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그레이스완! 엔비디아 포함 반도체 급락! 약발 약한 중국 부양책! 연기금이 살린 한국 시장! 12월 11일 장전 시황

평생선물 2024. 12. 11. 07:08

그레이스완! 엔비디아 포함 반도체 급락! 약발 약한 중국 부양책! 연기금이 살린 한국 시장! 1211일 장전 시황

 

내일은 개인 사정으로 장전 시황 쉬고 금요일 오겠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잘 이겨내시고요.

# 미국 시장 이야기

 

1. 모건스탠리 연준, 내년 1월까지 금리 인하 예상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13797

 

2. "11CPI, 예상보다 증시에 큰 영향 줄 가능성"

10일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BofA는 9일자 메모에서 시장이 지난 수개월간 CPI 수치에 둔한 반응을 보여왔기 때문에 특히 영향이 클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11CPI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2.7%, 10월의 2.6%보다 다소 높아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5648

 

3. [속보]뉴욕증시, 일제 하락…다우 0.35%

 

4. 11CPI·엔비디아 조사 우려 지속, 뉴욕증시 하락S&P500 0.3%

미증시 CPI 발표 앞두고 일제 하락…구글은 6% 급등(상보)

 

CNBC도 미국 시장이 CPI 앞두고 좀 쉬었다고 표현하네요.

위 기사 보시면 CPI가 반등하면서 시장에 큰 영향 줄 수 있다는 기사가 있죠.

요금은 좀 무시되는 지표처럼 취급되는데 이번에는 상당한 영향을 우려하네요.

 

모건은 내년 1월까지 금리 인하 예상한다고 하는데

미국 국채 수익률에서 장기채가 상승하네요.

잘 내오나 싶었는데 10년물이 4.1%에서는 더 못 내리네요.

연준에서 더 강력한 금리 인하 신호를 기다리는 것 같습니다.

 

1. 노무라 "엔비디아 주가 하락, 내년 '그레이스완' 이벤트"

노무라는 2025년 금융시장에서 대비해야 할 '그레이스완'을 소개했다.

노무라는 기술 분야의 자본 지출 둔화, 새로운 블랙웰 칩의 지연, 예상보다 낮은 성장 잠재력 등으로 엔비디아 주가가 하락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와 함께 노무라는 엔 캐리 트레이드 추가 청산과 10년물 미국채 수익률 6% 돌파, 미국 경제 성장 충격, 지정학적 갈등 고조 및 중국 경기부양책 실망감 등을 그레이스완 요소로 꼽았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5603

 

그레이스완은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하지만, 마땅한 해결책이 없어 위험 요인이 상존하는 것을 일컫는다. 경제적으로 계속 악영향을 주면서 주가 등 경제지표들을 움직인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5603

 

그레이스완이라는 단어가 나오네요.

마땅한 해결책 없이 위험이 상존한다고 하는데

여기에 엔비디아가 들어간다고 합니다.

오늘 상승 출발한 엔비디아가 무너졌습니다.

AI 대장이 상승 피로감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우리 시장에서 자세히 다루었는데 오늘 반도체 이상합니다.

보조금 받는다는 마이크론도 4%11월 매출이 34% 급증한 TSMCEH 3%

AI 대장 엔비디아가 2.69% 야 오늘 하이닉스가 걱정입니다.

 

1. 구글 양자 칩 '윌로우' 공개, 알파벳 주가 6% 급등

구글, 초고성능 양자컴퓨터 개발 발표에 주가 4% 상승

 

2. 테슬라 3% 급등, 400달러 돌파…사상 최고 근접(상보)

테슬라, 모건스탠리 '최선호주' 선정에 주가 3%↑…최고가 눈앞

 

양자 칩 공개한 구글이 5%대 급등, 테슬라가 4%대 상승까지 갔다가

2%대 상승 마감인데 보고서가 좋은 내용으로 나오는 곳이 많습니다.

실적이나 판매가 별로일 것 같은데 계속 좋다는 것이

트럼프 수혜주보나 싶고요.

 

1. 애플, '트럼프 관세' 우려에도 주가 오르네…월가도 '갸우뚱'

11월 이후 맥7중 테슬라 이어 두번째로 주가 상승

현재 애플 PER 33배로 분석가들 목표주가 넘어서

투자자들,"관세 리스크 팀 쿡이 관리할 것" 낙관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108470i

 

애플이 0.41% 상승인데 최근 신고가 영역으로 가네요.

