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인도 미사일 공격! 미국 중국과 협상 없었다. 한국, 대만, 홍콩 환율 급변동! 5월 7일 장전 시황

평생선물 2025. 5. 7. 06:57

 인도 미사일 공격! 미국 중국과 협상 없었다. 한국, 대만, 홍콩 환율 급변동! 57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3월 무역적자 1405억달러 '사상최대'관세 앞두고 수입 급증(종합)

3월 무역적자 1,405억달러로 사상 최대'관세정책 영향'

 

2. 재무 "관세협상 아직이르면 이번주 첫 무역협정 발표"

재무 "이르면 이번주 교역국 일부와 무역합의 발표할 것"

"중국 제외한 주요 교역국 17개국과 협상중"

"관세뿐 아니라 비관세 장벽 등도 줄어들 것"

트럼프 ",협상 원해적절한 시점 만날 것"

https://www.nocutnews.co.kr/news/6334897

 

3. 미중 관세협상 시작도 못해트럼프 "우린 잃을것 없다"(종합)

재무장관, 의회서 "과 관세협상 아직 없다"

트럼프, 말 바꿔 "만난 적 없다이 더 큰 고통"

베선트 "이르면 이번주 주요 교역국과 관세협정"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507_0003165222

 

3. 트럼프 "중국은 협상 원해우린 적절한 시점에 만날 것"

오락가락 관세정책 비판에 "혼란스러운 게 아니라 우린 유연하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507003200071?input=1195m

 

4. 트럼프, 이웃사촌 총리와 첫 만남서 '51번째 ' 티격태격

카니 캐나다는 비매품” vs 트럼프 속단은 일러정상회담서 뼈있는 농담

트럼프, 캐나다 신임총리 앞에 두고 또 "미국 51번째 주 돼야

 

5. 트럼프 외국영화 관세예고에해외촬영 많은 할리우드 당혹

 

6. 트럼프 “2주내 의약품에 관세제약사 타격 우려

제약사, 공장 없어 대응 한계

약값 인상 역풍에 힘들것분석도

백악관, 영화 관세엔 결정된것 없어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50506/131553056/2

 

7. 트럼프 관세 실시간 업데이트: 중국,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 '문이 열려 있다'고 밝혀

https://finance.yahoo.com/news/live/trump-tariffs-live-updates-china-says-door-is-open-to-trade-talks-with-the-us-191201877.html

 

미국 무역 지표는 우울하고요.

오늘 지수는 개장 전에는 트럼프의 제약 관세 부과, 팔란티어 급락이 망쳤고요.

 

개장 후는 반등을 시작했는데

베센트가 의회 증언으로 중국 관세 접촉이 없다고 밝힌 것이 악재고요.

막판에 밀린 것은 인도가 파키스탄 미사일 공격한 것으로 반등하던 것이 다시 밀려버린 것 같습니다.

 

트럼프가 개인 사업할 때는 고비 때마다 모호한 발언으로 위기를 넘겼지만

국가 경영은 다르죠. 견제하는 힘이 있는데 의회가 그 역할을 하죠.

이제 트럼프는 거짓말쟁이 이미지가 더 확고해지는 것 같고

협상하는 나라는 이런 점을 활용할 것 같아서 빠른 협상은 물 건너 같다는 생각입니다.

아니 캐나다 수상 만나서 51번째 주가 돼 라고 하는 말이 국가 지도자가 할 말입니까?

거짓말에 무례한 발언에 이러니 지지율이 떨어지겠죠.

이런 모습을 보는 협상 당사국이 빠른 협상 완료를 누가 하겠습니까?

 

다우가 더 많이 하락했는데 제약 관세에 반응한 것 같고요.

1. 대만 달러, 미국과의 통화 협상 부인으로 역사적 급등 후 하락세

대만 달러는 지난 2거래일 동안 9%나 급등한 이후, 화요일에 미국 달러 대비 3% 이상 약세를 보였습니다.

LSEG 데이터에 따르면 월요일에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적어도 1981년 이래로 월요일에 가장 큰 일일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올해 달러 대비 8% 이상 상승한 반면, 미국 달러 지수는 올해 들어 지금까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https://www.cnbc.com/2025/05/06/taiwan-dollar-eases-after-historic-surge-as-officials-deny-currency-talks-with-us.html

 

2. 5개월 만에 1300원대환율 급락 배경은 [긴급 전문가 진단]

미중 관세 협상 가능성에

한국·대만 통화 모두 절상

"1300원대 하향 안정 가능성

외환 당국 관계자 역시 미중 관세 관련 대화 진전에 시장 참가자들의 기대가 커진 것 같다면서 미중 관세 영향에 한국과 동일한 영향은 받는 대만 달러도 절상한 것이 특징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전날 달러화 대비 대만 달러 환율은 30.81대만 달러까지 급락(대만 달러 절상)했는데 이는 202412일 이후 최저치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GSNJHLWFN

 

3. 역대급 롤러코스터? 환율이 미친 진짜 이유.

https://www.youtube.com/watch?v=lozfoh0g2VI&t=385s

 

4. 달러, 대만 달러 급등에 전방위 약세 일파만파’...글로벌 환시 요동

역외 위안화 6개월 만에 최고치...엔화도 약진하는 등 달러 약세 재시동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5050609004525803bc914ac71_1/article.html

 

5. "1997년 외환위기가 반대로" 한국·대만 환율 급락이 찜찜한 이유 | 달러 약세는 언제까지

https://www.youtube.com/watch?v=egs6DHgzgaU

 

오늘은 유튜브 영상 3개 소개합니다.

