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운털 테슬라 –15% 급락! M7 급락! 침체로 부채 해결! 자동차가 유일한 희망 3월 11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美 경기침체 우려 확산…트럼프도 "시간 조금 걸려"
2. 美경기침체 우려 커지자…백악관 "관세 불확실성 다음달 해소"
3. 모건스탠리 윌슨 "美 S&P500 5%~최대 20%까지 하락"
"관세로 기업수익 타격과 재정 지출 감소에 변동성 확대"
올해말 S&P500 목표 지수 6,500포인트는 유지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105004i
<< 주식시장 안 본다는 트럼프, 국채금리에 목매는 까닭은
연방정부 부채 36조달러로 급증
이자 부담만 연간 1684조원 달해/ 4%대 이자율 떨어뜨리기에 전력>>
트럼프의 경기침체 용인하는 듯한 발언이 나스닥 야간 선물을 아시아 시장 개장 때부터
-1% 하락으로 시작시켰습니다. 주말에 트럼프가 폭스뉴스랑 인터뷰한 것이 아시아 시장에
영향을 주나 했는데, 우리 코스피가 장중에 0.5%까지 반등하면서 나스닥 100 선물이 –0.4%정도까지 반등하다가
유럽 시장 개장하면서 다시 –0.8%까지 밀리기 시작하고
개장 때는 –1%대 하락해서 그 정도는 뭐 하락하네! 정도였는데
-2% 하락해서 잠을 살짝 설쳤는데 12시 소비자 인플레이션 예상치가 3.1% 나오고 나서
또 내리더니
1. 캐나다 온타리오주, 미국 수출 전력에 25% 할증료 부과
캐나다 온타리오주, 관세에 맞서 미국 수출 전력에 25% 할증료
캐나다에서 관세 보복 기사가 나오면서 더 하락해서 –4%대 후반까지
야 –5% 보는 줄 알았습니다.
그래서 자정 12시부터 잠을 깼네요. 도저히 잘 수가 없더군요.
1. 트럼프발 물가 상승 우려…인플레 회피 채권에 돈 몰려
2. ‘힘빠지는 달러’… 트럼프 당선前 수준으로 가치하락
3. 日장기금리 16년여 만에 1.575%…"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영향"
4. 日 금리 인상·美 증시 조정에 춤추는 엔화…이제는 팔 때?
5. 강달러 주춤하는데… 원화 환율은 왜 안 떨어지나
美 침체 우려에 달러 약세로
한국 원화도 약세 장기화
전문가들은 원화는 관세에 더 민감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골드만삭스는 한국에 대해 “아시아 역내 선진국과 신흥국 중에서 미국의 관세 부과 위험에 크게 노출된 국가 중 하나”라고 평가하면서 미국이 10% 상호 관세를 부과할 경우 한국 국내총생산(GDP)이 0.7%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국채 이자가 1조 달러가 넘는 상황이니 트럼프는 국채금리를 낮추고 싶은데
파월이 말 안 듣고 인플레 우려는 심해지고
마지막 남은 수단이 경기침체 우려로 시장을 부수어서 채권 금리를 낮추려나?
이 의도라면 오늘 미국 장기채가 –2% 하락해서 먹힌 것 같습니다.
달러는 103.90 약세 흐름이 지켜지고요. 보합이었습니다.
문제가 달러/엔인데요. 더 내려서 147.27입니다.
일본이 곧 금리 인상해야 하죠. 엔케리 트레이드 청산 우려도 오늘 미국 시장 급락시킨 원인으로 봅니다.
달러/원은 1459원 입니다. 음 1500원 볼지 모르겠네요.
아시아 시장에서 적었지만 이게 자동차에 좀 호재가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오늘 시장 급락에도 도요타가 –0.96% 정도 하락이 거던요..
엔화 약세 덕을 본 것이 아닌가?
그럼 현대차, 기아도? 뭐 이런 식 기대감이 있습니다.
1. 45% 빠진 테슬라, ELS도 무더기 녹았다
손실구간 진입 엔비디아 ELS도...개별주식 ELS 변동성 경고
2. "테슬라 안탈래" 소유주들 테슬라 대거 내놓아 중고차 가격 폭락
3. 트럼프 피해주 전락한 테슬라…서학개미들 '줍줍' 우려
머스크 "反테슬라 시위 배후는 美민주당 큰손들"
최근 미국에서 테슬라 불매 운동 바람이 부는 가운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그 배후로 민주당 거액 기부자인 억만장자 조지 소로스와 링크트인의 공동 창립자 리드 호프먼을 지목했다.
