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갭 채우기, 자동차, 자동차부품 기대감, 부정적인 미국 지표! 저가 매수 3월 17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관세 언급없는 날이 좋은 날”…S&P500, 대선 이후 최대 상승
2. 美 3월 소비자심리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경기 식고 물가 상승’
미시간대 美 소비자심리 57.9…전망치 하회
1년 인플레이션 기대 4.9%로 상승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Q8S2UV5Y
3. 뉴욕증시, 작년 11월 이후 최대폭 반등... S&P 500지수 2.1%↑
트럼프 조용하자 미 3대 지수 반등...엔비디아 5.3% 올라
뉴욕증시, 소비자 심리 하락에도 저가 매수 반등…다우 1.65%↑
4. [속보] 뉴욕증시, 상승…나스닥 2.61%↑
저가 매수에 뉴욕증시 일제 반등···S&P 500지수 2.1%↑
뉴욕증시, 소비심리 악화보다 저가 매력 '급등'
5. 주말 랠리에도 다우 한주간 3.1%↓ 2023년 3월 이후 최악(종합)
소비자 심리가 급락하고, 기대인플레이션은 급등하면
아마 나스닥이 –2% 하락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았을 것 같은데 반대로
2%대 급등이죠.
트럼프가 별말 안 하고 저가 매수가 들어와서 만든 급등이라는 생각입니다.
1. 미국 월가 주가지수 목표가 하향조정···트럼프 관세정책 영향
"기업실적 전망도 금가기 시작"
https://www.opini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4182
2. 美 '매그니피센트 세븐(M7)', S&P 500 지수 하락 95% 차지
대형 기술주 15% 급락, 경기둔화 우려 투자자 방어전략 주목
S&P 500 10% 이상 하락...유럽·日 주식·채권 방어 효과 입증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503161734235131fbbec65dfb_1/article.html
지난주 하락 원인으로 M7 약세, 기업실적 전망 하향
이렇게 적으면 무난한데요. 깊이 있게 들어가면 좀 명심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1. JP모건 "美 증시 급락, 헤지펀드가 주도했을 것"
파니기르초글루는 "헤지펀드들에 관한 월간 잠정 보고서는 퀀트 및 TMT 전문 헤지펀드의 주식 베타가 크게 감소했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JP모건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 및 나스닥 종합지수의 포지션 추적 지표에서도 해당 지수들에 대한 헤지펀드의 노출 강도는 작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미국 주요 주가지수는 지난주부터 강하게 조정을 겪고 있다. S&P500 지수는 한때 전고점 대비 10% 가격이 하락하며 조정 국면에 진입하기도 했다. 나스닥 지수는 12월에 기록한 사상 최고치 대비 12% 이상 하락했다.
다만 JP모건은 이번 급락세가 헤지펀드의 포지션 조정에 따른 것이라면 추가 하락 위험은 제한적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파니기르초글루는 "주식 퀀트 헤지펀드의 포지션 조정이 이번 급락을 주도했고 재량적 운용사들이 경기침체 리스크를 재평가한 게 아니라면 최근의 증시 급락세는 헤지펀드의 포지션 조정 여파가 더 크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46663
지난주 하락을 헤지펀드들의 풋 청산으로 보는 기사입니다.
50% 정도 청산했다고 하는데 풋 청산으로 상방이 좀 열리면서
금요일 올리기 쉬었을 것 같고요. 이번 주 금요일 미국은 선물 옵션 동시 만기입니다.
계절성으로는 이번 주부터 미국 시장은 반등하는 그림이고요.
이걸 막는 것이 트럼프 입입니다. 계절성으로 반등을 이어갈지?
트럼프 입이 이걸 막을지가 관건인 것 같고요.
보통은 제가 기시 링크만 올리는데, 오늘은 기사 중요 부분 올려드립니다.
1. '돈에도 세금'...트럼프 관세, 재화 다음 타깃은 자본
마이클 페티스 주장 재소환
뉴욕증시 급락은 해외 자본 선제 대응
지구촌 경제-금융 질서 뿌리부터 바뀐다
36조달러 부채와 자본 유입의 '저주’
미국 의회에서도 이 같은 목소리가 나왔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태미 볼드윈 민주당 상원의원과 조시 홀리 공화당 의원은 6년 전 '일자리와 번영을 위한 경쟁력 있는 달러법(the Competitive Dollar for Jobs and Prosperity Act)'을 발의했다.
세금을 포함한 자본 유입에 대한 규제와 연방준비제도(Fed)의 약달러 정책을 요구한 법안은 최근까지 묻힌 것으로 보였지만 지난달 JD 밴스 미 부통령과 가까운 보수 싱크탱크 '아메리칸 컴패스'가 자본 유입에 대한 세금으로 향후 10년간 2조 달러의 자금을 확보할 수 있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관심이 재점화됐다.
주가 급락은 겁먹은 해외 자본 이탈 때문
싱크탱크 아메리칸 컴패스의 보고서가 발표된 이후 백악관은 미국 우선 투자 정책을 골자로 한 행정명령을 발표했는데, 지난 1984년 미국과 중국 간의 이중 과세 방지 협정을 중단하거나 재검토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당시 조약의 공식 명칭은 '미국과 중국의 소득세에 관한 이중 과세 방지 및 조세 회피 방지를 위한 협정'인데, 중국 투자자들이 미국에 투자할 때 발생하는 이자와 배당금, 로열티 등에 부과하던 30%의 원천징수세(withholding tax)를 낮추거나 폐지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었다. 양국간 투자를 촉진시키기 위한 조치였다.
