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 걱정! 미국 은행주 급락! 관세 취소 루머! 금양이 만든 배터리 급락! 잘 파는 현대차, 기아 3월 5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관세전쟁' 본격화에 일제 하락 마감…다우지수 1.55%↓(종합)
뉴욕증시, '관세전쟁' 본격화에 일제 하락 마감…다우지수 1.55%↓(종합)
뉴욕증시, 관세 전쟁이 촉발한 롤러코스터…다우 1.55%↓ 마감
2. 전일 9% 급락했던 엔비디아 오늘은 2% 반등
3. 테슬라 4.43%-리비안 2.17%, 전기차 일제 하락(종합)
유럽 이어 중국 판매도 반토막, 테슬라 4.43% 급락(상보)
시장이 난리였습니다.
급락했다가 다시 급반등 했다가 다시 장 막판 1시간 남기고 하락 전환하고
오늘 저 나름의 해석은
TSMC가 투자 소식으로 하락 때 잘 버티면서 반도체 반등을 이끄는 실마리로 작용하고요.
TSMC가 버티면서 엔비디아가 반등하면서 전체 반도체를 이끌었다는 생각입니다.
TSMC와 엔비디아가 없는 다우가 더 약했다는 생각이고요.
다른 해석은 기술적 반등, M7을 중심으로 반등하다가
막판에 차익 실현 수급에 다시 밀렸다고 봐야 할 것 같고요.
그래! 올려 그럼! 팔자! 이런 모습이 장 막판에 나왔다는 생각이고요.
여기에 두들겨 맞은 것이 테슬라입니다.
약보합까지 반등하나? 이런 생각이었는데 막판에 두들겨 맞았습니다.
중국 판매가 –50% 감소입니다.
트럼프 오른팔 머스크가 얼마나 밉겠습니까?
그러니 테슬라 안 사죠. 중국이나 유럽이나 말입니다.
1. “지금같은 상황에는 역시”...안전 투자처로 각광받는 미국국채
2. 美 장단기 국채 금리 역전 폭 최대…부메랑 된 ‘트럼프 관세’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8116
3. 트럼프발 'R의 공포'… 美장기채 ETF 급등
'안전자산' 美국채로 자금 쏠려/ 국내 예금금리 낮아 더 후끈
https://www.mk.co.kr/news/stock/11255401
4. "엔·위안화 약세, 관세 이유된다"···트럼프 절대반지가 휘저은 외환시장
日·中 통화정책도 위협/ "통화가치 낮추면 美에 불이익"
"좋은 개선법은 관세" 사실상 경고/ 발언 후 엔화 급등, 시장 즉각 반영/
캐나다달러·멕시코 페소화는/ ‘25% 관세폭탄’ 현실화에 급락
https://v.daum.net/v/20250304173919838
제가 미국 시장 이상 현상이 급락하는 종목이나 업종이 생기면서 지수가 하락한다고 했는데요. 오늘 다우 하락의 주범은 은행입니다.
미국 장기채 수익률이 잘 내려가다가 갑자기 1%대 상승이 나오고요.
달러가 갑자기 –1.07% 하락하면서 105.530으로 내려오고요.
<< 유럽 돈 푼다…'트럼프 폭풍'에 유로화 상승 증시는 급락>>
유로화가 1.27% 급등하고요. 아마 방위비 확대에 반응하는 것 같습니다.
달러/엔은 0.21% 상승은 했는데 장중에는 약세였습니다.
트럼프가 환율 조작을 언급했거던요..
야후 파이낸셜 그림 올려드리는데 오늘 은행주 하락은 GDP 추정치 하락
침체 우려로 은행주가 하락했다고 합니다.
-6%대 하락이 뱅크오브아메리카, 시티고요.
-4%대가 JP모건, 웰스파고입니다.
카드사들도 –3%대 하락이고요.
보험, 카드, 은행 전체적으로 금융 업종이 타격이 심각했습니다.