우리 휴장 때 대만 달러, 홍콩 달러, 달러/원이 급변했습니다.

 

1. "1997년 외환위기가 반대로" 한국·대만 환율 급락의 이유 | 달러 약세는 언제까지

https://www.youtube.com/watch?v=egs6DHgzgaU&t=1010s

 

한경글로벌마켓에서 올린 영상은 왜 대만 달러가 급등했는지 잘 소개하고 있습니다.

대만 보험사들이 헤지 없이 미국 국채 매수했다가 환율이랑 미국 국채 변동에

달러 매도 가능성에 움직였다는 내용이고요.

 

2. 대만달러 강세의 의미...와 협상 압력? 글로벌 자금 이동의 신호탄인가?

https://www.youtube.com/watch?v=Ku97QrcO3fg

 

십대들 주식 유튜버가 올린 영상의 투자 아이디어는

과거 대만 달러가 강해지면서 달러/ 대만 달러가 28달러 근처에 오면 미국 주식이 고점이었다는 통계 그림이 미국 지수 전망에 도움이 되고요.

 

3. [속보효] 아시아 환율전쟁 진짜 근본 이유는 이겁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ypLpLAhqto

 

이효석아카데미에서 올린 이 영상은 대만 달러만 문제가 아니다.

홍콩 달러가 페거제로 묶여 있는데 홍콩 달러에 영향을 주고 이게 다시 위안화 절상 문제가 나오는데 중국 당국의 선택에 따라 아시아 시장이 흔들릴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3 영상 꼭 구독해보시고요.

2번 영상 대만 달러 강세 때 미국 지수 고점 출현 내용이 가장 흥미롭고요.

홍콩 페거제 내용은 과거에 저도 언급하기도 했는데

미국과 중국 환율 전쟁터가 홍콩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생각이고요.

과거 아시아 시장 외환 위기가 달러 부족이었다면

지금은 달러가 넘치면서 이상 현상이 나옵니다.

무슨 일이 일어날 것 같은데 대만에서 터질 줄은 몰랐네요.

하여간 대만 달러가 움직이면서 달러/원이 1400원이 깨졌으니 계속 추적해야 할 부분 같고요.

 

우리 시장 이야기에서도 했는데

MSCI 대만이 거의 5일 동안 10%대 상승, 우리도 4%대 상승이 나왔습니다.

이게 주간 시장에 영향을 주는지 외국인 수급이 들어오는지가 관건입니다.

 

대만은 미국 MSCI 급등에 반응이 없었습니다. 하락하고 보합이었고요.

오늘은 이 부분 주목해야 할 것 같고요.

 

장 막판 미국 지수 하락을 만든 인도 파키스탄 공격이

아시아 시장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살펴봐야겠습니다.

 

1. Palantir 주가, 회사 실적 발표에 따른 순이익 전망치 상향 조정으로 하락

Palantir는 기업들이 AI 소프트웨어를 도입함에 따라 1분기 매출이 예상치를 뛰어넘었고 연간 실적 전망도 상향 조정했습니다.

우리는 AI 시대의 현대 기업을 위한 운영 체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CEO 알렉스 카프가 월요일 수익 발표에서 밝혔습니다.

Palantir의 주가는 2025년 기술주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지만, 올해 들어 60% 이상 상승했습니다.

https://www.cnbc.com/2025/05/05/palantir-pltr-q1-earnings-report-2025.html

 

2. ‘서학개미 최애팔란티어, 예상 부합 실적에도 시간외서

1Q 매출 전년39%↑…예상치 소폭 상회

국방 부문서 강한 수요지각변동 수준

밸류 지지 수준 아냐, 외 수요도 미지근

https://v.daum.net/v/20250506100933280

 

3. 관세 불확실성 지속 속 미국 소매업체, 중국산 크리스마스 상품 확보에 총력

크리스마스 상품이 연말연시에 미국 매장에 출시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제품은 11월 말 추수감사절 연휴 직후 미국 매장에 출시되기 위해서는 9월 초까지 중국에서 배송되어야 합니다.