실제로 30%에 달했던 세금이 면제되거나 세율이 낮춰지면서 중국 자본의 미국 유입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이를 재검토한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을 발표한 것은 미국으로 유입되는 중국 자본에 다시 30%의 세금을 부과할 가능성을 열어둔 의미로 풀이된다. 상품 관세뿐 아니라 자본 흐름도 제한해 중국과의 경제적 관계를 전반적으로 재조정하려는 전략이라는 해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발언으로 주의를 분산시키면서 해당 내용이 큰 관심을 끌지 못했지만 미국의 행보를 면밀히 관찰하는 해외 투자자나 정책자들을 불안하게 만들었고, 일부 투자자들이 선제적으로 자금을 빼면서 최근 뉴욕증시의 급락에 일조했다는 분석이다.
플라자 협정보다 큰 게 온다
이들 세 인물은 이른바 '마러라고 협정'을 통해 글로벌 무역과 금융 질서를 재설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는 점에서 월가가 신경을 곤두세운다.
특히 미란 위원장이 구상하는 협정에는 채권국들이 보유 물량을 장기 영구 채권으로 스왑하도록 한다는 미국 부채 구조조정도 포함돼 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314000765
이 기사도 지난주 하락 원인을 이야기하는데 일부를 올려드립니다.
제가 지난주에 트럼프 정부의 최종 목표가 미국 장기채를 100년 무이자 영구채 전환이라는 기사 전해드렸는데 비슷한 내용도 있고요.
<< '미국과 중국의 소득세에 관한 이중 과세 방지 및 조세 회피 방지를 위한 협정'인데, 중국 투자자들이 미국에 투자할 때 발생하는 이자와 배당금, 로열티 등에 부과하던 30%의 원천징수세(withholding tax)를 낮추거나 폐지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었다.>>
중국 자금 이탈로 해석하는 기사 내용입니다.
30% 원천징수세를 낮추거나 폐지한 협정이 깨질 것을 우려한 중국 자금이 미국 시장을 이탈했다는 내용입니다.
꼭 전문을 다 보시기 바랍니다.
요즘 기사에 제가 전에 몰랐던 중요 내용이 엄청 많이 나오네요.
1. 美 국채가, 낙폭 확대…獨 기금 합의에 연동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46809
마지막 세 번째는 미국 장기채 수익률이 잘 내려오다가
최근 급반등했는데 이것도 원인이 독일 국채 시장 영향이더군요.
미국 국채금리는 이날 독일 국채시장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유럽 국채의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독일 국채는 미국 국채와 통상 200bp 안팎의 스프레드(금리 격차)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이날은 독일 정부의 5천억유로 규모 경기 부양책이 임박했다는 소식에 독일 국채금리가 급등하면서 미국 국채금리도 연동되는 분위기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46809
독일 국채 대규모 발행 가능성에 미국 국채 장기물도 수익률도 반등했다.
세상이 뭐 다 연결되어 있습니다.
1. 금리 슈퍼위크…美파월·日우에다 입만 바라보는 금융시장
2. 글로벌 금리 빅위크…트럼프발 시계제로에 동결 전망
3. 이번 주 글로벌 금리 '슈퍼 위크'... 美·日·英·中 모두 동결 예상, 왜?
파월 의장 "정책 불확실성" 강조... 9월까지 금리 동결 유력
주요국 경제 지표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등 변수 산적
환율, 통화 정책·정치 불안에 변동성 확대
https://www.financial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2283
4. [뉴욕증시-주간전망] 시총 5조弗 증발…파월ㆍ젠슨 황 시장 달래줄까
5. 블룸버그 설문 "美 연준, 올해 9월부터 두 차례 금리 인하할 것"
6. '약달러' 맞춘 모건스탠리 "달러 약세 심화될 것"
모건스탠리 "달러 약세 심화될 것"…셧다운·상호관세·성장둔화
모건스탠리 “달러 더 하락할 것…미국 경제 건정성 우려”
블룸버그의 달러 건전성 지표는 올해 들어 지금까지 3% 이상 하락했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미국 경기침체가 촉발됐던 2008년 이후 가장 큰 하락 폭입니다.
보고서는 “미국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여겨졌던 요인들이 이제는 잠재적으로 미국 경제 성장에 부담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투자자들이 경제 성장세와 향후 재정 정책의 여파를 우려하고 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미국 정부의 셧다운 가능성은 달러화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모건스탠리는 지난해 말 월가 대부분 금융사가 달러의 지속적인 강세를 예측할 때부터 달러 약세 전망을 내놓아 주목받았습니다.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200741&ref=A
이번 주는 미국, 일본 금리 결정이 있죠.
흔히 말하는 엔케리트레이드 청산 우려도 여기 포함되겠죠.
각국이 동결로 전망한다고 합니다.
달러가 –0.13% 약세고요, 달러/엔은 살짝 반등해서 148.80입니다.
147에서 더 내려가나 했는데 반등하네요.
달러/원은 1450원이고요.
<< 캐나다, 미국 F-35 전투기 구매 재검토…트럼프 맞보복 시각도
트럼프에 반격?…캐나다, 美 전투기 구매 전면 '재검토'
캐나다, 美와 관세 전쟁에 ‘F-35′ 전투기 도입도 재검토>>
글 가독성을 올리기 위해 미국 시장 관련 기사와 애플, 테슬라 기사는 글 맨 아래에 올려드립니다. 참고하시고요.
엔비디아는 기대감이 있고 애플은 혁신 실패! 테슬라는 수많은 구설수에
좀 부정적이라는 내용이고요.
주말에 나온 소식으로는 캐나다가 미국 전투기 구매 재검토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오늘은 이 소식에 트럼프가 어떻게 반응하는지가 관건이겠습니다.
오늘은 반도체와 자동차 기대감 가지고 시장 보겠습니다.
