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큰일입니다! 하지만 희망도 있습니다. 미국 민주당 국가 비상사태 해제 법안 마련! 4월 3일 장전 시황

평생선물 2025. 4. 3. 06:49

큰일입니다! 하지만 희망도 있습니다. 미국 민주당 국가 비상사태 해제 법안 마련! 43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미국 3월 민간 고용, 관세 우려에도 15.5만건 증가…예상 상회

 

2. 민간 고용, 3월 15만5000명 증가…관세 불확실성 속 고용 견조

2월 8만4000명서 증가

전문가 예상치 12만명 상회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RD8IM1QU

 

민간 고용이 좋게 나오면서 하락 출발한 미국 시장이 오전 내내 오르고요.

오후에 살짝 밀렸다가 종가에 다시 올랐습니다.

새벽에 일어나서 오늘 관세부과 나오는데 이렇게 좋나? 이런 생각으로

우리 시장 이야기 적고 아시아 시장 이야기 적을 즈음

5시 관세부과 발표가 나왔습니다.

 

그런데 처음 트럼프 연설 때는 나스닥이 1.8% 가까이 급등하더군요.

! 관세가 낮게 나오네. 이런 기분이었습니다. 보통 관세로 10%로 시장이

처음 해석한 결과물이고요.

문제는 트럼프가 연설 중에 관세부과 판을 가지고 나오면서 설명할 때부터 망했습니다.

보편 관세에 상호관세까지 합친다는 해석이 나오면서 지수가 급락합니다.

나스닥 1002.5%까지 하락했으니

불과 30분 사이에 지수가 4%대 근처로 오르락내리락 고점에 3ETF 잡았으면

30분 만에 지수로 12% 손실입니다.

 

상호관세 발표 후폭풍, 주식선물 하락S&P선물 1.7%

트럼프 관세 폭탄, 지수선물 일제 급락…나스닥 2.39%(상보)

 

, 기본적으로 10% 관세'최악국가'는 추가 관세 부과

 

유사남 - 쉽게 배우는 미국 경제 TV

국가 미국의 상호 관세율

정리 BY 유사남

 

중국 34%

유럽연합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

한국 25%

태국 36%

스위스 31%

인도네시아 32%

말레이시아 24%

캄보디아 49%

영국 10%

남아프리카 30%

브라질 10%

방글라데시 37%

싱가포르 10%

이스라엘 17%

필리핀 17%

칠레 10%

호주 10%

파키스탄 29%

터키 10%

스리랑카 44%

콜롬비아 10%

 

+ 기본관세 10% 일듯

https://www.youtube.com/@%EC%9C%A0%EC%82%AC%EB%82%A8/community

 

오늘은 정규장 이야기해 봐야 의미 없고요.

기존 10%에 상호관세 더하면 지옥문 열렸습니다.

 

야 작년 84일인가요?

엔케리 트레이드 청산 때 아시아 시장 사이드카 발표되던 상황이 재연될까?

심각하게 걱정이 되네요.

 

1. "한국에 25% 상호관세"전세계 관세전쟁 격화

 

2. 상호관세 발표...한국 25%·EU 20%·일본 24%·대만 36%

트럼프, 25개국 상호관세 적힌 판넬 들고 등장

반도체 등은 언급 없어자동차만 25% 재차 강조

"최악은 한국 일본 등이 부과하는 비금전적 장벽"

https://v.daum.net/v/20250403061314714

 

정리합니다. 지옥문이 열렸고요.

미국도 엄청난 분열의 시간이 시작될 것 같습니다.

트럼프가 지옥문을 열었지만 도저히 견딜 수 없는 힘이 작용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1. 트럼프 관세 조치에 항의하는 미국 상원 투표, 일부 공화당 지지 끌어내

 

민주당은 통과를 위해 최소 4명의 공화당원의 지지가 필요하다

상원의원들은 트럼프 관세가 자기 주 기업에 피해를 줄 것이라고 말한다

법안의 목적은 트럼프의 '비상' 선언을 종료하는 것입니다.

