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트럼프 발언이 없는 조용한 시장! 중국 리륨, 농산물, 보잉 공격, 한국 신흥시장 비중 9%대 아래 4월 16일 장전 시황

평생선물 2025. 4. 16. 06:53

트럼프 발언이 없는 조용한 시장! 중국 리륨, 농산물, 보잉 공격, 한국 신흥시장 비중 9%대 아래 416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뉴욕증시, 관세 안개 속 수입물가·기업 호실적상승 출발

 

2. [속보]뉴욕증시, 보합권 출발관세 변동성 완화

 

3. 트럼프 침묵 속 반격에 '폭풍전야' 뉴욕 증시 약보합 [데일리국제금융시장]

 

4. 뉴욕증시,관세 변동성 소화 일제히 약보합다우 0.38%[월스트리트in]

[뉴욕증시]관세 불확실성 속 '숨 고르기'다우 0.38%

뉴욕증시, 관세 변동성 소화하며 약보합 마감S&P500 0.17%

 

5. "극단적 상황은 끝났다"오락가락 트럼프 관세에도 시장 웃은 이유

하지만 지난 주말 전후로 이어진 트럼프 대통령의 말 바꾸기는 기존과는 결이 조금 다르다. 겉으로는 미친 사람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정교하게 상황을 통제하는 미치광이 전략의 핵심 원칙에서 벗어나 상황에 떠밀리는 듯한 조급함이 엿보이는 경우가 늘었다. 지난 9일 상호관세 90일 전면 유예 발표가 대표적인 사례다. 상호관세 시행을 앞두고 미국 국채시장이 폭락하면서 금융위기 조짐이 불거진 게 유예 발표로 이어졌다는 게 외교통상가의 대체적인 평가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41517050496520

 

6. 관세혼란에 샴페인 터뜨린 월가"팬데믹 수준 넘어섰다"

투자자들 포트폴리오 조정에 트레이딩 부문 수익 늘어

주식시장 하락에도 패닉 상태는 없어

M&A IB시장은 관망세"대기수요는 많아"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657206642136448

 

수입 물가가 안정적으로 나오고 기업 실적도 좋아서 상승 출발했지만

뒷심이 부족했습니다. 그래서 오늘도 시장은 N자 형태입니다.

아니면 다우는 계속 흘러내렸고요.

안 오르면 내린다. 이렇게 해석해야 할까요?

시장 힘이 약해서 막판에 밀리는 모습이 이번 주 형태입니다.

 

그리고 트럼프가 관세 언급이 없어서 덜 내린 것에 안심해야 하나?

싶은 그런 시장 모습이고요. 주간 시장 대비 좀 내렸다고 봐야겠습니다.

보합입니다.

 

우리 시장은 2거래일 연속 스마트폰 관세 면제. AI투자, 반도체 지원책 확산.

자동차 부품 유예 뭐 이런 미국 소식과 우리 정책 수혜로 좋았는데

오늘 정도는 좀 쉬지 않을까 싶고요.

 

장중에 무슨 정책이 나오면 해당 업종은 강할 것 같습니다.

강하다는 의미는 평소보다 반응이 빠르고 클 것 같다는 의미입니다.

수급은 한정적이니 뭐 나오는 것 없나 이런 것을 노리는 단타 세력이

한곳으로 쏠리기 때문일 것 같고요.

오늘 정도는 쉬는데 변동성이 큰 수요일이라

내일 위클리 옵션 만기 앞두고 위아래로 흔들겠죠.

 

 

우리 야간 선물은 0.05%, MSCI 한국은

 

1. 오펜하이머 엔비디아 '톱픽' 선정, 주가 1.35%

 

2. 테슬라 0.70% 상승-루시드 3.56% 급락, 전기차 혼조(종합)

루시드 파산한 니콜라 일부 시설 인수, 주가 3%

 

M7은 반반 치킨입니다.

구글, 메타, 아마존이 1%대 하락, 마소랑 애플이 각각 0.5%, -0.19% 하락

다우가 약했던 것이 애플 약세 때문 같고요.

엔비디아와 테슬라가 그나마 1% 전후 상승이어서 방어한 느낌이고요.

실적이 좋은 금융 정도가 좋았고 대부분 업종에서 하락 종목이 많네요.

 

1. "올해 증시 20% 오른다"...고개드는 '강세론'

CNBC에 따르면 톰 리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미국 증시가 연말까지 상승폭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하며 올해 S&P500 지수 전망치를 6,600으로 제시했다. 이는 S&P500 지수가 향후 23% 가까이 급등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https://m.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4150334#_enliple

 

2. 골드만 "증시, 풋옵션이 콜옵션 여전히 상회좋은 투자 기회"

 

하지만 마샬은 이번 실적 발표 기간에 개별 종목에 대한 콜옵션 매수가 이례적으로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는 전략이라고 주장했다.

