. 트럼프 “EU, 등쳐먹으려 조직등 모든 제품에 25% 관세

 

2. 뜯어먹는 EU가 동맹?…트럼프 "우리 ·농산물 사라"

"EU25% 관세 곧 발표"/ EU 높은 대미관세에 직격탄

대서양 관세전쟁 전면전 위협/ ·멕시코 관세 부과 강행

추가 예외 가능성도 차단/ "우크라 안보, 유럽이 맡아야"

첫 내각회의 머스크까지 참석/ 트럼프 "불만 있나" 힘실어줘

https://www.mk.co.kr/news/world/11252322

 

3. EU 생산품 ‘25% 관세매긴다는 트럼프…유럽연합 “즉각 단호 대응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europe/1184582.html

 

4. EU로 향한 트럼프 관세 칼날…캐나다·멕시코는 1개월 추가 유예 시사

트럼프 "EU, 뜯어내려 창설됐다"

EU, 관세 예고에 "단호·즉각 대응"

 

5. EU··캐 또 겨냥했지만...트럼프, 오락가락 관세정책 혼란만 가중

“EU25% 관세 부과할 것/ 미국 망치는 것이 그들 목적”/

관세 적용 범위·시점 언급 없어/ ·관세 시행일, 연일 바뀌어

https://www.etoday.co.kr/news/view/2448823

 

6. 의도된 전략일까…참모는 “4”, 트럼프는 “3백악관의 관세 혼란

캐나다·멕시코, 의 핵심 적자국인데

관세두고 백악관 내부서도 엇갈린 발언/ 캐빈 해셋 NEC 위원장 “4월 이후 결정

트럼프 “34일에 관세 부과할 것”/ 협상 유도 위한 계산된 전략 관측도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P5608LQS

 

오늘은 두 가지로 하락 요인을 보는데 첫 번째가 관세 부과인데요.

이게 어제 나온 소식인데 말입니다.

트럼프와 참모들 이야기도 기간이 다르고요.

물론 관세 이야기가 시장을 우려하게 했지만 더 큰 원인은 엔비디아와 대만이라는 생각입니다.

 

1. 젠슨 황 딥시크는 엔비디아에게도 큰 기회AI 거품론 일축

AI칩 수요 급증엔비디아 역대 최대 매출, 성장세는 꺾여

, 엔비디아 매직...4분기 매출 78% 늘었지만 성장률은 둔화

 

2. ‘AI 거품론’ 잠재웠지만…엔비디아 앞엔 ‘2개의 복병

4분기 ‘깜작 실적이면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7160

 

엔비디아 문제는 2가지죠. 어제 제가 마진율 중요하다고 했는데

이게 좀 둔화되는 우려. 그리고 어제 설명회 마지막 정도에 젠슨 황이

지금 나온 실적은 중국 관세 부과 우려가 포함 안 된 것이다.

이런 해석이 가능한 언급을 하면서 중국 위험이 부각되면서 엔비디아가 무너진 것이고요.

 

아마 기사들은 이렇게 제목 다 정할 것 같습니다.

경기 둔화, 트럼프 관세, 엔비디아 성장률 둔화 이 정도로

 

그런데 저는 이 해석에 하나 더 합니다.

 

1. 대만 "반도체 관세 협상 마지노선은 불공평 관세 불수용"(종합)

TSMC인텔 투자설엔 "해외 합작투자엔 정부 허가 필요"

https://www.yna.co.kr/view/AKR20250227087651009?input=1195m

 

2. 대만 "불공정 반도체 관세는 불수용

27CNA, 타이완뉴스 등에 따르면 궈즈후이 대만 경제부장은 지난 25일 의회에서 정부의 대미 관세 협상 원칙에 관해 '반도체 불공정 관세 불수용'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227_0003081781

 

3. 트럼프, 중국의 대만 침공 시 군사개입 질문에 무응답

 

4. 대만 '중국군 대비' 훈련에"조만간 대만 되찾을 것" 경고

국방부, 대만·함께 비난

"독립 도발 종용하면 화 입을 것"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22720273724967

 

어제 아시아 시장에서 유독 대만이 약했고요. -1%대 하락입니다.

