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베센트 중국 협상 진전! 트럼프 파월 안 자른다. 트럼프 도지 그만둔다! 4월 23일 장전 시황

평생선물 2025. 4. 23. 07:01

베센트 중국 협상 진전! 트럼프 파월 안 자른다. 트럼프 도지 그만둔다! 423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지금 글 적는 628분에 트럼프가 연설 중인데

관세 협상에 진전이 있다고 밝히면서 종목들이 다 우상향입니다.

오늘 7시 나스닥 선물 좋을 것 같고요.

 

645분인데요. 글은 정리해야 할 것 같고

머스크가 이야기를 계속하는데

정리해야 할 것 같습니다.

 

트럼프가 파월 안 자른다는 언급 했고, 중국 관세 협상 가능성 높게 이야기하고요.

머스크는 도지 그만둔다고 합니다.

머스크가 관세를 내려야 한다고 전했다고 하고요.

 

그래서 7시 나스닥 100 선물 급등 출발 예상도 해봅니다.

 

베센트와 트럼프, 머스크 3명이 정규장과 시간 외 시장을 살렸다는 생각입니다.

외신으로 계속 추적해야 할 것 같고요.

글 올리고 카페 제 글 댓글에 중요 소식 알리고

8시 장중 대화 방에도 자세한 소식 전하겠습니다.

 

1. "과 협상 무대 마련중올바른 방향으로 가고있어"

재무 "과의 관세 갈등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완화 예상"

 

2. 재무장관 "미중 무역갈등 곧 완화…현상태 지속 불가"

백악관도 "중국과 거래 위한 무대 마련 중"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199786

 

3. 美 "이번주 34개국과 무역 회담과의 새 합의 잘 진행 중"

백악관 "와 합의 원하는 나라로부터 서면제안서 18건 받아"

트럼프, 교황 장례식 참석 위해 25일 출국…내달 중순 중동 순방

https://www.yna.co.kr/view/AKR20250423004700071?input=1195m

 

오늘 지표 발표도 없었고요.

시장 상승 이유를 찾는다면 하나 있습니다.

미국 재무장관이 펌프질 했습니다..

 

<< 재무장관 "미중 무역갈등 곧 완화…현상태 지속 불가"

백악관도 "중국과 거래 위한 무대 마련 중">>

 

이 내용이 오늘 미국 시장을 살렸다는 생각입니다.

 

1. BofA "증시 급락에 레버리지 ETF로 거액 쏠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2257

 

또 하나 있다면 저가 매수인데요. 미국 증시 급락에 레버리지 ETF로 거액 쏠렸다는 기사는 서학 개미이지 싶은데 서학 개미는 두려움이 없나 싶을 정도

저가 매수에 나서네요. 오늘 상승은 베센트가 돕고 서학 개미가 물량을 실었다.

이렇게 정리하면 될 것 같습니다.

 

종목은 뭐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 올랐고요.

 

달러가 0.71% 상승 다시 98.75정도에 왔습니다.

장기채 수익률도 좀 내려와서 30년물은 0.59% 하락입니다.

 

1. ‘채권 최대 보유일본, 30조원 매도2005년 이래 최대 규모

22일 파이낸셜타임스는 일본 재무성의 예비 통계 분석을 통해 일본의 은행, 연기금 등 민관 기관이 3월 말부터 이달 4일까지 일주일간 만기가 긴 해외 채권을 175억 달러(약 25조원) 매도했고, 그 다음 주에도 36억 달러(약 5조원)를 추가로 팔아치웠다고 보도했다. 이는 일본이 국제 채권 매매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5년 이후 2주 동안 가장 큰 규모의 매도세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94313

 

2. 사모펀드 투자 발 빼는 금융시장으로 번진 관세 전쟁

FT “당국, 국영펀드에 압박

 

3. “트럼프 편 들면 돈 다 뺀다”…시진핑 한 마디에 사모펀드들 벌벌 떠는 이유는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 국유자금을 운용하는 중국투자공사(CIC) 등 국부펀드가 최근 몇 주 간 미국 사모펀드에 대한 투자 약정에 참여하지 않고 철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https://m.mk.co.kr/news/world/11298692

 

미국 시장을 판다! 이런 우려 기사가 많았는데요.

채권은 일본이, 금융자산 주식은 중국이 파는 것으로 보이네요.