 

마샬은 "개별 종목에 대한 풋옵션 매수 압력이 지난 9일의 주가 폭등 이후에도 극단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이는 과거 실적 발표일에 주가가 반등하는 전형적인 신호와 일치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실적 발표일 전후로 기대되는 주가 변동폭(내재 변동성)15년 만의 최고 수준에 근접해 있다""이는 투자자들이 실적 이벤트를 앞두고 매우 긴장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마샬은 "골드만삭스 분석가들의 목표주가 대비 평균 상승 여력은 최근 12년 중 두 번째로 높다""이는 실적 기간 상방 베팅의 비대칭적 이점(업사이드 서프라이즈)이 클 수 있다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마샬은 이와 함께 향후 몇 달간은 개인 투자자가 증시의 방향성을 결정할 핵심 참가자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1256

 

3. 월가 "아직 끝나지 않았다"긴장 풀지 말아야 할 시장 신호들

CNBC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폴 시아나 기술 전략가는 고객 서한을 통해 "시장이 진정한 바닥을 형성하기 전에 저점을 재시도할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과거의 많은 순환적 약세장은 시장 위험 및 우려가 완화함에 따라 저점의 대략적인 재시도가 발생했다""이를 통해 보다 구체적인 바닥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분석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1353

 

4. "트럼프에 두 번 속으면 당신 탓" 모건스탠리의 경고

오락가락 미국 관세정책에

"증시 변동성 지속" 전망

투자결정 신중한 접근 조언

https://www.mk.co.kr/news/stock/11292268

 

입만 열면 뭐 오른다고 하는 톰리고요.

비슷한 한국 전문가는 유동원본부장 정도겠죠.

계속 오른다고 하면 미국 시장은 전문가 됩니다.

수 십 년을 올랐으니 말입니다. 걱정말라! 또 오른다!

그대여 아무 걱정하지 말아요! 우리 함께 나스닥 기대해봅시다.

이런 시각이 톰리고 유본부장일 것 같고요.

골드만도 상승 신호가 보인다고 하는 것이 2번 기사고요.

 

3, 4번 기사는 주의하자는 기사인데

3번 기사 내용 핵심은 지수가 한번 바닥 보고 진짜 상승 전환하겠냐?

최소 2중 바닥은 나오겠지. 이런 시각입니다.

저도 자주 언급하는 내용이지요. 지수가 반등하면서 물린 투자자가 던지기 시작하면서

2중 바닥 만든다는 생각이고 아직 반등 수준이지 고점 돌파는 어렵다고 보는 내용입니다.

 

1. 관세를 넘은 전쟁, 달러와 미 국채를 겨누다

145% 관세 이후, 중국은 응수를 멈췄다

무대는 무역에서 금융과 통화 질서로 옮겨갔다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92044

 

2. 미 달러화 강보합불확실성에 DXY 사흘째 '99'

'안전 통화' 엔은 나흘째 강세

코메르츠방크의 안트예 프레프케 전략가는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자산에 대한) 안정성과 신뢰를 훼손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불확실성이 지속하는 한 달러는 큰 폭으로 회복될 것이라 기대하지 않는다"고 전망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1439

 

3. 왜 달러만 계속 약해지나"자산의 궁극적 탈출구"

글로벌 금융시장이 관세 충격을 조금씩 벗어나고 있지만 거의 유일하게 매도세가 끊이지 않는 자산은 미국 달러다. 달러화의 지속적인 하락세는 관세 전쟁을 시작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를 비롯한 미국 경제 전반에 대한 글로벌 투자자의 불신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1389

 

달러가 0.51% 올라서 99.9달러가 되었습니다.

달러랑 테슬라 주가가 비슷한 모습을 보입니다.

달러 100달러 회복해야 엔비디아나 테슬라에게 좋고요.

 

미국에 대한 불신으로 채권과 달러 판다는 기사 전해드렸는데

어제도 오늘도 미국 장기채 수익률이 하락하면서

트럼프가 만든 불신이 좀 내려오는 분위기입니다.

 

10년물은 4.5% 30년물은 5% 위 돌파하면 어디가 나서도 나서서 수습한다는 것이

이번 국채 수익률 투자에서 본 것 같고요.

그래서 아마 다음에도 이 자리 근처가 고점일 확률이 높아질 것 같고

100달러 아래면 달러 매수도 제법 들어오는 모습이네요.

 

일단 채권과 달러는 좀 수습하는 분위기입니다.