일본도 반등했는데 말입니다.

그리고 미국 시장에서 MSCI 대만이 4.24% 급락입니다.

물론 엔비디아 8% 급락, TSMC 6.95% 하락이니 이런 반응이겠죠.

엔비디아 실적으로 이 정도로 하락할 일인가 싶은데

대만이 어제 기사 보시면 미국의 반도체 불공정 관세를 수용 안 하겠다고 발표합니다.

 

트럼프는 중국 대만 침공에 관한 언급을 회피하고요.

저는 이런 움직임 즉 대만 지정학적 위기가 나왔다는 생각입니다.

 

미국은 대만, 네덜란드, 일본 도움으로 중국 반도체 기술 개발을 막아야 하는데

어라! 대만이 덤비네요. 젠슨 황은 다른 기술주 대빵들이 트럼프 대관식에 정치 자금 기부하고 참가해서 온갖 아양을 다 떠는데 대관식에 참여 안 하고 중국과 대만에서 중요 인사 만나고 말입니다.

 

요 우려가 오늘 엔비디아와 TSMC 급락을 만든 것이 아닌가?

국방 문제로 미국 말이면 다 듣는 듯하던 대만이 트럼프에 덤볐다.

이걸 저는 큰 문제로 봅니다.

 

MSCI 홍콩이나 중국은 1% 미만 하락이고요.

일본도 0.73% 하락인데 말입니다.

대만이 4%대 그리고 우리나라는 3.22% 하락입니다.

 

야 오늘은 우리 시장이 홍콩이나 중국과 같은 길을 안 가고

대만이랑 반도체로 나락을 가면 큰일인데 걱정이네요.

 

1. 근로자 30% '해고 불안'…젊은층·고령층 실직 우려 최고치

젊은층 40%는 생계유지 걱정도

https://www.ajunews.com/view/20250227154924365

 

2. “변동성에 투자하라”...VIX 지수 5일만에 23% 올라

 

3. ‘블랙웰업고 성장 이어간 엔비디아···불확실성은 상존

 

4. MS, 트럼프에 AI 칩 수출 통제 완화 촉구"미 기업과 동맹에 불리"

 

5. 블룸버그 "구글, '성장 둔화' 클라우드 부문 인력 감축"

아마존, 자체 개발 양자컴퓨팅 칩 '오셀롯' 공개..."양자컴 개발 최대 5년 앞당길 것"

 

6. 테슬라, 팔란티어 베팅하는 서학개미…급락한 美주식 줍줍

반등 기대하며 저가 매수 나서/ 테슬라·팔란티어·코인베이스 하락에

관련 레버리지 ETF까지 매수/ ‘서학개미테마는 올해 성과 부진

https://www.mk.co.kr/news/stock/11252111

 

7. 미래에셋, 테슬라·양자컴신규 담보대출 일시 제한고위험 상품 추천 안 한다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국제유가 캐나다-멕시코 추가 관세에 WTI 70달러 돌파, 천연가스는 하락세 지속

천연가스, 100BTU당 전날보다 0.015달러(0.38%) 하락한 3.944달러

WTI는 전장 대비 1.73달러(2.52%) 상승한 배럴당 70.35달러에 마쳐

 

2. 인질 교환했지만-휴전 2단계불투명

 

3. 트럼프, ‘종전협정타결까지 對러 제재 지속···우크라 나토 가입은 잊어도 돼

우크라 유럽 몫, 대만 언급 NO”미국 안보우산닫는 트럼프,

 

4. 우크라 광물 받아낸 협정에 러 침공으로 전쟁명시

28일 서명 예정 속 우크라 매체 보도/ “국제적 비난 여론 의식한 듯분석

안전보장 관련해선 원론적 내용만/ 러 외교 동결된 자산 문제 논의해야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50227/131121456/2