# 주목해야 할 소식
1. 美, 러 제재 촉각 속...국제유가 상승, 천연가스는 내려
G7, 러-우크라 휴전안 관련 러시아 추가 압박
트럼프 관세정책 추가 발표도 잠잠해져/ 엑슨모빌 등 美 빅3 정유주 주가 큰 폭 올라
https://www.choic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4158
2. 러시아, 원유 거래에 비트코인·이더리움·스테이블코인 활용… 제재 회피 전략
3. 베트남, 美 LNG 등 수입 관세 인하 추진
베트남, 美 ‘흑자축소’ 압박에 관세인하·LNG 구매 등 ‘백기’
4. 국제 금값, 고공 행진...구리가격은 하락
국제 금값, 최고치 경신…트럼프 관세폭탄 우려에 안전자산 수요
5. 뤼터, 트럼프의 '30일 휴전안' 긍정 평가
나토 수장 "트럼프가 우크라전 교착 깨뜨려...나토 공약 확고“
6. 우크라는 한탄하는 ‘광물협정’, 민주콩고는 쌍수 들고 환영...그 속사정은?
민주콩고, 반군 위협에 美에 광물협정 대가로 군사지원 요청
트럼프, ‘거래적 관계’에 관심...차녀 시아버지 특사 임명 가능성 거론
광물협정 맺어도 민주콩고 안보 효과 크지 않을 수도
https://www.etoday.co.kr/news/view/2452231
7. 기후 변화까지 겹쳐, 세계식량가격지수 8.3% 급등
8. 美 기후 공백, 英·獨·日이 메운다
JETP 탈퇴한 美 대신 자금 지원
라이벌 中이 리더십 대체 전망도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1670731
9. 2차전지·철강 반등 신호에 뜨는 포스코그룹주 [ETF줌인]
핫한 한화그룹 제쳤다… 한 달 수익률 24% 찍은 포스코그룹 ETF
미국이 후티 반군을 공격했는데 일요일 개장한 이스라엘이 0.75%, 사우디가 1.09%
상승이어서 큰 악재는 아닌 것 같습니다.
금속은 구리가 –0.6% 하락, 금은 3000달러 지켰고요. 0.33% 상승,
은도 34.433달러 0.37% 구리만 하락입니다.
유가도 0.95% 반등, 천연가스는 장중 변동이 심하네요. -0.17% 하락이지만
4.1달러는 지키네요. 조금 수익입니다. 4달러가 깨져야 수익인데 힘드네요.
더 지켜보겠습니다.
1. 무디스, SK이노베이션 '투자적격→부적격' 신용등급 하향
2. "9500만원 쏟아부었는데"…계좌 보던 개미 '눈물' [진영기의 찐개미 찐투자]
삼성SDI, 유상증자 결정에 주가 급락
52주 신저가…시총 순위도 32위로 밀려
"현재 주가 수준에 유상증자 적절했나 의문"/ 회사 "재무 안정성 고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1449876
3. '2조원 유증' 삼성SDI, 전기차 '캐즘'에도 미래 투자 확대… 글로벌 산업 재편 가속화 [AI PRISM*기업 CEO 뉴스]
삼성SDI 2조원 유상증자 결정, 전기차 판매 22.6% 감소에도 미래 투자 확대
美 철강 관세 25% 본격화… 중국산 수입 51.5% 급증, 원산지 검증 강화
인텔 새 CEO 주가 11% 급등… 트럼프 정부, 94조원 알래스카 LNG 참여 요구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Q96OCPH5
4. 15% 할인율에 담긴 자신감? 삼성SDI 유상증자 흥행 가능성은
2조원 규모 대형 유상증자... 한화오션 이후 최대 규모
LG디스플레이 20%, 한화오션 30%와 달리 낮은 할인율 적용
삼성그룹 지분 20%... 외부에서 1.5조원 이상 조달해야
GM 합작법인, 헝가리 공장 확대 등 성장 투자에 활용 계획
https://www.invest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3/14/2025031480151.html
5. 미중 싸움에 韓 등 터질라…中 우회수출·수출통제 주의보
미중, 관세·보복조치 주고받으며 갈등격화…중간재 수출·대미투자 기업 타격
中 기업의 '한국산' 둔갑·원산지 규정 미충족으로 우회수출 리스크
중국, 핵심광물 수출통제 무기화…'중국 대체수요' 기회 요인도
https://www.sentv.co.kr/article/view/sentv202503160015#rs
6. [팩트체크]4000억 카드값으로 돈놀이한 홈플러스, 증권사 탓일까?
신보·국민연금도…연기금도 비상[홈플러스 금융권 파장②]
“개인에 팔린 홈플러스 채권 2000억 넘었다”…개인·일반법인 피해 ‘눈덩이’
개인에 팔린 홈플러스 채권 2천억대…피해 '눈덩이
홈플러스 채권, 개인이 2천억 원대 사들여
요즘은 아시아 시장에서 우리 시장이 중화권 시장이랑 손잡고 강했는데요.
금요일은 삼성SDI 충격이 상당했습니다.
배터리 대장들이 급락입니다.
SK이노는 이제 신용등급 하향 맞았네요. 신고가 달리고 있었는데
배터리 회사들 자금난을 반영하기 시작하는 모습이고요.
오늘 우리 지수가 달리려면 배터리가 수습되어야 합니다.
상법개정으로 미리 유상증자하자! 이런 분위기 감지되면 돈 많이 들어가고 부채 많은 기업 위주로 상당히 힘들어지고 지수도 부담이라는 생각이고요.
1. '대출 공화국' 작년 말 가계부채비율 세계 2위…통화정책 '발목'
IIF 기준 91.7%, 캐나다 다음으로 높아…BIS 기준으론 3분기 세계 5위
"토허제 해제 등에 두달뒤 가계대출 급증 가능성"…기준금리 인하에 부담
2. "공포가 밀려온다"…두달뒤 급증 우려 '속수무책'
韓,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91.7%…세계 2위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3160026
가계 부채 비율이 세계 2위라고 합니다.
부채가 이러면 부양할 수가 없겠죠.
정리하면 기업도 어렵고 가계도 어렵다는 이야기입니다.