이걸 이상하게 보는 곳도 있네요.

 

1. 당국 환율방어에 외환보유액 4000억 달러선 위협

정치적 혼란이 원화 약세 부추겨

“4000억 달러 뚫리면 환투기공격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41210/130606426/2

 

2. 强弗 지속?"지금은 달러 팔아야 할때"

모간스탠리 보고서/'호재' 이미 가격 반영/ 미래가치 '낙관' 과도

금리인하 가능성/ "호주달러 등 매수를"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121021530591618

 

3. 외인들 주식 팔아도 원화채는 사들였다

이달들어 순매수 규모만 9천억

안전자산 인식 커져 투자 더 늘듯

같은 기간 코스피 5천억 순매도

https://www.fnnews.com/news/202412101836170680

 

달러가 다시 106으로 올라옵니다.

이러니 안 그래도 약세인 달러/원이 역외에서 1436원까지 오네요.

1440원도 살짝 보고 방어 중인데 진짜 1450, 1500원 보게 생겼습니다.

 

주식 시장도 큰일이지만 화율도 큰일이네요.

오늘은 엔화도 151.960.51% 상승입니다.

여긴 뭐 엔화 약세를 어쩔 때는 호재로 반영하니

우리 원화 걱정이 태산이네요.

 

주식 시장이 하락하는데 VIX도 하락합니다. -1.19%

이럼 강력한 조정은 아직 미국 시장은 염려 안 해도 될 것 같은데

뭐 모르죠. 하여간 CPI 보자. 이런 상황인 것 같습니다.

 

오늘은 반도체 흐림으로 보고 자동차, 2차 전지, 밸류업 방어 역할이 얼마나 강한지

연기금 수급은 계속되는지가 관건이겠습니다.

# 주목해야 할 소식

 

1. [속보]국제 유가-천연가스, 중국 경기부양 의지에 이틀째 동반 상승 WTI 68달러

천연가스, 100BTU당 전날보다 0.006달러(0.19%) 상승한 3.188달러

WTI는 전장 대비 0.22달러(0.32%) 상승한 배럴당 68.59달러에 마쳐

 

2. 매일 먹는 음식인데 여보, 이제 어떡해”…줄줄이 인상한다는 소식에 울상

세계 식량 가격 최고치 기록

환율 상승 맞물려 국내 식품 업계 비상

https://econmingle.com/economy/the-global-food-crisis/

 

3. 아라비카 원두가격 사상 최고치…커피값 더 오른다

세계 최대 생산국 브라질 작황 부진 영향

https://www.yna.co.kr/view/AKR20241211003300109?input=1195m

 

구리, 은은 보합이나 조금 하락이고요.

금이 1.25% 상승 혼조네요.

 

유가나 천연가스는 보합권에서 왔다 갔다. 천연가스 정도가 0.18% 상승 정도

 

1. BP-JERA, 해상풍력 통합기업 만든다BP, 사업 축소 신호탄?

20253분기까지 설립...'30년 말까지 최대 58억 달러 투자 예정

BP, '30년 말까지 최대 325000만 달러 투자...기존 계획 절반도 안돼

오킹클로스 BP CEO "재생에너지 투자 축소...화석연료 감축 계획 포기"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9189

 

2. OECD 공적금융 화석연료 제한 의견서 제출 코앞반대 고수

OECD 수출신용협약, ECA 해외 화석연료 프로젝트 자금 지원 제한 추진

한국과 터키 반대로 무산...COP29 올해의 화석상 1위 수상 배경되기도

6일 국가별 의견서 제출...10일엔 의견서 토대로 협약국 비공식회의 진행

이탈리아와 일본 등 반대 국가들도 입장 바꿔...기재부 "신중하게 검토중"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9082

 

3. "핵심 기술 넘겨줄게" 콧대높던 中 기업 '돌변'무슨 일이

中 밍양, 유니슨과 합작사 설립진출 속도

"기술 줄게 시장 다오"

콧대높던 中풍력, 에 러브콜/ 정부 '중국 싹쓸이' 막으려

공급망 기여도 등 평가 반영하자/ , 대형터빈 기술이전 약속

8까지 생산 가능한 유니슨/ 터빈 용량 2배 늘려 기술력/ "중국 기업 우회진출" 논란도

https://v.daum.net/v/20241210174308750

 

중국 풍력이 기술을 줄 테니 한국 진출하게 해 달라는 주문을 한다고 하네요.