워싱턴, 42(로이터) - 미국 상원은 수요일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캐나다 수입품에 대한 새로운 관세 에 항의하는 조치안에 대해 투표할 것으로 예상되며 , 이는 상원에서 일부 공화당의 지지를 얻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하원에서는 부결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이 발의한 법안은 트럼프 대통령이 122일에 선포한 국가 비상사태를 종료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비상사태가 멕시코, 캐나다, 중국에서 치명적인 펜타닐 약물의 불법 수입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며 캐나다에 엄청난 신규 관세를 부과하려 했다.

https://www.reuters.com/world/us/us-senate-vote-protesting-trumps-tariff-moves-draws-some-republican-support-2025-04-02/

 

로이터 통신 기사인데요. 민주당에서 122일 선포한 국가 비상사태 종료시키는 법안을 준비하고 공화당 일부 의원이 지지한다고 하죠.

세상이 이렇습니다. 강한 힘이 생기면 대항하는 힘도 나오죠.

얼마나 강한지가 문제일 것이고요.

 

1. 트럼프 지지율, 집권 후 최저치인 43%로 하락, 로이터/입소스 여론조사 결과 발표

미국인들이 관세에 대한 우려로 여론조사 지지율이 하락

경제 처리에 대한 비난이 크다

 

워싱턴, 42(로이터) - 로이터/입소스 여론 조사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의 지지율이 집권 이후 최저인 43%로 떨어졌다. 이는 미국인들이 그의 관세 조치와 예멘에서의 군사 공격에 대한 정보 처리 방식에 반감을 품고 있기 때문이다.

수요일에 마감된 3일간의 여론 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 수행 지지율은 321~23일 실시한 여론 조사보다 2%포인트 하락했고, 120일 취임 직후 기록했던 47%에 비해 4%포인트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https://www.reuters.com/default/trump-approval-falls-43-lowest-since-returning-office-reutersipsos-poll-finds-2025-04-02/

 

그리고 트럼프 지지율이 떨어지죠. 이럼 침묵하고 눌려있던 민주당이 힘을 내겠죠.

세상은 늘 기울어지면 또 다른 곳이 올라오기 마련입니다.

 

1. ·EU·관세 보복맞불·, 협상으로 축소·면제 노려 [트럼프관세 전쟁]

상호관세’ 3일부터 발효

왕이 계속 압력 땐 단호히 반격”/ 자국 기업 신규 투자 제한 조처

EU집행위장도 강력한 계획 있다”/ 글로벌 전면전 우려 속 대응 부심

표적 관세 추진한 국익 우선”/ 이스라엘 관세 철회선제적 방어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402519388

 

2. 서머스 전 재무장관 "트럼프 관세, 석유 파동과 유사한 경제 타격"

"공급 충격으로 고용 및 투자 감소…생산자 경쟁력 저하"

https://www.news1.kr/world/international-economy/5740866

 

3. 테슬라 1분기 인도량 재앙적 수준에도 주가는 5급등(종합)

 

4. 테슬라 1분기 인도량 33만대 “재앙적 수준”(상보)

 

5. 딥시크의 역습…매그니피센트7, 1분기 시총 2500조원 증발

M7 시총 올해 1분기 1조 7000억달러 줄어

엔비디아·테슬라·애플이 전체 감소분 90% 차지

AI 경쟁 심화·대규모 설비투자 우려 등 영향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660486642132184

 

6. 환율 1500원대 뚫리나원자재 수입 부담 늘어 제조업 '한숨'

 

7. 골드만삭스 "트럼프 관세 리스크, 헤지하려면 엔화 사라"

 

8. 오락가락 변동성 큰 증시'서학개미'가 눈 돌리는 곳은

나스닥 하락 등 경기 침체 우려 확산/ 국내 투자자들 미국 주식 보관액

5개월 만에 1000밑으로 떨어져/ "변동성 장세 포트폴리오 다양화 필요"

유럽·중국 시장, 대안 투자처로 부상/ 중국·홍콩 주식 보관액은 되레 급증

유럽 방산·AI·제약 등 눈여겨봐야/ 안전자산 금 투자액은 매달 증가세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0247211

 

9. 마가 아닌 메가?…유럽에 쏠리는 미국 ETF자금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40202109963062010

 

10. "트럼프 관세 리스크 우려"…글로벌 투자금 유럽·이동

'트럼프 공포'에 미 투자자 몰려간 곳"15조 유입

올해 1분기 유럽 주식 상장지수펀드(ETF)에 미국 투자자들의 자금이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4020581&t=NN

 

11. 골드만삭스, 유럽 주가지수 목표치도 하향...트럼프 관세 부담

# 주목해야 할 소식

 