 

1. 감세 나선 공화 '부자 증세' 만지작

경기침체세수결손 우려 커져

연 소득 61이상 세율 복원

100과표구간 신설도 검토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RJ6H9F70

 

2. '이대로 가면 무조건 돈방석'테슬라 올라탄 개미들 '두근'

"테슬라, 반토막 날 일 없다"

종목형 ELS에 뭉칫돈/ 테슬라·엔비디아 ELS 상품/ 1년새 발행액 세 배 넘게 급증

대부분이 '초저녹인 상품'/ 배리어 40% 이하로 낮아/ "변동 커 원금손실 가능성도"

https://v.daum.net/v/20250415174804714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국제 유가-천연가스, 무역전쟁경기침체수요감소 우려에 바닥권 거래

천연가스, 100BTU당 전날보다 0.004달러(0.12%) 오른 3.329달러

WTI는 전장보다 0.20달러(0.33%) 밀린 배럴당 61.33달러에 거래 마감

 

2. "연말에 금값, 3700달러 간다" 골드만삭스, 올들어 세 번째 전망 상향

 

3. 국제유가 약세 흐름 속 정유직격탄과도한 비관 경계

 

금과 은이 0.4%대 구리는 약보합

천연가스는 급락 이후 살짝 반등 0.24% 상승

유가는 61달러, -0.38% 하락입니다.

에스오일을 좀 담았는데 유가가 쉽게 반등을 못 하네요.

천연가스는 청산했습니다.

 

1. '트럼프 수혜' 조선 ETF 올 수익률 20% 웃돌아

 

2. 작년 속도 넘어선 태양광 설치 ...전기료보다 낮은 단가에 인기 고공행진

 

3. 한화에어로, 폴란드 WB그룹과 '천무 유도탄' 합작법인 설립

LIG넥스원 10% 주주로국민연금, 원전·방산·조선늘렸다

 

4. 꿈틀대는 건설사 주가금리 인하·부양책 기대

현대건설, 올들어 55% 올라

 

어제는 조선과 방산이 좀 쉬었습니다.

아마 팔아서 반도체와 자동차 매수하러 간 것 같고요.

신고가 영역이니 뭐 차익실현 욕구는 상당할 것 같고요.

코스피 대장이라 또 오르겠죠.

대신 전력, 전선이 좋았으니 순환매로 봐야겠죠.

소리 없이 건설주들이 반등 중이고요.

 

어제 퍼스트솔라 상승으로 관심 가진 한화솔루션은 4%대 급등 이후 하락 전환해서 0.25%입니다. 오늘 퍼스트솔라는 3.38% 하락 태양광은 또 암울하네요.

 

1. [단독] 중국 ESS 배터리에 미 관세 156%K-배터리엔 기회

 

2. LG엔솔 '신의 한수' 통했다중국 텃밭서 '10조 잭팟'

LG엔솔 '캐즘 돌파 작전'ESS 10조 수주

텃밭이던 일본·유럽서 처음으로 단위 수주

·유럽업체에 3조 공급/ 전기차 부진에 생산라인 전환

서도 7조 계약/ 내달부터 미시간공장 상업생산 돌입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1535921

 

3. 이날 특징 주로는 전고체 배터리 관련 주가 강세를 보였다. 링파이커지(領湃科技), 유옌신차이(有研新材), 진룽위(金龍羽)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창안(長安) 자동차가 14일 저녁 공시를 통해 "본사는 차세대 배터리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2026년에 전고체 배터리 검증을 완료하고 2027년부터 전고체 배터리의 점진적인 양산을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발표한 점이 호재로 작용했다. 창안자동차는 "전고체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는 400Wh/kg에 이를 것"이라고도 소개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15000936

 

코스닥 2차 전지 에코 집안은 하락이지만 엔솔이랑 포스코는 상승입니다.

삼성SDI2%대 상승으로 제일 좋았고요. SK이노베이션은 유가 하락에 하락하기까지 하고요.

엔솔이 특허에 집중하고 미국은 중국 배터리 제재해주고

엔솔이 ESS 수주가 몰리면서 엔솔 기대감은 좀 살아나는 것 같고요.

중국에서는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가 좋았고 한국은 삼성SDI가 대장이라는 생각이고요.

 

각자 살길을 찾고 있는데 미국이 좀 도와주면 조금은 형편이 나아지겠지만

워낙 전기차 케즘, 금융 부담, 관세 이런 것들이 상존해서 부정적으로는 계속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앨버말이 5.89% 급락 다시 연중 저점 자리 근처까지 가고요.

