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파월은 더 기다린다. 파월 풋 기대 말라! 중국 대화 조건 제시! 한미반도체 삼성과 협력 가능성 4월 17일 장전 시황

평생선물 2025. 4. 17. 07:02

파월은 더 기다린다. 파월 풋 기대 말라! 중국 대화 조건 제시! 한미반도체 삼성과 협력 가능성 417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파월 "관세로 물가·성장↓…연준 양대 목표 달성 힘들 수도"(종합2...

파월 "관세로 물가 오르고 성장 둔화뭘 해야 할지 판단 어렵다"

파월 “‘관세여파물가·성장↓…연준 양대 목표 달성 힘들 수도

파월 "관세로 물가·성장↓…연준 양대 목표 달성 힘들 수도"(종합)

파월 "관세로 물가·성장 관리 딜레마 우려"금리 '신중론'

 

2. 미 파월 관세로 인플레 일시 증가 예상통화정책 조정은 아직

미 파월 의장 "관세로 인플레 일시 증가통화정책 개입은 아직"

 

3. [속보] 파월 "통화정책 조정 검토 전 경제영향 더 명확해지길 기다릴것"

 

4. AI반도체 對中 수출통제 강화로 반도체 주가 크게 하락

 

5. 3월 소매판매 1.4%↑…"트럼프 관세 앞두고 선제 쇼핑"

소비자들 "관세전 사재기"3월 소매판매 1.4%증가

 

좋은 지표도 소용이 없습니다.

1차 하락은 엔비디알 발 반도체 악재였고요.

2차 하락은 시장이 눈 빠지게 기다린 파월 풋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면서 나왔고요.

막판 1시간 앞두고 나스닥이 4%에서 3%로 약 1% 반등했습니다.

 

저가 매수세가 있다고 봐야 할 것 같고요.

S&P 5005220선에서 나스닥은 16000대에서 반등했는데

이 자리가 지지선인지 더 아래를 봐야 할지는 더 지켜봐야 할 것 같고요.

 

트럼프는 계속 시장 괴롭히고 파월은 더 지켜본다,

파월 풋 기대하지 말라고 하니

시장이 갑자기 비빌 언덕이 사라진 느낌이었네요.

 

메타나 구글이나 계속 반독점에 걸리고요.

트럼프 풋으로 반등하던 애플도 3%로 무너지고요.

 

악재는 반도체 제재가 드디어 나왔다. 파월 풋은 없다.

M7 위주의 급락이었다. 이 정도고요.

 

중요하게 봐야 할 것은 10%대까지 급락하던 엔비디아가 6%로 반등한 것

그래서 나스닥이 막판에 1% 반등한 것 이걸 주목하고요.

 

1. 트럼프 공은 중국에농민들에겐 버텨달라

트럼프 공은 코트에협상 촉구공갈 멈춰라

[, AI칩으로 관세전쟁 확전]

우리 돈 원한다면 합의해야가 먼저 성의 보여야 협상

시진핑 보호주의 함께 돌파외교전홍콩서 가는 화물 우편접수 중단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50417/131433392/2

 

2. 미국과 관세협상 ‘3가지 조건마련한 중국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41623030002758

 

3. "미국의 존중과 일관성핵심담당자 있으면 무역협상"

트럼프의 거듭된 전화요구에 중국 첫 반응

밴스의 중국 비하발언 비판, 권한있는 핵심협상인물 요구

보도후 역외위안화 상승, S&P500지수 선물 하락폭 축소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166569i

 

중국에서 전화 오길 목 빠지게 기다리는 모습인 트럼프에

연락이 왔습니다.

 

중국을 존중하는 태도를 보일 것 미국의 제재와 대만 문제에 대한 중국의 우려를 해소할 의지를 보일 것 트럼프의 위임을 받은 협상 담당자 지정을 원하고 있다.

 

3가지 조건을 갖추어라. 우리 무시하지 말고 정중하게 대화라라 이 소리고요.

 

1. 워싱턴과의 회담이 중단되면서 중국이 최고 국제 무역 협상자를 교체

중국은 수요일 리청강을 상무부 차관이자 국제 무역 협상의 최고 대표로 임명했습니다.

이번 임명으로 리는 베이징이 미국과의 무역 분쟁을 다루는 가운데 중국 무역 협상팀의 핵심 멤버가 되었습니다.

https://www.cnbc.com/2025/04/16/china-replaces-top-trade-negotiating-official-as-trade-talks-with-washington-stalls-.html

 

중국은 기존 협상 대표를 교체하면서 성의로 보였습니다.