일부 기업은 매장 선반이 비어 있는 것을 보는 것보다는 중국에서 들어오는 주문을 부분적으로 보충하여 위험을 분산하고 있습니다.

https://www.cnbc.com/2025/05/02/chinese-factories-halt-restart-work-to-mitigate-us-tariff-disruption.html

 

3. 시티그룹 CEO "관세 25% 넘으면 영향 심각"금융계 우려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50609533211432

 

4. 'USA' 반박 나선 재무장관"내년 성장률 3%로 올릴 것"

 

5. 재무, 1분기 역성장 충격에도 "성장률 내년 3%로 올릴 것

재무, 1분기 역성장 충격에도 낙관 "성장률 내년 3%"

https://www.nocutnews.co.kr/news/6334673?utm_source=naver&utm_medium=article&utm_campaign=20250506093919

 

6. 오픈AI, 영리법인 전환 계획 철회비영리 기조로 되돌아가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국제유가 셰일오일 감산 발표에 3.4% 급등 WTI 59달러, 천연가스는 이틀째 하락

천연가스, 100BTU당 전날보다 0.081달러(2.28%) 하락한 3.469달러

WTI는 전장 대비 1.96달러(3.43%) 뛰어오른 배럴당 59.09달러에 마쳐

 

2. 중국 수요 증가 조짐, 국제유가 3% 이상 급등

 

3. OPEC+6월 생산량 증가에 합의하면서 미국 원유 가격이 2021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마감

OPEC+6월에 하루 생산량을 411,000배럴 늘리기로 합의했습니다.

4월 원유 가격, 2021년 이후 최대 월간 하락 기록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로 인해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졌고, 이로 인해 OPEC+가 공급을 빠르게 늘리는 와중에 수요가 둔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

https://www.cnbc.com/2025/05/04/us-oil-prices-tumble-after-opec-agrees-to-surge-production-in-june.html

 

4. "-이란, 11일 오만서 4차 핵협상

 

5. 트럼프 "후티, 선박 공격 중단 약속하며 항복공습 즉각 중단"(종합)

 

6. 트럼프 "후티, 싸우고 싶지 않다 항복즉시 폭격 중단"

·후티 중재한 오만 "홍해 항해 자유 보장 합의"

홍해 교란해온 후티, 트럼프 대대적 공습에 백기

이스라엘과 후티 간 공격 중단 여부는 미지수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507_0003165223

 

사우디가 주도하는 원유 증산이 중국 소비 증가 기대감으로 오늘 3% 급등입니다.

56달러까지 보더니 반등해서 유가가 다시 59달러 회복하고요.

반대로 천연가스는 1.92% 하락이고요.

금과 은이 3% 급등, 구리가 1.26% 상승

천연가스 제외하고 원자재가 다 상승입니다.

 

1. LS, AI 시대 배터리·전기차·반도체 사업 확장 주력

 

2. "한화오션·HD현대중 '33조원 규모' 캐나다 잠수함 공동입찰"(종합)

캐나다 방송 "2035년 첫 인도 목표K-9 등 판매도 제안"

외교소식통 "방산협력 포함해 이 좋은 파트너임을 계속 알리고 있어"

https://www.yna.co.kr/view/AKR20250506067251009?input=1195m

 

3. K원전 계약 하루 앞두고체코법원, 계약중단 가처분인용

체코 법원, 한수원 신규 원전 계약 서명 중단 명령전력공사 소송(상보)

"프랑스 전력공사 소송 결과 나올 때까지 명령 유효"

체코전력공사 "입찰 조건 공정EDF에 손해배상 청구할 것"

 

4. [속보] "체코 법원, 한수원 원전계약 서명 중지 결정" <로이터>

체코 법원이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의 원전 신규 건설을 위한 최종 계약서 서명을 하루 앞둔 6(현지시간) 막판 제동을 걸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법원은 이날 원전 수주 입찰 경쟁에서 탈락한 프랑스전력공사(EDF)의 이의제기 절차가 마무리되기 전까지는 한수원과 발주사인 체코전력공사(CEZ) 자회사간 최종 계약 서명을 중지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법원은 "계약이 체결된다면 프랑스 입찰 경쟁자(EDF)가 법원에서 유리한 판결을 받더라도 공공 계약을 따낼 기회를 잃게 된다"고 판단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50653917

 

체고 원전 계약 소식 나왔을 때 뉴스에 팔라가 되는지 보자고 했더니

뉴스에 매도가 나와서 원전주가 하락하더니 미리 알았는 것으로 의심될 정도로

악재가 나왔습니다. 막판 서명 앞두고 체코 법원에서 계약 중지 결정을 내렸네요.

오늘은 원전주가 악재가 나왔고요. 조선주는 캐나다 잠수함 수주 기대감이 나오고요.

희비가 교차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1. "태양광패널 주요 7개사 공급과잉에 작년 5.2조 적자"

닛케이 "2017년 이후 첫 적자재고 염가 수출에 국제사회서 마찰"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50619573003360

 

퍼스트솔라가 0.31% 정도 하락

중국 태양광 업체 적자가 어마어마하네요. 국가 보조금 없이 버틸 수가 없는

상황이라는 판단이고요.

한화솔루션이 금요일 3만원 다시 회복했는데 느낌은 3만원이 저항선 같기도 하고요.

더 오를 힘이 있을까 싶은 의심의 눈초리로 봅니다.

