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리딩방에 사우디 방문에 열일하는 트럼프! 금리 인하 압박까지! 퍼스트솔라 22% 급등! 삼성전자 기업 인수! 5월 14일 장전 시황

평생선물 2025. 5. 14. 07:00

리딩방에 사우디 방문에 열일하는 트럼프! 금리 인하 압박까지! 퍼스트솔라 22% 급등! 삼성전자 기업 인수! 514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종합] 4월 소비자물가 2.3%'4년만 최저'…트럼프 관세 효과는 '제한적'

 

2. 무역전쟁 휴전에 , 보잉 항공기 인도 재개, 소액상품 관세 인하

 

3. 베센트 ·, 관세악화 피할 메커니즘 마련” [출처:중앙일보]

 

4. 재무 "정부교체기 , 선거본격화 전에 매우좋은 제안 갖고와"(종합)

사우디투자포럼 연설서 "·등과의 무역협상 아주 잘 되고 있어"

美中 관세 합의에 대해 "상황 악화 막을 메커니즘 갖춘 것"

https://www.yna.co.kr/view/AKR20250513150051009?input=1195m

 

5. , 사우디와 전략적 경제동반자 협정…“850조원 투자 유치

트럼프 미 대통령 사우디 방문해 합의

대규모 무기판매 통해 안보협력 강화

https://www.mk.co.kr/news/economy/11316287

 

6. 뉴욕증시, 관세휴전에 기술주 강세S&P500 연간수익률 플러스로(종합)

[뉴욕증시]S&P500, 올 수익률 플러스 전환…미·중 무역합의, 엔비디아 호재

뉴욕증시, 기술주는 웃고 우량주는 울고…혼조 마감

CPI 둔화, 다우 제외 랠리S&P500 올 하락분 모두 만회(상보)

 

너무 좋죠! 그래서 저는 나스닥, S&P 주 배당 ETF를 청산했습니다.

배당 잘 받았고 수익 구간 줘서 청산했습니다.

S&P 500은 연간 수익권으로 돌아섰습니다.

 

소비자물가도 잘 나왔고, 트럼프가 시장에 큰 선물을 줬습니다.

 

1. 트럼프, 빈살만과 전략적 경제 협정…6000억달러 선물 보따리 유치

 

2. 머스크 트럼프와 사우디 방문, 테슬라 5% 급등

 

3. 엔비디아 6% 급등에 경쟁업체 AMD4% 이상

엔비디아, 사우디에 '블랙웰' 1만8천개 공급…주가 5.6%(종합)

엔비디아 6% 급등, 시총 3조달러 재돌파…애플 맹추격(상보)

 

테슬라, 엔비디아 급등은 사우디 방문 선물에 반응한 것으로 봅니다.

 

1. 트럼프, 물가 상승률 둔화에 "파월은 금리 내려라"

4CPI 상승률 4년여만에 최저

트럼프 "인플레 없다…유럽·中처럼 낮춰라"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51404020855989

 

소비자물가 하락에 트럼프가 금리 인하 압박을 더 하네요.

장중에는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저항대인 4.5%까지 갔고요.

30년물은 4.961% 역시 저항대인 5% 가까이 갔는데

트럼프 발언 때문인지 10년물이 1%대 상승에서 조금 내려와서 0.31% 정도 상승

4.471% 정도로 내려왔습니다.

 

저는 미국 채권 TLTTMF에 주배당 ETF 매도한 것 물타기 했습니다.

기다려보죠. 트럼프가 만들고 싶은 시장은 금리 인하가 되는 시장이니

트럼프 바램으로 조만간 이뤄지겠죠!

 

1. "인플레 우려 제한적" 4CPI, 2.3%로 둔화…올 여름 관세 영향권

4CPI, 전년2.3% '예상 하회'

상호관세 영향 제한적/ 재고 소진·관세 협상 결과 나오는 올 여름이 고비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51322284211118

 

2. 미중 휴전, 경기 침체 가능성 낮췄지만 둔화는 불가피

https://www.radiokorea.com/news/article.php?uid=473578

 

나스닥은 1.61% 상승이지만 유나이티드헬스 급락 때문에

다우 지수는 0.64% 하락입니다.