9일(현지시간) 폭스뉴스 등에 따르면 머스크 CEO는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조사 결과 '테슬라 시위'를 주도한 액트블루(Act Blue) 자금 지원 단체 5개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31016175928173
오늘 수급으로 보면 급등했던 M7 위주의 하락이고 테슬라 급락입니다.
중국 T10보다 더 나은가? 중국 기술주가 더 투자하기 좋겠는데
이런 의문이 생겼다는 생각이고요.
엔케리 트레이드 청산 우려 물량에 급락에 따른 투매 물량에
제가 2월 20일 장전 시황 제목에 나보다 더 바보가 점점 주는 미국시장이라고 적었는데
지금 미국 시장에서 던지는 물량을 받아줄 나보다 더 바보가 없습니다.
누가 각성시켰나? 네 트럼프죠.
머스크가 똥친 막대기 역할이라고 했고요. 머스크의 테슬라가 혐오 대상이 되었는데
이걸 서학 개미가 미친 듯이 샀으니 투매가 나오죠.
영국에서 발행한 테슬라 3배 ETF 투자자 90%가 서학개미니 말 다 했죠.
여기서 투매가 나오면 옵션에서 또 투매가 나오고 그럼 현물까지 영향을 주겠죠.
<<손실구간 진입 엔비디아 ELS도...개별주식 ELS 변동성 경고>>
ETF만 문제가 아니네요. 테슬라 기초 자산으로 한 ELS도 낙인이 된다고 합니다.
테슬라는 매도가 매도를 부르는 상황입니다.
홍콩 H가 무너질 때 모습이 테슬라에 나온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제발 3배 ETF만은 하시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럴 때 매도를 부르는 방아쇠가 됩니다.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국제유가 수요 둔화 우려에 WTI 66달러로 하락, 천연가스는 강세 흐름 지속
천연가스,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93달러(2.11%) 상승한 4.492달러
WTI는 전장보다 1.01달러(1.51%) 떨어진 배럴당 66.03달러에 마감
2. "경기침체 공포"...국제유가 '뚝', 비트코인-COIN 주가 '장중 추락'
국제유가...미-우크라 협상 이슈+ 경기침체 공포에 장중 '뚝'
장중 천연가스는 급등
경기침체 공포 속 장중 비트코인 & 코인베이스 주가 '추락'
https://www.choic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3908
3. 북해서 유조선·화물선 충돌…"32명 해안으로 이송"
4. 미·우크라 회담 D-1…젤렌스키, 사우디 도착
우크라 회담 앞둔 美국무 "군사지원 재개·종전 방안 논의"
美 "우크라, 어려운 일할 준비돼야…2014년 수준 영토회복 불가"(종합2보)
5. 러 "美, 사우디서 우크라의 평화 열망 보고싶어 해"
6. 농산물 관세에도…재고 감소 분석 나오자 농산물ETN 반등
7. '관세 부과 vs 中 감산' 불기둥 세운 철강株, 추이 이어질까
https://www.fnnews.com/news/202503101603349453
8. 금속주도 상승을 지속하고 있다. 뤄핑신뎬(羅平鋅電), 둥팡가오예(東方鋯業)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최근 코발트, 스트론튬 등 희소금속의 가격이 인상되고 있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관련 주들이 반응했다. 희소금속인 비스무트 가격과 안티몬 가격 등은 최근 1개월 새 10% 이상 상승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310000787
올봄 지나면 라니냐 물러갈 듯…온난화는 가속
다 하락인데요. 참 기가 막히게 천연가스만 1.41% 상승입니다.
장중에는 4%대 상승도 있었습니다.
뭐지? 날씨도 따뜻해지는데 말입니다.
우크라이나 협상도 오늘 시작하고 종전이나 휴전으로 가면 천연가스 공급이 늘어날 것 같은데
이상하게 천연가스만 상승이라니 또 저는 굳이 천연가스 내린다에 투자 중이고 말입니다. 쩝
은과 구리가 –1%대 하락이고요. 금이 –0.7% 정도 하락
유가도 –1.6%대 하락 65달러에 왔습니다.