 

1. 증권가, '호실적'에도 에코프로비엠 목표가 줄하향...이유는

증권가, 에코프로비엠 9만원~18만원 목표가

2·4분기에도 실적 개선 이어진다는 전망

그럼에도 유럽 시장서 중국업체와 경쟁 심화 우려

https://www.fnnews.com/news/202505021526547938

 

2. 공매도 주요 타깃은 '이 종목'골드만삭스·메리츠 등이 노렸다

공매도 최대 타깃은 포스코퓨처엠LG에너지솔루션 금액 가장 커

https://www.poli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92485

 

3. LG엔솔·삼성SDI, 인터배터리서 배터리·ESS 신기술 대거 공개

독일 뭰헨서 7~9(현지시간) 개최

LG엔솔, 장수명 전력망용 ESS 신제품 최초 공개

삼성SDI, AI 데이터센터 UPS용 배터리 등 공개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481110

 

4. 삼성SDI, 독일서 열리는 '인터배터리 유럽' 참가..."UPS용 배터리 실물 전시"

삼성SDI는 특히 AI 데이터센터 UPS(무정전 전원장치)용 배터리와 신재생 발전 등과 연계해 사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형 ESS(에너지저장장치)를 실물 크기로 전시해 글로벌 관람객 시선을 사로잡겠다는 구상이다

https://www.paxetv.com/news/articleView.html?idxno=231378

 

엔솔이 시총 4위로 내려왔습니다. 오늘 삼성바이오가 미국 제약 관세로 하락하면

다시 3위가 될지 모르겠지만 2차 전지는 계속 어렵겠습니다.

공매도가 집중적으로 2차 전제에 쏠리는 모습이고요.

우리 시장은 해외 무슨 전시회나 학회에 잘 반응하는데 인터베터리 유럽 전시회에

우리 배터리가 단기 반등이라도 나오면 좋겠네요.

 

포스코가 시총 18위까지 내려오고요. SK이노가 31, 삼성SDI38위입니다.

 

반대로 한화에어로가 시총 6, 현대중공업이 9위고요.

 

조선은 맑음, 원전은 흐림 2차 전지는 중립 정도로 봅니다.

언제든지 기술적 반등이 가능할 것 같은 곳이 2차 전지고요.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영국·인도 무역협정 체결주력 수출품 관세 대폭 인하

영국산 진·위스키·자동차·화장품 관세 인하

인도산 의류·신발·식품·보석류 관세 혜택

https://www.yna.co.kr/view/AKR20250507000300081?input=1195m

 

2. "EU와 상호 제재 해제"시진핑, "관계 중시" 축전도

 

3. 중국·유럽 상호제재 해제시진핑은 유럽과 협력 원해

·중 관세 전쟁이 교착 국면인 가운데 중국이 유럽연합(EU)에 우호적 메시지를 잇달아 내놓았다.

 

중국은 신장위구르 인권 문제 제기로 갈등을 빚어온 유럽의회와의 상호제재를 해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EU와 협력하고 싶다는 메시지를 내놓았다.

https://www.khan.co.kr/article/202505062248001#c2b

 

4. EU무역수장 "대미 관세협상서 '불공정 합의' 수용안해"

 

5. 상호관세 10%가 하한선’ vs 다 재검토해야협상 난항조짐

24% 14%만 조정 대상

관세도 재검토 요구

https://www.sedaily.com/NewsView/2GSPDZKNQA

 

말 잘 듣는 일본이 양보 안 하고요.

영국과 인도가 유럽과 중국이 협상하는 부분이 나오죠.

제가 걱정하는 것이 미국 제외되는 현상인데 비슷한 흐름이 나오죠.

뭐 더 지켜보죠.

 

1. [오늘 A] 노동절 내수 활황에 상승...수출통제에 희토류 섹터 급등

상하이종합지수 3316.11(+37.08, +1.13%)

선전성분지수 10082.34(+182.52, +1.84%)

촹예반지수 1986.41(+38.38, +1.97%)

커촹반50지수 1023.43(+11.01, +1.09%)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506000173

 

2. 6일 중국 교통운수부에 따르면 노동절 연휴 기간 이동 인구 수는 연인원 146594만 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당초 교통운수부의 예상치인 142000만 명을 훌쩍 뛰어넘는 것이다.

 

중국 국가이민관리국은 이번 연휴 출입국자 수는 연인원 1089만 명으로 전년 대비 28.7% 증가했다고 공표했다. 중국 본토 주민의 출입국이 577만 명으로 21.2% 늘었고, 외국인의 출입국도 111만 명으로 43.1% 불었다.

 

중국 상무부의 집계에 따르면 노동절 연휴 기간 동안 중국 내 주요 소매기업과 외식기업의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했다.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연휴 기간 동안 가전제품 유통업체들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15.5%, 자동차 유통업체 매출액은 13.7%, 스마트폰 유통업체 매출액은 10.5% 각각 증가했다.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가전제품 판매액은 20% 이상 증가했으며, 레저용품 유통업체들의 판매액은 14.8% 증가했다.

 

노동절 연휴 기간 동안 주요 외식업체들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8.7% 증가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506000173

 

3. 노동절 연휴 닷새간 146600만명 이동"시장 잠재력" 강조

15일 지역 간 인구 이동량 총 146594만명 집계

관영매체 "중국 경제의 방대한 잠재력 드러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225051

 

어제는 노동절 연휴 내수 반등 기대감으로 상승했고

오늘은 베센트의 미중 대화 없다는 발언에 어떤 영향을 받을지 주목하고요.