 

1. "관세에 공동 대응하자", 정부에 서신 압박

정부에도 보냈을 가능성

 

2. 총리, '시진핑 친서' 전달관세 공동 대응 제안

https://www.dailian.co.kr/news/view/1488995/

 

3. 왕이, 외무에 ", 무차별 관세공격…국제질서 지켜야“

 

계획적으로 한 것이 아닐 것이지만 결과물은 중국과 일본이 협력한 모습이네요.

우리도 이런 추세를 최대한 이용해야 합니다.

 

협상 최고 결정권자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우리도 추경이나 돈이 필요해서라도 민간이나 정부 채권 팔 수도 있다.

중국 입장을 지렛대로 이용해야겠죠.

 

 

1. 월가 '초비상'"90% 가능성까지 나왔다"

 

2. WSJ "S&P500, 1928년 이래 대통령 취임 후 최악

 

3. '셀 아메리카' 글로벌 투자, 미국 떠난다"금융패권 흔들"

 

4. '달러 패권' 붕괴 가속. "트럼프가 10~20년 앞당겨"

달러 올 들어 10% 폭락. 금값 3,500달러 돌파하며 33% 폭등

https://www.viewsnnews.com/article?q=226639

 

5. 트럼프발 MDRA의 중력장..."달러-물가-금리 악순환" 경고

MAGA를 대체하는 MDRA(달러를 다시 위태롭게)

JP모간은 4월21일자 보고서에서 "관세 충격으로 인플레이션 위험이 이미 고조된 시점에 등장한 트럼프의 파월 때리기는 매크로 환경, 특히 인플레이션 전망을 더 꼬이게 한다"고 지적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22000470

 

6. 달러 가치 하락에도…신흥국 웃지 못하는 이유

신흥국 달러 채무는 줄어든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관세 전쟁이 몰고온 'T의 공포'가 세계 경제를 수렁에 빠뜨리면서 달러 약세 효과(수출 증가)를 향유할 수 없는 처지다.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50422500364

 

7. 테슬라 227달러, LG화학 21만6000원 … 트럼프 리스크에 'ELS 폭탄' 현실화 되나

업황 둔화에 LG화학 ELS 원금 손실 우려 확산

녹인 배리어 터치 상품 2915억원 달해

테슬라·엔비디아도 일부 ELS 손실 가능성 커져

관세전쟁 여파에 증시 하락 불가피…투자자 우려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5/04/22/2025042200122.html

 

8. 트럼프, 소매업체 CEO 깜짝 회동...관세전쟁 공포감 달래기

지지율 급한 트럼프 '관세 직격탄' 유통업체 CEO들과 깜짝 회동

 

9. "테슬라, 심각한 위기상황" 보고서…주가 6% 하락

댄 아이브스 "머스크, DOGD에서 물러나 테슬라에 집중해야"

https://zdnet.co.kr/view/?no=20250422141215

 

10. 트럼프 관세 덕분에 횡재...중고품 업계 주가 30%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국제 유가-천연가스, 이란에 대한 새로운 제재에 상승 반전 WTI 64달러 거래

천연가스, 100BTU당 전날보다 0.004달러(0.13%) 오른 3.020달러

WTI는 전장보다 1.23달러(1.95%) 뛴 배럴당 64.31달러에 거래 마감

 

2. "어디까지 오르나"…파월 흔들자 '또 최고치'

'금만 계속 오르네'…시장 불안에 최고치 '3500달러' 첫 돌파

금값 시세 4000달러 간다? 선물 가격 3500달러 첫 돌파

 

3. 구리 가격 껑충달러화 약세 영향

 

4. 중국 알루미나 3월 수출 7년새 최고치, 자국 공급 과잉에 해외판매 지속 전망

중국 내 공급 과잉으로 가격이 낮게 형성돼 러시아와 같은 국가로 들어가는 수출이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알루미나는 알루미늄이나 연마재 등 각종 산업원료로 쓰인다.

 

22일 블룸버그는 중국 세관 자료를 인용해 알루미나 3월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배 이상 증가한 30만 톤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201810월 이후 최대 규모의 수출이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92332

 

금이 하루 쉬네요. 대신 구리가 2.55% 상승 은도 0.85% 하락

유가가 1.67% 상승하는 정도

방산과 구리에 관련해서 풍산이 혼자 저평가라는 평가 기사 올리네요.

해당 기사 링크는 여기입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28124i

 

다른 방산이 워낙 달렸으니 다음 순서는 풍산인가? 이런 기분도 들고요.

절대 종목 추천 아닌 것 아시죠.

