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오늘은 발목 잡은 베센트, 미리 알려지는 트럼프 발언! 미국은 구애, 중국은 정중동 4월 24일 장전 시황

평생선물 2025. 4. 24. 07:16

오늘은 발목 잡은 베센트, 미리 알려지는 트럼프 발언! 미국은 구애, 중국은 정중동 424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WSJ “트럼프, 관세 50~65%로 인하 검토베센트 일방 인하는 없다

트럼프 "과 공정한 합의할것"백악관 "관세 일방인하는 없다

 

2. 트럼프 시진핑에 강경대응않겠다재무도 긴장 완화 기대

 

3. "경제는 기대했는데"'트럼프 경제' 지지율 또 "1기 포함 최저"(종합)

트럼프 국정 지지도 또 하락"미국 신뢰 잃는 중" 59%

 

4. 트럼프, 에 유화 제스처"협상 땐 관세 낮아질 것

출구전략 찾는 트럼프 "대중관세 상당히 낮아질 것"

 

5. '트리플 약세' 뚜렷해지자시장 달래기, 한발 물러선 트럼프

트럼프 '시장 달래기'에 뉴욕증시 상승나스닥 2.5%(종합)

 

6. 관세율 '반토막' 기대감↑…뉴욕증시 이틀째 상승[월스트리트in]

"빅딜 기회" "관세 같이 내리자" , 에 잇단 대화 손짓협상 돌파구 찾나

미증시 랠리에 리플 3% 상승, 2.30달러까지 올라

트럼프의 시장 달래기월스트리트는 웃고 메인스트리트는 떨었다[

 

7. 빅테크 주가, 악재에도 이틀째 상승테슬라 7%

엔비디아 4%-인텔 5% 급등, 반도체지수도 4%(종합)

직원 2만 명 감원 소식에 인텔 주가 5.54% 급등

 

8. IBM, 호실적에 전망 유지했지만시간외 주가는 5%대 하락

 

어제는 정규장에서는 베센트가 시간 외에서는 트럼프, 머스크 합동으로

시장을 만들었고 개장 후 나스닥이 4%까지 급등하면서

이제 가나? 환호성을 질렀는데 어제의 영웅 베센트가 오늘은 시작 발목을 잡네요.

 

1. [속보] "중국에 개발도상국 특혜 말도안돼" 미국 '당근과 채찍 전략' 병행. 시진핑 대화자리 결국 나올까 | 홍장원의 불앤베어

https://www.youtube.com/watch?v=cL5DTSWOHjs

 

4분짜리 홍장원의 불앤베어 영상 보시면 잘 설명이 되어있습니다.

 

중국은 균형이 필요하고 우린 도울 수 있다.

세계 2위 경재 대국 중국은 개발도상국에서 졸업해야 한다.

중국 경제 모델을 수출 위주가 아니고 내수 위주로 변화시켜라

 

이런 베센트 발언이 나오고 4%대에서 1%대 후반까지 내려왔던 시장이

나스닥은 2.5% 상승 마감입니다.

 

30년물 장기채 수익률이 3%대까지 하락하다가 1% 하락 마감이었고요.

달러는 1% 반등해서 99.7까지 왔습니다.

많이 수습했죠.

 

정리하면 기대감이 여전했지만 우려도 여전하다.

이렇게 정리하면 될 것 같고요.

 

트럼프와 트럼프 관료는 절대 끝날 때까지 끝난 것이 아니다.

1초 뒤에 도장 찍으려고 해도 바뀔 수 있다로 봐야지

안심하면 안 된다는 것이 어제, 오늘 모습이고요.

 

긍정적인 것은 시장의 흐름에 잘 반응해서 대책도 잘 만든다는 것은

안심되는 부분이고요.

 

명심해야 할 것은 트럼프 1기 때도 이런 출렁임이 너무 많아다는 것이고요.

현금 확실히 확보해야 한다는 생각이고요.

 

테슬라 같은 경우는 정말 그냥 싸져서, 머스크 발언으로 올랐는데

진짜 바닥을 만들었을까? 머스크가 경영에 몰입 한다고

판매 부진을 쉽게 극복할 수 있을까?

테슬라 로봇 기대한다고 하지만 공급망은 대부분 중국인데

가격이 얼나나 올라갈까 싶고요. 생산이 가능할지 싶습니다.

 

다른 종목은 뭐! 다 올랐으니 종목으로 더 말할 필요가 없겠지만

텍사스인스트루먼트가 실적 발표 후 3.67% 상승은 고무적이고요.

이게 살짝 반도체 기대감을 주지만

 

우리 시장 이야기에서도 적었지만, 야간 선물이 미국 시장 상승에도 보합입니다.

이걸 경계하고요. 그럼 어제 외국인이 전기전자, 운수장비 매도했으니

우리 반도체와 자동차 걱정해야 할 것 같고요.

 

뭐 상승하면 좋지만 경계해야 할 부분은 챙겨두자 이 정도로 적습니다.