존슨앤존슨도 –3.7% 하락

어제 반등했던 제약 바이오가 대체적으로 큰 폭 하락이나 약세였습니다.

 

소비자물가가 잘 나왔지만, 본격적인 둔화는 6월부터 나올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요.

 

1. 재고 확보 '90' 시간 벌었지만…미국 경기 둔화세 낙관 못해

미중 '관세 휴전' 한숨 돌린 기업들

유럽 눈돌렸던 쉬인·테무, 소액 관세 인하까지 방긋

중국시장 잃을 뻔한 보잉, 항공기 인도 재개 추진 안도

"관세 수준 여전히 높아…고용·소비 부담 해소 안돼"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51323244453480

 

2. 켄 그리핀 등 월가 리더들 "불확실성 속 현금" 강조

"정부 정책 급변기에는 현금 보유가 최선일 수도"

"관세는 미국 저소득층에 더 큰 타격주는 역진세"

래리 핑크"새로운 균형 확실해질때까진 변동성 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5130731i

 

이 기사들은 좀 경계하고 보자는 기사들입니다.

오늘 미국 시장은 엔비디아 포함 반도체와 테슬라에 집중되었고

약세 업종도 제법 됩니다.

그래서 우리 시장은 반도체는 좋겠지만

어제 살짝 반등한 제약바이오가 약세 전환이면 코스닥 걱정도 해야 하고요.

 

어제처럼 갭 상승 후 선물로 0.8% 이상 상승도 하다가

밀리듯이 오늘도 비슷한 모습 보일 수도 있고요.

 

저는 바람이 어제 못 간 것까지 다 반영하면 좋겠다는 생각인데

쉽지는 않네요. 트럼프 사우디 방문 호재가 미국 호재지

한국 호재는 아닐 테니 말입니다.

 

1. 구글, 제미나이 차량·TV·XR기기에도 탑재…호환성으로 챗GPT 정조준

워치·자동차서도 '제미나이'와 대화진화한 안드로이드 온다

새 디자인·제미나이 탑재·보안 강화, 구글 OS 안드로이드 업그레이드 된다

 

2. 오픈AI의 '스타게이트', 관세 문제 등으로 투자 지연 우려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국제유가 CPI 상승률 하락에 급등 WTI 64달러 근접, 천연가스는 하락세 이어가

천연가스, 100BTU당 전날보다 0.014달러(0.38%) 하락한 3.632달러

WTI는 전장 대비 1.72달러(2.78%) 상승한 배럴당 63.67달러에 마쳐

 

2. -우 전쟁 종전 지지부진해도···천연가스주 투심은 확대

 

3. 트럼프 "영원한 적은 없다"…시리아 제재 해제 · 이란에 협상 압박

이스라엘 뺀 트럼프의 중동 순방"경제에 방점, 안보는 뒷전"

 

천연가스를 제외하고 원자재 다 좋습니다.

유가가 2.73% 상승 반대로 천연가스는 0.63%

 

1. 사우디 아람코, 트럼프 방문날 미국에 4.8조 투자

텍사스주 소재 시설 확장

석화제품·연료 통합생산

https://www.mk.co.kr/news/economy/11316282

 

2. 롯데케미칼, 석화 불황속 6분기째 적자…수익성은 개선(종합)

롯데케미칼, 올해 1분기 영업손실 1266억원…적자 폭 줄여

기초소재는 적자 지속…첨단소재는 흑자 방어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51316562407664

 

어제 롯데케미칼이 2.76% 하락입니다.

아람코가 트럼프 사우디 방문 선물로 미국 석유화학 공장 추가 투자를 약속하네요.