1. 상호관세 발표 직전...달러 '절하' vs ··구리·유가 '모두 상승

 

2. [속보]국제 유가-천연가스, 위험자산 선호 심리 살아나며 동반 상승 WTI 72달러 근접

천연가스, 100BTU당 전날보다 0.068달러(1.72%) 오른 4.019달러

WTI는 전장보다 0.51달러(0.72%) 오른 배럴당 71.71달러에 거래 마쳐

 

3. 이제 금 팔고 철강 살 때?...“유동성 옮겨갈 것

금값 1분기 18% 상승 최고가 터치

한화증권 금값 너무 과열 국면

2분기 유동성 금에서 철강으로 이동할듯

최대 철강업체 뉴코’ 60% 상승여력

https://www.mk.co.kr/news/stock/11280770

 

4. 트럼프, 4일부터 맥주캔·빈 알루미늄캔에 25% 관세 부과

알루미늄 관세 후속 조치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40303180914992

 

5. 일본제철"US스틸 인수 후 10조원 투자할 것"

미 정부 반대 극복 위해 적극 투자 어필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90344

 

6. “조선업, 경기 넘은 구조적 호황…중장기 주가 상승” [마켓시그널]

[DS투자증권 보고서]

LNG선 수요 급증 조선 성장

https://www.sedaily.com/NewsView/2GRD5JQZ23

 

7. 삼성물산, 에스토니아 원전사업 합류유럽 SMR 공략

 

8. ‘탈탄소접은 월가, 다시 화석연료 품는다

트럼프 정책 기조에 은행들 기조 전환NZBA 줄줄이 이탈

https://economist.co.kr/article/view/ecn202504020079

 

9. 유럽 은행들 매각 화석연료 자산, "월가로 흘러들어가"

넷제로은행연합 탈퇴 미국 은행들, 화석연료 자산 매입 나서

모건스탠리·JP모건·웰스파고 등 화석연료 대출 재개 움직임

저탄소 에너지 금융, 화석연료보다 4배 커야 1.5도 목표 달성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0650

 

10. 100억대 흑자 보던 광명전기…주인 잘못 만나 재무상태 악화일로

지난해 수배전반·태양광 등 전사업부문 역성장

당기순이익 적자 전환…현금성자산도 '반토막'

오창석 무궁회신탁 회장 인수 후 "곡간 털어먹어"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847446642132184

 

11. [투자 트렌드] 태양광 관련주에 볕 드나태양광 설치 역대 최대

https://v.daum.net/v/20250403060911667

 

5시 전까지는 원자재가 다 상승이었고요.

관세 발표 후에는 유가와 구리가 하락했고

금과 은은 1%2%대 상승 유지하고

천연가스는 1.65% 상승에서 변하는 것이 별로 없네요.

 

관세 나오고 하락 전환은 유가와 구리에 나왔습니다.

 

관세로 세상 모든 이슈가 다 쏠려서 뭔 언급이 필요할까 싶습니다.

느낌은 다 망한 것 같고요.

물가가 얼마나 오를지 가늠이 안 됩니다.

 

1. 상호관세 하루 앞두고 넉아웃…'2차전지 ETN' 또 상장폐지

'KB 2차전지 레버리지 ETN' 2일 조기청산

KB, 상환가격 948원 책정7일 지급 예정

올 들어 '2차전지 ETN' 2개째 상폐

트럼프 관세 부과 우려에 2차전지주 급락 영향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772006642132184

 

2. 두산퓨얼셀, 4200억대 연료전지 및 시스템 계약 불발

 

3. 두산퓨얼셀, 4100억원대 연료전지 공급계약 2건 해지

전주바이오그린에너지, 중국 ZKRG 계약 해지

두건 계약 해지 금액 각각 722억원, 3469억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231206642132184

 

4. 공매도, 2차전지 노렸다…금융주는 비켜가

이틀간 공매도 거래대금 상위종목에 2차전지 쏠림

공매도 줄었지만 타깃 뚜렷…금융주 1% 내외 선방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257885&inflow=N

 

테슬라 판매가 급감 수준이고요.

전기차 캐즘 우려는 계속되고 공급계약 해지가 계속 나오네요.

공매도에 집중적으로 얻어맞는 곳이 2차 전지고요.

삼성SDI는 52주 신저가입니다.

코로나 9 때 만든 저가가 18만원인데요. 지금 186200원입니다.