믿을 곳이 못 되죠. 흑심이 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4% 가까이 하락하던 퍼스트솔라가 1.46% 상승입니다.

엔페이즈에너지는 2%대 하락인데 뭔 일인가 싶을 정도로 반등을 잘했네요..

 

어제 한화솔루션이 9.89% 상승이고요.

화학이나 철강도 다 비슷한 상승입니다.

워낙 호가 비우고 올라서 반등도 강력했습니다만

중국이 급등 후 상승폭을 제법 만들어서 추세를 유지할지는 더 지켜봐야겠습니다.

 

1. LG엔솔·연세대, 실리콘 음극재 난제 해결 실마리 찾아

LG엔솔·연세대, `실리콘음극재` 배터리 난제 실마리"에너지 10배 이상...

LG엔솔-연세대, 실리콘 음극재 열화 문제 해결..."배터리 성능 높인다"

불타는 배터리 사라진다?···LG엔솔·연대, 열화 방지 기술 개발

 

2. SK온 대표 전동화 핵심은 배터리 성능 개선

이석희 SK온 대표 고려대 특강

사람·연구에 투자 아끼지 않아

 

3. 점유율 10%대 추락 위기'K배터리' 어쩌나

K배터리 점유율 10%대로 하락하나3년 만에 31.720.2%

추락하는 것에는 날개가 없다...K배터리 점유율 급락

 

4. ‘리튬급락포스코퓨처엠·에코프로, 트럼프 反中 정책 수혜 기대감

탄산리튬, 2110위안1270위안으로 32.7% 급락

소재 기업, 공장가동률·CAPEX 축소로 대응

트럼프, IRA 당장 폐지보다 축소 예상···중국 견제는 강화

https://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407875

 

앨버말은 퍼스트솔라처럼 밙등 못하고 5%대 하락입니다.

테슬라가 장중에 4%대 상승도 하는데 계속 약세더군요.

엔솔이 열화 방지 기술했다, SK온은 기술로 승부한다고 하는데 글쎄!

 

1. [보죠, 배터리]중저가 시장 에 내준 배터리26년에야 LFP 상용화

중국 시장서도 과반 점유율 내준

LFP 비롯 중저가 시장 내어준 것이 주요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4120916575675885

 

우리 유튜브에서 정말 많이 본 내용이 LFP 기술은 수준이 낮아서

고급 배터리 만드는 우리는 마음만 먹으면 바로 생산 가능하다고 하는데

26년에 상용화 가능하다고 하네요.

 

스텔란티스, CATL과 6조원 투자해 스페인 배터리 공장 설립

https://www.bloter.net/news/articleView.html?idxno=627942

 

그동안 CATL은 수익 낸 것으로 고급 시장 다 먹고 훨훨 날아갈 것 같은데 말입니다.

 

오늘은 화학, 철강, 태양광이 어제 급등을 이어가는지

테슬라 상승으로 2차 전지는 계속 상승해 줄지가 관건이겠습니다.

# 아시아 시장 이야기

 

1. 증시, 부양책 기대로 상승...수출지표 악화로 상승폭은 제한

 

2. [오늘 A] 정치국회의 효과에 상승...내수진작 기대감에 소비주 초강세

상하이종합지수 3422.66(+20.13, +0.59%)

선전성분지수 10812.58(+80.92, +0.75%)

촹예반지수 2264.05(+15.42, +0.69%)

커촹반50지수 1010.91(+7.53, +0.75%)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1210000854

 

3. 9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의 주재로 진행된 정치국 회의는 공보를 통해 더욱 적극적인 재정정책과 충분히 완화된 통화정책을 주문했다. 또한 공보에서는 "내년에는 파격적인 역주기 조절 정책(부양책)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발표했다.

 

중신(中信)증권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전날 개최된 정치국 회의는 2010년 이후 처음으로 완화된 통화정책을 요구했다""내년 역환매조건부채권(RP) 금리는 40~50bps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사실상 기준금리인 LPR(대출우대금리)과 주택담보 대출금리 하락 폭은 이보다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또한 중신증권은 "정치국 회의 공표문에서 '소비 진작'에 대한 표현은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은 것"이라며 "내수 확대 정책이 더욱 강력하게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이어 중신증권은 "정치국 회의가 부동산 시장과 주식 시장 안정을 표명한 만큼, 내년 중국의 자산가치가 상승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허(銀河)증권은 "정치국 회의는 더욱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부양책 신호를 표출했다""조만간 개최될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는 정치국 회의가 제시한 방향에 맞춰 경제정책을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중국 경제의 펀더멘털은 점진적인 개선 추세를 보일 것이며, 증시 역시 중장기적인 상승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1210000854