또 정리하면 미중 대화 시도가 감지된다. 이걸 호재 삼아 보고요.

 

1. 미국 자산 수요 급감중국의 동남아 공세에 미국 경제 충격 우려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이 심화되며 미국 자산에 대한 투자 수요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 2025416, 크립토폴리탄(Cryptopolitan)은 미국 달러가 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고, 이는 투자자들이 미국 자산에서 급히 자금을 회수한 결과라고 보도했다

https://www.topstar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5640321

 

오늘 시장 특징 중 꼭 살펴야 할 것은 달러가 말입니다. 세상에 0.92% 하락하면서

99.04입니다. 달러/엔은 작년 8월 일본 금리 인상과 함께 나왔던 달러/엔 급락 자리 근처까지 가서 141.75고요.

이게 이상합니다.

엔케리 트레이드 청산 우려는 계속될 것 같고요.

 

1. ", 국채 매각 안했다"는 베센트SLR규제·바이백 만지작

국채금리 낮아졌지만 유동성 여전히 낮아

재무차관 SLR 규제완화 가능성 시사월가는 '환영'

흔들린 미국채 신용도 회복될지는 '미지수'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588326642136776

 

이렇게 되면 지난주에는 미국 장기채 수익률이 급등하면서 채권 우려가 나오는데

어라 이건 또 하락입니다. 10년물이 0.97% 하락인데요.

이건 베샌트 효과 같습니다.

 

<< 같은 날 마이클 폴켄더 재무부 차관은 보완적 레버리지비율(SLR) 완화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이날 워싱턴에서 열린 미국 자산회사협회(ICI) 행사에서 우리가 들여다보고 있는 것은 시장 변동성이 있거나 스트레스 상황이 있을 때 시스템에 충분한 유동성이 유입되고 있는가 하는 점이라면서 “SLR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불필요하게 제약요인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채권시장이 대량거래일을 감당할 능력을 높일 방법이 없는지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안 팔았고 던지는 물량 나오면 미국 은행 규제 풀어서 사주게 하면 된다.

이런 발언이 나오면서 장기채는 굉장히 안정됩니다.

 

저의 미국 주력 투자가 미국 장기채 투자여서

한시름 놓았습니다.

 

달러는 99달러도 위태로워졌고요. 대신 미국 장기채는 안정적이다.

달러 투매가 계속될지는 더 지켜봐야겠습니다.

우리 증시에는

 

KODEX 미국달러선물인버스2X ETF가 있습니다.

49일 저가가 4930원이고요. 어제 종가가 5340원인데

오늘 지난 저가가 깨질 것 같네요. 살짝 선발대 한 번 보내볼까 고민 중입니다.

 

99달러 아래면 단기로 담을 자리 아닐까? 고민됩니다.

1. '금통위 오늘 열렸나'국고채 3년물 금리, 4bp 빠지며 연저점 경신(종합)

 

2. 국채 선물 시장, 탄핵 인용에 컴백한 외국인 [fn마켓워치]

[파이낸셜뉴스]국채 선물 시장에서 외국인들이 다시 돌아오고 있다.

 

3. 트럼프가 부른 나비효과금통위 앞두고 채권 강세 뒷배엔 중국이? [김혜란의 FX]

최근 채권 시장 강세는

떠난 자금 유입 분석

증시 약세에 비해 원화도 선방

https://www.sedaily.com/NewsView/2GRJN2FFIP

 

미국, 중국 채권만 난리가 아니고요.

지금 우리 채권 시장도 난리입니다.

3번 기사 꼭 전문 구독해보시기 바랍니다.

우리 채권 수익률이 저점 경신하면서 지금 하락 중입니다.

투자 기회는 저는 놓쳤네요.

중국이 유럽에 매수해둔 미국 채권 매도한다는 기사도 있었는데

 

<<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위원은 최근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 1기때와 같이 미국에 대항해 외환, 외국채 다변화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중에는 원화 표시 자산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날 채권 시장 강세는 트럼프가 부른 나비 효과라고 보는 게 적절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국채 금리는 트럼프 행정부의 오락가락 관세 속에서 안전자산으로서의 지위에 균열이 가고 있는 상황이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RJN2FFIP

 

중국이 외국채 다변화에 우리 채권이 포함될 수도 있다고 하네요.

 

달러/원이 1415원으로 오면서 원화가 많이 내려 왔거던요.

그래서인지 MSCI 한국이 나스닥이 4%대 하락인데도 1% 하락으로 잘 버텼습니다.