심각하죠. 그래도 SDI는 버텨주길 기도했는데 안 되네요.

관세까지 나오니 2차 전지는 암흑의 시대에 들어온 것 같습니다.

 

1. 애경그룹 매각 검토 소식에…애경산업 11% 급등[핫스탁](종합)

잇단 악재에 속수무책…애경, '그룹 모태' 애경산업 내놨다

애경·현대체질 개선에 시장 반색…주가·목표가 '

 

2. GS리테일 주가, 인적분할 뒤 40% 빠졌다…역대 최저가 기록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인도에 손 내미는 중국제품 수입 확대 의향

제품을 더 많이 수입하기 위해 인도 측과 협력할 의향 있어

 

2. [오늘A주] 美 상호관세 앞두고 관망세...휴머노이드 섹터 강세

상하이종합지수 3350.13(+1.69, +0.05%)

선전성분지수 10513.12(+9.46, +0.09%)

촹예반지수 2104.63(+2.75, +0.13%)

커촹반50지수 1022.75(-1.63, -0.16%)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02000958

 

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미국 현지 시간) 불공정 무역 관행을 이유로 세계 각국에 고율 상호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구체적 내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번 관세는 협상 도구가 아니라 실제 징수로 이어질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사실상 모든 수입품에 20% 추가 관세를 부과해 글로벌 무역전쟁을 촉발할 수 있는 보편 관세가 발표될 가능성도 있다. 영국 BBC 방송은 "트럼프가 관세의 핵옵션을 추진한다""그렇게 된다면 글로벌 통상 체계에 탄도미사일 세례급 공세"라고 지적했다.

 

왕이(王毅) 중국 공산당 정치국위원 겸 외교부장은 1일 러시아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은 그간 강압과 패권을 용납한 바가 없다"며 "미국이 한사코 압력을 가하고, 심지어 계속해서 각종 위협을 가한다면 중국은 반드시 단호히 반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왕 위원은 "만약 미국이 진정으로 펜타닐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면 이유 없는 관세 인상을 철회하고 중국과 평등한 협상을 해 호혜·협력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기존의 입장을 반복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02000958

 

4. `KCGI 차이나펀드`, 6개월 수익률 33.8% 돌파…수탁고 급증

 

5. '관세 부메랑' 미국 마트, 중국업체에 압력 "납품가 10% 낮춰"

트럼프 관세 상쇄하려 중국 거래처에 납품가 인하 압력

의류·생활용품 등 관세 직격타일부 베트남행 고민도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40213425949513

 

6. 트럼프 해방의 날앞두고 미·중긴장 고조…왕이 “관세 문제 단호하게 대처

중국은 이틀째 대만 포위…훈련명 늦게 공개

대만·홍콩 등 민감 현안으로 갈등 확산 점화

중 전문가 미국의 대중 압박 전략 오판

·중 정상회담 가까운 시일 내 없다는 관측도

https://www.khan.co.kr/article/202504021533011

 

7. 대미 투자 제한·EU 보복관세…각국 상호관세 긴박 대응

 

8. 트럼프 관세 앞두고 , 자국기업 신규투자 제한...'협상력 높이려는...

 

9. "투자는 일단 멈춰"…상호관세 앞두고, 카드 꺼낸

국가발전개혁위, 대미투자기업 승인보류

''상호관세'' 발표 앞두고 내놓은 압박용 카드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460806642132184

 

오늘 중국 시장은 망할 것 같습니다.

보편 관세에 상호 관세까지 합쳐서 10%34% 관세 더하면 44%가 되지 않습니까?

지금 실시간으로 방송 보면서 글 적고 있어서 내용의 착오가 있을 수 있겠지만

1.8%까지 급등한 나스닥 100 선물이 1.26%까지 하락하는 것으로 보면

심각한 것은 사실이겠죠.

 

며칠 중화권 시장은 눈치보기 하고 있다는 생각이었고요.

오늘 발표로 상당한 기간 고생해야 할 것 같은 느낌도 들고요.

중국에서 이걸 상쇄할 뭔가를 내놓아야 할 것 같고요.