1. 되살아난 'S공포'…관세맨 활약에 휘청이는 금융시장
美 3대 지수, 日 닛케이 등 세계 증시 급락/비트코인 약 1만 달러 변동..유가 2% 하락
트럼프, 관세 이유로 '中日 통화약세 유도'/ 관세 부과국 타격…"美 스태그플레이션 위험"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477206642100040
2. 서학개미들 벌벌 떨 필요 없을까…골드만삭스 CEO “美경제 침체 가능성 낮아”
https://www.mk.co.kr/news/world/11255280
정리하면 오늘 다우 지수가 유독 약했던 것은 침체를 우려한 금융 업종 전체가 무너지면서
나온 결과! 장 막판에 다시 하락하는 모습으로 미국 시장은 차익 매물 실현 욕구도 상당하다는 생각이고요.
6시 마감 후에 내일 트럼프가 관세 철회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나스닥 100 선물은 0.3% 정도 상승 유지입니다.
반도체가 반등한 것은 우리 시장 호재고요.
미국 금융주 급락으로 오늘 우리 금융주 특히 은행은 조심해야 할 것 같습니다.
1. 하버드 MBA 졸업해도 … 15%는 취업 못해
2. 흔들리는 미국 증시... 개미는 사고 기관은 팔았다 [서학개미 브리핑]
3. 트럼프 취임 후 기술주 7% 하락…반도체 ETF 14% 급락
4. 구글·오픈AI에 대문 활짝… AI 길잃은 애플
'사면초가' 애플...중국 시장 부진에 '아이폰 16e' 인기도 시들?
5. 스마트폰 새 전쟁터는 AI폰…애플 ‘지고’ 삼성 ‘뜬다’
애플 AI 개발력 ‘빨간불’…삼성, 보급형까지 AI로 무장
6. 삼성, 갤럭시 S25 시리즈 흥행 이어 보급형 AI폰 출격
7. “공포에 살 때다”···개미들 원픽은 ‘S&P500’ ‘나스닥
8. "언젠가는 다시 오르겠지" 개미들 美지수ETF 줍줍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관세전쟁 여파 천연가스 이틀째 급등, 국제 유가는 사흘째 하락 WTI 68달러
천연가스, 100만 BTU당 전날보다 0.233달러(5.65%) 급등한 4.355달러
WTI는 전장보다 0.11달러(0.16%) 내린 배럴당 68.26달러에 마감
2. OPEC+ 내달 석유 증산…국제유가 2% 하락 마감
3. '세계 최대' 배당 아람코, 올해 배당금 전년비 46% 축소
4. '기선제압→항복요구'…트럼프가 젤렌스키를 다루는 방법[트럼프의 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30415282334592
5. '군사원조 다 끊어라' 지시…트럼프 '우크라 압박' 초강수
우크라이나 군사원조 전면 중단…젤렌스키 숨통 죄는 트럼프
트럼프, 젤렌스키와 충돌 후 우크라 군사원조 전면중단
트럼프, 우크라이나 지원 '올스톱'…우크라이나, 전선 유지 비상
6. 푸틴 품는 트럼프…대러 제재 완화 목록 초안 작성 지시
7. 대놓고 러 챙기는 美 경제 제재 완화 추진
美당국 제재 해제안 작성중/ 빠른 종전협상 위한 당근책
러, 日외무상 등 9명 입국금지/ 일본 대러 정책에 보복 조치
https://www.mk.co.kr/news/world/11255349
8. 미 지원 중단 대응책 찾는 유럽…"러 동결 자산 압류 논의"
9. 트럼프에 실망한 유럽, 최대 1228조 투입…"재무장의 시대"
10. 유럽 국방 강화하자…EU, 230조원 규모 방위 대출 제안
EU 국가 재정 지출 예외 조항 활성화 추진
트럼프 우크라 지원 중단 후 EU 긴급 대응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690406642100040
11. 유럽 재무장 소식에…독일 라인메탈 '들썩'
방산업체 주문량 '사상 최대'
탈레스·BAE시스템 투자 몰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0420901
12. "유럽 재무장해야"…'18% 폭등' 방산주, 또 불기둥 쐈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30415251693787
13. “유럽, 군비 늘릴 것”… 글로벌 방산주 고공행진
14. 유럽 방위비 확대 발표에 유로화 올해 최고치 기록
15. 과열된 우크라-재건주 '뚝'… 수익성 높은 러시아 재건은 중국이 '줍줍'
16. [특징주] 우크라이나 재건株 일제히 '급락’
트럼프-젤렌스키 정상회담 파행에 우크라 재건 테마주 하락
트럼프 “우크라이나 군사원조 전면 중지”
HD현대건설기계, SG, 전진건설로봇, 에스와이스틸텍 등 일제히 약세
https://www.dailian.co.kr/news/view/1468262
방산, 조선은 급등하고 재건주는 급락하고
밝음이 있으면 어두운 곳도 생기고요.