위에서 적고 왔겠지만 홍콩 달러, 대만 달러, 위안화 모습이 중요합니다.

 

홍콩 선물이 1%대 상승 마감이었습니다.

그래서 살짝 1015분부터 30분 사이에 아니면 더 일찍 우리 지수가 홍콩 반등 기대감으로

반등 가능한지 지켜볼 생각이고요. 우리는 일시적 홍콩 증시 흐름과 동조화되는 경우도 왕왕 있습니다.

홍콩 개장 때나 2시 점심 이후 재개장 때 동조화 되다가 각자 길 가는 경우가 있는데

오늘은 홍콩이 상승하고 우리는 하락하다가 홍콩과 같은 길을 가는 것이 가장 좋은 흐름입니다.

 

1. 중국은 미국으로 향하는 수출을 국내 시장으로 전환하면서 더 심각한 디플레이션으로 빠질 위험이 있습니다.

관세로 인해 해외 수요가 억제됨에 따라 중국은 수출업체에 판매처를 국내로 옮기라고 압력을 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이미 약한 소비와 과잉 생산 능력으로 인해 침체된 경제에 디플레이션을 심화시킬 위험이 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2025년 전체에 대해 중국의 소매 물가 상승률이 20240.2%의 연간 성장률에서 0%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도매 가격은 작년 2.2% 하락에서 1.6% 하락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더욱 강력한 경기 부양책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경제학자들은 베이징이 재정력을 행사하기 전에 경제 악화의 구체적인 징후를 볼 때까지 기다릴 가능성이 높다고 믿고 있습니다.

https://www.cnbc.com/2025/05/05/china-risks-deeper-deflation-by-diverting-exports-to-domestic-market.html

 

2. 4차이신 서비스업 PMI 50.77개월만에 최저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506_0003165111

 

3. 경제 통계 사라진 얼마나 나쁜지도 알 수 없다

2022년부터 수백개 통계 발표 중단

WSJ “중국 경제 현재 상태는 암흑

월스트리트저널(WSJ)5(현지시간) “중국이 경제 문호를 개방한 이래 매월, 매분기, 매년 발표하던 각종 경제 통계가 5월 현재 완전히 사라진 상태라면서 팬데믹에 따른 충격과 미국·서방과의 디커플링(탈동조화) 등으로 위기에 빠진 경제 상황을 감추려는 의도로 해석된다고 보도했다.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1746520002&code=11142200&cp=nv

 

중국이 발표 중단한 통계가 수백 개라고 합니다.

발표되는 지표도 못 믿겠는데 발표도 안 하는 것이 뭐 이렇게 많다고 하니

중국 경기는 믿을 수가 없습니다.

미국 공격에 잘 버틴다는 영상도 올라오고, 다 죽었다. 북경, 상해 상가도 텅텅 비었다는 영상도 올라오고 말입니다.

CNBC는 중국 디플레이션 가능성 언급 기사도 올라오는데

뭐 깜깜이 나라여서 이게 맞다. 이런 주장이 흠들 것 같습니다.

 

1. '딥시크 쇼크' 뒷받침한 반도체, '어센드 910C'"기술한계 뚜렷"[테크토크]

전 세대 칩 두 개 연결한 구조

낮은 전기 요금이 한계 상쇄해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50214295544489

 

2. "화웨이, '중국 반도체 자립' 이룰 대규모 생산시설 건설중"

FT 보도"선전 건설중인 공장 세곳 사실상 화웨이 소유"

"장비부터 설계·생산까지 'AI 공급망' 통째 확보하려는 야심"

https://v.daum.net/v/20250506105332376

 

3. '반도체 밀수 막아라' 의회, 엔비디아 AI칩 위치추적 추진

제재국가에선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 탑재 의무화

https://www.ajunews.com/view/20250506150103605

 

중국 반도체 기술 부족하다는 내용도 계속 올라오고요.

저는 무시무시한 내용이 우리 용인 반도체 단지 같은 것을 이미 중국 선전에 3곳이나 건설 중인데 화웨이 소유라는 기사가 충격이네요.

미국 의회는 미국 수출하는 반도체에 중국 가면 작동이 안 되도록 하자는

의견도 나오고 참 미국은 중국 반도체 때리기에 진심입니다.

제재 안 되면 뭐 패권국 뺐기게 생겼으니 말입니다.

 

미국 시장 약세에도 알리바바, 핀둬둬가 상승 바이두는 1% 상승도 하고

징둥은 보합이어서 오늘 아시아 시장을 홍콩이 이끌어주면 좋겠다는 바람 정도

딱 이 정도로 정리하는데 분위기는 인도, 파키스탄 분쟁으로 좀 우울하네요.