 

5. '금속관세' 시사한 트럼프"자책골" 분석도

 

6. "트럼프 금속관세는 자책골"제조업 비용 상승 우려

금속 생산업계는 "관세 덕에 싸울 기회" 환영 분위기

https://www.yna.co.kr/view/AKR20250227138400009?input=1195m

 

7. 1만2500달러→9230달러 '뚝'…단물 빠진 코코아

"원두값 오르는데 손님들 커피 안마셔"…카페들 '비명

 

금속은 구리만 보합이고 은이 2.35%, 31달러 또 30달러가 위협받나 싶고요.

금은 1.57% 하락해서 2900달러가 깨졌습니다. 2884달러

금속이 오늘 약세고요.

 

유가는 70달러가 지지선인지 또 2% 반등해서 70달러에 왔습니다.

천연가스는 0.43% 하락 3.942달러

천연가스 하방 ETF는 계속 보유 중입니다..

 

오늘 미국 시장 반도체 급락으로 우리는 2차 전지에 희망을 걸어보고요.

앨버말이 미국 시장 하락에도 1.9% 상승입니다.

우리 2차 전지는 반도체가 흔들리면 방어주로 올리기도 하니 여기에 살짝 기대하고요.

 

1. 겨냥한 루비오 韓日 버리지 않을것”

군함 10척 만들때 1

한국과 생산 협력 의지도 강조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50228/131121554/2

 

트럼프 관세로 시장이 무너졌고 트럼프 수혜주는 조선, 방산이니 여기가 방어하고

오늘은 은행은 어제 배당락이었으니 오늘 반등하고

2차 전지는 방어 주 역할 잘해 주는 곳이니 여기서도 방어 힘이 나오면

우리 지수는 어느 선에서는 방어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

유가 급등이니 뭐 정유주도 오르고 말입니다.

 

1. [특징주] HD현대에너지솔루션 급등, 판가 인상 등 겹호재에 불붙은 국내 태양광

 

2. 태양광 다시 떴다…한화솔루션 7%대 상승 마감[핫종목]

모듈 가격 상승에 REC 폐지·인도 보조금 소식 영향

https://www.news1.kr/finance/general-stock/5704215

 

어제 태양광 급등 해석을 중국 판가와 국내 태양광 REC 폐지로 해석하던데

저는 아니라는 생각이 거던요.. 퍼스트솔라 급등에 반응했다는 생각이고요.

오늘 퍼스트솔라가 10% 급락입니다.

솔라엣지 –3%, 엔페이즈에너지 4% 하락이어서 오늘은 태양광 정말 주의해야겠습니다.

이래서 태양광 종목은 줄 때 빨리 잘 챙겨야 할 종목이라는 생각입니다.

 

1. “구조적 악순환 벗어나야”…저가 매수세 꺾인 2차전지株 ‘울상

https://www.mk.co.kr/news/stock/11252042

 

2. 에코앤드림, 86억원 규모 하이니켈 NCM 전구체 공급계약

 

3. "'게임체인저' 전고체 배터리차 2030년 본격 양산"

전기차협회 "전고체 배터리차 2030년 양산"

전기차협회 "2027년 전고체배터리차 생산 시작2030년 양산"

 

4. 이날 특징주로는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가 대거 상승했다. 화펑구펀(華豊股份), 성양구펀(聖陽股份), 더얼구펀(德尔股份)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최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전기차 포럼에서 어우양밍가(歐陽明高) 중국과학원 원사가 "2027년이면 전고체 배터리 전기차가 출시될 것이며, 2030년이면 전면적인 양산 작업이 진행될 것"이라고 발표한 점이 호재가 됐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27000899

 

5. 에코프로, 인터배터리서 꿈의 배터리전고체 로드맵 공개

에코프로, 내달 전고체 신소재 개발 계획 밝힌다

에코프로, 인터배터리서 '니켈 공급망·전고체' 사업 계획 공개

 

6. [단독] '꿈의 배터리' 상용화 성큼…LG엔솔, 전고체 파일럿 라인 세운다

오창공장 연내 파일럿 라인 구축

시제품 만들어 양산성 검증 계획

충전성능·효율 강화 기술개발도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P4T49IIS

 

어제 2차 전지는 부품으로 관심 가지자고 했고요.