일단 답이 없다. 큰일이다. 망했다. 뭐 이런 표현을 사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1. 비야디, 1분기 판매량 100만대 돌파…연간 목표 550만대 순항중

전년 동기 대비 1Q 59.8%

해외 판매 호조 111% 급증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RD6M1YSK

 

2. “‘테슬라중국한테 먹혔다매출 잡아먹은 머스크’,

중국에서만 311% 감소

머스크 정치참여 영향 커

 

3. '머스크 불똥' 테슬라, 1분기 33만6681대 판매3년 만에 최저

 

4. 테슬라 1분기 차량 인도 33만6000여대 그쳐…팬데믹 발발 후 최저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RD815OO9

 

5. 테슬라 1분기 인도량 13% 감소3년여만 최저 수준

https://www.bloter.net/news/articleView.html?idxno=634348

 

6. [올댓차이나] 창안차·둥펑차, 경영통합 막바지 협상"중국 1위 자동차사 겨냥"

중국 국유 자동차사 충칭 창안(重慶長安汽車)과 둥펑(東風汽車)이 경영통합에 관한 협상을 본격적으로 진행해 막바지 단계에 있다고 공상시보(工商時報), 경제통, 홍콩경제일보가 2일 보도했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402_0003123987

 

7. KGM, 중국 체리차와 중·대형 SUV 공동 개발 맞손

 

중국에서도 유럽에서도 테슬라는 뭐 판매 부진은 심각하네요.

중국 시장에서는 이제 답이 없나 싶기도 하고요.

중국 자동차도 이제 합병하는 모습도 나오네요.

비야디가 대장이고 아랫단에서는 여러 기업이 합치면서 중국 자동차 경쟁률을

상승 시킬 것 같습니다.

 

1. “이 주식 당분간 쳐다 보기도 싫어”…관세 충격에 한미일 자동차동반 역주행

트럼프, 수입25% 관세

전기차 시장 둔화까지 부담

올들어 현대차 주가 7% / 도요타·GM 두자릿수 하락/ “한동안 반등 쉽지 않을듯”

https://www.mk.co.kr/news/stock/11281150

 

2. “트럼프 관세 전에 사자3자동차 판매 껑충

현대차·기아, GM, 포드, 도요타 등 실적 일제히

가격 인상 피하려는 소비자 심리 반영

 

3. “관세 부과 전 사자”…현대차·기아 美 판매 13% 껑충

3월 역대 최대6개월 연속 성장

40만대 넘어 1분기도 최고 기록/ 친환경차와 SUV 중심 큰 폭 늘어

https://www.seoul.co.kr/news/economy/car/2025/04/02/20250402500233

 

4. 관세 전 밀어내기질주한 수출 절벽부메랑 온다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40202109932064005

 

미국 시장 이야기에서 적고 왔겠습니다.

손에 힘이 다 빠지네요. 일단 3월 판매까지는 좋았고 이제 가격 인상이나

판매에 여러 어려움이 생길 것이니 자동차도 시련의 계절이 시작된 것 같습니다.

일단은 관망하는 것으로 자동차 시각을 낮추어야 할 것 같습니다.

 

1. "K-뷰티 대어 풀린다" 시장 들썩…화장품주 겹호재에 화색

# 우리 시장 이야기

 

1. [올댓차이나] 중국 증시 상승 마감…상하이지수 0.05%

 

2. 증시, 기술주 약진에 상승 마감…닛케이지수 0.28%

 

3. [올댓차이나] 대만 증시, 뉴욕 증시 강세에 소폭 상승 마감0.08%

 

4. [올댓차이나] 홍콩 증시, 상호관세 우려에 소폭 반락 마감H0.07%

 

독일, 홍콩 연관성 분석은 이제 끝내야 할 것 같습니다.

수급에서 이상한 현상이 생기면서 우리 시장 독자 행보가 시작되었습니다.

 

먼저는 미국 반등으로 대체 거래소에서 대부분 종목이 1%대 근처 상승을 보이면서

착시 현상이 계속 나오네요.

외국인은 845분 선물 개장하면 그냥 선물 던져버립니다.

어제도 정규장 개장 전에 2000억 가량 던진 것 같네요.

9시 개장 전부터

우리 시장은 치열한 눈치 싸움이 전개되네요. 대체 거래소

 

대체 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점유율 16% 넘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897233

 

점유율이 16% 넘어간다고 하니 무시할 수급도 아니고요.

845분 개장 선물 개장도 부담이었는데, 대체 거래소까지 살펴야 할 것이 점점 더 많아집니다.