오늘 우리 시장 비빌 언덕은 원화 안정화 이걸 삼아 볼 생각입니다.

 

1. 베선트 미 재무장관 "14개 무역상대국을 위한 프로세스 마련중"

2. "90일 내 모든 관세협상 마무리 어렵고...상당한 명확성은 확보할 것"

 

3. "트럼프 때문에 미국 안간다", 130조원 손실 예상

"넷플릭스 끊었다""여행 취소"트럼프발 피해 올해 130조원

 

4. 트럼프 "일본과 관세 협상에 직접 참석할 것좋은 결과 기대"

일본에 상호관세 24%90일간 유예

https://www.news1.kr/world/northeast-asia/5755740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천연가스 하락세 이어진 반면, 국제 유가는 예상 밖에 강세 WTI 62달러

천연가스, 100BTU당 전날보다 0.086달러(2.58%) 떨어진 3.243달러

WTI는 전장보다 1.14달러(1.86%) 오른 배럴당 62.47달러에 거래 마감

 

2. 관세전쟁 속 '진짜 금값' 된 금값국제 현물가격 사상 최고치

금값 또 '사상 최고가'얼마나 더 오를까

사상최고치 경신한 금값 올해 3700달러까지 간다? 비트코인과의 연동성도 주목

 

3. 트럼프, 추가 관세 카드 만지작핵심 광물 수입 안보 영향 조사 착수

무역확장법 232조 근거

광물 수입 의존도 낮추려는 의도

https://www.etoday.co.kr/news/view/2462669

 

4. 우크라 부총리 "미국과 광물협정에 긍정적 진전"

우크라 부총리 "와 광물협정에 긍정적 진전마무리 단계"

 

5. 미중 무역전쟁 최대 승자는 바로 OOO

중국이 미국산 농산물에 대거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중국은 브라질산 대두 등 브라질 농산물과 원자재를 대거 수입할 수밖에 없고, 브라질이 남미 최대 경제국으로, 제조업 인프라를 어느 정도 갖춰 미국이 중국 대신 브라질산 제품을 수입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https://www.news1.kr/world/usa-canada/5755387

 

6. 철강 공급과잉 우려 속 중국 지난달 생산 4.6% 늘어

 

7. 중국 지난달 철강 공급 생산 4.6% 늘어"수출 증가·원자재값 하락 덕분"

 

8. 방산 웃고 반도체 울고外人, LIG넥스원·한화에어로 싹쓸이’ [줍줍리포트]

호실적 기대감에 방산상승LIG넥스원 7% 강세[핫종목]

 

금이 진짜 금이 되었다는 표현이 공감됩니다.

진짜 금이 금입니다. 3.6% 급등 3357달러입니다.

은도 1.46% 올라서 32달러 구리도 1.32% 상승, 금속은 다 상승이고요.

유가가 2% 천연가스는 1.68% 하락

저는 에스오일에 투자 시작했고요. 수익 줬다가 말았다, 중인데

오늘은 좀 오르겠습니다. 미국 정유주들도 좋았고요.

미국이 이란 제재해서 수출 0으로 만들 수도 있다고 압박하네요.

 

<< 미중 무역전쟁의 최대 승자는 브라질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미국의 최고 경제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최근 보도했다.>>

 

미중 갈등으로 최종 승자가 브라질일 수 있다고 하네요.

신박했습니다.

 

1. “너희는 안 내도 돼트럼프 관세 폭탄 피해간 한국 태양광 업계

태양광 핵심소재 폴리실리콘·웨이퍼관세 면제

동남아 생산품, 미국 시장 수출 탄력/ 중국산과의 차별화로 경쟁력 확보

태양광 셀·모듈은 상황 예의주시/ 탈중국화 공급망 재편 가속화

https://www.mk.co.kr/news/business/11293543

 

퍼스트솔라가 1.92% 하락

엔페이즈에너지는 2.49%

어제 한화솔루션은 0.5%로 시장 대비 선방은 하고요.

2만원은 지지하는 모습입니다.

다른 관세에 무관한 업종은 잘 달리는데 이상하게 태양광은 못 갑니다.

 

1. [단독]'세계1위 배터리' CATL, 본사 설립'고급 인력' 흡수 본격......