중국 시장에서는 전고체가 어제 상한가였습니다.

전에 현대차가 전고체 시험 생산 준비한다는 기사 전해드렸고요.

이제 엔솔도 전고체 시험 생산 준비한다고 하네요.

 

오늘 우리 시장은 반도체가 무너질 것이니

2차 전지와 자동차, 바이오, 금융이 얼마나 버텨주느냐에 달렸습니다.

2차 전지에서 전고체 테마라도 불어주면 좋고요.

 

어제는 애경그룹 유동성 위기 기사 전해드렸고요.

오늘은 자주 언급하는 롯데 그룹 이야기입니다. 현금화에 사활을 걸었네요.

 

1. 롯데건설, 부지 매각 용역사 5월쯤 선정자체개발 대안으로 검토

잠원동 사옥 팔고 CP 발행도…롯데건설, 유동성 확보 사활

 

2. 롯데, 유동성 우려 재진화"재평가 자산 183"

기관투자자 대상 IR데이 개최

작년 11월 이어 그룹 차원 두 번째 설명회

5개 상장사 중심 사업 전략 공개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22716380906640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30년 만에 최장 기간 하락 인도 증시, 느리고 부분적으로 회복될 것"

전문가 컨센서스, 니프티50 올해 말 25689에 모아져

"3월 바닥 친 뒤 반등...상황의 근본적 변화보다는 매수·매도 전환 영향"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27000973

 

2. [아시아증시] 중국 자본유출 통제 소식에 혼조…상하이 0.2%

중국 양회 앞두고 증시부양책 기대감

경기 회복 기대감 속 자본 통제는 강화

https://www.etoday.co.kr/news/view/2448805

 

3. [오늘A주] 관세 전쟁 불안감에 혼조세...전고체 배터리 섹터는 강세

상하이종합지수 3388.06(+7.85, +0.23%)

선전성분지수 10927.51(-28.14, -0.26%)

촹예반지수 2256.51(-11.71, -0.52%)

커촹반50지수 1126.29(-0.53, -0.05%)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27000899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6(미국 현지 시간)에도 관세 위협을 이어 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연합(EU)에 대해 25% 관세를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발언했고, 캐나다와 멕시코에는 42일부터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서는 새로운 발언을 내놓지는 않았지만, EU에 대한 관세 부과 발언은 시장에 충격으로 받아들여졌다. 전 세계 관세 전쟁 가능성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높아졌다는 점에서 중국 시장은 이 소식을 악재로 받아들였다.

 

다만 다음 주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정치협상회의 등 양회가 개최될 예정이며, 양회에서 부양책이 발표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증시에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악재와 호재가 겹치면서 이날 중국 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27000899

 

인도에서 돈이 다 나와서 중화권 사나 싶을 정도로

인도 하락은 심각합니다.

상해 시장이 좀 버텼고요. 과창판은 내려도 덜 내리고요.

주도주가 과창판에 있으니 과창판이 튼튼합니다.

양회나 여러 가지 중국 정부 정책 기대감과 미국 관세 부과 우려가

양립하지만 중화권 시장은 잘 버티고요.

 

1. “테슬라 말고 비야디 산다중국판 M7’ 굴기 뜨겁다

주춤하자 증시 강세, ‘대륙의 혁신에 주목하는 시장

시진핑 선부론에 확신 준 딥시크M7 대신한 테라픽10

여전한 리스크…변동성 피해 AI 중심 ETF 투자 선호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706806642074784

 

작년에 끝없이 내리던 중국 시장에 중국 M7이 딥시크와 함께 달리기 시작하고요..