단기로 유상증자, 기업들의 상법개정 역공으로 유상증자 남발
이런 분위기 나오면 큰일이라는 생각입니다.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中 증시 '날아 오른다'
2. 정부 '내수 진작' 기대에…中 증시도 연고점 갱신
3. [오늘A주] 부양책 예고에 반등...마오타이 5.8% 등 백주섹터 급상승
상하이종합지수 3419.56(+60.83, +1.81%)
선전성분지수 10978.30(+242.11, +2.26%)
촹예반지수 2226.72(+60.72, +2.80%)
커촹반50지수 1088.11(+18.41, +1.72%)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314000733
4.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은 13일 저녁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오는 17일 오후 3시(베이징 현지시간) 합동 기자회견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재정부, 인력자원사회보장부, 상무부, 인민은행, 시장감독총국 등 6개 기관 관계자들이 기자회견에 나선다. 이들은 현재 소비 진작과 관련된 사항을 소개하고, 기자들의 질문에 대답할 예정이다.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리창(李强) 중국 국무원 총리가 강도 높은 내수 소비 진작 정책을 공언한 이후 국무원 6개 부처가 처음으로 나서서 기자회견을 개최하는 만큼, 소비 진작 정책이 발표될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내수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이 발생하면서 이날 오전부터 중국 증시는 강세를 띠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314000733
연일 급등하는 곳은 유럽, 독일, 중국이죠.
공통점은 재정을 푼다. 돈을 푼다. 이렇습니다.
미국은 돈 풀기 멈추고요. 그럼 시장 돈은 돈 푸는 곳으로 움직이겠죠.
독일이 1.86% 상승하고 상해도 1.8% 상승이죠.
제가 월요일 기자회견 소식이 호재 같다고 했는데
1. 5% 성장 목표 위해 中 올 1000조 돈폭탄 투하 준비
5% 목표 어려워질 가능성 농후
디플레에 대미 관세전쟁도 부담/ 재정 적자 GDP이 4%까지 확대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16010008000
금요일 중국 시장은 이 기대감으로 급등합니다.
작년 지수 안 좋을 때는 이런 기사 나오고 상승하면
발표날은 뭐 별거 없네! 이러면서 조정받는데 올해 중국이 던지는 돈이
장난이 아닙니다. 미국으로부터 배워서 저러는지 돈을 뿌린다는 생각입니다.
돈 폭탄을 싫어할 시장이 있겠습니까?
1. "아이폰16e, 中서 SE보다는 잘 팔려…판매량 반등은 없을 것
애플 아이폰16e, 초기 판매 호조에도 중국 사업 전망은 '먹구름'
2. 삼성·구글 이미 했는데?…지각생 애플 '에어팟 AI 통역'
‘시리 AI’ 개발 지연에 애플 내부도 ‘난감·당혹·좌절’…혼돈 속 희망
3. 애플이 우리 따라하나'…9.9달러 中, AI통역 이어폰
4. 가성비 甲 중국산 AI 통역 이어폰, 미국 이민자들 사로잡아
애플도 한발 늦었다?...'한 달에 30억원' 팔린 '중국 AI 이어폰, 美시장 침투
한 달 만에 30억원어치 팔렸다... 15000원짜리 중국산 이어폰 불티나게 팔린 이유
타임케틀의 창업자인 톈리는 CCTV와의 인터뷰에서 "방향과 거리 정보를 활용한 독자적인 알고리즘을 개발해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고 보다 정확한 통역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타임케틀의 비즈니스 미팅용 프리미엄 제품은 약 20만 원에 판매되고 있으며, 가성비를 앞세운 저렴한 모델들은 몇만 원대 가격으로 다양한 이민자층을 겨냥해 출시되고 있다.
https://www.insight.co.kr/news/495373#google_vignette
올해 충격이 딥시크였습니다. 미국은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어서 만드는 인공지능이
중국은 싼 값에도 한다. 이런 것 때문에 미국 인공지능이 충격받았는데요.
미국 애플은 시리 출시가 지연되고 있는데 중국 9.9달러 통역 이어폰이 떡 하니 출시되면서
또 혁신이 보여주죠.
1. 바이두, 추론 AI 모델 등 2종 출시...딥시크와 본격 경쟁
딥시크와 경쟁 본격화
https://www.etoday.co.kr/news/view/2453001
인공지능도 마찬가지죠. 알리바바가 나서더니 이제 바이두까지 출시합니다.
개인 정보 보호 미흡 이것만 아니면 중국 인공지능 안 쓸 이유가 없죠.
기술 혁신의 대명사였던 애플은 뒤처지고 중국 기술 업체들은 혁신을 이어가고요.
그럼 어디가 달리겠습니까?
미국 시장에서 징둥이 4%, 핀둬둬가 3%, 알리바바가 1.99%, 이상하게 바이두만 –0.47% 하락이네요. 오늘은 중화권은 차익 매물 출회냐? 기자회견으로 더 달리느냐?
1. `대체 불가의 힘`… 트럼프 압박에도 中 투자 늘리는 ASML
유럽내 반미감정 고조 등 영향
대중국 매출비중 작년 40% ↑
"韓, 최선단 HBM4 기술력 시급"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31602109932075002
2. 美, 중국 범용 반도체 추과 관세 준비…中 "결국 美에 부담"
3. 美 제품 3분의2에 '중국산 반도체'…제재 강화에 韓 반사이익 누릴까
미국, 중국산 레거시 메모리 제재 강화 검토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31214170136748
4. 중국 '반도체 자립' 현실화…EUV·GAA 개발해 첨단공정 노린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31416502373022
5. EU "트럼프 관세 전쟁, 중국은 지켜보며 웃고 있어"
블룸버그TV 인터뷰서 트럼프 동맹국 처우 비판
"美-EU 무역전쟁, 중국엔 정말로 큰 이익 되고 있어"
美에 자제 촉구하면서도 "EU, 보복 준비돼" 재확인
6. 美 트럼프 글로벌 기업 목줄 죄는 사이 회유 나선 中 시진핑
中 시진핑, 이달 말 베이징서 글로벌 기업 CEO들과 회동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833526642103648
7. 트럼프 관세위협 역풍? 동맹국들, 중국·인도와 손잡는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조치를 강화할수록 EU와의 지정학적 동맹 관계가 흔들려 중국이 반사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다.