글로벌 배터리 1CATL, 한국 법인 세워 시장 공략 본격화

'세계 배터리 1' CATL, 법인 세우고 본격 진출

 

2. 중국 배터리 CATL 1분기 순익 32.9%↑…유럽선 점유율 43%

[올댓차이나] 전지업체 CATL 1분기 순익 32%↑…"전기차·PHV용 호조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415_0003139592

 

3. '캐즘·관세 이중고' 이차전지, 업종 내 희비LG엔솔만 '활짝'

LG에너지솔루션, 한달 수익률 5%시장 대비 선방

소재주는 수요 부진·관세 부과 직격타종목별 온도차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106566642136776

 

앨버말이 또 2.67% 하락, 연간으로는 38% 신저가 자리까지 내려오는데요.

요즘 엔솔이 잘 오르고 덜 내리고 이렇습니다.

앨버말처럼 소재는 영 약한데 엔솔은 품목 다변화, 거래처 다변화에 성공하는지

엔솔이 버티네요.

삼성SDI가 어제 3% 하락인데 엔솔은 어제 상승도 하다가 0.58% 정도 하락

엔솔에서 희망의 불씨가 생기나 싶고요.

 

1.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SK엔무브 상장 시 SK이노베이션 주주 피해 우려

한국거래소, SK엔무브 상장 신청 보류 권고

주주 보호 방안 먼저 마련해와야 상장 심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89562

 

LGSK나 비슷하겠지만 일단 SK가 엔무브 상장에 제동이 걸리네요.

삼성SDI는 유상증자에 SK이노베이션은 상장 제동 악재가 있다면

엔솔이 제일 나은 형편이 되겠습니다.

전 쳐다도 안 봅니다. 다 돈 먹는 하마고요.

CATL 1분기 이익이 32% 증가입니다. 상대가 안 되죠.

그리고 CATL이 한국 진출까지 하네요.

전기차도 배터리도 중국이 한국 상륙을 서두르네요.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중국ㆍ베트남 공동성명 "WTO 무역체제 지지일방적 패권주의 반대"

트럼프 "미국 어떻게 속일지 고민하는 것"

https://www.etoday.co.kr/news/view/2462617

 

2. 와 관세전쟁 속 1분기 5.4% 깜짝 성장수출 밀어내기 효과?

관세폭탄 속 5.4% `깜짝 성장`수출 밀어내기, 보조금 효과

중국경제 5.4% '깜짝 성장'"관세 시행 직전 수출 급증"

 

3. [오늘 A] 더딘 내수·부동산 회복에 하락...노동절 기대감에 레저주는 상승

상하이종합지수 3276.00(+8.34, +0.26%)

선전성분지수 9774.73(-83.37, -0.85%)

촹예반지수 1907.11(-23.29, -1.21%)

커촹반50지수 1014.51(+8.17, +0.81%)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16000913

 

4. 16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1분기 GDP는 전년 대비(실질) 5.4% 증가했다. 5.4%의 성장률은 로이터통신(5.1%)과 블룸버그통신(5.2%)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를 웃돈 것이다.

 

1분기 공업생산액은 전년 대비 6.5% 증가했고, 서비스업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5.3% 증가했다. 1분기 수출액은 위안화 기준으로 6.9% 증가했다.

 

공업생산액과 수출이 호조를 보였지만 내수는 GDP 성장률보다 낮은 증가세를 보였다. 1분기 사회소비품소매총액은 전년 대비 4.6% 증가했다. 상품 소매액이 4.6% 증가했고, 외식 소매액이 4.7% 증가했다. 소비재 보조금 정책의 영향으로 통신기기 판매액이 26.9%, 사무용품류가 27.1% 증가했지만, 전반적인 내수는 여전히 더딘 성장세를 나타냈다.

 

주택시장 역시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부동산 개발 투자액은 전년 대비 9.9% 감소했다. 중국의 1분기 고정자산 투자액은 전년 대비 4.2% 증가했다. 부동산 개발 투자를 제외한 고정자산 투자액은 8.3% 늘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16000913

 

홍콩은 1.9% 하락이지만 상해는 0.26% 상승이죠.

장중에는 제법 하락도 하지만 늘 전해드리는 힘이 반등시켰겠죠.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말입니다.

엔비디아 발 아시아 시장 충격인데 말입니다. 그래서 대만이 1.96% 하락인데

중국 반도체가 많이 포함된 지수 과창판 보세요.

0.8% 상승이죠. 중국 나스닥 창예판은 1.2% 하락인데 말입니다.

 

이게 중국이 미국 관세에 대응하는 힘을 표현한다는 생각입니다.

기술에서 안 밀린다. 너네가 때리면 우린 더 빨리 기술 개발해서 자립한다.

기술 굴기가 먹힌다는 생각이죠.