 

1. "관세전쟁 직격탄 맞을것30% 이상 급락할수도

https://m.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4220351

 

2. "미국 주식 내리막" 맞춘 족집게 전략가"셀 아메리카, 몇년 더" 경고 - 머니투데이 https://m.mt.co.kr/renew/view.html?no=2025042311044956071#_enliple

 

3. "채권 이어 달러·주식서도 자경단결국 자산 헐값 매물 될 것"

(5) 로젠버그리서치 창업자 데이비드 로젠버그

파월 해임 땐 경제 '직격탄'

'바나나 공화국' 같은 일 생길 것/ 지금까지 혼란은 산책수준 불과

나도 자산 처음으로 의문 가져/ 최악땐 S&P500, 3000선 추락

경기정체만 보면 4300까지 하락/ 증시 연내 폭락장 벌어질 수도

기업·가계 심리지표선 위기 시작/

실제 통계까지 침체 번질 가능성/ 불확실성 대비 위해 현금 늘려야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286071

 

4. 미국 경영진 체감경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줄줄이 전망 하향 조정

S&P500 기업 27% 실적 전망 낮춰9%만 상향

코로나19 팬데믹 때처럼 잠재적 정보 공백우려도

https://www.etoday.co.kr/news/view/2464716

 

5. 상호 관세 발표 후 첫 5~7년물 국채 발행 '리트머스 테스트'

·목요일 1830억달러짜리 시험대

5~7년물 외국인 선호도 가장 높아

최근 단기물 '쏠림' 월가 해석은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23000955

 

6. 한미 통상협의 동행한 기재부 외화자금과'환율 카드' 꺼낼까

, 환율관찰국 지정, 외환시장 투명성 요구 가능성

, 과거 스미소니언 협정 등 '환율카드' 다시 재현할수도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23000841

 

7. [월가 리포트] 실적 부진 충격 컸나머스크 "테슬라 경영에 집중"

 

8. "최대 적은 관료주의"인텔, 2만명 구조조정 나설듯(종합)

블룸버그 인텔 이번주 20% 이상 감원 계획 발표

 

9. 오픈AI “구글 크롬 인수할 의향 있다

검색의 선악과 베어먹은 오픈AI "크롬을 탐하다" [IT큐레이션]

 

10. 대기표 뽑는 오픈AI구글 크롬 매각 명령 시 인수 의향

GPT, 크롬에 통합되면 정말 놀라운 경험 제공

 

11. “대학서 돈·시간 낭비 말고 팔란티어 학위를 따라

테크 업계 실력주의 채용바람

https://v.daum.net/v/20250423003316780

 

12. “공포에 주눅들면 돈 못 번다증시 부진에도 서학개미 순매수 3

올해 미국주식 21조원 순매수

채권 상품도 5조 넘게 사자

 

13. SCHD, 서 평가 하향조정되고 자금 빠지고서학개미 사랑은 꾸준

모닝스타 평가 별 5개에서 2개로

순자산총액은 한 달간 18000억원 감소

https://www.mk.co.kr/news/stock/11299326

 

14. 트럼프 관세전쟁에 '셀 아메리카'유럽펀드로 갈아타는 투자자들

아문디 "이탈 자금 유럽 주식·국채 ETF로 몰려"

모닝스타, 42주간 집중형 펀드서 6.2조원 유출

유럽 주식펀드, 3.9조원 유입독일·프랑스로 몰려

"유럽으로 자금 이동, 애국적 자본 재조정"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273446642139072

# 주목해야 할 소식

 

1. 국제유가 OPEC+ 증산 검토에 WTI 2% 넘게 급락 배럴당 62달러, 천연가스는 약보합

천연가스, 100BTU당 전날보다 0.010달러(0.33%) 하락한 2.997달러

WTI는 전장보다 1.40달러(2.20%) 급락한 배럴당 62.27달러에 거래 마쳐

 

2. 국제금값 & 국제유가 '동반 추락'...무슨 일?

 

3. “2025년 유망 투자 자산으로 추천로버트 기요사키

 

금이 3.39% 급락하고요 대신 은은 또 2% 상승, 구리가 0.87% 하락입니다.

금속은 혼조네요. 금 하락 경고하는 기사가 많았습니다.

 

유가는 증산 때문에 또 2%대 하락입니다. 에스오일 잘 팔았네요.

천연가스는 보합이고요.

 

1. “글로벌 기업들이 공장 짓는 곳관세 전쟁에도 오르는 인도 증시

트럼프발 관세에 세계 증시 휘청인도 증시 홀로 상승세

공급망 변화 따른 반사 이익 기대낮아진 밸류에이션도 매력

 

2. 글로벌 에너지 시장 지각변동인도, 사우디와 손잡고 EU는 러 가스 손절추진

모디 총리, 사우디 방문 무함마드 왕세자와 회담

인도에 정유소 2곳 짓기로 합의 등 투자 약속 받아내

EU, 러시아산 천연가스 현물 수입 단계적 중단 추진

https://www.etoday.co.kr/news/view/2464709

 

3. 희토류 제재 본격...K-산업, '공급망 쇼크' 대책 '전전긍긍

 

4. 트럼프는 미국서 'LNG' 만들라는데... 현실성 낮은 이유

[비즈S+] 가장 큰 문제 '인프라 부족'높은 인건비, 생산 시설 부재도 장벽

https://www.moneys.co.kr/article/2025042315445524471

 

5. "수익률 2배 넘게 껑충"K조선보다 잘 나가는 3총사

K조선보다 잘나가는 엔진친환경 전환이 실적 견인

친환경 규제·고부가 선박 발주로 엔진업계 전성기

장기유지보수·애프터마켓·친환경 개조 ‘3박자

1년새 엔진 3대장 주가 2배 이상 껑충

https://v.daum.net/v/20250422163339256

 

지수를 돈 별로 안 들이고 올리려면 2차 전지 등 저평가, 싼 것 올려야 할 것이고요.