 

1. 트럼프 무역전쟁 초반 승자는 브라질·아르헨티나

미국ㆍ중국 갈등에 육류, 가금류 수출 활로

브라질, 글로벌 쇠고기 수출 점유율 20.428.7%로 뛰어

대두, 수수 등 곡류 시장 대안으로도 부상

https://www.etoday.co.kr/news/view/2464314

 

2. 장인화의 현지화'제철소 꿈' 한발 앞으로

포스코, 제철소 번번이 좌절

8조 실탄 앞세워 현대차와 동맹/ ·인도 철강 현지화 전략 시동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158091

 

3. 한화해운, 건조 LNG 운반선 1호 주인공 되나

USTR 규정으로 수주 기대감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42202109932057004

 

4. "한화해운, 미국서 LNG선 건조"…블룸버그가 한화 호명한 이유는

USTR, LNG 수출시 미국산 선박 이용 규정

미국 조선업, 사실상 LNG 운반선 건조 불가능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RMDQEJ08

 

5. , 조선업에 520만 달러 '통관 장벽'LNG선도 직격탄

중국 조선소 제작 선박 대상 고강도 항만입항료 신설

https://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282218

 

6. "한미 통상 협의 앞두고 협력 기대"…조선업 강세[핫종목]

 

7. 올해 반도 안 지났는데 작년 매출 90%'K-조선' 엔진 시동 걸렸다

https://m.mt.co.kr/renew/view.html?no=2025042114243850624#_enliple

 

한화 그룹이 방산 한화에어로, 조선 한화오션, 반도체, 태양광으로 떠드니

이제 한화해운이 움직이려나 싶고요.

조선주로 연결되는 업종이나 종목이 많습니다.

 

1. 필리조선, 납기지연·적자 부메랑…생산성 향상 집중

한화오션, 건조계약 채무보증 1조…설비 노후·인프라 부족에 수익성 악화

https://dealsite.co.kr/articles/140147

 

악재도 여럿 있으니 조심도 해보고요.

 

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조3000억원 규모 유상증자 연기

 

2. 한 우물 팠더니 결국 판 뒤흔들 보물됐다159조 황금시장에 국내 업계 발칵

두산, 가스터빈 기술로 하늘 노린다

한화와 붙는 항공엔진 자존심 경쟁

2030159조 시장, 주도권 쥘까

https://car.withnews.kr/economy/korean-aircraft-engine-market

 

3. 전력 슈퍼사이클에HD현대일렉 분기 매출 첫 1

초고압변압기 판매 늘어

1분기 영업이익도 70% 급증

새먹거리 '방폭형변압기' 주목

https://m.mk.co.kr/news/business/11298510

 

4. 풍력에너지 19조 투자에 李공약까지…SK이터닉스, 17%

 

5. 전남에 '·태 최대' 해상풍력 단지20·원전 3기 발전량(종합)

산업부, 신안 신재생 에너지 집적화단지 지정·공고

3.2GW·세계 2·3만 일자리…광주·전남 1년 전력량 상회

"한국 해상풍력 획기적 전기…에너지 기본소득 큰 걸음"

https://v.daum.net/v/20250422153437250

 

6. "안 팔길 잘했네"…트럼프발 '관세폭탄' 피한 종목 뭐길래

한국전력, 실적·배당 확대 기대감에 '신고가'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138636

 

7. , 동남아산 태양광패널 최대 3521% 관세"보조금 받아"

 

8. , 겨냥 '동남아산 태양광패널'에 최대 3521% 관세 폭탄

캄보디아·베트남·말레이·태국 제품에 관세

https://www.ajunews.com/view/20250422162349395

 

9. 미국, 동남아시아 태양광 수입품 관세 확정

미국 무역 당국은 동남아시아산 태양 전지 대부분에 대해 높은 관세율을 최종 확정했습니다. 이는 미국 제조업체들이 중국 기업들이 부당하게 싼 가격으로 제품을 시장에 쏟아붓고 있다고 비난한 1년간의 무역 분쟁을 종식시키는 데 중요한 조치입니다.

 

이 소송은 한국의 한화큐셀, 애리조나에 본사를 둔 First Solar Inc 및 몇몇 소규모 생산업체가 미국 태양광 제조에 대한 수십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보호하고자 작년에 제기했습니다.

https://www.cnbc.com/2025/04/22/us-finalizes-tariffs-on-southeast-asian-solar-imports.html

 

대선으로 재생에너지 정책 기대감이 올라가고요.

풍력 이야기가 나오고 미국은 동남아 태양광 관세 폭탄을 던져주고요.