미국 곡물, 옥수수 정도가 상승
원자재는 경기침체 우려로 하락인데 유독 천연가스만 상승 이렇게 정리합니다.
1. '고점 대비 93% 하락' 금양…코스피200 퇴출에 또 6%↓[핫종목]
2. 韓 2차전지, 중국에 3.5년 뒤처졌다
매경·산업연구원 공동분석
시스템칩 1.7년·로봇 0.9년/ 3D프린팅 무려 4.7년 격차
"제2 딥시크, 줄줄이 나올 듯/ 新산업지도 다시 만들어야"
https://v.daum.net/v/20250310175720270
어제 LG엔솔이 3%대 상승, SK이노베이션은 정유쪽 호재로 6%,
삼성SDI만 –1% 하락이고요. 2차 전지가 좋았습니다.
에코프로비엠도 5% 상승이고요.
몇 번 적었는데 지수를 방어해야겠다 싶으면 수급이 2차 전지로 갑니다.
워낙 하락해서 싸져서 올리기 쉽고 쳐다보면 투자자가 그만큼 적고요.
미국 급락에도 앨버말이 1% 상승, 5거래일 동안은 10% 상승입니다.
이게 우리 2차 전지 비빌 언덕이고요.
퍼스트솔라는 지수만큼 –4% 하락입니다. 쩝
그래도 5거래일 동안은 6.48% 상승이고요.
엔페이즈에너지가 2.74% 상승 마감이지만 장중에는 거의 8%대 급등도 나왔습니다.
태양광도 비빌 언덕이 될지 모르겠습니다.
전고체 배터리 소식이 우리와 중국에서 계속 나옵니다.
전고체는 희망이 생긴다는 생각인데 중국 기술 개발이 2차 전지는 우리보다 2년 반이 앞선다고 하네요. 기사 보면서 기가 막히더군요. 쩝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오늘A주] 디플레 우려에 하락...화웨이 AI 의료 개발 시작에 관련주 상승
상하이종합지수 3366.16(-6.39, -0.19%)
선전성분지수 10825.70(-18.03, -0.17%)
촹예반지수 2199.88(-5.43, -0.25%)
커촹반50지수 1105.16(-2.46, -0.22%)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310000787
2. 중국 국가통계국은 9일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2월 CPI는 지난해 대비 0.7%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작년 1월 이후 처음으로 CPI가 마이너스 성장한 것이며, 로이터통신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0.5%마저 하회했다.
중국의 전년 대비 CPI 상승률은 지난해 8월 0.6%를 기록한 뒤 9월 0.4%, 10월 0.3%, 11월 0.2%, 12월 0.1%로 둔화하다가 올해 1월에는 0.5%로 상승한 바 있다.
국가통계국은 "소비 대목인 춘제(春節, 중국)가 2월 초 종료됐다는 요인이 작용했으며, 일부 국제 벌크 상품 가격 파동 등의 영향을 받았다"며 "구조적으로 보면 일부 영역 물가에는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고, 생산자물가지수(PPI) 하락 폭이 좁혀져 현재 물가 안정·회복세에는 변함이 없다"고 설명했다.
2월 중국의 PPI는 전년 동기 대비 2.2% 하락했다. PPI는 29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하락 폭은 둔화되고 있다.
물가 지표가 악화되면서 중국에 디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다시 발생했으며, 이는 이날 증시를 끌어내리는 역할을 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310000787
3. 디플레 공포 커지는 中
2월 CPI, 13개월만에 마이너스
中 당국 내수 부양책 소용없어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1047791
지난 금요일 무역 지표나 주말 나온 물가 지표나 모두 악재인데
중국이 제법 잘 버티네요. 급등한 홍콩은 좀 하락이 나오고요.
1. [올댓차이나] 中 주택장관 "부동산시장 하락에 제동…정책효과 나타나"
전국 노후주택 3900만채 개조 재건축 계획
2. “트럼프 달래기 효과 없다” 1기 때와 확 달라진 중국 [디브리핑]
中, 정상간 대화보다 즉각 보복에 집중
“시주석, 굴욕당할 전화 안 할 것”
멕시코·캐나다 보며 “효력없다” 판단할수도
https://v.daum.net/v/20250310165440170
3. 트럼프 텃밭 농산물 골라 때린 中… “美 반응 보며 수위 조절”
中 무역전쟁에서 고효율-저비용 무기 확보…무엇?