 

1. 악재 미워도 '다시 한번'5월 이후 중학 개미 '뚠뚠'

"5월 이후 주식 접근"

"테크·기술주 주도 전망"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206091

 

과창판 보면서 느낀 소감이었고. 기사 보시면 5월 이후 중국 기술주 주도로 다시 달리는 것 전망하는 기사도 나오죠. 저는 가능하다는 생각이고요.

 

1. 원가 공개틱톡 효과 있었다쇼핑객들 우르르

"소비자, 전자상거래 앱 샅샅이 뒤지는 중"

"210만원 루이비통 짝퉁 지갑 3.24달러" 한마디에

쇼핑앱, 앱스토어 2위 기염플랫폼도 홍보 지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457126642136776

 

2. 5400만원 '버킨백' 공장선 얼마?'원가 폭로'발칵

미국과 중국의 관세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중국 공장에서 생산되는 에르메스 등 명품제품의 원가를 폭로하는 영상이 미국 온라인에서 확산중이다.

 

16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최근 틱톡(TikTok)과 엑스(X·옛 트위터)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에르메스 명품 가방, 나이키 운동화, 운동복 브랜드 룰루레몬 레깅스 등 유명 브랜드 제품들의 제조 원가를 공개하는 영상들이 확산되고 있다.

https://economist.co.kr/article/view/ecn202504160055

 

공산당이 잘하는 것이 선전 선동이죠.

상대 내부를 교란시키는 것이죠. 뭐 좋게 말하면 여론전인데요.

 

정부에 의뢰받고 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애국으로 할 수도 있지만

중국 생산 원가 전하면서 미국 소비자들을 흔들고 있습니다.

우리가 얼마나 바가지 쓰고 있었나?

이런 의문을 미국 소비자에게 심어주는 것이죠.

그럼 모든 여론의 표적이 트럼프에 향할 것이고요.

중국 대응 수법이 교묘합니다.

 

1. 중국 희토류 다음 카드는 '환율' 달러/위안 9위안 예고

재정 부양 없으면 위안화 절하 유력

위안화 20% 하락 가능성

자본 유출 위험 경고

 

블룸버그는 위안화가 유로화에 대해 2014년 이후 최저치로 후퇴했다고 보도했다. 2025년 초 이후 위안화는 유로화에 대해 8% 이상 급락, 유로/위안 환율이 8.5위안을 향해 뛰는 상황이다.

투자은행(IB) 업계는 인민은행의 위안화 평가절하 가능성에 힘이 실리면서 위안화 하락 베팅이 확산되고 있다고 설명한다.

2015년 유동성 엑소더스 재연될까 = 지난 2015년 위안화가 가파른 하락을 연출했을 때 중국에서 7000억달러에 달하는 유동성이 빠져나가면서 금융시장에 패닉을 일으켰다.

 

20196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 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양자 회담 자리를 떠나는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중국이 위안화 평가절하에 나설 경우 또 한 차례 자본 유출과 함께 신흥국 전반으로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고 우려한다. 잠재적인 리스크를 인식하는 중국 지도부가 환율 전쟁에 나서기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도 없지 않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16000927

 

중국이 미국 관세에 대응할 칼이 여럿 있고 그중 환율이라든 이야기는 계속했습니다.

오늘도 관련 기사가 나오네요. 기사 보여드리니 참고하시고요.

 

미국이 쉽게 중국 이겨 먹기 힘들다는 생각 계속 전해드리고 있습니다.

이번에 제대로 못 이기면 패권마저 중국으로 넘어갈 수 있다는 생각이고요.

 

미국 시장에서 징둥이 5%, 알리바바 4%, 바이두 2%, 핀둬둬 1%대 후반 정도

하락 미국 시장 하락과 비슷한 모습입니다.

 

1. 삼성전기, BYDMLCC 공급 소식에 거래량 폭증주가는 제자리(종합)

 

2. 캐나다 총리 국내에 자동차 공장 두면 미국산 차 수입시 무관세

공장 국외 이전 방지 목적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1192718.html

 

3. 고수익 차량 개발 속도 내는 현대차그룹·저가 모델은 가격 인상 최대한 자제

무뇨스 현대차 사장 관세에도 차값 유지

무뇨스 현대차 사장 "가격 시장이 판단대폭 인상 없을 것

 

4.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 “25% 관세에도 자동차 가격 안정적 유지

https://www.asiatime.co.kr/article/20250416500293

 

5. 무뇨스 현대차 사장 "210억 달러 투자, 관세 때문에 내린 결정 아니다"

미 매체에 "저가 모델일수록 인상 힘들어"

현지선 최대 3000만 원 인상 가능성 나와

"210억 달러 투자, 관세 조치와는 별개"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41615040002382

 

어제 현대차가 2.83%, 기아가 선방하다가 밀려서 1.28% 정도 하락이었고요.