조선, 방산, 전력 팔아서 사야 하니 조선이 어제는 하락인데

 

미국에서 배 만들어라! 미국 조선소 채산성 우려

방산은 돈 받을 방법, 계약 파기 뭐 이런 우려도 상존하니 조심해야 할 부분 같습니다.

열심히 팔았는데 배 째! 이럼 곤란하겠죠.

다 우리 수출입 은행이 보증해서 팔았으니 말입니다.

유럽에서는 폴란드, 아시아에서는 인도네시아가 그런 국가 중 하나라는 생각이고요.

 

1. 체코전력공사 '한수원 수주 원전' 지분 정부에 이전 추진, "부채 감당 어려워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92449

 

원전으로는 체고가 불안하고요.

동유럽은 일단 수출은 하는데 돈을 어떻게 받냐가 문제일 것 같고요.

원전 시장에 들어오고 방산 시장에 들어오는 한국이 선진국 프랑스, 독일, 미국이 반갑지는 않겠죠. 뭔가 돌맹이 때릴 것 같은 우려도 있습니다.

 

1. 결국 김동관 대관식을 위한 밑그림?돌고돌아 알짜 '한화에어로' 주주로 올라선 오너

오션 지분 팔고, 그룹 핵심 에어로 주요주주 등극

한화에너지, 오션 매각 대금 1.3에어로에 출자

미래 가치 따지면 '오션;보다 '에어로' 주식이 이득

주주환원, 투자자 신뢰 강화 앞세웠지만

최대 수혜는 오너가 100% 소유한 한화에너지로

https://www.investchosun.com/m/article.html?contid=2025042280061

 

시장이 한화에어로를 징벌해야 한다는 생각인데

신고가 중이니 그냥 쳐다는 보는데 하는 짓이 쩝

 

1. [특징주] SK이터닉스, 정부 신안 해상풍력 19조 투자최대규모 '신안우이 풍력 프로젝트' 직접수혜

https://www.financial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4845

 

2. 말 많던 '옥상 태양광' 강행하는 정부

제로에너지빌딩 정책 추진/ 6월부터 아파트도 기준 강화

신재생으로 13% 이상 채워야/ "태양광 설치대신 에너지구매"

업계 요구했지만 정부는 '불가'/ 공사비 가구당 수백만원 증가

https://m.mk.co.kr/news/realestate/11299434

 

한화솔루션이 또 올라서 1.27% 상승입니다. 장중에는 25350원까지 급등하고요.

그런데 오늘 퍼스트솔라는 3% 하락입니다.

엔페이즈 에너지는 15% 급락이고요.

 

대선 영향으로 재생에너지 테마가 불어서 우린 잘 지켜질 것 같은데

모르죠. 오늘 정도는 쉴지

어제 일부 정치 테마들 급락했는데 오늘은 뭐 재생에너지들이 쉴 수도 있겠습니다.

 

1. “에코프로비엠, 전기차 시장 둔화에 관세 공포까지목표가

KB증권은 23일 에코프로비엠에 대해 유럽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 둔화와 미국발 관세전쟁 여파로 인한 차량 판매 감소가 예상된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17만원에서 14만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https://m.mk.co.kr/news/stock/11298813

 

2. 경희대, 나트륨 배터리 개발리튬 배터리 대체 기술

경희대 웨어러블융합전자연구소 유재수 교수 연구팀

전극 및 전해질 구조 혁신

https://v.daum.net/v/20250422100315364

 

3. 전기차 가격 싸지나리튬 가격 10분의 1토막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30748i

 

4. 삼성SDI 배터리 핵심장비 조달, 필에너지와 우원기술 '정면충돌'

삼성SDI가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핵심장비 조달을 위해 필에너지와 우원기술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필에너지는 삼성SDI가 지분을 투자한 핵심 협력사다. 우원기술은 그간 SK온과 주로 거래한 기업이다. 삼성SDISK온 협력사가 같은 장비를 두고 경쟁을 벌이는 형국이다.

https://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5229

 

5. 잊혀졌던 '황제주' 에코프로다시 부활 조짐, ?

https://v.daum.net/v/20250423143723812

 

2000만원대 중국 전기차가 쏟아지는데 4, 5천만 원 하는 우리 전기차가 경쟁력이 있을까?

중국 전기차는 배터리 원료부터 완성품까지 일원화하고

이걸 자동 생산하니 가능할 것 같은데 우리 언론은 그 뭐 정부 보조금 받으니 가능하지

이러면서 행복 회로 돌리는데 과연 그럴까요?

과거는 그랬지만 지금도 정부 보조금으로 버틸까요?

기업들 자산 매각이 계속 나오는데 이번에는 GS네요.

정말 힘들긴 힘드나 봅니다.

 

1. GS건설 유동성 숨통 트이나TAQA, 최대 2조 이니마 인수 가능성[시그널]

유력 인수후보 윤곽···가격 협상

매각 성공시 대규모 현금 유입 기대

지난해 총차입금 5.7조까지 치솟아

https://www.sedaily.com/NewsView/2GRMTM68TJ

# 아시아 시장 이야기

 

[오늘 A] 트럼프 협상 발언에도 강보합 그쳐...로봇운동회 개최에 관련주 강세

상하이종합지수 3296.36(-3.40, -0.10%)

선전성분지수 9935.80(+65.75, +0.67%)

촹예반지수 1949.16(+20.73, +1.07%)

커촹반50지수 1012.65(-3.57, -0.35%)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23000977

 

22(미국 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중국에 대해 유화적인 발언들을 내놓으면서 미중 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2"중국과 잘하고 있다"면서 "중국과의 협상에서 미국은 매우 나이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중국에서 들여오는 수입품에 대한 관세가 145% 정도로 높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합의가 되면 관세율은 대폭 낮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같은 날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대통령과 행정부는 중국과의 합의를 위한 무대를 마련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베선트 재무 장관은 "아주 가까운 장래에 중국과의 무역 긴장이 완화될 것"이라고 발언했다.