연중으로는 36% 하락이어서 리튬 관련주는 막막합니다.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증시, 1분기 성장률 발표 앞두고 혼조CATL 1.9%

UBS, 올해 성장률 전망치 4%3.4%로 하향

 

2. [오늘 A] 5거래일 반등후 약보합...상용화 기대감에 전고체 배터리 섹터 강세

상하이종합지수 3267.66(+4.85, +0.15%)

선전성분지수 9858.10(-26.20, -0.27%)

촹예반지수 1930.40(-2.51, -0.13%)

커촹반50지수 1006.34(-7.94, -0.78%)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15000936

 

3. 골드만삭스가 이달 들어 두 차례 중국 주요 주가지수 목표치를 하향 조정했다. 골드만삭스는 14(미국 현지 시간) 모건 스탠리 캐피털 인터내셔널(MSCI) 중국 지수 12개월 목표치를 81에서 75, 중국 증시 주요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 지수 12개월 목표치를 4500에서 4300으로 각각 하향했다.

 

MSCI 중국 지수의 현재 수치는 12개월 목표치에 비해 12% 낮은 수준이고, CSI 300 지수 현재치는 12개월 목표치에 비해 15% 낮다.

 

이에 앞서 골드만삭스는 지난 6MSCI 중국 지수 12개월 목표치를 85에서 81, CSI 300 지수의 목표치를 4700에서 4500으로 하향 조정했다.

 

골드만삭스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긴장이 전례 없는 수준으로 치솟으면서 글로벌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촉발됐다"고 평가했다.

 

UBS는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의 4%에서 3.4%로 하향 조정했다. UBS"관세 충격은 중국의 수출에 전례 없는 도전을 안기고 국내 경제에도 큰 조정을 가져올 것"이라며 하향 조정 배경을 설명했다.

 

UBS는 현재 발표된 관세 인상이 그대로 유지된다고 가정할 경우 예상되는 중국 당국의 대규모 경기 부양책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2%포인트 이상 낮출 것으로 추정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15000936

 

본격적인 관세전쟁 중인데 이 정도로 버티면 잘 버틴다고 해야겠죠.

장중에 하락 중이어도 막판에 보합이나 상승 전환을 제법 잘 시킵니다.

계속 설명하고 있죠.

중국 정부가 ETF 매수하고 2. 기업은 자사주 매수하고 3. 개인은 애국 매수하고

 

1. 중롱신탁, 파산 수순으로그림자금융 구조조정 가속

한때 업계 3위 그림자금융

202348조원 규모 지급불능 상태 놓여

정부 신탁회사 규제 강화"112조원 신탁자산 위험"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955686642136448

 

중국의 관세 전쟁 승패는 내수고요. 지표는 혼조입니다.

경기는 하강 지표도 많지만 또 무역 지표는 좋고요.

중국 한때 업계 3위 그림자 금융사가 구조조정을 가속화 한다고 합니다.

약점이 또 노출되었죠. 부동산, 내수의 한계 뭐 이런 것으로 말입니다.

그래도 중국, 홍콩은 수급으로 버틸 것 같고요.

 

1. 홍콩매체 , 에 협상 시도했지만 거부당해” [관세 전쟁]

홍콩매체 주미 대사 특사 파견

서 급 낮다며 거절대화 의지 없어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415516131

 

2. 미 재무장관 언젠가 중국과 큰 거래협상 가능성 시사

관세율 145%아무도 계속 유지될 것이라 생각하지 않을 것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192537.html

 

3. 중국의 미국 농산물 보복관세에트럼프 농민 보호할 것

트럼프, '농산물 보복관세'"버텨라농민 보호할 것"

 

4. ", 보잉 항공기 추가 구매 중단관세 영향"

[마켓인사이드] 미중 관세전쟁 충격파, 하늘길 흔들리는 보잉

중국 미국 보잉기 인수 말라희토류 이어 비관세 보복

"보잉항공기 인도 보류, 부품도 사지말라"보잉 주가 급락

 

5. “트럼프보다 시진핑이 더 강력한 무기 갖고 있다”-FT

https://kr.investing.com/news/assorted/article-1442295

 

6. 중국 인플루언서, 미국인에게 차라리 중국 와서 물건 사

"100달러 룰루레몬 레깅스, 원가는 5달러" 미국 브랜드 원가 폭로 나선 중국 인플루언서

'트럼프 관세' 회피 위해 공장 직거래 홍보

틱톡 이용해 미국 소비자 분열 조장 의혹도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41510560004293

 

중국 수급이 버티는 이유는 딥시크 이유 자신감이 상당해졌다는 생각이고요.

첨단 기술에서 안 뒤진다. 뭐 이런 것으로 말입니다.