석화 업계는 갈수록 악재가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1. 인도, 미국 철강 관세에 보복 조치 검토

인도의 돌변? 미국 철강 관세에 맞대응 움직임

 

2. 인도, 미국 철강 관세에 맞대응 움직임…보복 조치 검토

, 철강 생산 세계 2무역협정 협상에 악영향 가능성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486574?ref=naver

 

인도와 협상이 잘 진행되는 것처럼 하더니 인도와 철강 관세로 싸움이 나오네요.

현대제철 추적은 멈추었는데 최근 주가는 4월부터 잘 반등 중입니다.

 

1. 이날 특징주로는 태양광 관련 주가 대거 상승했다. 어우징커지(歐晶科技), 셰신지청(協鑫集成)이 상한가를 기록했고 둥팡르성(東方日升) 등이 높은 상승세를 기록했다.

 

현지 매체인 런민차이쉰(人民財訊)은 이날 보도를 통해 중국 상위 태양광 폴리실리콘 업체 6곳이 감산과 가격 인상을 계획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가격 인상 목표치를 설정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또한 업체들이 1~2개월 조업을 중단하고 재고를 소진한 후 재가동에 들어갈 것이라는 소문도 함께 전했다. 관련 소식이 전해지자 태양광 섹터가 상승세를 기록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513001176

 

2. 기후적응 산업 매출 1조 달러…’50년까지 최대 9배 성장 전망

LSEG, 기후 적응이 녹색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

GIC, '완화'보다 '적응'이 더 큰 수익 낼 것...정치적 긴장 덜해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1198

 

목표가 상향을 받은 퍼스트솔라가 22% 급등입니다.

중국 시장에서는 구조 조정 루머가 돌면서 중국 태양광 업체들이 상한가 달리고요.

미국, 중국 태양광 종목들이 무섭게 달렸네요.

한화솔루션이 3만원 지지가 아니고 이제 3만 4천원 돌파가 나오고요.

태양광 업종에 이제 햇빛이 활짝 펼쳐지네요. 좋습니다.

 

1. 공화 전기차 세액공제 내년까지만 유지배터리 혜택도 20322031년으로 단축

 

2. "전기차 세액공제 내년 종료"…공화당 '바이든 지우기'

하원서 'IRA 조기종료' 담은 세제안 발의

감세 위해 전기차 업계 '희생양'

세액 공제 종료시점 6년 앞당겨/ 법안 통과 땐 사실상 올해 종료

7500달러 구매 보조금 끊길 듯/ 배터리 업체들도 타격 예상

 

3. 2차전지주, 美 세액공제 조기종료 추진에 '주르륵'[핫종목]

https://www.news1.kr/finance/general-stock/5781656

 

4. "대선 이후 주가 반등?"2년째 추락 중인 2차전지주, 볕들 날 온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51315041413267

 

5. 허물어진 관세 장벽K배터리 ESS 전략 빨간불

·중 관세 협상으로 미국 내 중국산 배터리 가격 경쟁력 회복할 듯

현지 생산능력 부족과 IRA 조기 폐기 추진으로 이중 부담 직면

https://www.etoday.co.kr/news/view/2470002

 

앨버말 주가가 급등하고 테슬라도 상승해서 2차 전지 기술적 반등이라도 기대하자!

이런 생각이었는데 미국 공화당 배터리 보조금 단축 시도 기사에

2차 전지가 나락으로 갔습니다.

 

LG화학, LG엔솔, SK이노베이션이 52주 신저가입니다.

심각하죠. 오늘은 앨버말이 0.,47% 상승 정도입니다.

 

오늘 보조금 축소 소식을 하루 악재로 마무리 할지

추가 하락을 할지 지켜봐야겠습니다만 아래 추가 악재가 나왔죠.