2만원 근처에서 놀던 한화솔루션이 이제 24000원에 왔습니다.

벌써 단기에 20% 상승이죠. 풍력도 좋고요.

드디어 기다리던 재생에너지 시대가 오나 싶기도 하고

기대감이 상당히 올라오네요.

 

1. '1회 충전 1500' 중국 CATL 기술력 '퀀텀점프', K-배터리 3사를 위협하다

21(현지시각) 블룸버그에 따르면 CATL은 상하이 오토쇼 개막을 앞두고 진행한 테크데이 행사에서 상용화 가능한 수준의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다수 발표했다.

쩡위친 CATL 설립자 겸 회장은 이번 행사에 참여해 배터리 제조사가 아닌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 선구자로 인식되고 싶다는 포부를 직접 밝혔다.

실제 CATL은 이날 전기차 배터리에 상당한 수준의 기술 혁신을 이뤄낸 제품을 다수 선보였다.

우선 5분 충전으로 520를 주행하는 ‘션싱’ 2세대 배터리가 소개됐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92314

 

2. 중국 CATL, 5분 충전으로 주행거리 늘려 BYDEV 배터리 기록 경신 주장

CATL은 새로운 제품들을 공개하면서 최신 배터리 중 하나는 5분 충전만으로 전기 자동차의 주행 거리를 520km(323마일) 추가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주장은 지난달 경쟁사인 중국 전기자동차 대기업 BYD가 이룬 성과보다 약간 앞서 있으며, 서양 경쟁사들이 제시한 것보다 훨씬 앞서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https://www.cnbc.com/2025/04/22/chinas-catl-claims-to-beat-byds-ev-battery-record-with-longer-range-on-a-5-minute-charge.html

 

3. 주행거리 1500전기시대 온다

CATL, 전기차 버전 하이브리드 기술력 공개…소형차는 700달려

https://zdnet.co.kr/view/?no=20250422144734

 

4. 에 허 찔린 K-배터리 CATL, 전기차 샤시에 배터리 달고 '씽씽'

CATL, 'to ' 'to 샤시' 진화

무게·부피 줄고 주행거리 800km 이상

LG엔솔·삼성SDI 뒤따르나 기술 추격 딜레마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5/04/21/2025042100107.html

 

5. LG에너지솔루션 투자 철회에 격앙된 반응 보이는 인도네시아 관가...이유는?

인니 내부서 자성 목소리 높아저

신기술 개발로 니켈 의존도 낮아져

https://v.daum.net/v/20250422115328198

 

2차 전지로 보면 CATL 기사 보면 답이 없습니다.

늘 우리 기술이 앞선다고 하는데 이제 기술도 뒤쳐진 것 같고요.

답이 없습니다.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오늘 A] 국무원 증시 안정 강조에 보합...국제결제 업체들 대거 상승

상하이종합지수 3299.76(+8.33, +0.25%)

선전성분지수 9870.05(-35.48, -0.36%)

촹예반지수 1928.43(-15.89, -0.82%)

커촹반50지수 1016.22(-3.19, -0.31%)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22000928

 

2. 중국의 지도부는 지난해 9월 이후 증시 부양을 강조하고 있는 가운데, 21일 열린 중국 국무원 상무회의에서도 주식시장의 지속적인 안정이 강조됐다.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 후 전 세계 주식시장이 급락할 때 중국은 국유 자본을 대거 투입하며 증시 방어에 나섰다. 이후 중국은 지속적으로 증시 부양을 강조하며 시장의 투심 급랭을 방지하고 있다.

 

화시(華西)증권은 이날 보고서에서 "중국 당국의 주식 시장 안정 결의를 결코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중국의 증시는 글로벌 주요 주가지수에 비해 여전히 비교 우위를 지니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A주는 상승 곡선을 그릴 것"이라고 평가했다.

 

팡정(方正) 증권은 "미국의 상호 관세 충격 속에서 중국은 신속하게 다양한 증시 방어 정책을 발표했고, 주식시장을 안정시켰다""중국 당국은 증시 안정에 더욱 주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허(銀河) 증권은 "당국은 증시 투명성 규제 강화, 증시 방어 펀드의 정상 운영 촉진, 국내외 시장 모니터링 범위 확대 등의 조치들을 지속할 것"이라며 "증시 안정을 위한 다양한 정책 수단이 속속 발표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22000928

 