 

이 같은 발언들은 미국 증시와 기타국 증시에 호재로 작용했지만 중국 증시는 미지근한 반응을 보였다. 중국 관영 매체들은 이 같은 발언들을 중요하게 다루지 않았으며, 중국 투자자들은 미국 지도부의 발언에 대해 의구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23000977

 

베센트나 트럼프의 중국 협상 발언의 신뢰성이 높았다면

중국 본토 증시가 저렇게 하락할까요.

홍콩이 2% 대만이 4%대 한국, 일본이 1%대 후반 상승인데 말입니다.

안 믿는다는 것이죠. 그리고 계속 몸이 달아 구애하는 곳은 미국이고

중국은 별 반응이 없습니다.

 

1. 개미들의 애국 반란`궈차오` 이어 `주식투자` 열풍

중국에서 '궈차오(애국소비)' 열풍에 이어 '애국 주식투자' 열기가 확산되고 있다. 미국의 잇따른 대중 관세 부과에 맞선 보복 관세로 미국산 수입품의 가격 인상이 예고된 데다 미국의 연이은 '중국 때리기'에 따른 중국 개미들의 애국심이 살아나는 형국이다.

https://m.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42202109963033013

 

2. 본토 투자자, 홍콩 주식 3.3조원어치 매도"이례적"

181억홍콩달러 순매도20212월 이후 최대 유출

"이익실현 매물에 위안화 절하 기대 줄어든 영향"

미중 긴장완화 기대홍콩으로 피난 필요성 뚝

https://v.daum.net/v/20250423181916772

 

작년부터 올해 홍콩 시장 급등을 만든 것 중 하나가 본토인의 홍콩 시장 매수였는데

홍콩 시장을 매도하기 시작하네요.

그리고 본토는 애국 매수가 나오고요.

기업은 자사주 매수, 기관은 ETF 매수, 국민은 애국 매수로 버티는 중국 시장입니다.

 

1. 관세 전쟁 최전선 상인 수출 가방 값 3배 껑충, 누가 사겠나

생필품-잡화 최대 도매시장 푸톈 르포

예전엔 핼러윈 가면 벌써부터 주문하늘 가리키며 윗선서 결정푸념

일부선 재고 바닥나면 달라질 것

한국 무역상들 새우등 터져서 안낸 잔금 대신 내라압박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630601

 

계속 전해 드리고 있지만 그렇다고 중국 형편이 여유가 있겠습니까?

힘들겠죠. 그런데 미국인이 더 잘 버틸지, 중국인이 더 잘 버틸지는

비교해보면 중국인이 더 잘 버티겠죠.

 

오늘도 미국 상장 중국 종목 중 알리바바, 핀둬둬, 바이두는 2%대 상승으로 좋았는데

징둥은 0.33% 이틀 연속 하락이네요.

 

1. TSMC “으로 기술 유출 차단 어려워화웨이 칩 제조로 10억달러 벌금 위기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5042316423671829a1f309431_1/article.html

 

2. 이날 특징주로는 로봇주가 대거 상승했다. 자오민커지(肇民科技), 친촨지촹(秦川機床), 자오웨이지뎬(兆威機電), 항츠첸진(杭齒前進)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24일부터 26일까지 장쑤(江蘇)성 우시(無錫)시에서 제1회 휴머노이드 운동회가 개최된다는 소식에 로봇주가 상승했다. 휴머노이드 운동회는 육상, 축구, 농구, 댄스 등의 종목으로 구성됐다. 또한 운반하기, 스마트 채취, 응급 구조 등의 기능 경연도 펼쳐질 예정이다. 이 밖에도 운동회에는 휴머노이드 포럼과 인공지능(AI) 포럼도 진행된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23000977

 

로봇 마라톤 소개해드렸는데 이제 운동회 연다고 합니다.

이러니 중국 테마는 로봇이 불고요.

주말 로봇 마라톤 소식 전해 드리면서 월요일 로봇 테마가 불 것으로 봤는데

수요일 불었네요.

 

1. “버핏 환심사려 배터리 원액 원샷테슬라 추월한 전기차 제왕 [더 비저너리-왕촨푸 BYD 회장]

서구 모방 저품질 차로 여겨지던 BYD/ 2024년 판매량·매출 글로벌 1위 등극

형에게 얹혀산 흙수저, 돈도 빌려 창업/ 배터리서 본 가능성전기차 진출 결심

배터리·모터·ECU 3대기술 동시 보유/ 247.5% 트럼프 관세는 극복할 과제로

https://mbiz.heraldcorp.com/article/10470091

 

2. '문잠겨 사망 논란' 화재사고 후샤오미 전기 SUV 출시 지연

 

3. 전기차 화재 사망 사고에샤오미, 신형 SUV 출시 연기

샤오미, 전기 SUV 출시 연기상하이모터쇼 공개 계획도 무산

최근 발생한 전기차 폭발 사고 때문인 듯

https://www.ajunews.com/view/20250423154756130

 