 

1. 관세부과·탄핵에 짙어진 관망세外人 4거래일 연속 코스피 `팔자`

트럼프 상호관세 폭탄에 조마조마2500선 사수한 코스피

[시황] 코스피, 외국인 순매도에 2500턱걸이상호 관세안 발표 주목

상호관세 불안에 코스피 0.62%↓…외인 매도에 2500선 위협[마감시황]

 

이상한 현상은 328일부터 외국인 수급인데요.

4거래일 동안 약 코스피 3조 매도하고요. 선물도 3조를 훨씬 넘겼습니다.

헌법재판소 탄핵 기간 정한 날에도 매도하고요.

느낌은 공매도 시작 전날부터 그냥 한국 시장을 던지고 있다.

 

이게 트럼프 관세 때문인지? 공매도 재개 때문인지? 우리 정치 위험 때문인지

알 수 없지만 하여간 막 던집니다.

우리 시장 대장 2곳 반도체와 자동차를 던지니

관세 우려가 지배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투신과 연기금이 방어 역할을 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생각이고요.

오늘 관세 확정되면 불확실성 소멸로 매수라도 해줄지 모르겠지만

매도가 심각하네요.

 

1. 얼마 안 남은 상호관세코스피 2500대 후퇴…방산주 약세 [투자360]

 

2. 상호관세 D-1조선·방산 '기대' vs 반도체·2차전지 '우려

방위비 지출 압박에…유럽 방산 ETF 강세

글로벌 ETF/ 상장 EUAD 석달간 22%/ 미래방산 UCIT 자산 2배 급증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0247321

 

3. 관세·공매도·높은 밸류 부담까지…에코프로비엠 급락 마감 [투자360]

 

4. 대차잔고 높은 2차전지·바이오 '공매도 비상'

에코프로비엠·유한양행 등 6

대차거래 잔액비중 상위 포진/ 저평가 대형 가치주 위주 투자를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0247481

 

어제는 자동차, 반도체 약세는 뭐 다 짐작하는 것이지만

버티던 방산과 조선이 흔들리고요.

 

<< 트럼프 '수입 의약품 관세' 예고에 글로벌 제약업계 긴장

백신 음모론자보건복지부 장관에 제약주 흔들’>>

 

이익도 없이 고평가 받는다는 생각이었던 제약바이오 하락이 심각하네요.

제약바이오 약세는 미국 제약바이오 약세 영향도 있는 것 같기도 하고요.

2차 전지는 기술적 반등 며칠 적고 있는데

꿈 깨라 하면서 계속 무너지고요.

 

업종, 종목으로 정리하면 2차전지, 제약 바이오 약세가 계속되고

방산, 조선도 어제는 조정이었다.

관세로는 자동차, 반도체 약세가 지속되고요.

한미반도체는 52주 신저가까지 나옵니다.

 

1. 빚투 개미 빨간불증시 급락한 월요일, 반대매매 올해 최대

빌린 돈 갚지 못해 강제로 매도 당하는 반대매매

증시 변동성 커지자 대기 자금은 급증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66105

 

2. 정치 불확실성 해소 조짐에 코스피 레버리지 베팅하는 기관·외국인

기관 'KODEX 레버리지' 111억3075억원어치 순매수

외인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116억4032억원어치 사들여

개인은 정치테마주 쏠림 현상

https://www.fnnews.com/news/202504021329372735

 

3. "개미, 2조원어치 샀다" 통큰 '베팅'"승부수 띄웠다"

개인투자자, 관세 불확실성 해소에 '베팅'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4020532&t=NN

 

개인이 외국인 던지는 물량을 받고 있는데 이걸 통큰 투자로 표현하는데

과연 끝이 좋을지 걱정이기도 하고요.

재미난 것은 ETF로는 기관, 외국인이 상방을 사고 있다는 것이죠.

외국인이 한 둘이겠습니까? 선물, 현물은 던지는데 또 레버리지 ETF는 사고요.

 

코스닥 700선 아래, 코스피 2500선 아래 오면 걱정해야 할 것이

반대매매입니다. 어제도 소식 전해드렸고요. 오늘도 기사가 나오네요.

 

위에서 적고 왔지만, 외국인 현, 선물 대량 매도를 이길 수급이 없습니다.

어제 겨우 방어된 것은 연기금 1000억대 매수 덕택인데 한계가 있겠죠.

, 선물 외국인 수급 개선이 필요하다. 이렇고요.