미국 시장 하락에도 홍콩 야간 선물은 0.1% 강보합권이고요.

MSCI 홍콩도 0.2% 정도 하락, MSCI 중국은 0.7% 정도

일단 미국 시장보다는 양호합니다.

 

미국 시장에서 알리바바가 1% 이상 하락하고 바이두, 핀둬둬, 징둥은 1% 미만 하락 정도 잘 버팁니다.

 

1. 블룸버그 혼다와의 합병 무산된 닛산, 사장 교체 준비

블룸버그 닛산 이사회, 우치다 사장 후임자 검토 중

'합병무산 뒤 휘청' 닛산의 CEO 교체설…혼다와 다시 손잡나?

 

2. [글로벌] 테슬라, 유럽 판매량 45% 급감BYD에 밀린 시장

 

3. 공격적인 신차 출시·맞춤형 DIY 자동차'캐즘 극복'을 위한 열쇠

https://www.mbn.co.kr/news/economy/5097146

 

중국 전기차 리오토가 1.7% 정도 하락이지만

니오나 샤오평, 지커는 2%대 상승도 유지하고요.

중국 전기차는 어제도 급등이더니 오늘도 미국 시장 하락에 비해 잘 버티네요.

 

도요타도 뭐 0.7% 정도 상승, 혼다는 0.4% 정도 하락

GM이나 포드가 1%대 하락입니다.

 

오늘 우리 시장은 자동차 정말 중요합니다.

도요타처럼 안 내리거나 덜 내려야 합니다.

반도체 박살은 당연한 것이니 다른 축 자동차라도 버텨줘야겠죠.

 

어제 기관, 외국인이 같이 운수장비 업종 매도거던요.

현대차를 같이 팔았습니다. 200500원인데

20만원 깨지면 현대차는 회복력 잘 보여줘서 정말 현대차가 20만원 지켜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얼마나 덜 내리느냐는 자동차에 달렸다는 생각이고요.

같이 부러지면 야 답답하겠습니다.

# 우리 시장 이야기

 

1. "개미 의결권 모아 대주주 행사" SPC 등장 [판 키우는 주주행동주의]

진화하는 주주행동주의

증권사 임원들 'HSIS' 설립/ 법인이 개인에 주식 위탁받아

단일대주주 확보해 권리 행사/ 김영수 대표 "첫 타깃 화승인더"

https://www.fnnews.com/news/202502271824217574

 

아침에 미국 시장 하락으로 충격이 상당하실 것 같습니다.

멋진 소식 하나 소개하고 우리 시장 시황 이야기합니다.

 

캐스텍코리아나 와이엠 임시 주주 총회에서 소수 주주 의결권이 무시당하는 모습을 봤는데요.

새로운 방식이 나오네요.

 

<< 2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전직 대형 증권사 임원 출신들이 주도해 HSIS를 설립했다. HSIS는 소액주주들의 주식을 모아 의결권을 법인인 HSIS 주식회사에 위임해 단일 대주주로서의 지위를 확보, 최대주주와 동등한 위치에서 소액주주들의 권익을 보장하기 위해 세운 법인이다.

 

이날 김영수 HSIS 공동대표는 "그간 소액주주들의 합산주식 수가 최대주주보다 많음에도 불구하고 상법상 1인 지배주주의 권리를 이용해 경영권을 장악한 사례가 빈번했다""기업들이 물적분할, 이중 지배구조 등 1인 지배주주의 이익에만 부합하는 의사결정으로 1인 대주주의 이익만 추구했다. 실질적인 회사의 주인인 소액주주들의 이익을 침해 중인 대기업들을 저지하고자 HSIS를 설립했다"고 밝혔다.