4. 닛산 사쿠라 잡는다BYD, 전기 경차 2026년 출시 목표

AI한줄요약 중국 BYD가 일본 경차 규격에 맞춘 전기차를 개발 중이며, 2026년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닛산 사쿠라보다 저렴한 가격을 내세워 일본 전기차 시장을 장악하려는 전략이다.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2780

 

5. 신차 100대 공개관세 장벽 허무는 '차해전술'

'미래 기술 각축장' 상하이모터쇼

https://www.chosun.com/economy/auto/2025/04/23/PJN4F4X5C5GZPBJGMWBEYTODTE/

 

6. 스포티지 반값인데 “2200km 이상 주행한다신형 SUV에 기아·현대차 어쩌나

주행거리 2239km

에올루스 L7’ 등장/ 가격은 1800만 원대

https://econmingle.com/car/dongfengs-aeolus-l7-mileage/

 

7. 하루 사이 ‘16천대계약.. ‘100km/L, 2천만 원대쏘렌토 킬러 나왔다

중형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SUV

가격은 단돈 2,560만 원부터/ 하루 만에 16천 대 계약

 

하이브리드 SUV 시장에 또 하나의 복병이 등장했다. 중국 장성자동차의 SUV 전문 브랜드 하발(Haval)416, 자사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SUV ‘샤오롱 맥스(Xiaolong Max)’2세대 모델을 공식 출시하며 강한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번 신형 모델은 쏘렌토 크기의 중형 SUV, 출시 단 하루 만에 16,368대의 계약을 기록하며 시장에 충격을 안겼다.

https://newautopost.co.kr/close-up-coverage/article/172659/

 

상해 자동차 전시회에 나오는 중국 신차가 100대라고 하네요.

하이브리드 차량도 많이 나오는 모습이고요.

미국 시장에서 샤오평이 7%, 지커가 5% 니오가 2% 급등입니다.

전기차는 뭐 중국 전기차가 대세가 되나 싶습니다.

이걸 우리 시장이나 유럽, 미국 시장으로 못 넘어오게 막아야 하는데 말입니다.

 

1. “전기차? 필요 없을지도신개념 하이브리드 , 서울 한복판 출몰

308 스마트 하이브리드 출시

예술과 모빌리티의 융합 경험

관람객 참여형 아트 프로젝트

https://car.withnews.kr/newcar/peugeot-308-smart-hybrid-seongsu

 

2. “아반떼 가격인데 연비는 20km” 실구매가 2천만 원대 등장에 200만 대 돌파

연비 20km 넘는 SUV

실구매가 2천만원대 등장

글로벌 누적 판매 200만대 돌파

https://www.reportera.co.kr/car/avante-price-over-20km-of-fuel-efficiency/

 

3. "2천만 원대 연비 19.8km/L" 2025년형 가성비 트림 추가된 하이브리드 SUV

상품성 높아진 2025 코나 출시

기본 트림 '모던' 가격 동결

편의·안전사양 기본화한 신규 트림 ‘H-Pick’ 운영

https://www.autobuff.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183

 

4. 팰리세이드 대박나더니결국 중대 결단 내린 현대차기존 차주들 어떡해요

하이브리드 전환 가속화하는 현대차

제네시스도 하이브리드 전면 도입

https://car.withnews.kr/newcar/hyundai-motors-genesis-hybrid-development

 

5. “BMW도 상대가 안됐다” .. 아름다움에 세계가 감탄한 국산 SUV정체

EV3, 세계 올해의 차 이어

디자인까지 정복한 이유는

글로벌 SUV 시장 판도 바꾸나

https://www.reportera.co.kr/car/the-world-is-amazed-by-its-beauty/

 

6. “충전기? 필요없어요”, “전기차 시장 뒤집히나?” 현대차 공개한 신기술에 깜짝

하이브리드 시장에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충전 걱정 없이 전기차급 성능 구현

기존 대비 연비 45% 향상된 기술 공개

https://car.withnews.kr/economy/hyundai-hybrid-technology

 

7. 산업부 장관 한미 교역, 자동차가 가장 중요관세 신속 해결

범부처 협상단 입국내일 2+2 협의

 

중국만 하이브리드에 집중하는 것 같지는 않고요.

 

코나, 펠리세이드에도 하이브리드 장착하면서 시장 개척하는 모습이네요.

전기차 안 사? 그럼 하이브리드는 어때?

이런 구애인 것 같고요.

대세에 뒤처지지 않는 모습이어서 안심도 되고요.

 

도요타, 포드, GM1% 정도 상승입니다.

혼다는 하락이고요. 유럽 자동차 스텔란티스는 이 좋은 날 5% 급락이고요.

오늘은 자동차는 중립 정도로 봐야겠습니다.

 

그래도 하이브리드 관련 주는 주목해야 할 것 같고요.

# 우리 시장 이야기

 

1. 일본 증시, 미중 관세 갈등 완화 기대에 반등 마감1.89%

[일본 증시] 3일 만에 반등...미중 무역 마찰 완화 기대

 

2. 하루새 또 말바꾼 트럼프"파월 안자르고 관세도 감축"

 

3. "미중 무역갈등 완화" 코스피, 3주 만에 2500선 회복(종합)

장중 대화 마치고 주식으로 미래를 여는 사람들 종목 정밀 분석 게시판에

중요한 유튜브 영상을 올리는데 어제는 제가 구독하는 강박사의 세계 경제 스캔에 올라온

내용을 올렸습니다.