또 모르죠, 갑자기 우크라이나 휴전으로 다시 재건주가 달릴지
그래서 줄 때 잘 챙겨야 할 것 같습니다.
금속은 금과 은이 1% 미만 상승 금이 2925달러까지 왔습니다.
구리가 -0.66% 정도 하락
에너지는 장중에 천연가스가 8%까지 급등하다가 5%대 정도 상승
유가는 상승 전환도 하다가 다시 –0.95% 정도 하락이고요.
주식 시장도 그렇지만 에너지 시장에도 변동성이 심하네요.
저는 4달러 아래 수익이었던 천연가스 ETF가 손실 전환입니다.
글로는 매번 줄 때 챙겨라! 이렇게 적는데 조금 더 욕심내다가 쩝 손실이네요.
1. SK이노 E&S, '원전 1기급' 전력 직접 판다
PPA 계약규모 1.1GW 돌파/ 산업용 전기료 인상에 재생E 탄력
2년만에 PPA 계약규모 20배 급증/ 삼전·현대차·LG이노텍 등 공급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Q46ADICQ
2. 현대차, 사내 스타트업 4곳 분사...태양광 모듈·로봇 제어
'솔라스틱', 'ROAI', 'HVS', '플렉스온' 분사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3040529&t=NN
퍼스트솔라가 장중에는 4%대 상승 2.82% 마감이고요.
엔페이즈에너지가 9% 급등도 나오고요.
기술적 반등인지 반등이 좋았습니다.
퍼스트 솔라, 공급망 강화를 위해 Everstream과 파트너십 체결
시가총액 137억 달러 규모의 미국 태양광 기술 선도기업 퍼스트 솔라가 공급망 회복력과 가시성 강화를 위해 Everstream Analytics와 엔드투엔드 공급망 솔루션 계약을 체결했다. 현금이 부채보다 많고 유동비율이 2.45로 건전한 재무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퍼스트 솔라는 지정학적, 기후 관련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Everstream의 리스크 인사이트, 완화 전략, 공급업체 데이터 관리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https://kr.investing.com/news/company-news/article-93CH-1387198
이런 호재가 있기는 했습니다.
우리 태양광 종목에 영향을 줄지는 미지수네요.
1. 동원시스템즈,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서 2차전지 기술 선보여
동원시스템즈, ’2차전지' 소재사업...'인터배터리 2025'서 기술력 선뵈
2. 고려아연, '인터배터리 2025'서 2차전지 소재 밸류체인 선보인다.
고려아연, 인터배터리 2025 참가…이차전지 밸류체인 공개
3. 트럼프 멕시코·캐나다 관세 현실화에 2차전지株 투심 악화
포스코퓨처엠 장중 5%대 하락
4. 금감원에 막혀 유증 포기한 금양, 관리종목 되나... 거래소는 고심 중
"더 이상 못 버티겠다"…주가 폭탄 맞은 개미들 '비명' [종목+]
거래소 관리종목 지정 우려…금양, 16% 급락[핫종목]
관리종목 기로 금양
5. '유증' 철회 금양, 결국 관리종목 지정…코스피200 퇴출된다 [마켓시그널]
6. 금양 주가 3월 첫장 급락 20% 주루룩…2만원 이하로 뚝
7. [단독] 주주 달래기 나선 금양, 몽골광산 4박 5일 검증 나선다
LG엔솔이 –5.68% 어제 우리 시장 약세를 만든 곳은 2차 전지입니다.
그리고 핵심은 금양이고요.
배터리 ETF에 금양이 포함되어 있고, 금양 급락으로 ETF들 약세
그럼 2차 전지 대부분에 매물 폭탄이 터지겠죠.
금양이 관리종목 지정 우려로 투매를 맞았습니다. 주가가 –21% 급락입니다.
그래도 PBR이 12배입니다. 저는 여전히 비싸다는 생각인데요.
오늘 2차 전지가 수습될지 모르겠습니다.
주주들 모시고 몽골 광산 간다고 하는데 글쎄요?