퀀텀 전략의 설립자인 데이비드 로슈도 비슷한 의견이다. 그는 "유럽은 (미국의) 대체 시장을 찾아야 한다"며 "중국이 그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간 유럽의 대중 수출 통제 방안은 주로 미국의 요구에 따라온 것"이라며 "이는 미국에 안보를 의존하는 대가의 일부"라고 지적했다.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가 강화하면 유럽인들이 타격을 받을 수 있지만 미국의 영향권에서 그만큼 멀어진다는 것이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314000825
8. 나스닥 떨어질 때 치솟았다…'힘숨찐' 테크기업 모인 이 곳 어디? [김민경의 글로벌 재테크]
찬바람 불던 中스타트업 시장에/ 딥시크 기대 커진 투자자금 물밀듯
유동성 힘입어 IPO 시장도 '호황'/ "기술주 성장에 중국시장 희망 커져"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Q973ORWB
과창판이 1.7%, 창예판이 2.8% 급등인데요.
제가 유럽 때리면 미국 고립으로 간다고 했는데 ASML이 미국 제재에도
중국 수출을 늘리네요. 유럽 손잡고 중국 반도체 막아도 될까 말까인데
유럽을 저렇게 때리는데 유럽이 얻어맞고 중국 막는 것은 협력할까요?
쩝 시진핑만 웃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 반도체도 기업들은 혁신을 거듭하고요.
트럼프 때문에 다 같이 망하게 생겼습니다.
1. BYD 보다 싸고 예쁘다는 말도 안 되는 전기 SUV 공개
중국 전기차 업체 샤오펑(Xpeng)이 중형 크로스오버 G6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공개했다. 이번 페이스리프트 모델은 디자인 개선, 사양 향상, 가격 인하를 특징으로 한다.
https://v.daum.net/v/4dxgu0XDaQ
2. BMW "트럼프 관세에 올해 1.6조 손해 예상"
https://biz.sbs.co.kr/article/20000222919
3. 충전 한번에 792km 질주…'보급형'으로 中 공략
독일 자동차업체 메르세데스-벤츠가 자사 기준 '보급형' 전기차 모델을 선보였다.
4. 美 테슬라, 잘 나가던 中 시장서 '고전'
5. 오토바이 시대 끝났다.. 토요타, 혁신 신차 등장 '현대기아 날벼락'
https://v.daum.net/v/9TwyfzFOz3
미국 시장이 급등하는데 중국 전기차는 차익 매물을 맞았습니다.
리오토가 –4%, 샤오펑이 –6%, 니오는 3%, 지커는 4%
중국 전기차 주가는 혼조네요.
1. 12개나 해당 "이럴수가"…현대차·기아, 미국서 일냈다
현대차, 美 '가장 안전한 차' 최다 선정…충돌 평가 우수전
현대차·기아, 미국서 일냈다... '가장 안전한 차'에 12개 차종 선정
현대차그룹, 美 충돌평가서 '가장 안전한 차' 12개 선정
투싼·GV70·80 5년, 텔루라이드 7년 연속/ IIHS "가족 안전 소비자에게 최상의 선택"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31409301165212
2. 현대차·기아, 작년 R&D에 8조원 투입…올해 더 늘린다
현대차·기아, 작년 연구개발비 7조8367억
전기차·SDV 등 미래 모빌리티 기술 확보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313_0003098073
3. 현대차 아이오닉 5, 올해 국고보조금 최다 전기차
올해 3월 기준 더뉴아이오닉5 613만원
아이오닉6, 기아 더뉴EV6 등이 뒤이어
수입차는 폭스바겐 ID.4, 볼보 EX30 순
최근 출시된 준대형SUV, 270만원 전후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314_0003099251
4. 전기차 시장에 봄볕 드나? 현대차, 지난달 전년보다 8배 넘게 판매
https://www.khan.co.kr/article/202503161031001
5. 현대차·기아 전기차 내수 점유율, 70%선 회복…테슬라는 부진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8022033
외국인이 기아를 정말 꾸준히 매도 중입니다.
반대에서 기관이 사주면서 기아가 10만원 회복했는데 금요일 기관도 파니
기아가 10만 원이 깨지고요.
현대차는 반대로 외국인이 꾸준히 사고 기관이 매도 중인데
여기도 금요일 20만 원이 깨졌습니다.
단기로는 기아가 10만원, 현대차는 20만원이 벽돌 같은데요.
내수에서 회복을 좀 했습니다. 유럽과 내수 판매가 힘들었는데 점유율 70% 복구하네요.
이게 호재고요.
미국 시장에서 토요일 새벽 도요타, 혼다, 포드, GM 모두 2%대 상승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자동차 기대감이 상당히 올라가네요.
저는 사실 로봇 기업 가지고 있고
미국에 공장 있고, 원화는 약세고
이런 정도면 관세 우려보다 호재가 더 많은 것 아닌가?
현대차가 왜 못 가지? 이런 의문이 있습니다. 반대로 하면 기대한다는 이야기죠.
1. HL만도, 中 성장 둔화···투자로 고삐 죈다
매출 2조원 돌파했지만 증가폭 매년 하락세
당기순손익은 41%↓···자산가치 하락 영향
계열사 지분 확대·합작사 설립해 성장 추진
https://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410223
2. 美 생산기지 보유한 車부품주 '질주'
입력2025.02.23 17:31 수정2025.02.24 09:32
에스엘, 하루 18% 급등
화신·서연이화도 강세
트럼프, 25% 車관세 땐
완성차 현지 생산 늘 듯/ 부품 매출도 상승 기대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333231
금요일 자동차부품은 –0.14% 하락이지만 급등 종목이 제법 나왔습니다.