 

<< 그런데 베슨트 장관 발언의 맥락을 짚어볼 필요가 있는 것 같아요. 우선 이 말은 베슨트 장관의 언론 인터뷰가 아니라' 傳言'입니다. 화요일 베슨트 장관이 JP모건의 비공개 투자자 컨퍼런스에서 이야기 한 것을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이 전한 거예요. 심지어 전체를 전한 것도 아니예요. 그 자리에 있었던 다른 사람들 왈, 베슨트 장관은 현재 미국과 중국 사이엔 어떤 협상도 진행되고 있지 않다는 걸 분명히 했구요, 협상이 "고행길(slog)"이 될 거라고 예상했답니다. 뉘앙스가 느껴지죠?>>

https://www.youtube.com/channel/UC_PXhfnHz05wd9P1mzHg8sg/community?lb=UgkxJWxc5gSXCqR-Tehf13hfFlQVs3safz7y

 

제가 본 핵심은 전언이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장중 대화 때도 저는 미국에서 이거 주가 조작하나?

베센트 한마디에 지수들이 2%대 급등하고 말입니다.

별 내용도 아닐 수도 있는데 말입니다.

 

그리고 머스크 테슬라 실적 발표 전에 트럼프가 중국 협상 이야기. 파월 해임 안 한다는 이야기로 분위기를 만들어주죠. 그리고 테슬라 실적은 엉망이었습니다.

그런데 주가는 급등하고요. 트럼프와 일을 줄인다. 사실 도지에서 물러나야 큰 호재인데

하루 이틀 정도는 일 한다고 하지 않습니까? 이게 호재야?

 

그러니깐 어제 새벽 미국 시장 모습은 마치

베센트의 발언을 인용해서 지수 조작을 할 의도는 아니었겠지만

이런 내용을 흘리기 전 누군가는 매수 해서 상당한 차익 누렸을 것 같고

그 많은 시간 중 딱 테슬라 실적 발표 전 트럼프가 돕고요.

 

저는 그래서 어제 대체거래소에서 담은 반도체, 2차 전지, 자동차, 레버리지

다 청산했습니다.

또 무슨 일이 생기지 싶어서 말입니다.

 

홍콩이야 뭐 워낙 꾼들이 모인 곳이니 상승하겠지만

협상 잘 되고 있다면 중국 본토 시장이 좋아야 하는데 영 아니더군요.

상해는 0.1% 하락입니다.

 

1. 미국·태국 관세 협상 연기미국의 이 요청때문

블룸버그, “미국이 중국산 제품 우회 수출 막을 조치 요구

 

2. 태국·미국, 관세 협상 연기"원산지·환율 속이지 말라"

23일 예정됐던 관세 협상 무기 연기

https://www.news1.kr/world/asia-australia/5762582

 

3. '중국산 우회 수출' 방지?미국, 태국에 원산지 관리 강화 요구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8074350

 

4. 이럴 수도, 저럴 수도...·갈등에 새우등 터진 베트남

중국산 저가 철강에 관세 부과하며 미국과 관계 강화 시도

생산비 절감·수출처 다변화로 활로 모색

 

5. 중국산 우회수출 통로를 막아라동남아 각국 비상

미 상호관세 회피하기 위해

베트남·태국 제도장치 마련

https://weeklytrade.co.kr/news/view.html?section=1&category=136&item=&no=95116

 

잘 진행된다는 협상도 곳곳에서 불협화음이 생기죠.

도대체 75국과 협상을 몇 달 안에 끝낸다는 발상은 어디서 나올까요?

 

트럼프는 절대 한 번에 안 끝냈다. 다 끝나도 끝난 것이 아니다.

이걸 1기 때 정확하게 보여줬으니 절대 안심하면 안 되고 줄 때 챙기는 전략 중요할 것 같습니다.

 

제가 하방 쉽게 보지 말자. 이런 날은 종가가 고가다. 이렇게 적었는데

선물 개장 때 1.8%까지 상승시켜서 큰 갭을 만들더니 막상 정규장 개장 후에는 계속 밀어서

선물 1.1%까지 보더군요. 이건 모두가 상방 보니 밑으로 밀어서 상방을 일부 털어서 올리는 전형적인 외국인 선물 거래 기법입니다.

뭐 여하간 종가가 고가였고요.

 

여기서 문제가 생겼습니다. 무슨 문제냐면

6시 개장한 야간 선물이 나스닥이 2% 이상 급등하는데도 강보합이더군요.

미국 개장 후 나스닥이 4% 급등할 때도 약 0.8% 정도 상승이고요.

나스닥이 이후 밀렸긴 하지만 2%대 상승은 유지했는데

세상에 종가가 보합입니다.

여기서 생각할 것이 많아지네요.

! ! 종가가 보합이지? 미국이 2%대 상승은 하는데?

 

주간 시장에서 4% 급등한 대만인데 MSCI 대만은 2.64%, 주간 1.89% 상승한 일본도 0.38% 상승, 한국은 그나마 나은 형편으로 1.44% 상승 마감입니다.

 

야간 선물이나 MSCI 한국 지수로 보면 미국 상승을 그대로 반영해서 큰 갭 상승이 없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고요. 잘 못 하면 하락도 하겠다는 생각입니다.

 

베센트가 중국을 때렸다는 생각이거던요.