오늘 비빌 언덕은 앨버말 3% 상승입니다.
장중에는 5%대 급등도 나왔습니다.
기술적 반등으로는 제법 큰 반등이었습니다.
이게 비빌 언덕이 될지 모르겠습니다.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오늘A주] 양회 개막에 강보합...로봇 정책 예고에 관련주 대거 상승
상하이종합지수 3324.21(+7.28, +0.22%)
선전성분지수 10679.44(+29.85, +0.28%)
촹예반지수 2190.08(-6.44, -0.29%)
커촹반50지수 1080.66(+18.31, +1.72%)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304000883
2. 미국이 중국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 데 대해 중국 재정부가 이날 미국 일부 제품에 대해 10%~15%의 보복 관세를 오는 10일부터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미국산 닭고기, 밀, 옥수수, 면화 등의 제품에는 15%의 관세가, 수수, 대두, 돼지고기, 쇠고기, 수산물, 과일, 채소, 유제품에는 10%의 관세가 각각 부과된다.
이로써 미중 간의 무역전쟁이 격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발생했다.
중국의 최대 연례 정치 행사인 양회(전국 정치 협상회의와 전국 인민대표대회의 통칭)가 4일 개막했다. 전국 정치 협상회의(정협)는 이날 오후 3시(베이징 현지시간) 개막식을 진행했다. 이어 5일 오전에 전국 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개막한다. 정협은 10일, 전인대는 11일 폐막한다.
일주일간의 양회 기간에 중국 정부는 다양한 부양책 패키지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304000883
3. 美 상무 "멕·加 관세, 무역 아닌 약물 정책…펜타닐 단속시 관세 철폐"
4. 현실이 된 트럼프 관세…캐·멕 동맹국 희생시켜 중국 고립
4일 캐·멕 25% 관세…중국엔 20%p 추가
마약차단 아닌 美 제조업 부활 의도 드러내
캐나다·중국, 보복관세로 맞대응…관세전쟁
"동맹국에 적대적 태도..결국엔 중국에 이익"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958966642100040
5. 中 양회서 대미 기조 전환하나...'트럼프 관세' 반격 수위 강화
6. 中, 美제품 최대 15% 추가관세…740개 품목 대상(종합)
'블랙리스트' 명단에 美 10개사 추가
방산기업 등에 전략적 물자 수출 제한/ 일루미나에는 中수출 제한 등 추가제재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30415562364890
미국이 관세로 한 방 때리지만, 과창판이 오히려 1.72% 상승입니다.
주식으로 보면 중국이 이기는 것 같습니다.
1. 중국, 미국 농축산물 보복 관세로 반격 나섰지만...“수위조절 했다”
2. 양회 개막일 관세 폭탄 맞은 中, 준비한 보복조치로 맞대응
농산물·식품 등 대상 범위 예상보다 넓어
미국보다 약해, 협상 위한 조치로 해석돼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Q46LXV2W
3. 中, 트럼프 아픈 곳만 찔렀다…표밭 농산물에 보복관세
옥수수와 대두 생산지역인 미국 아이오와·오하이오 등 트럼프 대통령의 표밭을 겨냥해 공격 수위를 높였다는 평가입니다.
https://v.daum.net/v/20250304181028782
4. 中의 역습…美 농산물 15% 관세에 방산도 죈다
더 독해진 관세전쟁 2R/ 美 10% 추가관세에 즉각 보복
방산업체 등 15개 기관까지 제재/ 加도 미국산 수입품에 25% 부과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Q46OBGO2
중국이 대응 준비를 착실히 해둔 것 같습니다.
트럼프 지지가 많은 지역의 농산물 위주로 방어하네요.