 

이어 "HSIS는 기존 소액주주 행동주의 방식과 완전히 다른 차원의 개념으로 접근하기 위해 설립한 의결권 행사 전문 SPC이다. 위임장을 받아 진행한 기존 소액주주 행동주의 틀을 깼다""각각의 소액주주들이 임치계약서를 작성하고 HSIS 증권계좌에 주식만 이체하면 HSIS 자체가 단일 대주주로서의 지위를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앱으로 소수 주주 의결권 모으는 곳이 있는데

이번에는 아예 별도 법인을 세워서 주식 임차계약서 작성해서 그 법인이 주식을 소유하는 형태로 진화하네요.

 

이렇게 되면 의결권 무시하기가 쉽지 않을 것 같네요.

소수 주주 의결권의 공시 위반이나 주식 모으는 과정을 문제 삼아 주주 총회에서

의결권을 무시했는데 이제 한 법인이 대량으로 주식을 보유했는데

무슨 방법으로 무시할 수 있을까 싶습니다.

화승인더부터 시작한다고 하니 상법 개정, 전자주총 의무화와 함께

주주 운동의 큰 변화가 감지됩니다.

 

대명소노그룹, 티웨이항공 2500억에 인수

티웨이홀딩스 지분 46.26% 확보

에어프레미아도 사들여 합병 구상

대명소노는 티웨이항공의 최대 주주인 예림당 측(특수관계인 포함)이 보유한 티웨이홀딩스의 지분 46.26%를 2500억원에 인수하는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주식 인도일은 331일이다.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1740573015

 

티웨이홀딩스가 어제 10% 급등해도 시총이 886억입니다.

그럼 46% 지분이면 400억 조금 더 되죠.

그런데 얼마에 팝니까? 2500억 그럼 약 6배 경영권 받은 것이죠.

소수 주주는 이런 혜택 받습니까? 못 받죠. 이게 현실입니다.

상법 개정해야 하는 이유고요.

 

이제 우리 시장에 새로운 활력이 들어온다. 이런 생각입니다.

 

1. 증시, '선물 가격 오름세'에 주가도 상승 마감…닛케이지수 0.3%

 

2. [올댓차이나] 대만 증시, 관세정책·경제불안에 반락 마감1.49%

노무라 "대만 증시 '중립'으로 하향...증시 목표가는 상향"

 

3. [올댓차이나] 홍콩 증시, 이익확정 매물에 반락 마감H0.66%

 

4. 엔비디아 훈풍에도 삼전·SK하닉 약세…코스피 2620대 마감

코스피, 2620선 하락 마감…엔비디아 호실적 효과 미미

 

5. 벚꽃 배당의 역습대규모 배당락에 코스피 휘청

코스피, 트럼프 관세·배당락 여파 2620선 '후퇴'…네이버 5%

 

억지스럽겠지만 말입니다. 저는 그런 분위기 느낍니다.

-1% 이상 하락하던 홍콩이 오후 시장 개장하면서 반등합니다.

우리는 조금 빠르지만 130분 이후에 반등 시작하고요.

 

제가 계속 적고 있지만, 이상하게 홍콩과 분위기가 같아진다는 생각이고요.

반도체 기대감이면 대만이 더 올라야지요.

그런데 대만은 1.49% 하락 아닙니까?

 

그럼 아시아 시장 전체가 반도체 때문에 오른 것은 아니죠.

하여간 저는 홍콩과 우리 시장의 동조화가 제법 있다.

내려도 덜 내린다. 이런 느낌입니다.

 

1. 코스피, 관세 우려 재점화에 2,620대 후퇴…코스닥 약보합(종합)

'배당락'에 휘청한 코스피…낙폭 키워 2620선 마감[시황종합]

코스피, 엔비디아 호실적에도 주춤’···배당락까지 겹쳐 하락 마감[

 

어제 우리 시장 하락은 배당락이 원인이었고요.

그래서 대형주 중에서는 은행 하락이 심했습니다.