서연이 7%, 동원금속이 6% 급등인데요.
미국 생산 공장 가진 자동차 부품이 지난 2월에도 급등했는데요.
3월에 다시 자동차 부품이 달리나? 이런 기대감을 금요일 가졌습니다.
1. 中 부동산 붕괴, 빅테크는 부작용..."시진핑식 충격요법이 망쳤다"
서방 언론이 보는 중국 경제
中, 올 성장률 목표 5% 제시/ 전문가들은 4%대 중반 예상
# 우리 시장 이야기
1. 한국, 미국에 관세 면제 요청…무역부 발표
한국 무역부 장관은 토요일에 미국 무역대표부 장관에게 4월에 상호 관세가 발효될 경우 한국에 대한 관세를 면제해 줄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정인교는 이번 주 워싱턴을 방문하여 미국 무역대표 제이미슨 그리랜드를 만나 한국이 불리한 처우를 받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고 산업통상자원부가 성명을 통해 밝혔습니다.
https://www.cnbc.com/2025/03/15/south-korea-asks-us-for-tariff-exemption-trade-ministry-says-.html
2. 美 상무부 장관 "자동차 관세 한국도 포함"…한국도 비상등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의 상품무역 순적자 규모는 1조2천억 달러(약 1천746조원)로 나타났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이 2천954억 달러(약 430조원)로 가장 많았고 이어 유럽연합(EU) 2천356억 달러(약 343조원), 멕시코 1천718억 달러(약 250조원)였다. 한국은 베트남·대만·일본에 이어 7번째로 많았다.
품목별로 보면 한국의 경우 자동차 부문에서 미국의 무역적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컸다.
https://www.imaeil.com/page/view/2025031510560155900
3. '車관세 한국도 예외없어'…美국방 순방서는 '한국 패싱'
미 상무 "한국차도 자동차 관세...모든 나라에 부과해야 공평"
美 "상호관세, 한국 등 모든 국가에 부과하는 게 공평“
주말에 CNBC에 한국 기사가 올라오더군요.
미국 방문 중인 산업통산자원부 장관이 관세 면제를 주장했고
미국 상무장관은 예외가 없다고 아예 못 박아 버리네요.
미국이 유럽, 캐나다, 멕시코, 중국과 전쟁 중인데 4월 2일 전후로는
우리도 영향권에 들어갈 것 같습니다.
아니면 오늘 당장 자동차 업종 약세가 계속 나올 수도 있겠고요.
아직 협상할 정부가 없다는 것으로 인식하는지 큰 그림에서만 이야기하고
미국 국방장관은 아예 한국 방문도 안 하고요.
잠재적 위험일지? 자동차부터 오늘 영향을 받을지는 지켜봐야겠습니다.
1. “올해 미장보다 국장?”…반도체 훈풍에 힘받는 코스피 강세론
2. '역대 최장' 42일간 코스피 폭풍매수한 연기금…더 살까 그만 살까
3. 증시 버팀목 연기금 '이상기류'…폭풍매수세 '꺾였다'
'역대 최장' 42일 순매수랠리 '종료'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3160014
4. ‘역대 최장’ 42일 동안 코스피 사들인 연기금… 매수 이어질까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연기금의 매수 기조는 유효하다”며 “국내 주식 비중확대 여력이 여전히 큰 가운데 올해 상반기 중 10조원 이상 순매수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반면 김중원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올해 국내 주식이 연기금의 다른 자산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어 TAA(전술적 자산배분) 허용범위 조정이 곧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연기금의 영향력이 줄어들 가능성을 언급했다.
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민연금 등 연기금은 추세 추종보다는 저점매수에 더욱 집중한다"며 "연기금 수급은 얼마나 더 오를지보다 시장의 하단을 추정하고 확인하는 데 의의가 있다"고 분석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61314
수급으로 보면 외국인이 코스피를 정말 안 사네요.
42일 매수하던 연기금은 마침표를 찍고 500억 근처에서 샀다 팔았다.
더 이상 크게는 안 사는 모습이고요.
보여드리는 그림은 코스피 2월, 3월 지수 그림인데요.
직전 2월 28일 갭 하락이 만들어진 부분이 아직 안 채워졌죠.
그래서 단기는 이번 주 저 갭을 채우는 기대감이 있고요.
3월 전체로는 2600선 전고점 돌파 기대감도 있기는 합니다.
돌파하려면
이번 주 정치적 위험이 안도 상승으로 바뀌어야 할 것 같고요.
시장 친화적인 결정이 나와야 전고점 돌파 시도가 가능하지 않겠나 싶고요.
2. 수급으로는 외국인이 현물 매수가 나와야 할 것 같고요.
이건 3월 31일 공매도 재개와 연결될 것 같습니다.
3. 뭐 환율, 금리, 관세 이런 것들도 어느 정도 우호적이어야 할 것 같은데
사실 희망적인 것이 안 보이죠. 그런데 시장은 이런 불안을 먹고 상승한단 말입니다.
반대로 오늘 같은 날은 미국 시장 영향으로 모두가 상방 보면 또 고점에서 밀릴 수도 있고요.
야! 미국 급등이네 이러면서 개인이 콜을 대량으로 사면 이게 또 위로 가기가 부담이죠.
공매도와 관련해서 전략을 준비한다면
우리 공매도는 어떻게든 주식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연기금이 빌려주겠죠. 연기금은 쌀 때 밑에서 사고 외국인이 공매도를 위해 빌려가는 종목 위주로 팔아먹고요. 외국인은 또 공매도 치고요.
1. 1년 4개월 만의 공매도 귀환…K증시 외국인 복귀, 변동성 완화도 기대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0751
연기금이 충분히 현물을 사둔 것도 여러 전략 중 하나일 것 같은데
공매도 전략도 포함되어 있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연결해서 보면 분명 3월 첫 주나 만기 주였던 지난주 외국인이 확 밀어버릴 기회가 있었단 말이죠. 그런데 선물 계좌 상 손실 구간에도 안 밀어버리네요.