 

1. 1.1조 유증 쇼크…포스코퓨처엠, 애프터마켓서 7%'급락'

포스코퓨처엠, 1.1조 규모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

 

2.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소재 계열 3사 유상증자에 1조 출자

'1.1조 유증' 포스코퓨처엠, 이차전지소재 제조 경쟁력 강화(상보)

 

3. "캐즘 정면돌파"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 소재에 1조 육박 베팅

포스코퓨처엠 등 3계 계열사 유증에 9226억 투입

미래 경쟁력 확보 차원…포스코퓨처엠 1.1조 유증

https://news.bizwatch.co.kr/article/industry/2025/05/13/0039

 

포스코퓨처엠이 1.1조 유상증자 폭탄 던졌습니다.

삼성SDI에 이어서 또 조 단위 유상증자입니다.

 

1. 이차전지 업계, 순차입금 50조 육박…미·중 합의로 가격 경쟁력은

 

보시면 2차 전지 업계 순차입금이 50조에 육박한다고 하죠.

CATL은 물건 팔아서 돈 벌고 상장해서 자금 조달하는데 말입니다.

쩐의 전쟁에서도 우리 2차 전지는 중국과 경쟁에서 한참 멀었죠.

 

이러니 외인 공매도가 2차 전지에 집중되고요.

그래서 미국 배터리 보조금 축소 악재가 포스코퓨처엠 유상증자로 이어질 것 같습니다.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트럼프 눈치 보는 베트남, 중국산 '짝퉁' 대폭 단속 강화

 

2. "인도 시장 잡아야 하는데"스마트폰 강세에 고전하는 갤럭시

 

3. [올댓차이나] 핀테크 앤트그룹, 인도 결제 페이티엠 지분 4% 2.4에 매각

 

4. 블룸버그 중국, 보잉 항공기 인수 금지 해제

 

5. ·중 무역전쟁 90일 휴전에 경제 전망↑…우려는 여전

골드만, 올해 GDP 성장률 0.51%

UBS, GDP 성장률 3.43.7~4%

 

6. , 14일부터 미국 관세율 125→10%로…제네바 무역합의 이행

 

7. 펜타닐 관세 복병 되나…중국 매체들 "시진핑 강공·투쟁의 산물"

 

8. “트럼프, 중국에 항복”…미 언론 ‘90일 관세 휴전혹평

애덤 스미스와 무역전쟁서 져

시진핑엔 최대 수혜자평가

12(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합의를 트럼프 대통령의 공격적 접근 방식의 한계를 보여준 사례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상품에 세 자릿수 관세를 부과하며 글로벌 무역전쟁의 포문을 열었지만, 중국이 고통을 감수하겠다는 태도를 고집하자 실질적 성과를 내지도 못한 채 관세 강경책을 철회했다는 것이다. 오히려 그 과정에서 미국 경제가 덩달아 타격을 입었다고 NYT는 짚었다.

https://www.khan.co.kr/article/202505132117005

 

9. '깜짝 관세 휴전'의 막전막후... "3주 전 미중 장관 회동 있었다"

워싱턴 IMF 지하서 국제회의 계기 회담

"교역 상황 논의... 관세 협상 길 닦은 것"

"'스위스 회담' 땐 미국이 더 양보" 관측도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1315500005303

 

트럼프가 거짓말하지는 않았나 봅니다.

물밑 접촉은 있었다고 합니다.

서방 언론도 트럼프의 판정패라는 기사가 많은데 경제지들이 워낙 트럼프 싫어하니

그런 소리를 할 수도 있는 것 같은데 제가 보기에도

관세 낮춰주고 얻은 것이 뭔가 싶습니다.

 

진짜로 중국이 개방하는지는 지켜봐야 할 일이고

확정은 아직 90일 연기된 것뿐이니 말입니다.

 

반대로 중국 증시가 어제 약보합이었던 이유, 홍콩은 1.4%대까지 하락한 이유는

중국도 양보는 받은 모습이지만 그래도 30% 아닙니까?

수출기업이 당장에 30% 추가 세금을 감당하기 쉬울까요?

중국이 환율 장난을 쳐주던지, 보조금 더 주던지 해야 수출할 수 있지

수출할 수가 있겠나 싶고요.