中 농산물 과잉, 美 농산물에 관세 집중 부과…공화당주 타격
https://www.news1.kr/world/usa-canada/5714334
또 그 소리냐 하시겠지만 딥시크 이후 중국이 자신감을 좀 가지고
수급이 들어오는 것 같습니다.
미국 관세 부과도 1기와 다르게 차분하게 대응하면서 트럼프 아픈 부분을 잘 다루는 느낌도 받고요. 딥시크로 미국보다 첨단 산업에서 앞서간다는 자신감
미국 관세 부과에 승리 자신감 이런 것들이 합쳐서 잘 버티는 모습이고요.
1. 美증시 빠지니 흥하네…非미국 ETF 순자산 ‘쑥’
S&P500 –5%, 나스닥 –8% 부진에/ 유럽·홍콩 등 상대적 강세장에 투자
IEFA 순자산 한달만에 10조 넘게↑/ 달러 약세 전환하며 자금 이탈 촉진
https://www.mk.co.kr/news/stock/11259963
2. "한국에서 중국 주식 열풍"…中 관영 매체도 집중 조명
3. 中관영매체, 한국의 中주식 매수 열풍 보도…"거래액 2배 늘어“
CCTV "전기차·AI 등 中첨단기술 발전에 해외 투자자 관심 커져" 자평
https://www.yna.co.kr/view/AKR20250310121400009?input=1195m
홍콩으로 들어가는 본토 개인 투자금이 최대치로 올라오고요.
미국에서 나온 자금이 유럽, 홍콩으로 넘어오고요.
우리 중학 개미들 거래액이 2배 늘어나면서 우리 투자자들 중국 관심도 높아지면서
돈이 중국과 홍콩에 들어간다는 생각입니다.
오늘 새벽 미국 장에서 알리바바 –5%대, 핀둬둬, 징둥 –3%대 바이두가 –2%대 하락입니다.
홍콩 야간 선물이 –1.84% 정도 하락이어서 오늘 홍콩 시장 중심으로 하락도 나올 것 같네요.
1. 테슬라, 2월 중국에서 2만6777대 판매, 상하이 공장에서 3911대 수출
테슬라는 2월에 중국 국내 시장에서 26,777대의 차량을 판매했는데, 이는 전년 대비 11.16% 감소, 1월 대비 20.55% 감소한 수치입니다.
1월~2월 기간동안 테슬라의 중국 소매 판매량은 60,480대로 전년 대비 13.63% 감소했습니다.
https://cnevpost.com/2025/03/10/tesla-sells-26777-cars-china-feb-2025/
2. 印 차 업계, 테슬라 진출 임박에도 태연..."두려울 것 없어"
"높은 가격·치열한 경쟁·낮은 전기차 보급률 등으로 印 사업 어려울 수도"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310000864
3. 혼다, 中 엔진 생산능력 절반 감축…전기차로 이행 추진
'실적 부진' 닛산은 일본 완성차 공장 5곳 유지키로
4. 日 토요타, 부품 수급 차질에 공장 가동 중단
日도요타, 부품 공급 차질로 3개 공장·4개 라인 가동 중단
토요타, RAV4 일본 생산 중단…"부품계열사 공장 폭발 요인"
현대차·기아 하이브리드 돌풍 美공장서 직접 생산 늘릴 계획
5. 기아, 첫 전기 세단 ‘EV4’ 판매 시작
6. 자동차 절반 수입하는 미국, 25% 관세 매기면 그 비용은 누가 부담할까?
미국 자동차 소비자값 최대 1700만 원 오를 것
https://www.greened.kr/news/articleView.html?idxno=324155
7. 국내 車 생산, 세계 7위로 추락… 멕시코에도 밀렸다
지난해 413만대… 2.7% 줄어
https://v.daum.net/v/20250311003219470
테슬라가 –15% 급락이어서 그렇지
오늘 미국 시장 자동차 업종은 양호합니다.
GM이 1.35%, 포드가 0.61% 상승 도요타도 장중에 상승 유지하다가
-0.96% 하락이었습니다.
1. 백악관, '트럼프 관세'로 "현대·LG·삼성 미국 투자 확대"
美 백악관, 현대차·삼성·LG 또 언급하며 '트럼프 관세' 홍보
미 백악관, '트럼프 관세' 홍보 수단으로 현대차 등 언급
미 백악관, ‘트럼프 관세’ 홍보 수단으로 국내 기업 언급
백악관, 관세 효과 홍보에 韓기업 줄줄이 호명… “삼전·현대차 보라
트럼프가 콕 집어 현대차, 삼성 미국 투자를 언급했습니다.