<< "외국인도 현지 증권사 통해 국내주식 직접 투자"…금융위, 샌드박스 지정

해외 증권사 통해 국내 주식 매매 길 열린다"외국인 자금유입 기대"

외국인, 국내 주식투자 더 쉬워진다…계좌개설 요건 완화>>

 

밸류업으로 개방 정책이 나오는데, 당장 큰 도움이 될까? 싶기도 합니다.

 

1. 파운드리 저가 공세…삼성전자 파운드리 또 '경고등'

기업, 지난해 수익성 대폭 하락

성숙공정 가격 경쟁 치열

삼성, 올해도 수익성 악화 우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401_0003122447

 

2. 반도체 부활 꿈꾸는 일본 라피더스 이달 시험생산

첨단 2나노, 2년뒤 양산 추진

자금 조달·기술 검증은 과제

https://www.mk.co.kr/news/world/11280946

 

3. UMC-글로벌파운드리 합병땐 삼성 파운드리 '사면초가', 한진만 수율 관리 발등의 불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89738

 

우리 시장 살려면 삼성전자가 살아야 하는데요.

작년에도 계속 적었지만 대만, 일본 반도체 연합군과 정부 힘을 업은 미국 반도체와

물량 공세 하는 중국 반도체를 이겨야 하는데 쉬운 것이 없죠.

 

보시면 1번 기사와 3번 기사는 파운드리 악재고요.

2번 기사는 일본 반도체 시험생산 이야기고요.

 

1. 트럼프의 '보조금 셈법'…삼성·하이닉스 딜레마 커졌다

TSMC 1000억 달러 투자 후 기업도 추가 투자 압력

보조금 축소 가능성에 따른 수익성 재검토 불가피

대중 제재·관세 변수 겹치며 공급망 리스크 가중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02000884

 

2. [단독] 저평가 K증시TSMC 7.5배 뛸때 삼전 2

2015~2024TSMC·삼전 시가총액 및 주가 분석

TSMC대만 주식시장 시총도 2363조 늘어나

힘못쓰는 삼전…국내 증시 상승분 838조 그쳐/ TSMC PER 20배로 삼성전자 11배 압도

시총 1위 수출 기업 삼전, 밸류업 주요 역할/ 체질개선주가회복증시상승 랠리 기대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RD73UGW2

 

3. 삼성전자 목표주가 잇달아 올리는 증권사·IB

낸드플래시 업체 감산 등 영향

낸드 등 고객사 주문량 증가세

2분기 메모리 업황 반등 예상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0247491

 

4. 험난한 8만전자 꿈…기운 미국 운동장 극복할까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4020427

 

그래도 비빌 언덕 찾는다면

조기 대선이 시작되고 상법 개정 기대감이 올라가고

2분기 삼성전자 회복 시나리오면 뭐 기다려 볼만하겠죠..

 

정리하면 외국인이 반도체와 자동차 현물을 던지고 선물 대량 매도를 하는 상황에서는

고난의 시간이겠지만 좀 더 기다려보면 희망도 있다는 것으로 인내해야 할 것 같습니다.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1. 지난해 코스피 상장 금융업 영업익 14%↑…증권업은 51%

지난 한 해 코스피 기업들 훨훨코스닥은 제자리걸음

코스피 웃고 코스닥 울고…지난해 상장사 영업익 희비

전기·전자 '활짝' 지난해 코스피 영업익 60%대 급증...코스닥은 감소

반도체가 밀고 금융이 끌고…지난해 코스피 상장사 영업익 60% 증가

 

2. 한화에어로'유증 주의보'"자금 사용처 등 옥석 가려야"

단기적 주가 하락은 불가피

한화에어로 유증발표 후 급락/ 투자자들 사이 '볼멘소리'

자금조달 목적 잘 따져봐야/ 외형성장 증명 땐 투자 긍정적

삼성SDI 주가 급락 후 회복세/ 본업과 관련 없는 투자는 유의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0247571

 

3. '주주 호구'는 옛말...40곳에서 164건 주주제안 발생

 

4. 롯데·고려아연 겨냥 '공정거래법 개정안' 발의…외국법인도 상출 금지

민주당 이정문 이원, 해외 계열사 통한 순환출자 금지 공정거래법 개정안 대표 발의

2015년 롯데그룹 겨냥 공정거래법 개정 무산..공정거래법 해외법인 적용 난제

https://www.inews24.com/view/183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