계속 적고 있지만 이웃 나라 캐나다, 멕시코, 우방국 유럽까지 때리면서
하는 무역전쟁은 미국 고립을 고착화시킬 우려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1. 中, 美 추가 관세에 "상대 잘못 골랐다…끝까지 갈 것"
중국 외교부, 관세 보복조치에 "정당하고 필요한 조치"
2. “시련 통해 성장한다”… 美 관세 폭격 속 양회 돌입한 中, 자신감 피력
中 최대 정치 행사 양회, 4일 개막/ 美 누적 20% 관세에 보복 관세 ‘맞불’
단 세율 낮추고 범위 좁혀 수위 조절/ 무역 갈등에도 자신감… “탄력 강해”
맞는 쪽이 내실을 다지고 주변국과 협력하면 오히려 때리는 쪽이 힘들어질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1. M7 주춤에 中 800조 투자…뒤바뀐 수익률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3040520&t=NNv
2. 中 양회 부양책 기대…순매수로 돌아선 개미
15개월만에…톱픽은 샤오미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0421451
3. 中 양회 개막 "민영경제촉진법 조속 공포…경제 자신감 있어"
정협 개막식…전인대는 개막 하루 전 "과학기술 문제 정치화 반대" 美 겨냥
https://v.daum.net/v/20250304165034022
4. 텐센트 AI 챗봇, 딥시크 제치고 中 아이폰 앱 1위
무료 앱 상위 5개 중 3개가 AI 챗봇… AI 시장 경쟁 심화
https://economist.co.kr/article/view/ecn202503040038
5. 지푸, 중국 정부 주도로 2000억 이상 모금
블룸버그는 3일(현지시간)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지푸 AI가 지방 정부 지원 기관들이 주도한 투자 라운드에서 10억위안(약 2000억원) 이상의 자금을 조달했다고 보도했다.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8478
딥시크 이후로 중국 시장은 확실히 달라진 모습이고요.
미국이 때려도 뭐! 어쩌라고? 이런 느낌도 받습니다.
우린 우리 갈 길 간다. 이런 모습으로 가면 미국이 오히려 더 큰 충격받을 것 같은 느낌도 받네요. 정부 부양책에 수급이 들어가고요. 중국 주식 시장에는 나쁜 소식들은 아니죠.
너무 올라서 들어가기는 부담이라는 생각이고요.
1. 中 BYD, 어디에 쓰려고?…유상증자로 8조원대 '실탄' 확보
2. BYD, 8조원 실탄 확충…관세 피해 해외 현지화 가속
홍콩 증시서 유상증자, 8조2000억원 자금 조달
해외 사업, R&D 등 투자…관세 부과 대응 조치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529686642100040
3. EU, 기업용 EV 구매시 세제혜택...자동차 배출량 규제는 완화
EV 구매 장려 '자동차 행동계획' 마련...g당 95유로 과징금 부과 철회
감축 목표 3년내 달성하면 돼...유럽내 자동차 판매 제조사 모두에 적용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0211
4. 테슬라 중국, 2월 판매량 30,688대, 1월 대비 51% 감소
미국 시장에서 지커가 4% 급등 리오토, 니오, 샤오펑은 2%대에서 1% 정도
어제 급락에서 기술적 반등 정도네요.
기사 보시면 중국 전기차 판매가 전년 대비 82% 증가했다고 합니다.
이게 오늘 중국 전기차 주가에 영향을 준 것 같고요.
유럽에서 전기차 세제 혜택이 생기네요. 기업용이라 큰 호재는 아니지만
안 주는 것보다 주는 것이 어디냐 싶습니다.
1. 트럼프, 관세 폭탄 현실화 … 국내 車 업계 '10조 타격' 터진다
현대차·기아, 멕시코 현지 생산 비중 커
'25%' 수입차 추가 관세 임박 … '초비상'
트럼프 핵심 인사 만난 정의선 … 묘수 찾을까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5/03/04/2025030400063.html
2. 트럼프 관세 폭탄에 미국 완성차 업체도 '불똥', 현대차 기아 해볼 만하다
현대차와 기아는 올해 2월 미국 현지에서 각각 완성차 6만2032대와 6만3303대를 판매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판매량이 각각 3%와 7% 증가했다.
판매 호조에 배경으로 꼽혔던 기술력, 품질과 브랜드 가치 등 요소가 관세 부과 이후 더욱 돋보일 가능성도 크다.
시사잡지 디애틀랜틱은 “현대차는 테슬라 수준의 높은 기술력을 전통 자동차 산업에 도입하는 업적을 거뒀다”고 평가했다.
종합하면 미국 자동차 가격 상승이 사실상 거의 모든 기업으로 확산되는 바람에 현대차와 기아로서는 그동한 예상했던 불리한 조건이 제거된 셈이다.