3. 트럼프가 때릴수록화웨이 앞세운 , 반도체 자립 가속화

, 엔비디아 반도체 수출 제한하자

화웨이, 하루 만에 자체 AI칩 공개

규제 예측하고 때맞춰 발표분석/ 반도체 밸류체인 기업들도 급성장

 

4. 미국 AI 전용칩 수출 통제, 화웨이만 이롭게 한다

https://www.news1.kr/world/usa-canada/5761308

 

5. 미국 반도체 통제는 화웨이 등 중국 엔비디아 경쟁사에 유리할 것: 분석가들

미국 상무부는 지난주 엔비디아의 H20 그래픽 처리 장치에 대한 수출 허가가 필요하다고 밝혔으며, 이로 인해 해당 제품의 중국 판매가 중단되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엔비디아에 대한 국내 대안을 모색하는 화웨이 등 중국 기업에 대한 수요를 늘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https://www.cnbc.com/2025/04/21/us-chip-controls-boon-for-china-nvidia-rivals-like-huawei-analysts-.html

 

홍콩 야간 선물이 0.8%고 베센트가 중국과 갈등 오래 못 간다.

백악관은 중국과 새로운 협상 진행된다고 하니

오늘 이 기사로 중화권 좋을 것 같고요.

계속 적고 있지만 미국의 제재는 최종 중국 기술 개발로 귀결되어서

반도체 제재도 중국 기술 개발만 앞당긴다는 생각입니다.

 

1. 트럼프의 관세 인상으로 드롭시퍼들, ”이익 마진 대폭 감소

드롭쉬핑은 판매자가 주문을 공급업체에 전달하여 처리하고, 공급업체는 이를 통해 고객에게 직접 상품을 배송하는 전자상거래 주문 처리 방식의 한 유형입니다. 드롭쉬핑은 종종 중국 공급업체나 제조업체에서 공급받은 상품을 미국이나 기타 선진국 시장에 판매하는 방식을 포함합니다. 궁극적으로 판매자가 자체 재고를 보유할 필요가 없어집니다.

https://www.cnbc.com/2025/04/21/dropshipping-businesses-china-under-pressure-trumps-tariffs.html

 

2. [올댓차이나] 온라인 여행사 퉁청뤼싱, 완다 호텔사업 4800억에 인수

 

3. 음식배달앱 '출혈경쟁' 심화에... 메이퇀·징둥 주가 곤두박질

22일 홍콩증시서 메이퇀·징둥 주가 8%

보조금·인센티브로 가맹점·라이더 빼가기

후발주자 징둥과 경쟁, 해외진출 비용 압박

수익성 압박 맞닥뜨린 배달공룡 메이퇀

https://www.ajunews.com/view/20250422151518272

 

1번 기사 영향으로 미국 시장 상장 종목 중 징둥이 1% 하락입니다.

하지만 알리바바 5%, 핀둬둬 4%, 바이두 2% 상승이어서

오늘 중화권 시장 맑음, 10시 이후 우리 시장에도 좋은 영향일 것 같고요.

그런데 가끔 이런 분위기에서 매물 출회로 어이없이 하락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1. “지자체 보조금 1000억 중국 호주머니로”…경기도 도로 점령한 전기버스

김소희 의원실 전기버스 분석

지자체서 3년간 보조금 주고/ 전기버스 전국 3700대 도입

경기버스 10대 중 6대 중국산/ “쏠림 우려...안전 고려해야

https://m.mk.co.kr/news/business/11296525

 

중국 전기버스가 보조금을 1000억이나 가졌갔다니 쩝

지금 중국 자금이 우리 렌트카 업체 다 먹고 있고요.

우리 시장 진출한 중국 전기차가 렌트 업체로 진출하면서

성능이랑 가격에 대한 신뢰를 주고 본격적 진출하는 전략이 보이네요.

어느 산업이나 마찬가지입니다. 무스븐 넘들입니다. 아주 아주

 

1. 도로에 쫙 깔리더니 벤츠도 BMW도 제쳤다”…판매량 1, 세계에서도 인정받았다

52개 차종 제치고 최고상 획득

작년 EV9 이어 연속 수상 달성

전 세계서 3만7천대 판매 기록

https://car.withnews.kr/newcar/kia-ev3-world-car-of-the-year

 

2. , 대한 수입 13%…자동차 품목관세, ·부품 업계 타격 현실되나

무협·CSIS 보고서 발표…한국 자동차·부품 기업 타격 전망

한국, 전 세계 수출서 미국 절반 차지

완성차 조립까지 78회 국경 넘어 기업도 타격

https://v.daum.net/v/20250421100609367

 

도요타, 혼다가 2%대 강세 포드랑 GM1% 후반 상승이어서

이 분위기면 우리는 반도체와 함께 자동차도 강할 것 같네요.