트럼프가 더 조급해 하는 것 같고, 중국은 의연한 대처를 하는 것 같고

희토류 수출 금지에 이번에는 보잉 인수 거부, 농산물 관세 부과로

미국이 아픈 곳을 제대로 때리죠.

이러니 중국인들이 레깅스 원가 5달러짜리니 100달러 하는 레깅스 중국에 와서 사라고 조롱도 하고요. 기사들은 계속 시진핑이 가진 칼이 더 많다고 보도가 나옵니다.

 

1. "美中 극단적 금융 디커플링최대 2.5조달러 주식·채권 매도 초래"

이에 대해 골드만삭스는 "자본시장에서 투자자들은 중국 기업의 미국 주식예탁증서(ADR) 상장 폐지 리스크에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3월 기준 NYSE와 나스닥 등 미국 주요 거래소에 상장된 중국 본토 기업은 총 286개이며 시가총액은 약 11천억 달러다.

 

실제로 중국 기업이 미국에서 상장 폐지된다면 미국 자본시장의 접근성 약화, 투자자 기반 축소로 밸류에이션 하락, 유동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이 상장 폐지 카드를 실제로 활용한다면 중국은 홍콩증시 상장으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1407

 

제가 생각하는 최악은 미국 상장 중국 종목들 상장 폐지일 것 같습니다.

미국 증시도 상당한 타격을 받을 것 같고요.

트럼프가 중국에 졌다는 기사가 차고 넘치면서 정치적으로 최악 국면에 놓이면

실질적으로는 하지 않겠지만 가능성 언급으로 미국 상장 중국 종목 흔들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고요. 그럼 미국, 중국 뭐 다 죽습니다.

 

미국 시장에서 중국 종목들은 대부분 1%대 근처 하락입니다.

중국 전기차 지커가 8%, 샤오펑이 6%, 리오토가 1.7%, 니오가 강보합 정도

중국 관련 종목들은 오늘 미국 시장에서 대부분 하락이었다. 이렇습니다.

 

1. '이재용 세일즈 통했다'삼성전기, BYDMLCC 공급

https://m.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4150602

 

2. 트럼프 공장 설립 시간 필요관세 면제 시사

 

3. [단독] 현대차 관세 TF 신설'공화당 4' 전 의원도 영입

'재무통' 이승조 CSO TF 총괄

예산절감 속 공급망 재편 관측

워싱턴사무소장엔 퍼거슨 선임

정부·의회 소통채널 강화도

https://www.sedaily.com/NewsView/2GRJ5SPAUG

 

4. 미국차 빅3까지 타격차 부품엔 면세카드 꺼내나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871

 

트럼프가 자동차 부품 면제 시사한 것은 자국 자동차들에 납품하는

캐나다, 멕시코 부품사들이 미국에 건설하는데, 시간이 걸리니 도움을 주겠다.

이 정도였다는 생각이고요. 한국 부품사는 별 영양가 없다는 판단이었습니다.

그래도 어제 우리 자동차나 부품은 좋았죠.

 

그런데 오늘 포드가 2%, GM1%대 하락입니다.

도요타, 혼다가 1%대 상승이었고요.

 

우리 자동차와 부품은 하룻밤 꿈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는 생각이고요.

관세 우려는 여전하다고 봐야겠습니다.

 

1. “한국산 선크림 쟁여놔라관세 덕에 얼굴 핀 K뷰티

 

2. 아모레퍼시픽, 생산시설 구축 속도낸다"관세 대응"

김승환 아모레퍼시픽 대표 "3~5년 내 생산시설 구축...도 투자

 

3. '' 보면 안다"미리 몇년치를 쟁여놨다는데"

"화장품 채널, 유행에 민감"

"변화에 적응 빠른 ODM업체"

 

4. 관세 무풍지대라는데시름 깊어진 게임사

 

5. 엔터주 조정은 매수 기회? 에스엠·하이브 전망 '맑음

# 우리 시장 이야기

 

1. [올댓차이나] 홍콩 증시, 정책기대·관세 우려 완화에 상승 마감H0.22%

 

2. 관세 완화 기대에 현대차·기아 질주코스피 2470선 회복

[트럼프 스트레스] 관세 우려 완화·추경 기대감에국내 증시 강보합 마감

 

3. 미국이 짠 협상판, 덥석 문 한덕수실익 없는 졸속 협상 우려

"관세협상, 먼저 타결할수록 유리""시간 쫓기지 않겠다

 

4. “먼저 합의할수록 유리하다포함 우방에 협상 재촉하는

다음주 한국과 협상먼저 하면 유리각국에 선착순압박

 