현대차와 기아가 조지아주 전기차 전용공장을 지난해 10월부터 가동한 일을 비롯해 미국에 선제적으로 투자 및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었다는 점도 유리함을 키운다.
또한 현대차가 미국 내 다수 생산 설비를 갖춘 GM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는 점도 다양한 선택지를 열어준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85590
어제 외국인이 운수장비를 1736억 기관도 166억 매수고요.
이 정도 수급이면 하락은 안 해야 하는데 어제 현대차는 상승도 하다가 –1.4%
기아는 0.11% 정도 상승을 못 하네요.
멕시코 관세로 기아를 걱정했는데 개장 초 2%대 상승이 나와서 깜짝 놀랐는데
급반등 다 까먹고 내리고, 내리고 내려서 강보합입니다.
오늘 미국 시장에서 자동차는 관세 걱정이 많아 기술적 반등에도 약세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GM이 –2%대 포드가 –1%대 하락입니다. 5시 40분에요.
마지막에는 상승 전화도 가능할 수 있겠지만
워낙 관세에 약한 업종이라 어제 같은 외인, 기관 수급 정도 기대감이지
업종 자체로는 기대가 안 됩니다.
트럼프 車 관세, 중소부품사엔 '핵폭탄'급 충격 … 원가부담 전가 불보듯
트럼프 대통령, 자동차 25% 고관세 예고
완성차업체·1차 협력사 현지 생산 확대 고려
현지 공장 없는 중소업체, 간접수출 감소 불가피
철강·알루미늄 관세 조치도 직간접 타격 예상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27/2025022700109.html
조지아주에 현대차와 함께 진출한 자동차부품 관심가지자!
이렇게 적고 있는데 전체 부품주들 주의할 부분이 원가 부담을 부품 업체에 넘길 가능성이
나오면서 우려가 생기네요. 주의할 부분 같고요.
1. 현대차·기아, 2월 美판매 5개월 연속 전년 동기 대비 증가
2. 현대차·기아 2월 57.6만대 판매…전년比 3.1% 끌어올렸다
3. 현대차, 2월 총 32.2만대 판매… 전년 대비 내수 20.1% 늘어
https://www.moneys.co.kr/article/2025030416310484782
4. 현대차·기아, 2월 판매량 57만6189대…전년比 2.1%↑·4.5%↑
5. 기아, 2월 글로벌 25.4만대 판매… 전년 대비 4.5% 증가
https://www.moneys.co.kr/article/2025030415572143595
6. 현대차·기아, 2월 판매량 3.1% 늘어 … 내수 판매 2년 만에 10만대 돌파
현대차 32.2만 대, 기아 25.3만 대 판매
내수 판매 합산 2년 만에 10만 대 돌파
7. 현대차, 튀르키예서 내년 전기차 양산...유럽 공략 박차
전기차 양산 준비 작업 착수
https://www.fnnews.com/news/202503041749002272
비빌 언덕은 현대차, 기아 2월 판대 신장이네요.
내수 부진 우려도 했는데 전반적으로 자동차를 잘 팔았습니다.
오늘 자동차 반등한다면 2월 판매 호조를 기회로 삼을 것 같습니다.
# 우리 시장 이야기
1. 日증시, '美 관세 우려' '지정학 리스크'에 하락 마감…닛케이지수 1.2%↓
2. [올댓차이나] 대만 증시, 나스닥 약세에 사흘째 속락 마감…0.7%↓
3. [올댓차이나] 홍콩 증시, 미중대립 격화 우려에 반락 마감…H주 0.62%↓
4. [올댓차이나] 中 증시, 미중대립 격화·정책 기대 교차에 혼조 마감…선전 0.28%↓
5. 땡큐 조선·방산”…美관세 공포에 버틴 코스피, 2520대 약보합 마감
'검은 금요일' 치른 코스피, 관세 면역…美증시 급락에도 약보합
6. 한국투자증권, 3월 코스피 전망…"2450~2650서 움직일 것"
우리 시장은 오늘 새벽 나스닥 반등 선반영일까요?
아니면 월요일 휴장 때 올라야 할 부분을 반영해서 보합이었을까요?
하여간 우리 시장은 아시아 시장에서 정말 강했습니다.
일본 시장은 –2% 넘는 하락까지 갔다가 반등하고요.