큰 악재만 없다면 말입니다.

 

1. 단독LG전자, 전기차 충전기 사업 종료…냉난방공조 집중

 

2. 관세 폭탄에도 끄덕 없다K뷰티 "공략 이상 "

 

3. 삼양식품, ‘황제주’ 등극하나…증권가 줄줄이 목표가 상향

 

4. ‘K팝 위기론현실로BTS세븐틴블랙핑크 복귀가 답?

지난해 10년 만에 음반 판매 감소

올해 초동 100만장’ 4개 불과

# 우리 시장 이야기

 

1. 코스피, 뉴욕증시 급락에도 약보합 마감…환율은 소폭

트럼프 '파월 흔들기' 악재에…코스피 약보합 마감[시황종합]

코스피, 외인 팔자에 약보합 마감…코스닥 소폭 상승

코스피, 뉴욕증시 급락·외국인 매도에도 보합으로 버텨

 

미국 시장이 상승 마감하면 말을 많이 안 해도 되어서 좋습니다.

간단하게 오늘 오르겠네요. 이렇게 적으면 되니 말입니다.

야간 선물이 0.61%, MSCI 한국지수가 0.77% 상승입니다.

엔비디아 2%, 마이크론 5% 상승이니 반도체도 좋을 것 같고요.

뭐 안 오른 종목 찾기가 사막에서 바늘 찾기만큼 어려운 지경입니다.

그래서 결론부터 말하면 오늘은 상방으로 편하게 봐도 될 것 같다.

이렇게 정리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럼 어제 시장도 좀 정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1주 일동안 나온 이상한 패턴이 미국 시장이 하락해서 갭 하락하면 845분 선물 개장 때는

갭 하락하지만 9시 정규장 개장 이후는 반등을 시도합니다.

 

이때 수급은 외국인 현물 매도, 선물 매수, 연기금 포함 기관 자금이 현물 매수로 돕고요.

오늘같이 미국 시장이 상승하면 종가가 고가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122시 사이에 살짝 변동을 주기도 하지만 끝까지 올리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삼성전자, 하이닉스를 중심으로요.

 

오늘도 미국 반도체가 좋았으니 종가를 고가로 만들 가능성도 있다고 봐야겠죠.

 

1. 증시 장초반...5개국 증시 '하락', 대만증시 '급락

[올댓차이나] 대만 증시, 뉴욕 증시 대폭 약세에 속락 마감1.64%

 

어제 진짜 고민된 것이 미국 하락하고 대만이 1%대 하락하는데

삼성전자가 보합까지 오더군요.

진짜 우리 시장 강하다. 이런 느낌도 받았고요.

 

장중 대화 때도 적었는데 이런 식의 패턴이 과연 언제까지 계속될 수 있을까?

저는 이게 고민이네요. 분명 끝이 있을 것인데요.

빠르면 내일 위클리 옵션부터 시작될 수 있고요.

아니면 다음 달 옵션 만기까지 계속될 수 있고요.

 

52일 휴일 지정 소식도 나오고요.

그럼 5월 거래일수가 줄어서 외국인 옵션 위치를 어떤 형식으로 구축할지

궁금도 하고요.

 

나쁘게 보면 미국 시장 영향으로 계속 밀면 시장 참여자가 다 사라질 판이니

돼지 살찌워서 잡아먹어야 하니 지금 기간은 외국인이 파생 살찌우는 기간으로 볼 수도 있고요. 이미 4월 초순에 하방으로 잡은 것 급락 때 수익 잘 챙겼으니 말입니다.

 

1. [올댓차이나] 중국 증시 혼조 마감…상하이지수 0.25%

 

2. 나스닥 선물 반등 속...일본증시 '장중 낙폭 축소

 

3. 일본증시 '하락' 중국·홍콩증시 '상승' 마감

 

10시까지는 미국 나스닥 100 선물과 일본과 동조화되는 모습이고요.

특히 나스닥 100과 동조화가 많고요.

어제 제가 나스닥 선물이 반등하면 우리 시장 힘을 낼 수도 있다고 적었는데

그 현상이 나왔죠.

 

그리고 10시 반 이후는 홍콩과 동조화 지켜봐야 하고요.

미국이 하락하지만, 어제 홍콩이 반등을 잘하고요.

우리는 어제 10시에 급반등 하죠..