오늘 미국 시장에서 테슬라가 4.9%

샤오펑 5%, 리오토 3%, 니오가 2% 중국 전기차 하락이 좀 있었고요.

묘한 것이 도요타가 0.49% 상승입니다. 혼다는 0.39% 정도밖에 하락 안 하고

포드도 0.53% 정도 지수 대비 선방이죠.

 

오늘 우리 시장도 비슷한 흐름이 나온다면

자동차가 의외로 선방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이고요.

조선, 방산이 밀어주면 지수도 제법 방어가 될 수도 있겠죠.

자동차에 살짝 희망을 걸어봅니다.

 

1. 무비자 정책 앞두고 여행·카지노주 훈풍

 

2. 코스피 내려도 주가는 급등세"K-푸드 선두기업" 증권가 호평

 

3. 농심라면 천만봉 판매에 주가 상승

# 우리 시장 이야기

 

1. 일본 증시, 반도체 관련 악재로 사흘 만에 반락 마감1.01%

 

2. [올댓차이나] 대만 증시, 엔비디아 대중 수출규제에 반락 마감1.96%

 

3. "한국 주식 팔자" 외국인·기관 매도에 하락코스닥 700선 깨져

 

4. ·반도체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져반도체주 줄하락 [종목Pick]

흔들린 코스피, 2440선 하락 마감삼성전자·SK하이닉스 3% '급락'

멱살 맞잡은 ·에 얼어붙은 코스피 삼전·SK하닉 3%[투자360]

 

5. , 엔비디아 H20 수출 통제"트럼프, 첫 반도체 수출제한"(종합)

 

어제 시장은 두 번의 큰 변동이 나왔다는 생각입니다.

해외 소식으로 엔비디아 발 반도체 악재로 갭 하락하지만

장 초반은 잘 버틴다 싶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가 잘 버티고, 엔솔이랑, 일부 조선주가 버티면서

! 지수가 굉장히 선방하는데, 이런 느낌이었고요.

940분 근처에서 홍콩 개장 전까지는 제법 반등도 하는 모습이었고요.

 

그래서 나스닥 선물 하락에도 불구하고 잘 버텼는데

중화권 전체 개장한 1030분 전후로 고점 만들고 무너졌네요.

홍콩 2%가 좀 부담스러웠던 모습입니다.

대만도 10시 반 정도부터 같이 무너졌습니다.

1차 하락은 엔비디아가 만들었고

 

1. 오후 낙폭 키운 코스피美中 갈등·ASML 수주 부진 여파

 

2. '슈퍼 을' ASML 1Q 순익 3.8"관세 불확실성 지속될 것"

오후 낙폭 키운 코스피美中 갈등·ASML 수주 부진 여파

ASML, 1분기 수주실적 기대이하"관세 불확실성 커져"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41602109932075006

 

2차 하락은 ASML 실적 발표 후에 무너졌고요.

1차 하락은 대만이 주도했고

2차 하락은 뭐 네덜란드가 주도했네요.

뭔 실적 발표를 유럽 새벽에 하는지 쩝 저녁에 해도 될 것을

 

수급으로 보면

외국인이 정말 현물을 끝없이 팝니다.

4631억 매도하고요, 기관이 332억 매수인데 연기금이 꼴랑 869억 매수

우린 연기금 역할이 참 미미합니다.

분명 우리 지수가 반등은 하겠지만 올해 내내 팔고 있는 저 외국인 매도는

항상 부담이고요.

 

1. "한국 주식, 하반기 되면" JP모간 '깜짝 보고서' 내놨다

글로벌 투자은행(IB) JP모건이 하반기로 접어들면서 한국 증시가 2700선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16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JP모건은 지난 15'위험 대비 수익이 더 나아지는 구간(Balance of risk-reward better from here)'이라는 제목의 한국주식 전략 보고서를 내고 한국 증시에 대한 투자 의견을 '비중 축소'에서 '중립'으로 상향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165459i

 

2. 자사주 소각 '밸류업' 속도주가상승 힘받는다

상장사 891분기 10조 육박

작년의 2올해 20조 예상

주주·기업가치 높여 주가 도움

https://www.fnnews.com/news/202504161837213194

 

3. 작년 코스피 상장사 배당금 30조 돌파코스닥도 역대 최대

 

4. 후한 배당 안고 조용히 상승현대엘리베이터 연일 52주 최고가 경신

 

시장을 좋게 보는 곳은 저만 그런 것이 아니고요.