 

최악은 막았지만, 미국은 명분도 잃고, 최종 목표에는 아직 훨씬 멀었고

중국은 알고 맞아도 아픈 것은 아픈 것이고요.

 

1. 반격에 코너 몰린 트럼프의 항복?…미중 협상 배경은

고관세 맞불에 경기 휘청…펜타닐 문제 등 향후 논의 주목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505131706367620995

 

2. 美中 화합시킨 '자석의 심장' 디스프로슘···트럼프가 '꼬리' 내린 이유

·중 무역 합의로 관세전쟁 90일 유예

CSIS ", 희토류 탈중국화 준비 부족"

희토류 통제, 이번 협상 대상서 제외

"단순 보복 아닌 협상 이끈 전략적 선택"

https://www.womaneconom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5469

 

중국이 얻은 것이 있다면 미국의 약점을 제대로 확인한 것이죠.

트럼프가 주가 하락은 부담스러워하는구나!

희토류로 협박이 먹히는구나!

 

1. [오늘 A] 관세합의 이튿날 차익매물에 보합...가격상승에 태양광 섹터 강세

상하이종합지수 3374.87(+5.63, +0.17%)

선전성분지수 10288.08(-13.08, -0.13%)

촹예반지수 2062.26(-2.45, -0.12%)

커촹반50지수 1009.68(-1.55, -0.15%)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513001176

 

2.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 허리펑(何立峰) 중국 부총리는 스위스 제네바에서 10일부터 12일까지 3일 동안 협상을 진행했으며, 12일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12일 오후 중국 증시 장 마감 직후 발표된 공동 성명에서 미국은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145%에서 30%, 중국은 미국에 대한 관세율을 125%에서 10%로 낮추기로 했다.

 

블룸버그는 이에 대해 "이번 미중 무역 협상에서 중국은 기대할 수 있는 최고의 결과를 얻었고, 미국은 끝내 양보했다""시진핑(習近平) 주석의 강대강 전술이 효과를 거뒀다고 보도했다.

 

중국의 매체들 역시 무역 합의 성과는 예상을 뛰어넘는 것이라며 한껏 고무된 반응을 내놓았다. 중국 매체 관찰자망은 "양국의 제네바 경제·무역 회담 공동 성명 발표는 중국이 무역 전쟁에서 거둔 중대한 승리이자 중국이 투쟁을 견지한 결과"라고 논평했다.

 

12일 장 마감 후 터져 나온 호재로 인해 이날 증시는 상승 개장했다. 하지만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져 나오면서 증시는 약세로 돌아섰고 결국 약보합으로 마감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513001176

 

나스닥이 4% 급등했으면 과창판이 1% 상승이라도 해야 하는데

-0.15% 하락 겨우 1000선을 지켰습니다.

미중 회담이 큰 호재로 작용 못 하는 모습이네요.

 

일단 홍콩 야간 선물은 1.13% 상승 마감이어서

오늘 정도는 상승 가능하지 않겠나 기대감도 생기고요.

 

소화물 관세가 해결된 것으로 보는지 징둥이 3% 핀둬둬가 2% 미국 시장에서 상승하고

반대로 알리바바가 0.68%, 바이두가 0.2% 하락입니다.

오늘 중화권 시장은 업종별 차별화가 있겠습니다.

 

<< 혼다 주가, 30억 달러 관세 부과 우려에 하락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는 20253월 회계연도 보고서에 자세히 기술한 재무 전망에서 관세로 인해 2026 회계연도 영업 이익이 65천만 엔, 445천만 달러 감소할 것이지만, 완화 노력으로 총 2,000억 엔이 감소하여 순 관세 영향은 약 305천만 달러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https://finance.yahoo.com/news/honda-stock-drops-on-fears-of-3-billion-tariff-hit-180308725.html

 

미국 시장에서 충격적인 것이 혼다가 4.2% 급락합니다.