롤오버하고 마는데 이것도 공매도와 연관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하여간 외국인은 현물도 팔고 선물도 팔아서 언제든지 하방으로 갈 준비는 해두었는데
실행을 안 하네요.
파생 관점에서는 이게 좀 두렵고 걱정스럽네요.
얼마나 해 먹으려고 이렇게까지 키우고 있나?
6월 만기에 해 먹으려나? 뭔 온갖 시나리오가 머릿속을 맴돌고 있습니다.
1. 외국인 투심은 방산주로…반도체주는 ‘팔자’ [투자360]
2. 삼전 매수각 잡는 개미들...외국인 8개월째 '팔자'
3. 外人 8개월째 팔고 개미들은 줍줍…삼성전자 주가 흐름 누가 맞을까 [투자360]
이달 들어 외국인 6120억원 순매도…개인은 2870억 순매수 전환
“1분기 실적 저점·주가 저평가” vs “엔비디아 납품해도 수혜 제한적”
4. [살까팔까] 삼성전자, 외국인 8개월 연속 파는데…매수 타이밍 잡는 개인
외국인, 삼성전자 8개월 연속 순매도…개인은 '사자' 전환
'반도체 경쟁력 회복' 삼성전자 차가운 '투심' 녹일까
5. '반도체 경쟁력 회복' 삼성전자 차가운 '투심' 녹일까
외국인 8개월 연속 팔자 행렬…개미는 사자
19일 주주총회 이사회 전문가 포진
https://www.imaeil.com/page/view/2025031513312660140
하이닉스를 금요일 기관 외국인이 같이 매수하고요.
기관은 5거래일 연속 매수합니다.
삼성전자는 기관이 3거래일 연속 매수 외국인은 매도 중이고요.
기사는 개인이 삼성전자 매수한다고 하는데요.
저는 기관 수급이 지금 반도체에 들어왔다는 생각이고요.
기관만 안 팔면 하이닉스는 좀 더 희망이 있다는 생각이고요.
삼성전자는 SDI 유증에서 충격을 좀 받은 것 같습니다.
오늘도 미국 시장 영향으로 반도체 상승이 기대되는데
하이닉스가 더 기대되죠. 22만 원까지 가 줄지?
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반도체 관련 기사는 글 아래에 두겠습니다.
늘 비슷한 전망이라 긴 기사들 같이 올리기는 부담이네요.
하여간 오늘 우리 지수는 하이닉스가 좌우할 것 같습니다.
하이닉스가 시세 분출을 강력하게 하면 1% 이상 돌파도 가능할 것 같고요.
삼성전자는 금요일 상승 못 한 것을 오늘 반도체 강세에 반영할 수도 있을 것 같고요.
둘이 같이 올라가면 너무 좋고요.
1. 코스닥 올해도 상승?...홀수 해마다 올랐다
https://www.mk.co.kr/news/economy/11264204
2. (주간증시전망)헌재·연준 등 변수 산재…2500선 지지 확인
미 FOMC·예산안 통과 변수
"방어적 투자 전략 필요"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256076
특이한 것은 외국인이 코스닥을 2000억 매수합니다. 코스피는 –2894억 매도하면서
시장을 걱정하고 있다면 코스닥 매수할 이유가 없겠죠.
그런데 코스닥은 매수한다. 전 종목 공매도 시작인데
공매도 전에 똘똘한 코스닥 종목은 좀 올려두려고 하나?
3월 7일부터 외국인이 코스닥을 사기 시작했습니다.
정리하면 오늘 갭 상승 후 수급이 어디로 갈지 궁금한데요.
삼성전자, 하이닉스이 지수 상승을 만들면 위클리 옵션 만기까지 합쳐서
위로 갈 힘도 상당할 것 같고 2월 28일 갭 채우기도 가능해 보인다.
이 정도 기대감이고요.
갭 상승 후 개인이 선물이나 콜로 대규모 진입하면서 상방으로 몰리면
장 중이나 주간으로는 또 박스권 상단 만들면서 지루한 행보도 가능합니다.
언제든지 방향 바뀔 수 있으니 대응한다. 한 방향으로 쏠리지 않는다.
이 정도로 보고 대응해야 할 것 같습니다.
2조 유상증자 수습도 중요하고요.
상법개정 기대감 반대편이 이런 유상증자 급증일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1. '상장 폐지' 고삐 쥐는 거래소…빨라지는 '좀비기업' 퇴출
쌍방울·이화전기 등 상장폐지…효력정지 가처분 인용률은 '극소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131885
2. 올해 밸류업 공시 21곳…"배당 언급 가장 많아"
21개 기업 중 18곳이 배당 관련 내용
밸류업 공시 기업마다 주가 흐름 달라…"실제 이행이 중요"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31317003433606
3. 상의 "기업 밸류업, 상법개정 아닌 조세제도 개선해야"
경제계 "밸류업, 상법 개정 대신 배당 확대로"
경제계 "상법 개정보다 '주주환원 촉진세제'로 밸류업 모색해야"
"상법 개정보다 배당 세제 바꿔야 밸류업 가능" 재계의 호소
경제계 “밸류업 위해 상법개정 보다 ‘주주환원 촉진세제’ 모색해야...