홍콩 야간 선물이 0.5% 근처 하락입니다.

그래서 베센트가 중국 개도국 자격 취소, 선진국에 상응하는 행동하라! 이런 요구나

또는 최혜국 대우 취소 뭐 이런 것을 우려 삼아 1030분 이후 중화권이 무너지면

오늘 시장 하락 걱정도 해야 할 것 같기도 하고요.

보여드리는 그림은 223월부터 4월까지 외국인 매도하는 모습이고요.

두 달 동안 10조 매도하고 있죠.

그리고 올해 1월부터 어제까지 외국인이 16조 매도 중이고요.

 

당시 그림 보면 반등 살짝 하는 측 하다가 6월에 저점 만들고요.

그런데 이게 다가 아니고 9월에 또 저점 만들고요.

당시가 20대 대통령 임기가 5월에 시작할 때 즈음입니다.

 

제가 요즘 우리 시장 좋게 본다고 계속 적고 있지만

이 정도 경계는 해 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226, 9월 저점 만드는 모습을 보일 수도 있다고 봐야 한다는 것이죠.

우리 대통령 당선자가 문제가 아니고 트럼프 발언 때문에 말입니다.

대통령 선거 기간은 기대감으로 버티다가 막상 당선 이후에는

미국 영향, 협상 우려 뭐 이런 것으로 일시적으로 출렁임도 각오해야 하나?

이런 걱정이 나옵니다.

 

오늘 야간 선물이 보합이어서 이상하게 부정적이고 경계해야 할 내용을 먼저 적었네요.

 

1. 이재명 공약에 친환경 에너지상승 마감전력·풍력 '들썩'[핫종목]

 

2. 증시회복에 ··· 소리없이 오른 증권주

KRX증권지수 연중 최고치

미래에셋 2021년 이후 최고 주가/ 약세장에도 거래대금은 탄탄

채권운용수익도 기대/ 증시 반등 끝날 경우/ 증권주 투심 위축될수도

https://www.mk.co.kr/news/stock/11299489

 

3. 널뛰는 정치테마주...거래소 '투자유의안내' 발동

4월 투자경고 78%'정치 테마주'거래소, 투자유의안내

거래소 "정치 테마주 투자 유의" 경고

 

4. “언제 이리 오르겠어, 지금 다 던져이재명 테마주급등에 임원들 먹튀

이재명 테마주’ DSC인베스트먼트

수십억씩 매도에 주가 하락 전환

https://m.mk.co.kr/news/stock/11299786

 

5. 민주당 퇴직연금 기금화추진에 PE업계 반색

사모펀드 등에도 자금 유입 가능성

이미 북미·호주는 대체투자 허용해/ 수익률 제고국내도 필요성 제기

https://m.mk.co.kr/news/stock/11299321

 

6. '머스크 복귀' 테슬라 급등에 이차전지주 들썩[핫종목]

[살까팔까] "머스크 정신 차리나"테슬라 실적부진에도 이차전지'껑충'

 

7. 美中 갈등 완화 시사에 반도체주 반등기관 2500억 순매수[핫종목]

 

8. 관세 전쟁에도 급증하는 `빚투`삼전·SK하닉 증거금률 대폭 올랐다

 

우리 지수는 올리려도 하면 가격이 싸진 2차 전지로 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몇 번 적은 내용이고 더구나 테슬라가 시간 외로 급등하니 더 그렇겠죠.

저도 대체거래소에서 2차 전지 대장들 정유주 담았었습니다.

 

그럼 2차 전지만 사느냐? 아니죠. 돈이 한정되니 급등한 조선, 방산, 전력 팔아서 사겠죠.

그래서 이 업종은 어제 하락이고요.

 

위에서도 외국인 매도 적었지만, 어제 같은 날에도 외국인이 1857억 매도

전기전자, 운수장비를 집중 매도합니다.

우리 시장 파는 것이죠.

 

느낌은 우리 시장 외국인 매도가 엔케리 트레이드 청산 물량인가 싶고요.

작년 8월 엔케리 트레이드 청산 이후 외국인 매도가 지속되니 말입니다.

선제적으로 팔기 시작했나? 대만도 무지무지 팔고 말입니다.

아시아 시장 대장 지수나 반도체 뭐 이런 것을 지독하게 판다는 느낌입니다.

 

그래도 우리 지수를 올리는 것은 정책 관련 주고요.

증권 주도 소리 소문없이 잘 가고요.

<< 이재명 청산 대상 언급한 ‘PBR 0.2배 미만기업은 49

PBR 0.2~0.29배 기업은 154

수익성 악화로 신뢰 저버린 결과

업계 밸류업 중장기 목표 가져야”>>

[원본링크] -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1745400401

 

특히 밸류업과 연결되는 PBR 저평가 종목 주목합니다.