5. , 5개 우방국부터 관세 협상 속도전

, 한국 '우선협상국' 포함관세협상 내주 개시 전망

"다음 주 한국과 무역 협상"...자동차 부품 관세 면제 시사

 

6. “열받은 파트너들 다 떠날라뜻대로 안되는 트럼프, 협상테이블 앉는다

16일 관세협상 신중모드

요청사항 확인하는데 집중

트럼프 관세정책 또 오락가락/ 이번엔 부품 관세 면제 시사

https://www.mk.co.kr/news/world/11292447

 

7. [기획] , 우선협상대상 지정알래스카LNG `뜨거운 감자`

 

8. 트럼프 "한국 나와라"청구서 '폭풍전야

 

우리 시장 상승 이유를 장 마감 유튜브 영상들을 보니

자동차 선전은 당연한 것이고 미국과 관세 협상 기대감으로 올랐다고 하더군요.

정치적인 이야기 안 하려고 무지무지 노력하지만 이 부분은 확실하게 짚고 가야겠습니다.

 

과거 사드 사태 때 기억하면

우리는 미국 요구로 사드 배치하죠. 그리고 중국에 제재를 제대로 얻어맞죠.

그런데 일본은 사드 배치 요구받지만, 차일피일 핑계되면서 미루고 또 미루면서

중국 제재에 벗어나 있었습니다.

 

협상하면 뻔하지 않습니까? 자기들도 돈 안 된다고 포기한 알레스카 가스 개발하라는 것 아니겠습니까?

우리 정부는 차기 정부에서 협상해야 할 것 같다.

2개월 대행 체재에서 뭘 할 수 있겠나. 이러면서 협상을 미룰 수도 있는데

굳이 가장 먼저 협상에 나서겠다고 하고

우리 증시는 이걸 호재로 삼아 어제 상승했다고 하니 좀 기가 막힐 노릇입니다.

 

일본 이시바 총리는

"속도가 능사가 아니다, 협상 서두르지 않겠다"

서두르지 않는다고 하죠.

 

한국, 일본, 영국, 호주, 인도가 5대 우선 협상국입니다.

그런데 영국, 호주는 미국과 무역 적자국이죠. 그럼 뭔 협상 하겠습니까?

트럼프도 호주는 관세 부과할 때 예외로 해줬는데 말입니다.

그럼 인도를 때릴 수 있나요? 애플도 중국에서 생산국을 인도로 옮길 정도로

세계 공장 대체재로 중국 대신할 곳을 인도로 보는데 말입니다.

 

그럼 일본과 한국이 남죠. 일본 총리는 협상 서두르지 않는다고 하고

그럼 대행 체재인 한국이 독박 쓸 가능성 높죠.

그럼 왜 이게 호재일까요?

그리고 왜 알래스카 유전 테마로 종목들이 급등하죠.

야 답답할 노릇입니다.

 

어제 관세 협상으로 지수가 상승했다는 해석은 정말 말 안 된다는 생각입니다.

 

1. 개미 몰린 이 종목에 공매도 폭탄돌아온다던 외인, 10조 던졌다

https://m.mt.co.kr/renew/view.html?no=2025041412204210716#_enliple

 

2. 존재감 줄어든 MSCI 신흥국지수 비중 9% 붕괴

38.99%···외환위기 후 처음

주력산업 부진·외국인투자가 이탈/ 2월 편입 없이 11개 종목 퇴출 탓

트럼프 관세로 시장 불확실성 커져/ 5월 정기변경서 더 축소 가능성도

https://www.sedaily.com/NewsView/2GRJ66RXP1

 

3. MSCI신흥국지수서 비중 9% 붕괴5월에 더 빠지나

3월 말 기준 시가총액 8.99% 기록

2월 정기변경서 삼성E&A 편출 영향

오는 5월 최악의 경우 6개 편출 가능성

15일 모건스탠리 자회사 MSCI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신흥국지수에서 한국 시가총액이 8.99%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한국 시가총액이 10% 밑으로 하락한 데 이어 3개월 만이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981926642136448

 

3월에도 그렇더니 4월에도 연기금 매수가 중요합니다.

3월까지는 배당 노리고 들어오나 싶었고 지금은 지수 방어 위해 동원된 느낌이고요.

최근 하락장에서 연기금 매수가 없었다면 좀 심각했을 것 같고요.

 

어제도 외국인이 매도합니다. -1000억 정도 매도인데요.

2, 3번 기사에서 MSCI 신흥국지수에서 한국 비중이 9%가 붕괴되었다고 합니다.

종목 편출만 있고 편입이 없고 말입니다.