홍콩도 –1%대 중후반까지 갔다가 반등하고
이전에 우리 코스피가 먼저 선물로는 –1%대 초반까지 하락했다가
0.7%대 상승까지 만들면서 아시아 시장 반등 선두에 서네요.
1. "관세 협상 없다"…트럼프 입에 엇갈린 희비
현대차, 한때 시총 5위 내줘
한화에어로·현대로템은 폭등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0421471
2. 'K방산 대장주' 한화에어로, 시총 10위 올라
美, 우크라 군사원조 중단에
유럽 자력안보 필요성 커져/ 주가 70만원…KB 시총 추월
현대로템·LIG넥스원 등/ 주요 방산주도 동반 상승
트럼프 관세, 반도체주 타격/ 엔비디아·브로드컴 줄하락
https://www.mk.co.kr/news/stock/11255443
3. 상장사 60% '어닝 쇼크'…실적 뛰는 방산·해운株 뜬다
작년 4분기 부진한 성적표/ 잠정치 발표한 517곳 중 359곳
영업이익, 시장 추정치 밑돌아/ 삼성전자·포스코 등 대장株 비틀
조선·원전, 1분기 실적개선 기대/ JYP·하이브 등 엔터株도 주목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0421501
이유는 뭘까요? 대만에도 일본에도 없는 뭔가가 있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네! 바로 방산과 조선이 있지요.
뭐 이순신 장군님 말씀처럼 제게는 13척의 배가 있다고 하셨듯이
우리 코스피에는 트럼프 수혜주 방산과 조선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유독 아시아 시장에서 우리 시장만 강했다는 생각입니다.
말이 안 될 것 같지만 한화에어로가 시총 10위에 왔습니다.
장중에 70만 원 보고 밀렸던 주가가 이번에는 70만 원 안착이네요.
제가 2월 우리 시장 특징이 시총 11위부터 30위 사이에 당일 스타가 나오고
그걸 끝까지 올려서 지수까지 강하게 만든다고...
어제는 한화에어로와 한화오션이 그런 모습을 보였습니다.
덩달아서 현대중공업도 급등하고요.
정리하면 우리 시장은 반도체가 약해도 트럼프 수혜주가 있어서
반등을 잘한다. 수급이 그곳으로 집중된다.
그리고 오늘 새벽같이 미국 시장 반도체가 반등하면
또 방산, 조선은 좀 쉬겠죠. 그러다 또 반도체, 자동차, 2차 전지 힘들어지면
방산, 조선이 달리고요. 이래서 유독 우리 시장이 최근 강합니다.
국내 증시로 유턴하는 개미들… 코스피 거래대금 15.6조 돌파
작년 8월이후 처음 15조대 안착
美증시 약세에 자금 회귀했지만/ '경제뇌관' 신용잔고 18조로 쑥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30502101563062001
높아지는 환율에 "팔자"...외국인 국내 증시 보유율 14개월래 최저
https://www.fnnews.com/news/202503041535265487
수급으로 보면 오를 수가 없는 고조입니다.
외국인, 기관이 코스피를 약 –3300억 매도합니다.
외국인이 선물을 –3800억 매도하고요.
심지어 프로그램도 장 막판까지 매도했거던요.
이건 뭐 바로 하방 아닙니까?
그런데도 오릅니다. 대단하죠.
요즘은 추세는 외국인 수급으로 방향이 바로 정해지지 않고
에너지를 모으는 것 같습니다. 그러다 한방에 반영하는 모습이 나오네요.
오늘 수요일이고요, 내일 위클리 옵션 전 변동성 많은 날이고요.
3월 13일 선물 옵션 동시 만기까지 외인 포지션은 하방인데 바로바로 하방으로 작동하지 않고 일정 시간 힘을 모은 다음 반응이 나오네요.
수급 매매는 당분간 조심하셔야 할 부분 같습니다.
외국인이 현물을 팔아도 너무 파는데 지수는 잘 지켜지는 이상한 현상을
고집스럽게, 아니야! 난 무조건 하방이야! 이럼, 당합니다.
유연하게 사고해야 한다는 생각이고요.