 

1. "내릴 거면 이유라도 말해주든가"…네이버 5%대 하락[핫종목]

https://www.news1.kr/finance/general-stock/5703843

 

수요일 급등했던 셀트리온과 네이버가 급락하고요.

반대로 우리 시장 특징으로 시총 11위부터 30위 사이에 매일 급등 종목 나온다고 했는데

카카오였습니다. 어제는

 

그리고 어제 주목하자고 한 연기금은 약 500억 조금 안 되는 매수를 했습니다.

배당 보고 들어온 자금 유출 우려는 일단은 어제로 보면 안도감이 나오고요.

그럼 국내 주식 비중 올리는 작업이 진행된다는 어제 기사 흐름으로 갈 수도 있겠지만

여하간 한계는 있겠죠. 다 사면 매수 중단이니 말입니다.

마지막으로 연기금 매수 전략은 3월 말 공매도 재개에 따른 움직임으로 판단해 볼 수 있고요.

주식이 있어야 공매도가 될 테니 말입니다.

뭐 빌려줘서 수익률 장사해도 되고요.

뭐라 해도 물량이 있어야 공매도도 하고 대여도 하고 그래야 수익률도 높이고요.

연기금 수급을 계속 주목해야 할 이유입니다.

 

1. 엔비디아 훈풍에도 증시 미지근"강세장은 3월부터"

엔비디아 호실적에도 코스피 0.7% 하락

마진율 가이던스 실망에…국내 반도체도 약세

범용 메모리 재고 소진…빅테크 투자도 견조

반도체 등 제조업 호조시 강세장 가능성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660886642074784

 

2. 외국인 돌아오나다올“9개월 만에 패시브 유입 신호

김경훈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27일 올해 첫 외국인 패시브자금이 유입되는 신호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좌수 증가 폭은 1.34%로 약 1068억원 순유입에 해당한다.

 

패시브 자금은 특정 시장이나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펀드의 자금을 뜻한다. 김 연구원은 외국인 패시브 자금 유입은 지난해 5월 말 이후 9개월 만에 다시 보는 반가운 신호이기도 하다”고 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57310

 

탄핵이 인용되고 조기 대선이 진행되면서 정책 기대감이 나오겠죠.

다올 증권에서는 패시브 자금 유입 신호도 봤다고 하고요.

우리 시장은 여러 면에서 3월 기대감이 좀 올라오는 것 같습니다.

맨 앞글에도 적었지만, 3월 정기 주총에 앞서서

소수 주주 운동 움직임의 큰 방향이 나오고 상법 개정도 추진되고 말입니다.

 

1. 엔비디아 호실적에도 훈풍 없었다…반응 없는 국내 반도체주

증권가에서는 블랙웰 공급 문제가 해소되며 국내 HBM 밸류체인에 긍정적 신호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고영민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블랙웰에 대한 견조한 흐름이 확인됐다""실적 발표를 앞두고 최근 업종 내 가격 조정이 이미 발생한 상황임을 감안할 때 향후 주가의 긍정적인 양상을 만들어줄 수 있는 이벤트"라고 설명했다.

 

박준영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엔비디아 블랙웰의 빠른 공급과 함께 HBM3E, 그리고 그 이후 HBM4 양산을 위한 장비를 생산하는 벤더들의 성장이 기대된다"고 짚었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22715584729028

 

2. 삼성전자, D램 점유율 1위 유지'HBM 날개' SK하이닉스 맹추격

트렌드포스 분석4분기 메모리 업계 매출 규모 40조원 넘어서

https://www.yna.co.kr/view/AKR20250227138600003?input=1195m

 

3. 숨통 트인 하이닉스, 엔비디아 매출 78%↑… "하반기 신제품 대량생산 가능"

엔비디아, 블랙웰 매출 110억 달러 경신

SK하이닉스 블랙웰 탑재 HBM 독접 공급

미국 정부 중국 규제 '과제'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50227500607

 

지금 530분 나스닥이 2.2% 하락이고요.

야간 선물이 1.04% 하락입니다.