외국인이 왜 대규모로 파는지 이유가 밝혀진 느낌이죠.

 

한쪽은 공매도로 한국 시장 던지고 다른 쪽은 비중 조절로 던지고

이러니 매일 외국인 매도가 잡히죠.

 

제가 즐겨 듣는 신한증권 현직 부장이 운영하는 유튜브 증시각도기TV2달 뒷면

중단한다고 하더군요.

 

제가 그랬죠. 금투세 폐지로는 온 세상 화력을 다 집중해서 여론전을 펼치고

어떤 전문가는 방송에만 나오면 한숨 쉬면서 매일 금투세 때문에 증시 못 간다고

하다가 금투세 연기되고 나서는 상법 개정은 언급 안 하더군요.

그런데 설명왕 테이버와 증시각도기는 정말 열심히 상법 개정 주장하는 채널이었거던요.

그런데 현직 증권사 부장이 운영하는 유튜브가 중단한다고 하니 씁쓸하더군요.

추측이지만 뭐 눈엣가시가 되었겠죠. 상법 개정을 매일 언급했으니 말입니다.

 

상법 개정 안 하면 외국인 안 돌아옵니다.

그 틈을 이용해서 공매도 치는 외국인만 득세하지.

 

1. 이달 9조 판 외국인, 에이비엘·한전은 담아

 

2. 코스피 팔아치우는 외국인, 이 종목 만큼은 샀다 수익률 높네

반면에 같은 기간 외국인 투자자는 에이비엘바이오(663억원), 한국전력(507억원), HD현대마린엔진(288억원), SK텔레콤(205억원), 펩트론(181억원) 등을 순매수했다.

https://m.mk.co.kr/news/stock/11291996

 

3. 2배 수익에 '간 큰 베팅'레버리지 펀드 한달새 2밀물

국내 상품 설정액 108123

최근 일주일에만 1조이상 유입/ 코스피 반등 노린 자금 몰린 탓

추종 지수 하락땐 손실도 확대/ "변동성 큰 상황에선 투자 주의"

https://www.fnnews.com/news/202504151813305267

 

4. 전문가 경고에도 한국인 “8조 사들였다지금 아니면 못 산다분위기, 대체 왜?

트럼프의 관세 카드에 글로벌 증시 요동

개인 투자자, 대형주·해외 ETF에 수조 원 매수

지금이 저점기대감 속 불안 심리도 여전

https://car.withnews.kr/economy/trump-tariffs-shake-markets

 

5. 'ABC' 테마 뜨자 다시 뛰는 코스닥

AI관련주 대선 테마주로 주목

솔트룩스 이달 87% '불기둥'

바이오 대장주 알테오젠 선전/ 관세 불확실성 영향 적어 주목

K뷰티, 소비자 사이 입소문/ 선크림 사재기에 주가 웃음꽃

https://www.mk.co.kr/news/stock/11292274

 

6. FDA '동물실험 폐지' 발표 상승 신호탄 쏜 의료AI

 

7. “임상 전 동물실험, 슬슬 폐지합시다FDA 발표에 급등한 업종은?

AI 컴퓨터 모델링 적극 활용

서타라 3일 동안 46% 급등/ 슈뢰딩거 주가도 30%대 강세

https://www.mk.co.kr/news/stock/11292461

 

8. 대선 주자 '화끈한 투자' 꺼내니테마 묶여 '들썩'

폭등 뒤엔 폭락조기 대선 앞두고 정치 테마주 극성

 

9. 지능형 휴머노이드 기대감에 로봇'훨훨'두산로보틱스 9% 상승[핫종목]

 

10. 브릿지바이오 "임상 데이터 면밀히 분석가능성 찾겠다"

 

11. 브릿지바이오 '폐섬유증 신약' 임상 실패상장 유지 경고등

관리종목 지정에 건전성 우려

기술이전 가능성도 희박해져

"추가 분석·후속 과제로 극복"

https://www.sedaily.com/NewsView/2GRJ5I3AMW

 

브릿지바이오가 임상 실패로 하한가 가면서

코스닥이 10시까지 하락합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0.41% 반등에 성공하죠.

 

개인이 1200억 매수해서 올렸습니다.

코스닥은 외인이 700억대 기관이 400억대 매도했는데도

올리죠. 누가 개인이 말입니다.

 

외국인이 한국 시장을 던지고 공매도로 던지지만

개인이 사서 올리는 시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코스닥을 제가 좋게 볼 때가 왔다고 했고요.

이건 6월 대선 기대감으로 정치, 정책 테마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 같고요.

 

바이오, 로봇, 화장품 뭐가 되었던 멱살 잡고 개인 수급이

코스닥을 방어할 느낌입니다.