 

1. 포드 "트럼프 관세로 15억 달러 타격...연간 실적 전망 철회"

 

2. 국내 시장 침체에도'EV3' 덕에 전기차 판매는 더 늘었다

 

3. 기아, 유럽대륙 질주1분기 전기차 최다 판매

27761대 판매‘EV3’ 인기/ 유럽 판매 차량 중 전기차 20%

아우디·르노 이어 브랜드 6/ EV4·EV5 등 제품군 강화 계획

https://v.daum.net/v/20250506172704000

 

4. 기아, 1분기 유럽서 가장 많은 전기차 팔아판매비중 20% 돌파

분기 최다 27761대 팔아EV3가 전체 판매 64% 차지

"신차 및 현지 생산체계 구축으로 선두주자로 부상할 것"

https://v.daum.net/v/20250506070103588

 

5. `20` 맞은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트럼프 2.0 핵심거점 부상

설립 20주년 앞두고 새 도약 채비

누적투자 30추가 30조 계획/ 무뇨스 CEO "적응은 우리의 DNA"

https://v.daum.net/v/20250506144112006

 

6. 현대·기아 이름 딴 도로만 3"한국 위상 달라져"

'K엠버서더' 된 현대차·기아

현지 일자리 만들며 이미지 제고/ '제네시스 하우스'K문화 전파

https://v.daum.net/v/20250506174901483

 

7. [하이빔] 관세 대응하는 현대차, 불똥은 다른데로 튄다

-현대차그룹, 관세에 글로벌 전략 재조정 움직임

-수입차 및 중견 3사에 긴장감 감돌아

-내수·이머징 마켓 물량 늘면 경쟁 치열해질듯

https://v.daum.net/v/20250506101407396

 

관세 때문에 포드가 전망치 발표 안 한다고 하더니

 

<< 포드 "트럼프 관세로 15억 달러 타격...연간 실적 전망 철회">>

미국 시장 약세에도 포드가 2.65% 상승입니다.

도요타, 혼다는 약보합, GM은 강보합 정도

테슬라가 1.8% 하락이고요.

기아 유럽 판매 호조는 호재 기사고요.

 

지난 금요일 현대차, 기아는 외국인 매수인데 기관 매도로 다 하락입니다.

기관이 악재 기사 반영해서 매도하고 외국인이 받아준 모습입니다.

분위기만 보면 오늘 좀 걱정되는 부분이 있고요.

환율 1400원 아래면 어쩌면 수출주에 악재일 수 있겠다 싶고요.

 

1. 이문용 "현대차 따라간 게 최고의 선택27년 동안 매출 50배 뛰었다"

이문용 성우하이텍 대표 인터뷰/ 현대차 위상 높아져 덩달아 주목

고객군 확장 반대할까 걱정했지만/ 오히려 자생력 갖추게끔 지원해줘

https://v.daum.net/v/20250506175202584

 

2. "자동차 생산비, 부품 관세로 대당 500만원↑…수리비도 상승"

, 수입 자동차 부품 25% 관세 부과 시작"생산비 대당 500만원"

미국 자동차 부품 관세 25% 발동일본 완성차 관세보다 타격 커

자동차 부품 관세 발효최악은 피했지만 "생산비 대당 500만원"

자동차 부품 관세 발효차량당 평균 561만원 올라

 

3. 현대차 따라 바다 건넜더니매출 13001'대박

 

4. 현대차·기아와 바다 건넌 부품사 690벤츠·BMW도 고객사

현대차 글로벌 낙수효과

() 협력사도 함께 큰다해외공장 투자의 선순환

'수급 안정·관세·비용절감' 효과/ 협력사 부지 확보·정착비 등 지원

그룹은 현지서도 품질유지 가능/ 부품사는 글로벌 인지도 높아져

현대차그룹이 '품질보증' 역할/ 아우디 등 해외 완성차서도 주문

서연이화·프라코 매출 8~10배 뛰어/ 부품 수출액, 20년새 275%

https://v.daum.net/v/20250506182104112

 

자동차 부품 관세 부과 소식 나오고 우리 경제지가 자동차 부품이 현대차, 기아 따라

해외 진출해서 성공했다는 기사를 많이 올리네요.

 

오늘은 미국 시장처럼 지수 방어 역할을 자동차가 해주는지 궁금해지네요.

트럼프 정부가 자동차 관세는 유예 해주는 분위기였고

이게 포드 2%대 상승을 만들었다는 생각이거던요.

 

오늘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업종은 가슴은 상승, 머리는 애매하네! 이러고 있습니다.

 

1. 중국이 빗장 풀자 동시에 신고가풍악 울린 엔터주, '반등' 예고

 

2. 중국, 무역 우려 속 소비 진작에 나서며 문화 외교 추진 중 K팝에 관심

K팝 그룹 에펙스가 531일 중국 푸젠성 푸저우에서 공연을 펼친다. 2016년 이후 한국 아이돌 그룹이 중국 본토에서 콘서트를 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CGS 인터내셔널 증권 홍콩의 리서치 애널리스트인 오지우는 K팝의 이러한 변화는 해당 부문의 구조적 전환점을 의미한다고 말했습니다.