반대로 관세 해결된 것으로 보는지 유럽 자동차 스텔란티스는 4.68% 상승이고요.

도요타는 0.86%, 어제 급등했던 포드는 0.47%, GM1.7% 상승

테슬라는 4.93% 또 급등하지만 중국 전기차들은 약세

하여간 혼다가 찜찜하고요.

 

1. 닛산, 사상 최대 적자에 7개 공장 폐쇄·2만명 구조조정

 

닛산도 실적으로 급락하다가 이제 반등을 좀 하기 시작해서 닛산은 일본 시장에서 3% 반등은 했습니다.

 

그럼 현대차 기아는 반등하는 닛산의 길을 가느냐? 실적 악화 전망하는 혼다의 길을 가느냐가 관건이겠습니다.

 

1. “4분기 실적은 숨기고 싶다”…상장사 영업이익 전망치, 얼마나 줄었길래

쪼그라드는 상장사 영업익

4분기 반도체 업황 악화에/ 삼성전자 전망치 18% 줄어

대표 수출기업 부진 두드러져/ LG전자 60%·현대차 16% 감소

https://v.daum.net/v/20250513222701434

 

2. ‘수소차 시대멀어지나전기차에 인프라·경제성 밀리며 고전

·중에선 성장, 일본·유럽서 위축

친환경·주행거리 나은데 정책 외면/ “일시 정체 아니고 구조적 변화

 

3. 공화당 수소 생산 보조금도 폐지...현대차 북미 수소 인프라 전략에 악재

수소차 확대에 필수인 수소생산 보조금

미 공화당 세제개편안서 올해 종료

현대차·도요타 등 수소인프라 기업들/ 지난 2월 공화당에 혜택 유지서한

https://v.daum.net/v/20250513211200968

 

현대가 악재는 수소차 확대에 필요한 수소 생산 보조금 폐지 소식이 나왔고요.

4분기 실적 전망에서 현대차는 16% 감소 전망해서

혼다의 길을 갈까 걱정도 되고요.

 

현대차 기아가 어제도 반등을 2%대까지 하다가 밀린 모습 보였는데

닛산의 길이냐? 혼다의 길이냐? 오늘 지켜보겠습니다.

 

1. 코스맥스, 1분기 매출 5886'역대 최대'K뷰티 훈풍 지속

연달아 히트 제품 탄생시킨 '코스맥스'..1분기 역대 최대 분기 실적

 

2. 백화점 '빅3' 1분기 실적 선방..롯데 '수비신세계 '공격' 경영 전략 성과

 

3. "같은 대형마트, 다른 성적표"…투자 방향이 갈랐다

[워치전망대]대형마트 올해 1분기 영업익 엇갈려

이마트, 53.5% 증가…롯데마트 34.8% 감소

이마트 '본업 경쟁력' vs 롯데마트 '온라인 식품'

# 우리 시장 이야기

 

1. 증시, ·중 관세 일단 '휴전'에 급등 마감…닛케이지수 1.43%

 

2. [올댓차이나]중국 증시 혼조 마감…상하이지수 0.17%

 

3. '관세휴전' 증시 환호에도 코스피 '잠잠'2600선 보합 마감[시황종합]

 

4. "미중 관세인하 선반영에 숨고르기"...코스피 강보합 마감 [fn마감시황]

코스피는 여전히 숨고르기 장세2600선 강보합 마감

코스피, CPI 경계감 속 강보합 마감…코스닥 0.89%(종합)

 

5. 코스피에 관세 휴전 훈풍은 아직…투심 개선 기대하는 관세 피해주

미중 관세유예에 시작된 순환매···반도체 뜨고 방산 지고

 

6. 코스피, '찔끔 상승' 마감…코스닥은 제약·바이오 강세

트럼프 '약값 행정명령'에도K-바이오는 반등 [핫종목]

 

지수로 보면 우리 지수는 중화권과 비슷한 모습이었다는 생각입니다.