 

4. 11월 수출 6.7% 증가…시장 예상치는 하회

11월 무역액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에 그쳐

https://www.nocutnews.co.kr/news/6259172?utm_source=naver&utm_medium=article&utm_campaign=20241210065058

 

5. 롤러코스터 탄 홍콩…아침엔 급등, 오후엔 하락 반전 [Asia마감]

이날 오후 약세에 대해선 "투자자들이 잠재적인 경기 부양책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기다리는 한편, 지난주에 내놓은 강세 베팅에 대한 포지션을 조금 조정하면서 생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121016412583401

 

시진핑까지 나서면서 내년 부양책 발언하면서 주가가 급등할 것 같았는데

완전히 전강후약 장세가 되었습니다.

본토는 그래도 상승 마감이지만 홍콩은 하락입니다.

 

MSCI 중국이 4.52%, 홍콩이 2.63% 하락

그리고 홍콩, 중국 A 야간 선물은 보합이고요.

 

핀둬둬 5%, 징둥 4%, 바이두 3%, 알리바바 2%대 하락이어서 오늘 중화권은

약세도 가능하겠습니다.

매물 출회로 밀렸지만 중국 부양책은 계속 관심 가져야 할 것 같습니다.

우리 시장 업종에도 영향을 주니 말입니다.

 

1. “화웨이와 거래하면 너희들도 고립될 것”…중국 조이는 미국의 압박

국방예산법 개정안 초당적 발의

화웨이·계열사에 반도체 거래사/ 국방부 동일제품 입찰 참여 불가

상무부 반도체 리스트 통제 더해/ 방산조달 막강파워로 이중 압박

https://www.mk.co.kr/news/world/11191327

 

2. 중국, 미국·유럽에 드론 부품수출 제한미중 무역 전쟁 확전

블룸버그 우크라 방위 핵심 드론에도 여파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121021300001416

 

3. "클릭만 하면 모스크바까지 배송"…수출 통제에도 반도체 러에 대량 판매

홍콩 등 다른 나라 경유해 러시아로 최종 배송

우크라이나 공격용 미사일·드론에서도 확인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DI2FXZOIR

 

4. 러 미사일에 반도체가"수출통제에도 손쉽게 구매"

https://www.goodnews1.com/news/articleView.html?idxno=442313

 

희토류 수출 금지가 나오더니 이번에는 드론 부품 수출 제한으로 중국이 역공에 나서네요.

미국 반도체 수출 금지는 역시 잘 안 통합니다.

인터넷으로 주문하면 러시아 미사일에 들어갈 반도체도 다 배송이 된다고 하니

말은 제재한다고 하지만 쉽지 않을 것 같고

오히려 애국 소비를 불러서 중국 반도체 발전만 가속화시키는 느낌이네요.

 

1. 올해 들어 중국 제외 신규 전기차 등록 대수 증가세

세계 신규 전기차 483만5000대

신규 전기차 등록 5.6% 증가테슬라와 폭스바겐의 희비 엇갈린 실적

 

중국 뺀 전기차 시장, 전년5.6% 성장…유럽만 역성장

SNE리서치 분석", 규제 불확실성 대응해 각국 시장 전략 짜야"

https://zdnet.co.kr/view/?no=20241210091138

 

2. 중국서 폴크스바겐·GM, 내연차 공장 잇단 폐쇄

전기차에 밀려 수익성 떨어져

 

3. "전기차로 갈아탔어요"…중국인 변심에 포르쉐 '중대 결단'

니오에 치여 딜러망 대폭 축소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107821i

 

4. 테슬라, 4천만원 이하 저가 전기차 선보일까

매체 "내년 상반기 모델Q 출시…가격 4천200만원 이하

https://zdnet.co.kr/view/?no=20241210144839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는 테슬라만 버티는 것 같습니다.

공장 줄인다고 한 해외 기업이 공장 폐쇄를 더 늘리고

유럽은 역성장까지 하고요.

 

1. 질주하는 DB하이텍 '테슬라 칩' 양산 눈앞

자율주행 레이더 칩 검증 최종단계/ 테슬라, 생산라인 실사까지 마쳐

전력 반도체 이어 'RF'도 수주/ 빅테크와 협력으로 추격 대응

https://m.sedaily.com/NewsView/2DI2GEYLYA#cb

 

DB하이텍 기사가 나오네요. 이건 좀 관심이 갑니다.