JP모건도 하반기 2700선 이야기도 하고요.

자사주 소각도 1분기에 10조 육박하죠. 올해는 20조 예상한다고 합니다.

주가를 올리려면 자사주 소각해야 한다는 것이 증명되고 있어서

이 추세가 유지될 것 같고요.

 

63일 새 정부가 들어서면 경기 부양도 할 것이고요.

상법 개정 추진도 할 것이고요.

 

그래서 어제 미국 시장 이야기에서 2중 바닥 전망하는 기사 전해드렸는데

우리도 지수가 2중 바닥이 되던지, 저점이 높은 곳에 만들어지던지

6월까지 잘 버티면 하반기에는 새로운 시장 열린다는 기대감 가지고 있고요.

 

1. CMG 개량신약, 미국 FDA 뚫었다"중견제약사 최초"

온코닉 앞세운 제일약품, 체질 개선으로 흑자전환 '성큼'

AACR 한 주 앞으로"리가켐·에이비엘 주목

네오펙트, 비대면 원격진료 합법화 추진에 수혜 기대

 

2. 4882% 급등한 정치인 테마주증권사들, 투자자보호조치 강화

매매정지 풀리자마자 상한가 찍은 이재명 테마주상지건설 불기둥’ [종목Pick]

'이재명 테마주' 상지건설, 거래재개에 또 상한가(종합)

 

3. 널뛰기 장세에 소형주만 살아남았다

코스피 소형주 이달 3% 상승

외국인, 대형주 집중 매도/ 정치 테마주 급등도 한몫

 

4. 4월 증시 승자는 소형주... ·대형주는 '비실'

https://www.fnnews.com/news/202504151554262886

 

어제 지수가 1.21% 대형주가 1.33% 하락이지만 중형주가 0.61%, 소형주가 0.76%

하락으로 중, 소형주가 잘 버텼죠.

그게 정치 테마 일지라도 말입니다. 정치 테마보다 저는 정책 테마가 분다는 생각이고요.

코스피 소형주는 4월에 3% 상승합니다.

코스피 소형주와 코스닥을 묶음으로 봐야겠죠.

 

미국 관세로 대형주는 흔들림이 심할 것 같지만

관세에 벗어나 있는 중, 소형주는 대형주에 비해 선방도 하고요.

정책 관련주로 묶이면 시세 분출도 할 것 같고요.

본격적인 대통령 선거전에 들어가는 5월은 대선 기대감, 정책 기대감

6월 이후는 상법 개정 기대감으로 뭐 버텨보죠.

몇 달 안 남았죠. 다음 달이 5월이니 말입니다.

조금만 더 버티시고 힘 내시기 바랍니다.

 

제가 선반영 이야기 자주하는데요.

 

야간 선물이 0.7%대 이거 묘하죠. 4시 마감 때 나스닥이 4% 하락이었는데 말입니다.

더 묘한 것은 MSCI 한국 지수입니다.

4시 근처에는 나스닥이 4% 하락 중인데 1.1% 근처에서 움직이더니

막판 나스닥이 반등하면서 0.71% 하락 마감입니다.

 

야 요거 참 묘합니다. 정말 멋지게 선방하네요.

어제 우린 미리 선반영했다. 이러면서 하락이 제한적이면 정말 좋겠는데 말입니다.

 

1. H20 수출 제한에 공급망 이전SK하이닉스 '이중 압박'

엔비디아, 트럼프 H20 수출 규제에 7조 손실 타격

SK하이닉스, 직수출 전환 땐 관세 리스크 직면

AI 수요 위축, 공급망 재편까지전략 수정 불가피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16000812

 

2. 'H20 수출 제한' 엔비디아 8조 손실삼성·SK도 영향권

H20의 중국 수출 규제는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에 HBM 수출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 HBM을 양산하는 기업은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마이크론 정도로 전 세계의 HBM60% 이상을 엔비디아가 소화하고 있다. HBM 납품 업체 입장에서 이미 엔비디아와 주문 계약이 체결된 만큼 이번 수출 제한이 당장에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통제 장기화는 부담스럽다.