10시 안 되어서 중화권 개장 기대감으로 반등하던 시장이 11시부터

무너졌는데 홍콩 하락이 원인이 아닌가 싶고요.

 

홍콩 하락 원인은 그래도 30% 관세네! 이런 미중 관세 협상 결과물에 대한

경계감이 작용한 것 같고요.

미국도 중국도 협상에서 자기가 이겼다고 하지만

중국 입장에서는 30% 관세 맞은 것은 사실이니

수출로 기업이 30% 관세 맞고 수익을 챙길 수 있을까?

누구나 이런 의문 가질 수 있지 않겠습니까?

 

수급으로 보면 얼마 아니지만

기관 매물이 지수에 발목 잡았다는 생각입니다.

연기금도 608억 전체 기관은 1070억 매도해서 기관이 지수 상승 막았다

기관이 운수창고 정도 사고 대부분 다 팔았습니다.

 

장중 대화 때 개인 매수가 걸린다. 개인이 매도해야 하는데...

이렇게 아쉬워했는데 개인이 매도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기관이 파니 뭐 쩝

 

제가 외국인이 한 주는 선물 매수로 또 한 주는 현물 매수 한다고 전해드렸는데

외국인 현물 매수가 다행스럽고요.

 

하나증권 김영환 애널 텔레그램 자료에 나온

중국 제외한 신흥 시장 외국인 자금 흐름 보면 5월부터 자금이 들어오죠.

한국에도 들어오기 시작하는데 이게 요즘 외국인 매수가 나오는 힘 같습니다.

 

1. 수주 축포는 계속 된다…방산 빅4, 파란불 켜졌는데 "지금 줍줍 기회"

이틀 새 방산주 급락…현대로템 14.99%·LIG넥스원 5.97%·한화에어로스페이스 8.43%

증권가,LIG넥스원 MSCI 편입 가능성 ·한화에어로 황제주 등극 가능성 거론

"일시적 조정 국면…중장기적 성장 모멘텀 여전히 유효"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51315460028376

 

업종으로 보면 제가 조선, 방산 매도하고 반도체, 자동차, 증권 메수 등으로

일시적인 주도주 변화가 나올 것 같다고 했고

대체거래소 시장에서부터 그런 분위기가 감지되고

장 초반까지 유지되더니

삼성전자가 훅 밀리고 조선이 반등하더군요.

방산도 반등 시도했지만, 방산은 실패했고 조선은 상승 유지했습니다.

 

조선주의 힘을 다시 느꼈고, 2차 전지의 몰락을 실감하고요.

공매도 먹잇감은 확실히 2차 전지인 것 같습니다.

 

1. 삼성전자, 독일 냉난방공조 기업 2.9조에 인수 추진 [블룸버그]

 

2. 슬림폰 경쟁 개막…삼성전자, 역대 가장 얇은 5.8㎜ `갤럭시S25 엣지` 공개

 

3. SKT 불똥 튄 삼성전자…갤럭시 퀀텀6 출시 앞두고 고심

 

4. SKT “갤S25 엣지 기기변경은 가능…삼성에서 기존 수준 물량 확보

 

5. SKT, S25 엣지 신규 예약 안 받아…기기 변경만

신규 가입 재개 시점 정부와 논의할 것

 

삼성전자가 전날 5% 상승이 부담이었는지 1.2% 하락한 것이 지수가 밀린 주요 원인이겠죠.

외국인이 전기전자를 1655억 매수했는데

개인이 1670억 집중적으로 전기전자를 매도했고요. 기관도 135억 매도합니다.

외국인 기관 모두 삼성전자는 샀는데 개인 매도로 1.2%라니 쩝

하이닉스는 외국인이 96만주 매수 1.79% 상승

외국인 비중이 다시 54%로 왔습니다. 역시 하이닉스구나!

월요일 삼성전자. 화요일 하이닉스 이렇게 상승을 강하게 하고요..