1. 엔비디아 中 수출통제 강화 우려에 급락…하이닉스도 2% 하락
2. 엔비디아 쇼크에 반도체주 휘청
3. TSMC, 트럼프 관세폭탄 위협에 “146조원 더 쓰겠다”...보조금 향방 ‘관심
TSMC, 4년간 대미 투자 1000억 달러 늘리기로
인텔 구하기 참여 압박도 받는 것으로 알려져
보류된 보조급 지급은 여전히 불투명/ “경제·기술 안보 측면서 한국·대만 등 불리”
https://www.etoday.co.kr/news/view/2449705
4. TSMC, 美에 1000억弗 추가 투자…삼성·하이닉스 어쩌나
TSMC, 관세 못이겨 역대급 투자
트럼프는 "엄청난 일" 치켜세워/ 韓반도체엔 '보조금 취소'까지 엄포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Q45NWTEG
5. TSMC, 美빅테크 물량 싹쓸이하나…고민 빠진 삼성
애리조나에 파운드리 공장 3개 추가
美에 최첨단 패키징·R&D센터/ 대만에 맞먹는 'AI생산기지' 건설
엔비디아·애플 등 고객사 '독식'/ 삼성·SK, 이미 국내 대규모 투자
당장 美에 추가 투자하기엔 부담/ "반도체 위기속 정치혼란 겹악재"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0422661
6. “반도체 공장 하나에 최소 수 조원인데”…대미 추가투자 압박받는 삼성
TSMC, 대규모 투자 발표…삼성 압박 커져/ 반도체 관세 부과되면 가격 경쟁력 흔들
삼성, 370억 달러 투자 계획 수정할까/ AI 반도체만 별도 관세 적용 가능성도
https://www.mk.co.kr/news/business/11255531
7. [단독] '갤럭시 AI 주역' 최원준 삼성전자 MX개발실장, 사장 전격 승진
AI폰 갤럭시 S25 흥행 공신
'성과에 보상' 원포인트 인사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040830i
8. [단독] 삼성전자, 파운드리→메모리行 본격 시동 '메모리 구하기' 속도 내나
공정 및 설비 엔지니어 중심으로 메모리 사업부로 전환 배치 예정
SK하이닉스 등 경쟁사 빠르게 영향력 확대하며 '1위' 자리도 위협
메모리 힘주는 가운데 파운드리 수익성 확보 위한 인력은 잔류 예상
https://www.fnnews.com/news/202503041149310841
9. 빅테크 홀린 SK하이닉스…'HBM 훈풍'에 美매출 2배 이상 증가
SK하이닉스, 미국 매출 2배 '껑충'…지난해 33조 벌었다
SK하이닉스 ‘HBM 훈풍’에 미국 매출만 33.5조원
혼자 신난 SK하이닉스...‘HBM 선전’에 美 매출 2배 ‘껑충’
SK하이닉스, 美 빅테크 'AI 특수'에 매출 2.6배 급증‥HBM 효과 톡톡
10. SK하이닉스, 1분기 실적 감소 예상…18~24만 원 박스권 전망
[클릭 e종목]"SK하이닉스, 당분간 18만~24만원 오갈듯"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30415441804154
새벽 5시 27분 엔비디아가 4%, 브로드컴이 3%, TSMC가 5.97% 급등입니다.
미국 시장 이야기에서 하고 내려왔겠지만, 이 모습이라면 오늘 우리 반도체는 희망이 생기는데 추정하면 TSMC 미국 투자가 TSMC 급등을 만들고요.
이게 전체 반도체에 온기를 주었다면 야! 삼성전자는 이 반등을 먹을 수 있을까 싶고요.
TSMC처럼 미국 현지 투자를 더 늘려야 하는 부담이 생기지 않습니까?
일단 엔비디아, 마이크론 반등으로 우리 지수 기대감은 높아졌고요.
5시 마감인 야간 선물도 나스닥과 똑 닮았습니다.
0.69% 반등입니다.
정리하면 미국 시장 나스닥, 반도체 반등으로 우리 지수도 반등 가능성 높고
특히 반도체 2대장 위주의 반등 기대감이 생기지만
관세와 TSMC 미국 투자, 중국 반도체 규제 참가 등 이런저런 이유로
그래서 반등도 단기로 볼 생각이고요.
수급으로는 외국인 현물, 선물 동반 매도라 이게 대규모로 환매수가 안 생기면
최소한 3월 13일 만기까지는 주의하자! 이런 생각입니다.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