 

오늘 꼭 경고해야 할 것은 고점을 쉽게 예단하지 말자!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로 종가 고가 만들 수 있다. 정도입니다.

 

중기적으로는 외국인 현물 매도가 너무 심하다.

큰 충격줄 날이 있다.

 

1. 대선 쟁점된 '자사주 소각'…지주사株 뜰까

이재명, 저PBR 해소 강조하며/ 자사주 소각 의무화 강력 시사

자사주 보유비율 높은 지주사/ PBR 0.2배 수준 그쳐 사정권

보험사 자사주 소각 여지 많아/ 금융주 추가 밸류업에 촉각

https://m.mk.co.kr/news/stock/11298520

 

2. 배당수입 쪼그라드나?…'우리금융지주' 개미들 '화들짝' [김익환의 부처 핸즈업]

15.4% 소득세 안 떼는 비과세배당

과세 여부 놓고 정부 여론수렴 착수

찬반 엇갈려…메리츠금융 우리금융 배당 깎일까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27128i

 

3. 최대주주에 211억 자사주 처분한 솔루엠, 주주가치 역행 논란

전성호 대표, 자사주 매입해 지배력 강화…일반주주 지분 희석

"RCPS, 경영권 방어 도움" 발언에 "이해충돌 인식 없어 문제"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2274

 

정책 기대감으로 상법 개정이 나왔는데

이번에는 자사주 소삭 이야기가 나옵니다.

이런 분위기에 솔루엠은 엉뚱한 짓도 하지만

자사주 소각 가능성이 높은 금융주가 수혜 종목이 될 것 같다고 하네요.

1. [주식] 이재명 "R&D 투자 대폭 확대" 공약에 신신제약 급등

 

2. 대웅 AI신약팀 발족 등 제약회사들도 질세라 속속 AI투자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2999

 

3. 매출 130억 차이나던 유나이티드제약과 부광약품... 10년 후엔 1300억 격차, ?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793

 

4. 큐리언트 주가 휘파람... 동구바이오제약과 손잡고 항암 신약 개발 박차

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8064

 

제약 바이오도 극명한 것 같습니다.

임상 실패하는 곳은 지옥이고요. 가능성 나오는 것은 천당이고요.

기술 개발한다는 소식에 종목들 주가 흐름이 정말 반응이 뜨거운 곳도 있습니다.

 

1. ·1분기 신약기술 이전 20배 차이···4년 만에 하늘과 땅 벌어진 바이오 경쟁력

유연한 규제에 자본·인력 3박자···바이오 급성장

임상 건수 제치고 세계 1···논문피인용도 2

AZ·MSD·로슈 등 글로벅 빅파마 잇따라 러브콜

민간 자본 한계···과 협력·견제수요 노려야

https://v.daum.net/v/20250421070246031

 

2. '악재, 또 악재'…상장폐지 공포에 'K바이오' 초비상

빅파마 R&D 구조조정에 K바이오 '된서리'

줄잇는 수출 기술 반환

반납 기술 자체 개발하다 실패/ 브릿지바이오, 5연속 하한가

글로벌파이프라인 정리에/ 올릭스·큐라클·노벨티 등 유탄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157601

 

주의해야 할 것은 다른 산업과 같습니다.

중국의 추격, 임상 실패!

 

오늘도 반도체와 정책 수혜주, 제약 바이오가 달리는 상황 연출 예상해 봅니다..

 

1. 반도체주 내리자…외국인, 삼전·SK하이닉스 1900억 순매도[핫종목]

 

2. "구글, 삼성폰에 제미나이 탑재 대가로 막대한 금액 지불"

구글, 삼성전자 기기에 AI 탑재 대가로 거액 지급…독점 여부 촉각

구글 '검색 엔진 독점' 소송 과정서 밝혀져…금액은 비공개

설치 비용 지급 관행 두 차례 미국서 불법 판결 받아

https://www.seoulwire.com/news/articleView.html?idxno=648159

 

3. [단독] 독해진 이재용`대담한 탐험가` DNA 심는다

GBC '브랜드 전략 5.0'에 담겨

"세상에 없는 혁신 만들어야"

신기술 도입·사회 기여 등 제시/ 공격적으로 글로벌 인재 영입

https://m.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42302100132075001

 

4. 삼성전자, MIT-스탠퍼드대와 ‘AI-로봇 동맹추진

 

5. [단독] 삼성, 최고 두뇌 손 잡았다660조 미래 먹거리 정조준

삼성전자, MIT·스탠퍼드'미래 기술 동맹'