 

오늘 새벽 미국 시장에서 필 반도체 지수가 어제 7% 급등 오늘 3.15% 상승

반도체가 좋았습니다.

 

엔비디아, 마이크론이 5%대 브로드컴이 4%TSMC3%대 상승이어서

오늘 반도체 기대감이 가장 높습니다.

나스닥 4% 상승에 어제 우리 지수가 강보합 마감이었는데 오늘 정도는 어제 못 간 것까지

반영하면서 반도체가 달려주면 너무 좋겠고요..

 

여기서 찜찜한 부분 이야기해야 할 것 같습니다.

 

4시에 마감한 야간 선물이 0.72% 상승입니다.

새벽 1시부터 좀 더 많이 올랐습니다.

이 모습은 MSCI 한국 지수에서도 비슷했는데

MSCI 한국 지수가 새벽 1시 전까지는 하락이었습니다.

나스닥이 1.5% 이상 상승하는데 말입니다.

그러다가 상승 전환하다가 나스닥이 막판에 밀리는 모습 보고 0.14% 상승 마감입니다.

 

주간 시장에서 0.95% 상승한 대만이 0.62% 상승

그런데 주간 시장에서 1.4% 상승한 일본은 0.76% 하락

홍콩은 0.16%, 중국은 0.65% 하락입니다.

이 모습만 보면 오늘 아시아 시장 분위기는 대만 정도가 좋고

우리도 그렇게 나스닥만큼 상승 기대감이 높아지지는 않겠죠.

 

자칫 잘못하면 또 어제 같은 시장이 오늘도 열릴 수 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 삼성전자, 2.8조 규모 냉난방기업 플렉트그룹 인수 추진>>

 

지난번 삼성전자 음향 회사 인수는 전혀 시장 반등이 없었는데

이번 유럽 냉난방 기업 인수는 평가받는지 모르겠습니다.

 

어제 쉰 삼성전자 반등이 제일 기대가 되고요.

반도체 소부장도 기대감이 높습니다.

어제 리노공업이 6% 급등이었고 한미반도체는 반대로 2.89% 하락이었는데

오늘은 주요 반도체 소부장 상승 기대해 봅니다.

어제같이 좋은 예상이 되던 날에 반도체 업종이 0.28% 하락이었습니다.

오늘은 반전 기대해 봅니다..

 

어제 반짝 반등하다가 큰 상승은 못 한 제약 바이오가 오늘 걱정이 많이 되고요.

다시 하락 분위기 나오네요. 쩝 이렇게 되면 오늘 코스닥 대형주가 좀 힘들 수 있겠습니다.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1. 개인 공매도, 재개 후 22배 늘었지만기울어진 운동장바로잡아도 비중은 줄었다, ? [투자360]

신용거래대주, 공매도 재개 후 19억→416억원

코스피 방산주’, 코스닥 정치 테마주개인 공매도 쏠려

공매도 중 개인 비율은 금지 전 1.73%서 재개 후 1.25%로 감소

공매도 재원 부족에 심리적 부담…인버스 ETF로 유사 효과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486412

 

2. “공시 잘하면 유증 심사도 빨라져”…금감원, ‘적극적 공시당부

공시 잘하면 유증 심사 빨라져공시대리인중요해져(종합)

 

3. 이재명 "상법개정 재추진"…김문수 "기업투자 활성화"

각 대선 후보, 후보등록 후 중앙선관위에 공약 제출

이재명 "지배구조 투명성 확보, 주가조작 엄단'

김문수 "배당세 분리과세, 가상자산ETF 허용"

권영국 "금투세 시행", 송진호 "가상자산 피해자 구제" 눈길

https://news.bizwatch.co.kr/article/market/2025/05/13/0015

 

4. 대신증권, 1분기 영업이익 388억…전년比 46.9%

[기자수첩] 증권업계 양극화 심화중소형사 설 자리는 어디

 

5. 호반-한진 경영권 분쟁 가능성에 한진칼 상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