분석가들은 중국이 할리우드 영화를 포함한 특정 서구 콘텐츠에 일시적 제한을 두는 한편 한국과의 관계를 개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https://www.cnbc.com/2025/05/02/china-looks-set-to-turn-to-k-pop-sector-as-us-tariffs-bite.html

 

CNBC도 중국이 한국 엔터 주목한다는 기사를 올리네요.

비자 면제로 관광에서 재미 보더니 이제 엔터로 또 관광객 유치나 내수 진작에 나서는지

하여간 살짝 한한령 해제 기대감 연속성도 기대해 봅니다.

 

# 우리 시장 이야기

 

1. “최악의 상황은 지났다장밋빛 전망 내놓는 증권사들, 매수 리포트 늘어

https://www.mk.co.kr/news/stock/11307793

 

미국 시장 이야기에서 적고 내려왔을 것 같은데 오늘 중요한 것은 환율입니다.

MSCI 한국지수가 5거래일 동안 4.39% 상승했습니다.

연중으로는 14%대 상승이고요. 그럼 연중 고가는 돌파가 나왔다는 이야기고요.

52주로 보면 아직 11% 정도 하락인데

5 거래일 동안 환율 때문에 한국 지수와 대만 지수가 급등했는데

이게 우리 지수에도 영향을 주는지가 관건입니다.

 

대만 경우는 MSCI 대만 지수가 4% 급등한 날에도 주간 지수는 하락하거나 어제는 약보합입니다. 대만 주간 지수로 보면 MSCI 지수가 주간 시장에 큰 호재로 작용은 못 한 것이죠.

 

토요일 새벽에 마감한 야간 선물은 0.68% 상승 마감입니다.

오늘 시장 흐름은

늘 적지만 7시 미국 나스닥 100 선물, 8시 시작한 대체 거래소 분위기가 반영되겠죠.

그래서 야간 선물 0.68% 상승보다 대체 거래소 분위기가 845분 시작하는 선물에 영향을 줄 것 같습니다.

 

 

1. “한국한테 도대체 왜 이래”...영화에도 관세 매기겠다는 트럼프

K콘텐츠 수출에 박차를 가하는 한국 영화산업에 불똥이 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4(현지시간) 자신이 소유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서 상무부와 미국무역대표부(USTR)에 외국에서 제작된 모든 영화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는 절차를 즉시 시작하도록 승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v.daum.net/v/20250505204504826

 

2. 트럼프, 철강·반도체 이어 의약품·영화도 관세 압박한국 산업계 촉각

트럼프 "의약품 관세 2주내 발표"반도체도 임박?

의약품 관세 예고한 트럼프, 반도체 관세도 곧?...의견 수렴 내일 마감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3869

 

3. 트럼프, 제약·영화에도 관세 예고IMF·월가 감당하기 어렵다

월가 CEO정책 혼선, 미국의 브랜드 가치 훼손

IMF총재 "새계 경제가 감당해야할 대가 작지 않다"

베센트 "관세·감세·규제완화, 연결된 엔진 부품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853606642166296&mediaCodeNo=257&OutLnkChk=Y

 

오늘 미국 시장 제약바이오 약세가 그대로 영향 줄 것 같고요.

체코 원전 계약 연기로 원전 주가 타격 입을 것 같고요.

대신 조선주가 좋을 것 같고요.

영화 관세는 아직 결정된 것 없다고 했으니 관세 우려를 무시할지 제약과 함께 흔들릴지

지켜볼 일이겠습니다.

오늘은 휴장 때 나온 여러 가지 관세 소식이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환율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지켜볼 일이네요.

 

1. `16vs40` 엇갈리는 삼성전자 영업익HBM에 달린 운명

 

2. 엔비디아 '블랙웰 울트라' 조기 생산?...삼성·SK '촉각'

엔비디아, 이달 중 차기 블랙웰 생산할 듯

SK하닉, HBM3E 12단 공급할 것으로 보여

삼성, HBM3E 12단 대량 양산 체제 준비

https://v.daum.net/v/20250506060007917

 

3. 관세 불확실성에 떠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 2분기 실적 경계감 커진다

상호관세 90일 유예 이어 미중 간 해빙모드 조짐

관세 '풀인' 효과에 메모리 가격 회복세에 기대감

한미 협상에 반도체 명운 "관세 40%10% 역성장"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5/05/06/2025050600001.html

 

52일 지수에 큰 영향을 준 것이 삼성전자입니다.

삼성전자가 2.16% 하락하니 뭐 지수가 상승할 수가 있겠나 싶습니다.

문제가요, 야 이거 심각한데 외국인이 무려 1203만주 매도했습니다.

100만주대 던져도 많이 판다고 하는데 이건 뭐 1200만주 던졌습니다.

뭘 봤는지 심각하네요. 실적이겠죠.

외국인 보유율이 49.69%까지 내려왔습니다.

작년에 삼성전자 외국인 파는 것 보고 보유율 49% 깨질 것을 전망했는데

5월에 49% 깨지는 것 볼지 모르겠습니다.