미국 급락이 나오면 모를까? 트럼프가 쫀 느낌이 계속된다면

뭐 코스닥은 계속 달릴 것 같은 느낌입니다.

 

절대로 제 개인적인 생각이니 과하게 투자에 적용하시면 안 됩니다.

모든 성과와 책임은 개인 몫입니다.

 

1. [올댓차이나] 대만 증시, 뉴욕 증시 강세에 반등 마감1.77%

 

2. 정부 투자 2633조원 확대전력설비·반도체'활짝'[핫종목]

 

3. 삼성전자, 이제 오를 일만 남았나외국인 돌아왔다

실적 하향 조정 끝난 삼성전자, 외국인이 돌아온다

올해 2.5조어치 순매도한 외인

2거래일 연속 소폭 매수세 유입/ PER 10배 이하서 비중 확대 경향

"5만원 중반대 가격 매력 충분"/ "관세 리스크 등 상승 동력 제한적"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571926642136448

 

4. , 반도체 수입 '안보 영향' 조사

관세부과 위한 사전 절차 개시

트럼프, 부품 관세는 연기 시사

 

5. 엔비디아, '트럼프 빅딜'4년간 미국에서 711조 규모 AI 서버 생산

엔비디아 미국에서 AI 슈퍼컴 생산

전자제품 관세압박 하루 만에엔비디아도 700조 투자

엔비디아, 100% ‘메이드 인 아메리카추진

 

삼성전자가 묘합니다.

월요일은 스마트폰 관세 면제로 야당 100AI 투자로 오르고

어제는 또 정부 반도체 투자 확대 33조를 호재 삼아 상승하네요.

이러니 2일 동안 외국인 매수가 들어오고요.

하이닉스는 어제 외국인이 10만주 정도 매수하는 정도

하이닉스는 장중에 하락 전환도 하고요.

 

오늘 미국 시장에서 필 반도체 지수가 0.47% 상승

엔비디아, TSMC1% 내외 상승 마이크론은 보합이어서

반도체가 그렇게 나빠 보이지는 않습니다.

지수가 올라도 반도체로 오르지 싶고요.

 

1. 월가 반도체 전문가 "HBM, SK 독주체제삼성은 마이크론보다 뒤처져"

미국 웨드부시증권 매튜 브라이슨 수석 애널리스트 인터뷰

AI 시장과 HBM 동반 성장SK하이닉스, 선두 지위 확보

삼성전자, 엔비디아 인증 관건"HBM 3강 구도 본격화"

트럼프관세 변수 주목"딥시크 등장은 투자 수요 촉발"

https://v.daum.net/v/20250415164752548

 

2. 한화세미텍, 답변서 제출반박못했다?

한화세미텍(구 한화정밀기계)이 한미반도체가 제기한 특허소송과 관련해 마침내 보정 답변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핵심 쟁점인 '특허 침해 여부'에 대한 명확한 증거를 제시 못하는 등 제대로된 반박은 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진다. 법조계 일각에서 제기한 대응논리 부재가 사실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https://www.the-stock.kr/news/articleView.html?idxno=30396

 

월가 반도체 전문가는 하이닉스가 HBM의 독주 체재를 전망하네요.

저도 비슷한 생각이고요. 하이닉스, 마이크론, 꼴등이 삼성전자일 것 같고요.

한미반도체가 0.44% 하락입니다.

 

1. 만년 3위 마이크론의 역습엔비디아 납품에 기업이점까지

최근 HBM3E 12단 양산 시작엔비디아 공급

자국 생산기지 확대로 트럼프 보호주의수혜

메모리 2위 삼성과의 점유율 격차 한자릿수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628089

 

2. 자신감 붙은 마이크론, HBM 장비 대거 반입물량 경쟁 신호탄

한미반도체와 신카와서 TC본더 대량 구매

수요 높은 HBM 12단은 한미반도체 장비 사용

마이크론 HBM 생산능력, 올해부터 대폭 확대 전망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69054

 

3위 마이크론의 역습을 전하는 기사입니다.

마이크론에 납품하는 곳이 어딜까요? 네 한미반도체죠.

대주주가 또 자사주 매수했고요.

하이닉스가 협력 업체 다변화로 밀고 있는 한화세미텍은 한미반도체와 특허 싸움에서

대답을 잘 못 하죠. 그런데 말입니다.

이상하게 한미반도체는 증권사 보고서나 기사들이 부정적입니다.

한화세미텍은 반대로 엄청 밀어주고요.

한미반도체가 아직도 PER42배이니 뭐 싼 것은 아니지만

주가는 신저가도 보고 난리입니다.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