 

1. 날개 단 바이오FDA승인 기대감에 상한가, 불발 시엔 '와르르'

신약 개발 기대감만으로 상한가 직행한 신라젠·네이처셀

FDA 승인 불발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5거래일 연속 하한가

 

2. 삼성바이오로직스, 1Q 최대 실적'4공장 램프업 효과

 

3. "고수율 4공장 효과"...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상 최대 분기 실적 달성

 

4. 삼성바이오로직스, 1분기 영업익 4867분기 역대 최대

 

5. 테마섹은 어떻게 '파이프라인 램시마'에서 진한 돈 냄새를 맡았나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456

 

6. "셀트리온, 높아진 예상에는 못 미치지만성장 이어질 것"-대신

 

7. 셀트리온, 차입 증가에도 재무 '탄탄'이제부터 '관건'

현금창출능력 바탕, 투자와 주주환원 확대 전망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2512

 

8. 셀트리온·삼성바이오에피스, EMA 규제 완화 '최대 수혜'

3상 생략 허용 시 수백억 개발비 절감 효과R&D 재투자 기대감도

https://dealsite.co.kr/articles/140077

 

9. [주식] 네이처셀, 미국 FDA '한국 3상 인정' 소식에 상한가

 

10.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하한가 탈출"

 

11. "암 정복 나선다"한미부터 에이비엘까지 AACR 출사표

세계 최대 암 학회 개막 D-3

ADC·mRNA 등 차세대 기술 공개

글로벌 빅파마와 협력 기대

https://v.daum.net/v/20250422102624641

 

바이오 관련 큰 학회가 개최되면 우리 바이오가 잘 움직임입니다.

삼바 실적도 나오고요. 호실적이었고요. 대장이 뭐 실적이 잘 나오고

암 학회 기대감도 있고

이번 주는 바이오가 강하게 움직일 분위기가 만들어진다는 생각이고요.

 

1. 메모리 끝판왕 CXL, AI서버 판도 흔든다

삼성·SK, 신제품 잇단 출시

CPU만으로 메모리 확장 가능/ HBM·GPU 없이 데이터 처리

인텔·AMD, CPUCXL지원/ 3년내 시장 158까지 성장

https://v.daum.net/v/20250423181817755

 

2. 삼성전자도 '넘사벽'차량용 반도체 '5' 굳건한 이유

상위 5개 업체, 시장 점유율 48%

삼성전자, 소수 과점 체제에 난관/ 삼성 전장 협력 돌파구로 주목

https://v.daum.net/v/20250423145105571

 

3. 마이크론·중국기업, HBM 추격에 속도'슈퍼을' 한미반도체의 여유

https://v.daum.net/v/20250423061601093

 

4. ‘오월동주’ SK하이닉스-한미반도체HBM 제조 장비는 추가 계약?

SK하이닉스, 이르면 상반기 TC 본더 30대 발주 예상

SK하이닉스, 공급망 다변화하며 한미반도체와 갈등

한미반도체, TC 본더 기술력 가장 앞섰다는 평가

반도체장비업계 한미반도체 상반기 추가 수주 예상

https://v.daum.net/v/20250423155421571

 

한미반도체 소식 부지런히 전해드렸는데

저는 8% 상승에서 먹고 나왔는데 매도하고 나서 14% 급등이더군요.

너무 빨리 줄 챙 했나요?

 

하여간 어제 하이닉스와 한미반도체의 날이었고요.

오늘 우리 시장이 약하다면 반도체가 약하겠죠.

텍사스인스트루먼트 실적이 좋아서 좀 기대는 하는데 야간 선물이 애매해서 쩝

 

오늘 우리 시장 이야기가 또 길었네요.

 

다 좋았다. 오르면 안 좋을 것이 뭐가 있겠냐 싶지만

야간 선물이 보합으로 끝난 것은 경계하자!

7시 개장하는 나스닥 100 선물이 또 중요하겠습니다.

 

차익 매물 출회 뭐 이런 것으로 조정 받으면

이 핑계로 우리 지수가 밀릴수도 있겠습니다.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더 이야기하고 싶은데 다른 내용은 기사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테마주 멀리 한 외국인 코스피 비중 ''

주당 가격 낮은 종목 집중매매

개인 투자자 거래 대금 급감에

외국인 비중 5%P 이상 뛰어

국내 증시에서 개인투자자들의 수급이 소형 테마주에 몰리면서 외국인투자자의 코스피 거래대금 비중이 큰 폭으로 뛰었다. 투자 주체별 거래량 자체는 평소와 큰 차이가 없지만 개인이 주당 가격이 낮은 종목을 중심으로 거래하면서 외국인과 차이가 벌어지는 모습이다.

https://www.mk.co.kr/news/stock/11299525

 

2. 올 들어 18조 내다판 외국인...이 종목은 지분율 확 높였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는 올 들어 지난 22일까지 코스피·코스닥 시장에서 총 188563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이달에도 지난 10일 단 하루 4363억원을 순매수한 것을 제외하면 내내 순매도 행진이다.

https://www.fnnews.com/news/202504231432052494

 

3. 김병환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심사 노력 반영해야"

에 공매도 재개 긍정 평가 요청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311911

 

4. 경제 1% 성장 경고음12'미니 추경'에 쏟아지는 질타

IMF, 경제성장률 전망 '2%1%' 반토막국회, 추경심사 시작

12조 추경 규모에 한은 "경제성장률 0.1%"민주당 "증액해야"

내수 절벽에도 온누리 상품권 사업만 반영"지역화폐 사업 필요"

https://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1231897

 

5. “·중 관세전쟁시 성장률 0.5%p전망

상호관세 15%p 내려도 실효관세율 하락 6.7%p

관세전쟁 계속되면 기준금리 내년 말 연 1.00%”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5042315112301872

 

6. [나이스뷰] 속출하는 0%대 성장론관세 영향 0.5%P 추정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씨티의 김진욱 이코노미스트는 한미 통상협상의 경제적 영향이란 보고서를 통해 ·미 간 협상이 성공적으로 끝나도 미·중 갈등이 계속된다면 관세가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완화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https://www.niceeconom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