로봇·차세대 통신 등 신산업

명문대 손잡고 '난제' 해결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286351

 

6. 한미-삼성 기류 변화TC본더 협력 가능성

삼성전자, 벤더 선정 방식 유연해져…세메스 장비 대체 움직임 일어나

https://dealsite.co.kr/articles/140162

 

7. 삼성전자 DDR4 D램 2027년 생산 종료, 전영현 중국 추격에 고부가 D램 비중 늘린다

https://m.businesspost.co.kr/BP?command=mobile_view&num=392265

 

8. “적자 뻔한데파운드리 공장 다 지어놓고 고심하는 삼성전자

삼성전자 테일러 공장 건설 99% 완료

기존 계획대로 2026년 가동 방침

설비투자 놓고 고심, 공장도 올스톱

지난해 파운드리 적자 4조원, 올해도 불투명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5/04/22/N76ZE3WL5NEF5JV7QL3DZ266OM/

 

삼성전자 펌프질 기사, 우려 기사 함께 올려드립니다.

미국 시장 대비 우리 삼성전자가 잘 버티는 것은 이미 많이 내려 있기 때문일 것 같고요.

삼성전자가 외부 협력을 나서는 모습은 긍정적입니다.

55000원 자리는 참 애매한 자리 같고요.

싸지도 비싸지도 않아 보이는 가격으로 봅니다.

그래도 오늘은 달릴 수 있겠죠.

 

1. "용산은 3년 전 알았다" 삼성 추월 SK하이닉스의 결정적 장면들

D1SK하이닉스를 만든 5가지 장면

전기요금도 못 내던 하이닉스의 부활

현대전자 출신 엔지니어 CEO들의 활약/ 좋은 D램으로 쌓은 HBM 신화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4177116b

 

2. 곽동신 한미반도체 회장, 두 아들에 주식 725억 증여

 

3. 가격 인상 대신 대규모 물량 계약

올해 SK하이닉스 TC본더 신규 발주 규모 2000, 당장 한미 배제 어려워

 

4. "예상은 했지만, 서운해"...하이닉스, 한미반도체·한화세미텍으로 TC본더 이원화

"TC본더 공급망 다변화 불가피"…한미반도체와도 관계 회복 모색

https://v.daum.net/v/u2akTcrRPv

 

반도체에 대한 희망은 하이닉스에 더 있고요.

한미반도체 사태는 한미에 2000억 물량을 주면서 정리가 될 모양인 것 같습니다.

곽회장이 두 아들에 주식 증여하는 것으로 한미의 주가 바닥이라는 기사도 있더군요.

 

1순위 하이닉스 2순위 한미반도체 3순위 마이크론 이렇습니다.

 

1. 엔비디아, 미국서 첫 AI슈퍼컴 제조 돌입…710조원 쏟아붓는다

블랙웰 칩 생산 애리조나서 시작

텍사스에 AI 공장 두 곳 설립

생산 통해 공급망 복원 기대

https://m.mk.co.kr/news/it/11298147

 

2. 연봉이 무려 '400'TSMC 역대급 금액에 '깜짝'

웨이저자 CEO 연봉 398

순이익 6%, 직원들과 공유/ 평균 급여 삼성·SK 웃돌아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27710g

 

젠슨 황이 약을 먹지 않은 상황이라면 710조 투자 결정 안 했을 것 같고요.

가장 앞단에 있는 엔비디아의 행보로 반도체 긍정적으로 봐야 하지 않겠나?

화웨이 포함 중국 반도체가 따라와도 말입니다.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1. “한국, 잠재성장률 2% 달성에 최소 30조 원 이상 추경 필요

황명선 의원, 현대경제연 분석자료 근거로 주장

연구원, 추경 30조 원 투입 시 성장률 0.9%P↑ 전망

내수진작 실패시 ‘L자형 장기불황가능성경고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5042215492625754

 

2. 경기 어렵다더니 “7년 만에 결국이례적인 상황

법인카드 발급 7년 만에 감소세

기업 절반 긴축경영 불가피

경기침체 우려에 기업심리 곤두박질

https://econmingle.com/economy/corporate-credit-card-issuance-declines-for-the-first-time-in-seven-years/

 

3. 거버넌스포럼 "상법개정·자사주 소각 의무화…차기 정부에 7가지 과제 제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주주가치 개선의지에 달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306246642138744

 

4. 다올투자증권, 경영권 분쟁 끝이 보이자…주가는 14%대 급락 [종목P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