 

1. 반도체훈풍에도JP모건 “HBM 성장 둔화" 삼전 목표가 하향

74000원에서 68000원 낮춰

"1분기 HBM 매출 예상보다 부진"/ DP·MX 수요도 2분기 감소 전망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SOY9OWHJ

 

2. ‘저평가받는 삼성전자 매력적이긴 한데증권가는 관망 조언, ? [투자360]

올해 외국인, 개인 모두 매도 우위

PBR 0.9배 주가 여전히 저평가

2분기 DS 개선·트럼프 리스크 정점지나

HBM 납품 등 2분기까진 지켜봐야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479649

 

모건스탠리가 반도체 빙산 이야기하더니 이제 JP모건이 삼성전자 목표가 하향하네요.

모건은 그래도 삼성전자는 하이닉스보다 나은 형편이라고 했는데

JP모건은 삼성전자를 부정적으로 보내요.

 

반대로 모건스탠리 공격받은 하이닉스는 금요일 외국인이 200만주 기관이 21만주 동반 매수하면서 4%대 급등이 나왔고요.

묘합니다. 외국계 보고서랑은 전혀 다른 움직임이 지난 금요일 나왔습니다.

 

TSMC가 미국 시장에서 2% 하락이고 마이크론은 0.55%, 엔비다아 0.2%대 상승

반도체가 그렇게 나빠 보이지는 않는데 이번 주 2일 휴장 영향을 한방에 받아야 해서

, 화요일 새벽은 그렇게 반도체가 좋지 않아서 안심할 수가 없네요.

필 반도체 지수가 오늘 새벽은 1% 하락이고 3거래일 연속 하락입니다.

필 반도체 지수로만 보면 우리 반도체가 좀 걱정되는 수준입니다.

 

정리하면 오늘 반도체 특히 삼성전자가 정말 중요합니다.

금요일 외국인이 전기전자를 2500억 매도입니다.

삼성전자 집중적으로 매도했다는 것이죠. 전체 매도는 1643억이니

삼성전자 매도 말고는 다른 업종은 매수했다고 봐야 하니 말입니다.

 

오늘도 외국인이 현물을 매도하는데 삼성전자 매도면 상승 부담이 있고요.

지금 외국인이 지속적으로 한국 시장 매도 중인데 이게 장기로 보면 정말 부담입니다.

한국 시장을 던지고 있는데 삼성전자를 던지고 있다. 이런 분위기가 감지되고요.

 

그다음 정치적 위험을 어떻게 반영하는지도 중요할 것 같고요.

 

1015분과 1030분 사이 중화권 시장 움직임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오늘은 아시아 시장 전체가 다 개장하는 날이니 1030분 근처에서 변곡점 나올 수 있겠죠.

 

글 적는데 AMD 실적 발표 후 4% 급등이 나오네요.

반도체에는 좋은 일입니다.

 

글이 오락가락 정리해야겠습니다.

 

7시 시작하는 나스닥 100 선물, AMD의 영향

8시 시작하는 대체거래소 분위기 삼성전자, 현대차, 하이닉스 주목하고요.

대체거래소 제약, 조선, 원전 관세 영향 보고요.

845분 선물 개장하겠죠. 이때 외국인 선물 매수 매도가 중요하고요.

일단 상방이 되려면 적은 금액이라도 매수해야 합니다. 만약 매도하면 일단 경계해야겠고요.

5. 9시 정규장 개장 때부터는 삼성전자, 하이닉스 중요합니다.

때에 따라서 하이닉스 반등으로도 지수 반등을 만들고요. 금요일 이런 모습이었습니다.

6. 빠르면 930분 전후 늦으면 11시 근처에 언제든지 그즈음 하락하고 있었다면 반등도 가능하고요.

7. 지금은 외신에도 잘 반응하니 지수 투자자라면 꼭 외신도 보시고요.

 

주식하는 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역대 가장 얇은 삼성폰 곧 온다"S25 엣지 어떻게 나올까

삼성전자 '아이폰17 출하량 감소' 반사이익, 노태문 갤럭시S25엣지로 프리미엄 점유율 높이나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93931

 

'태풍이냐 미풍이냐'TSMC 무기판 패키징 업계 촉각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인 TSMC가 최근 기판을 사용하지 않는 반도체 패키징 기술을 공개해 업계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기판을 쓰지 않는다는 건 주기판이나 인터포저와 같은 부품이 앞으로는 필요 없다는 걸 뜻해 현실화될 경우 산업 격변이 예상돼서다.

 

TSMCSoW-X가 실제 기판을 대체한다면, 성장세를 이어왔던 반도체 기판 업계 변화가 불가피하다. 국내 기판 제조업체 뿐 아니라 일본·대만 등 핵심 플레이어의 주요 사업에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게다가 기판 자체가 배제되다보니 신성장동력으로 낙점한 유리기판 역시 빛을 못 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SoW-X가 상용화하기 쉽지 않아 보이고, 실제 상용화가 이뤄져도 활용이 제한적이란 것이 전문가 중론이다. 우선 생산성과 비용 문제가 지목된다.

https://www.etnews.com/20250501000238

 

"이자 내기도 벅차" 대출 연체율 최고치무너지는 자영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