어제 8% 급등입니다.

 

1. '역대 최고 실적' 현대차, 임원 239명 승진…성과주의 기조

 

2. 현대차·기아, 非中 전기차 시장 3위...점유율 10% 밑으로 [FN 모빌리티]

1위는 테슬라, 2위는 폭스바겐그룹 전기차 캐즘으로 1~4위 역성장

https://www.fnnews.com/news/202412100923024191

 

3. [단독] '전기차 이탈' 틈새시장 정조준…현대차, 7년만에 범유럽 딜러대회

유럽 34개국 2500여 명 참여해

호세 무뇨스 CEO 내정자도 자리

향후 10년간 차량 유연하게 공급/ 45.3% 관세에 틈새 공략할듯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DI2FPUO87

 

4. 현대차가 '미국통' 앞세워 한미재계회의 간 까닭

제 35차 한미재계회의 개최트럼프 2기 산업정책에 대비하는 '상견례'자리

대중국 정책에 대비하는 현대차관세·IRA 조항 변화에 주목할 것으로

https://www.moneys.co.kr/article/2024121017051511650

 

현대차가 제법 대외 협력을 잘 준비하는 것 같습니다.

판대 부진인 유럽에서는 딜러대회도 하고 새 정부가 들어서는 미국에는

미국통이 또 대응하고 말입니다.

 

현대차, 기아 모두 어제 4%대 반등인데

모두 기관 매수이고 외국인은 매도입니다. 이 수급이 아쉽네요.

 

미국 시장에서 테슬라는 상승이지만

도요타, 포드가 하락이고 GM은 보합 정도

중국 전기차는 급락이어서 우리 자동차는 좀 부정적이네요.

# 우리 시장 이야기

 

1. 기관, 하루 5700억 쓸어담더니…계엄 이후 K증시 첫 반등

 

2. 연기금 닷새 간 1조 사들였다증시 계엄 후 첫 반등

 

3. "국내 증시 급락에 외국인·연기금 순매수…증안펀드로 수급 기대도“

또 증안펀드에 따른 수급 기대도 있다는 설명이다. 강 연구원은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될 정도로 국내외 증시가 불안해질 가능성은 현시점에서 높지 않다고 판단하나 증안펀드는 16년 만에 실제로 투입될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증안펀드 실제 집행 시나리오 하에서는 시가총액 비중이 크면서 거래대금이 적어 증안펀드 수급으로 탄력적 반등이 가능할 수 있는 반도체, IT 가전, 자동차, 조선 등 업종이 유리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748246639117208&mediaCodeNo=257&OutLnkChk=Y

 

연기금 주목하자고 계속 적고 있는데 어제는 연기금이 코스피 일병 살리기에 성공했습니다..

라이언 일병 살리기 영화를 보면서 한 명 살리기 위해 저렇게 많은 소대원이 죽어야 하나?

이런 역설적인 질문도 하게 되더군요.

 

1. "경제위기? 일단 연기금으로" "국민 노후 위한 돈인데?“

 

지금 연기금 매수는 상승해서 매도 기회가 있으면 다행이지만 하락장이 계속 되면

수익률 저하는 뻔한데 말입니다.

1조 매수가 부메랑이 되지 말아야 할텐데 말입니다.

 

1. 국내 증시 엑소더스에...최상목 "연기금, 책임있는 역할해야"

최상목 "증시 변동성 과도…연기금, 책임 있는 역할 지속해야"

최상목 "금융·외환시장 변동성, 펀더멘털 건전성 대비 과도"

최상목 "증시 변동성 과도...연기금, 책임 있는 역할 지속해야"

최상목 증시 개인투자자 차분한 시각 갖고 판단해달라”

 

최상목 부총리의 연기금 책임있는 역할 주문이 결정적이었던 것 같습니다.

 

1. 10조 증시안정펀드 효과는"완충 장치" vs "단기 약발"

금융당국, 가동 여부 놓고 신중

거래대금 적은 대형주 유리할듯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1081011

 

전쟁으로 치면 낙동강 전선까지 밀린 상황을 연기금으로 막았고

증안펀드 투입은 아직 신중하다고 하겠습니다.

일부 유튜브에서는 어제 바닥 나왔다고 하던데 과연 바닥일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언급한 3가지 단어 중 하나 탄핵 투표 기대감 정도가 올라왔다는 생각이고요.