이게 호재가 될지 모르겠는데 비빌 언덕은 삼아 봐야겠죠.
오늘 시장에서 유일하게 희망적인 곳이 정유와 자동차입니다.
1. 미국에서도 통했다 “한국車 최고”...14년만에 100만대 판매 돌파
현대차·기아 하이브리드 돌풍
미국서 누적 100만대 판매
3분기 팰리세이드HEV 투입/ 미국 내 생산도 늘릴 계획
https://v.daum.net/v/20250310204201160
테슬라 판매 부진, 머스크 혐오로 테슬라 공격이 계속된다면
반대편에 있는 자동차가 수혜 종목인데
이게 현대차, 기아가 되면 좋겠다 싶죠.
그래서 오늘은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에 희망을 걸어봅니다.
1. 中 디플레이션 우려에 엔터주 약세…JYP -9%대 마감[핫종목]


# 우리 시장 이야기
1. 日증시, '저가 매수세·美 증시' 영향에 상승 마감…닛케이지수 0.38%↑
2. [올댓차이나] 대만 증시, 나스닥 선물 약세에 사흘째 하락 마감…0.52%↓
3. 파월 "美 경제 여전히 좋다" 언급에…코스피 2570선 회복
韓증시 혼조 마감…美 경제 낙관론에도 상승폭 제한
갈피 못 잡는 코스피 2570선 상승 마감...코스닥은 하락
[시황] 코스피, 눈치보기 장세 속 강보합 마감···0.27%↑
코스피 美경기 우려 완화에 상승 2,570선 회복…코스닥 하락(종합)
코스피, 개인·기관 순매수에 2570선 회복…0.27%↑[마감시황]
코스피, 외국인 팔아도 2570선 상승
어제 시황에 개인이 하방에 몰입하면 위로도 가능하다.
한쪽으로만 기울여 생각하면 안 된다고 적었고요.
어제 9시 정규장 개장 전에 –1.1%대까지 선물이 갭 하락하다가
이 갭을 다 채우고 야간 선물 지수인 0.31% 상승 마감입니다.
장중 대화 때 이 분위기면 야간 선물 0.3% 채울 것 같다고 했는데
정말 채웠습니다.
그런데 오늘은 뭐 할 말이 없습니다.
-2%대 아래로 갔던 야간 선물이 막판에 살짝 반등해서 –1.81% 마감이고요.
MSCI 한국 지수가 –2.86% 하락이어서 답이 없습니다.
보여드리는 두 그림은 8월 4일 엔케리 트레이드 우려로 급락 때 모습인데요.
7월부터 하락하던 나스닥이 그때부터 반등 시작하고요.
코스피 역시 그때 반등합니다.
일본은행에서 급하게 금리 인상 안 한다고 수습하면서 나온 반등이었는데요.
지금 하락이 트럼프가 만든 하락이니 언제든지 트럼프가 수습하면 작년 8월의 모습도
가능하다는 생각이고요. 반대로 수습이 없다면 하락은 더 나온다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1. TSMC, 올해 첫 2개월 매출 39% 급증…"AI칩 수요 견조"
TSMC, 올 1~2월 매출 전년比 39%↑ … "AI칩이 실적 견인"
적수가 없다...TSMC 1~2월 매출 39% 급증
2. 중국산 범용 반도체도 관세 ‘만지작’…美 추가 제재 검토에 韓기업 긴장하는 이유는
“中 반도체 산업 지배 견제”
美전자제품 3분의2 탑재/ USTR, 11일 청문회 소집
70% 고율 관세 부과할 듯/ 삼성·SK에 추가압력 예상
미국은 삼성전자·SK하이닉스에 한해 2024년 10월까지 1년간 한시 예외를 둔 상태다. 만약 미국이 향후 예외조치를 연장해 주지 않을 경우, 중국 공장의 지속적인 성능개선은 어려운 상태다.
https://v.daum.net/v/20250310232100702
3. [단독] 애써 영입했는데…삼성 AI·로봇 지휘할 인재 줄줄이 짐쌌다
4.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 검토, 평택 및 美 테일러 투자 중단 고려
마이크론이 연간으로 보면 –7.86% 하락이고요.