4. '영업익 반토막' 영원무역, 상장 후 최대 배당…오너家 조용히 웃었다
별도 순이익 50% 배당…주당 5350원/ 연결 실적은 급감… '스캇' 영향 영업익 40%↓
가족회사 YMSA 배당금 더 늘어, 이익잉여금 ↑
다음 배당부터 '감액배당' 나설 듯…주총안건 올려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31406061224085
5. “3월 지나면 늦어요”...돈 벌 기회가 왔다? 은행이자보다 좋은 벚꽃배당
꿩먹고 알먹는 투자전략
① ‘은행이자<배당률’ 반드시 체크
② 배당률 계속 상승하는 종목 매수
③ 실적 개선될 저PER株 골라담고
④ 회사 장기 밸류업 공시 챙겨봐야
https://www.mk.co.kr/news/stock/11264433
# 우리 반도체 관련 기사 모음
1. HBM은 지지부진했는데…“삼성전자, 양자컴퓨터 현실화 수혜주” 왜?
KB증권 "양자컴퓨터 현실화…삼성전자·LG전자·SK텔레콤 수혜"
2. 삼성전자, AI용 초고용량 SSD ‘타이탄’ 프로젝트 본격화… 메모리 시장 금맥 캔다
올해 ‘구독형’ 초고용량 SSD 서비스 확대… 빅테크 정조준
AI 최적화 컨트롤러 탑재… “업계 선두 굳힌다”
3. '5만전자' 늪 빠진 삼성전자…반등 기대되는 이유
외국인 매도에 삼성전자 주가 지지부진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에 투심 개선 지연
낸드 가격 상승…반도체 업황 개선 가능성
엔비디아 콘퍼런스 관련 모멘텀 기대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578486642103320
4. "레거시 반도체 수요 개선…SK하이닉스 목표가 29만원"-한화
SK하이닉스, 레거시 수요 빠른 개선… 목표가↑ [오늘, 이 종목]
한화證 "SK하이닉스, 딥시크발 레거시 수요 개선…목표가 3.6%↑"
SK하이닉스, HBM과 레거시 반등에 주목…목표가↑-한화
[특징주] SK하이닉스, 레거시 수요 개선 전망에 5%대↑
5. 하나증권 "레거시 반도체 안정화 기대…삼전·SK하닉 실적 상향 가능
6. 한화세미텍, SK하이닉스와 TC본더 첫 납품 계약..."글로벌 HBM 공급망 합류"
한화 삼남 김동선이 이끄는 반도체 장비 업체
반도체 장비 기술력 입증...연구개발 지속
https://www.ajunews.com/view/20250315080314045
# 미국 시장 이야기 기사 모음
1. 서학개미 밤잠 설치는데…"관세 여파 시작도 안했다" [노정동의 어쩌다 투자자]
[노정동의 어쩌다 투자자]
증권가 "美 반등 3분기부터"/ 조정 구간 진입한 S&P500/ "하락 속도 너무 가파르다" 우려
"아직 관세 영향 시작도 안해"/ "관세 여파 나타나는 5월 이후 반등 기대"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1445846
2. ‘미국 예외주의’ 끝났나…“연고점 못 간다” 증시 비관론 우세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50314026236376
3. 바닥 아니라는 비관론자…"S&P, 5,300선에서 사라" [글로벌마켓 A/S]
마이클 하트넷 뱅크오브아메리카 수석 전략가는 S&P500 지수가 5,300선까지 하락할 때 매수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냈다. 그는 현재 전세계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펀드매니저 설문(FMS)에서 현금 보유 비중이 3.5%로 이 기준이 4%를 넘기는 것을 첫째 조건으로 제시했다.
자체 집계한 공포와 탐욕 심리는 현재 5.2선으로 극단 수준인 2포인트에 근접해야 하고, 미 주식시장에서 빠져나가는 자금이 2천억 달러를 넘어서거나 하이일드 스프레드가 400bp를 넘어설 때 저가 매수 여건이 완성된다고 전망했다.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3150227
4. 트럼프 “굽히지 않겠다”… ‘4·2 상호관세’ 재차 강조
철강 이어 車 고율 관세 강행 예고
美상무장관도 “韓 등 모든 車 관세”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50315/131211528/2
5. 애플 "통합형 시리 출시 연기는 추하고 창피한 일"...내부 사기 크게 꺾여
6. “터질 게 터졌다” 140만원 아이폰, 비싸도 샀는데…믿었던 애플 ‘배신’, 분노 폭발
서울YMCA 시민 중계실 “허위 광고” 주장
“고의로 숨기고 판매” 보상 촉구…법적 대응 예고
IT업계, 애플 AI 부서 내홍 등 논란 제기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442591
7. 애플 ‘에어팟’, 확 달라진다...파격 업그레이드
하반기 업그레이드 통해 실시간 통역 기능 제공
애플 내부에서 바라본 시리 출시 지연… '추악한' 상황 [글로벌 IT슈]
유출된 시리 개발팀 회의 내용… 직원들 좌절감 느끼고 있어
https://www.fnnews.com/news/202503142246357131
8. 캐시 우드 "테슬라 목표 주가 2600달러 유지…“자율주행 시장 선점할 것”
9. ‘주가 폭락’ 부른 머스크의 입, 하늘 주도권 야욕이 화근 [김기혁의 테슬라월드]
10. "머스크가 박살냈다"…29조 굴리는 큰손, 테슬라 '손절'
덴마크 연기금, 테슬라 '손절'…"머스크가 기업가치 훼손"
아카데미커 펜션, 테슬라 주식 전량 매각
https://www.ajunews.com/view/20250315163838158
11. 테슬라 주가 상승여력 40%···‘물타기’ 아닌 ‘바이 더 딥’ 척도로 제시된 이것 [매일 돈이 보이는 습관 M+]
월가 “3년만에 돌아온 공포를 이용하라”
마진율 추이 보면 ‘뜰 주식’ 보인다/ 월가 “아마존 주가 상승여력 35%”
https://www.mk.co.kr/news/stock/11260337
12. 갈림길에 선 테슬라…폭락한 주가 반등 가능성은?
머스크 CEO 정치적 행보 오너 리스크 확산
하반기 로보택시 자율주행 서비스가 관건
트럼프의 강력한 지지 업고 중국 BYD 정면대결
https://www.imaeil.com/page/view/2025031511595652917
13. 트럼프 해외원조 중단에 존스홉킨스대 칼바람…"2천여명 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