 

올해부터 H20에 최신 HBM 제품인 HBM3E(5세대)가 탑재되면서 주로 SK하이닉스의 제품이 쓰이는 것으로 전해진다. H20의 주요 수출처가 막힌 만큼 SK하이닉스도 수출 제한을 주시할 수밖에 없다. 지난해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대상으로만 11조원의 매출을 올렸다.

https://v.daum.net/v/20250416160652751

 

4. “갤럭시S25 나왔는데삼성전자, 1분기 스마트폰 판매량 애플에 밀린 이유는

삼성전자, 1분기 스마트폰 판매 점유율 18%2

3년 만에 보급형 출시한 애플, 점유율 19%1

관세 발표 전부터 출하량 늘리고 구매 혜택 강화

 

5. SK하이닉스, 올해 두 번째 생산직 인력 채용 실시

SK하이닉스, 고졸·초대졸 생산직 신입 채용HBM 수요 대응

 

6. "HBM 날개 달았다"SK하이닉스, 1분기 수출액 27% 급증 [biz-플러스]

'HBM 효과' SK하이닉스, 올해 첫 20조원대 공격투자 나선다

 

7. 인텔 공장 임원, SK하이닉스 새 명함낸드 통합 가속화

 

삼성전자나 하이닉스가 엔비디아 수출통제에 영향받는다는 것은 뭐 다 알 수 있는 내용이고요.

스마트폰에서 애플에 밀린 것은 아까비고요.

하이닉스가 HBM 생산 가속화 한다. 다 투자자로서 버티게 하고 비빌 언덕이 될 내용입니다.

 

1. [단독] 삼성전자, HBM 두뇌 로직 다이테스트 수율 안정권HBM4 12단 개발 탄력

HBM4 로직 다이 테스트 수율 40% 돌파

전영현 부회장, 파운드리 사업부 임원들 격려

1c D, HBM 패키징 기술이 관건

https://v.daum.net/v/20250416134933584

 

2. 한미반도체, 삼성과 관계회복 '시동'

특허 소송전 뒤 10여년간 단절

큰손 확보·기술 협력 '윈윈' 가능

https://v.daum.net/v/20250416175801003

 

3. 한미반도체·SK 동맹 균열 TC본더 AS인력 전원 철수

 

4. "SK하이닉스서 우리 직원 빼"'8년 동맹' 충돌에 '초긴장'

하이닉스, 한화에 주문하자한미반도체 "HBM 라인서 직원 빼"

하이닉스·한미반도체 'HBM 동맹' 균열

핵심장비 공급 놓고 8년 만에 정면충돌

하이닉스, 복수 공급사로 '한미와 소송' 한화세미텍 선정

한미, 장비 가격 28% 인상 통보"HBM 생산차질 우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1662681

 

5. 마이크론, HBM'플럭스리스 본딩' 도입 준비TC본더 업계 격돌 예고

삼성 이어 차세대 HBM에 적용 검토한미반도체, AMSPT, K&S 등 물망

https://v.daum.net/v/20250416135029625

 

그런데 한미반도체를 중심으로 변화가 감지됩니다.

저는 아직도 하이닉스가 왜 특허 침해까지 하는 한화와 손잡는지 이해가 안 되는데요.

열 받은 한미가 A/S인력을 철수하고요. 가격도 올리고요.

대신 한미가 삼성전자와 오랜 갈등을 풀고 협업하려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렇게 되면 하반기부터 삼성전자 기대를 더 해야 하나?

고민이 많아지네요. 한미반도체를 잘 추적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아직까진 관망인데 더 심각해지면 하이닉스를 좀 부정적으로 볼 이유가 생길 것 같습니다

 

오늘 위클리 옵션 만기고요.

가장 좋은 그림은 갭 하락 후 우린 밀어 올리는 그림이 나오는 것이고요.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는 생각이고요.

 

-4%에서 하락하던 나스닥이 3%로 장 막판에 1% 반등한 힘과

7시 개장하는 나스닥 100이 좀 반등으로 시작하면

우린 기대감이 좀 올라올 것 같습니다.

 

힘든 시기지만 힘내 보시죠.

이 또한 지나가리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1. MSCI 한국지수 리뷰 시작삼양식품, 한화시스템 편입될 듯

편입 후보군으로는 LIG넥스원, 레인보우로보틱스, HD현대마린솔루션, HD현대미포 등 주로 방산·조선 관련주가 거론되고 있다.

 

반대로 편출 후보군으로는 LG이노텍, CJ제일제당, SKC, LG디스플레이 등 주로 2차전지와 전자기기 부품 관련 종목이 거론되는 상황이다

https://www.mk.co.kr/news/stock/11293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