 

하락 중심에 반도체가 있습니다.

세상에 엔비디아, TSMC6%, 브로드컴, 마이크론이 5%대 하락이어서

오늘 반도체는 답이 없어 보입니다.

 

혹시 미국 시장 이야기에서 개선된 글을 6시 이후 적을 수 있다면 모르겠지만

지금은 오늘 반도체 답이 없네요.

엔비디아 발 반도체 대 폭락의 시간이 왔다!

 

위에서 우리 시장 긍정적인 부분 많이 적었고요.

오늘 단기로 보면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고요.

 

파생으로 보면 어제 선물을 외국인이 7000억 매도하면서

이제 외인 선물이 하방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만약 오늘 외인이 선물을 1조대로 팔면

314일 선물 옵션 만기까지 하방이 열린다고 볼 수도 있고요.

 

시나리오는 이렇습니다.

외인이 반도체와 선물 매도 강하는 모습에서

기관, 연기금이 현물을 받아주느냐가 관건이고요.

개인이 받으면 지수는 그동안 버티던 것을 한방에 반영할 수도 있겠고요.

 

8시 미국 나스닥 선물

845분 선물 시장 개장 때 외인 선물 매도 강도

9시 개장 후 기관, 연기금 매수 강도, 만약 기관도 강력 매도고

개인만 물량 받으면 금요일 우울한 시간이 예상되고요.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오늘 우울한 시장 예상인데 중형주 이야기, 밸류업 이야기해서 뭐 하나 싶습니다.

잘 버티셔야 할 버티셔야 할 것 같습니다.

 

1. "용 꼬리보다 뱀 머리"대형중형이동 종목 주목하라

내달13일 시총 규모별 지수변경

방산·금융 등 8개 대형주 신규편입/ 중형 23종목·소형 11종목도 교체

중소형주 운용자금 매수유입 기대/ 대형중형주 코스피지수 5.9%

https://www.fnnews.com/news/202502271815030944

 

2. 성장주 지금 잘나가지만, 가치주의 시간 곧 온다

바이오·IT·인터넷 단기 과열

1분기 실적시즌 가치주 주목

https://www.fnnews.com/news/202502271813594982

 

3. 벚꽃배당 기대했는데···배당 실망에 보험 주가도

 

4. 실적 역대급인데 주가는 왜…보험株 '울상'

KRX보험지수 연초 이후 하락…유일한 마이너스 지수

지급여력비율 하락·해약환급금 증가로 배당 여력 축소

주요 보험사 순이익은 역대 최대…주가는 엇갈린 흐름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736326642074784

 

5. 투자자 보호 위해 주식발행 엄격하게…조달시장 위축 우려도

유상증자 중점심사 도입…이수페타시스 유증 재발 막는다

증권신고서에 투자위험 충실 공시

"투자자 보호 이슈 해소될 때까지"

금투업계 "주관사 부담 과도…시장 위축 우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680566642074784

 

6. 거래소, 상장폐지 절차 강화…개선기간 절반으로 축소

거래소, 내달부터 코스피 상장폐지 개선기간 21년 축소한다

 

7. 한달 남은 공매도 재개…당국 불법공매도 조치 마무리 속도

 

8. 한국거래소, JB금융지주 등 11개 사 공시우수법인선정

SK이노, 공시우수법인 선정주주가치 제고 노력 인정

LX인터내셔널, 영문공시우수법인 선정정보 비대칭성 해소 성과

현대차·셀트리온 등 8개사, 유가증권시장 공시우수법인 선정

 

9. 금융당국 “유상증자시, 투자위험요소 공시하라” [일문일답]

 

10. 호전실업, 배당 확대로 주주환원 정책 강화…시가배당율 5%

 

11. "한국증시, 이런 건 고치자"…목소리 높이는 청년들

규제·과세정책 등 놓고 비판

불공정거래·미흡한 배당 지적

암호화폐 과세엔 59%가 반대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743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