올해 기준으로 보면 –0.29% 하락 올해 수익이 하락 전환한 날이고요.
하이닉스는 연간으로는 12.79% 상승 중이고요.
올해로 보면 9.75% 상승 중입니다.
마이크론 대비 하이닉스가 방어를 잘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삼성전자는 올해 기준으로는 0.56% 상승
연간으로는 –25.83% 하락이고요.
삼성전자는 작년에 워낙 힘들었다고 봐야 할 것 같고요.
오늘 새벽 필 반도체 지수가 –4.85%여서
이것도 악재입니다.
오늘 하락 대장은 반도체가 중심일 것 같고요.
1. 급등 이어가던 조선·방산, 차익실현 매물에 주르르
2. HD현대마린엔진, '매출 급성장' 전망에 주가 15% 상승(종합)
3. "개미, 방향 틀었다"…한화에어로·하이닉스 '매집’
개인투자자들은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1,520억원, SK하이닉스를 1,290억원 어치를 사담았다. 이어 삼성중공업(400억원), 삼성SDI(320억원), 삼성전자(310억원) 순으로 사들였다.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3100293
오늘 미국 시장 하락이 M7 위주로 나왔습니다.
우린 전조 현상이 어제 있었고요.
개인이 방산, 조선, 하이닉스를 담았고요.
기가 막히게 개인이 들어오면서 매물이 나왔거던요.
우린 트럼프 수혜주로 방산, 조선이 급등했으니
반도체와 함께 오늘 많이 힘들 업종으로 방산, 조선을 걱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3월 말 공매도 전 청산하려는 힘이 어제부터 나왔다고 추정할 수도 있고요.
1. "상장폐지·거래정지 사유 알고도 먹튀"…거래소 '투자유의' 안내
"주가만 띄워놓고 모르쇠"…거래소, 한계기업 불공정거래 '투자유의' 안내
거래소 “감사보고서 제출 임박… 한계기업 투자 시 유의하세요
거래소 "한계기업 따로 있다"...특징 살펴보니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3100337
2. [단독] 중국은행도 국내서 ‘초단타’ 매매한다
32개 증권사 초단타 거래자 등록/ 중국은행·아이엠씨증권 외국계도
"中은행, 위안화 시장조성 동시에/ 변동성 활용 단타 차익 올렸을 듯"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Q6WY3FAB
거래소가 3월 정기 주총 앞두고 투자 경고합니다.
감사보고서 제출 힘들 종목 잘 살펴보시고요. 올해부터 상장 폐지 강하게 한다고 했으니
일단 적자 기업은 피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호가창에 빠르게 거래되는 모습 자주 보셨겠습니다.
초단타 매매를 아예 등록해서 한다고 하네요.
호가창에 급등한다고 따라가면 이 초단타 매매에 당하기 일쑤입니다.
1. 눈치보기 장세에 업종별 순환매…“낙폭과대·소외주 대응”
트럼프 정책 따라 업종별 순환매
“눈치보기 장세에 업종 연속성 없어”
해외 변수 영향 적은 내수 업종 관심
철강·운송·유통 등 낙폭과대·소외주 전략 유효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152086642102008
2. 이상목 액트 대표 "주주운동, 기업이 똑바로 가도록 매 드는 것"
3. 농심 익명주주 또다시 공개주주서한…“지분 0.95% 모았다”
농심 소액주주 "기업가치 제고 계획 발표 안 하면 이사회 진입"[시그널]
4. 주총 앞두고 경영권 분쟁 재점화…고려아연 14%↑(종합)
영풍, '자사주 소각·액면분할' 소식에 8%대 강세 마감[핫스탁](종합)
상법 개정이 추진되고 어제 고려아연, 영풍이 급등했는데
주주운동 관련 종목이 이번 3월 주총 시즌에 어떤 움직임이 나오는지가
궁금해집니다. 주주 제안이 상당히 많은 곳에서 진행된다고
플랫폼 액트에서 전하네요.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1. 미워도 다시 한번? 바닥 친 소외주…보험·이차전지株 '반등'
2. S&P “韓 높은 가계부채…금융기관 건전성 시험할 것”
3. 한화·HD현대, 그룹주 시총 5위 치열한 수 싸움
4. LG그룹사 시총 3위 자리 위태…상장사 연이은 부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