쿠데타, 증안펀드 투입 두 단어는 아직 부정적이네요.

어제 여당 일부에서 더 못 기다린다. 한 명은 찬성하겠다.

이런 선언이 투심에는 도움 된 것 같고요.

 

1. "세금 폭탄 당분간 사라졌다" 국장으로 다시 자금 몰릴까

 

금투세 폐지 확정도 일부 투심에는 호재였을 것 같고요.

 

업종으로 보면 어제 반등은

중국 영향과 과매도 업종 반등 같습니다.

 

중국 영향 많은 화장품이 7%, 철강도 7% 화학이 6%였습니다.

정말 급락한 업종과 이게 묘하게 중국 부양책과 겹치면서 반응이 강력했네요.

 

그런데 우스운 것은 홍콩은 하락 전환, 중국은 1%대 미만 상승인 것이죠.

중국 영향보다는 너무 내려서 반등도 강했다.

제가 풋 시장에서 풋으로 망한다고 했지 않습니까??

어제가 바로 그런 시장입니다.

 

분명 하락할 것 같은데 하루 반등이 강력하거던요.

어라! 그럼 바닥인가 이러면서 담으면 또 하락하고

퐁당퐁당 못 맞추면 계좌는 지속적으로 녹습니다.

 

글 적는 540MSCI 한국은 주간 시장 2%대 상승에도 0.6% 상승 정도입니다.

급등 출발했지만 슬금슬금 내렸습니다.

5시에 마감한 야간 선물은 0.67% 하락입니다.

어제 강한 반등도 있었지만 또 되돌림도 상당할 수 있습니다.

 

코스피 0.8PBR이면 저점이다. 이런 주장도 많았고요.

어제 그 판단이 맞았다고 하겠습니다만 또 우려 기사도 있죠.

 

1. 탄핵정국 장기화시.."코스피 2250 예상보다 도달 속도 빠를 가능성"

탄핵정국에 정치적 불확실성 심화

해외 신평사들도 하방 위험 경고

https://www.fnnews.com/news/202412100934480989

 

내년 성장률이 계속 내려오고 있는데 지금 정국은 이걸 더 어렵게 만든다고 봐야 하니

 

<< "코스피 하단 2250 하단 전망을 제시했는데, (저점으로 예상한 20251·4분기) 예상보다 도달 속도가 더 빠를 가능성은 있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이 지난 9일 긴급진단 보고서를 통해 밝힌 시각이다. 탄핵정국에 정치적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상황 속 진단으로 이목을 모았다.>>

 

NH투자증권에서는 2250 하단을 좀 빨리 보겠다는 진단을 하네요.

 

 

상무부, 마이크론에 61억달러 보조금 최종 확정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1211000006

 

TSMC, AI 수요 덕에11월 매출 34% 증가

데이터센터 둔화 우려에도 AI 수요 증가 혜택 수혜

현재 분기 매출 36% 증가 전망

분석가 "TSMC는 파운드리 시장서 가격 결정력 보유"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108287i

 

아직 미국 시장이 끝나지 않았지만 미국 시장에서 반도체가 크게 하락 중입니다.

보조금 받는다는 마이크론 조차 5% 하락이고요.

11월 매출이 34% 증가한 TSMC4%AI 대장 엔비디아가 5513% 하락이빈다.

 

닷새만에 반등 코스피… 반도체·2차전지 업고 2420선 넘을까?

삼성전자 5만4000원대 회복에코프로 2.4% 상승

https://www.moneys.co.kr/article/2024121016031059719

 

기사는 반도체, 2차 전지로 2420은 넘을까 기대하는 내용인데

미국 반도체가 이렇게 되면 어렵다고 봐야 하지 않겠습니까?

어제 오라클 실적 발표로 미국 시장 반도체나 소프트웨어 좀 힘들 것 같았는데

이 정도로 하락할 줄은 몰랐네요. 너무 심합니다.

필 반도체 지수가 2.62% 하락 중입니다.

 

1. 中, 엔비디아 반독점 조사 착수에 반도체업계 긴장

이스라엘 기업 인수때 규정 위반

구체적 위반 내용은 밝히지 않아

삼성-SK하이닉스 제품도 포함돼/ 미중 반도체 갈등 심화에 업계 촉각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41210/130613581/2

 

2. 트럼프 취임 앞두고 미 의회, 국방수권법 합의주한미군 2만8500명 유지

감축 제한조항은 없어트럼프, 한국 압박에 활용?

국방부 계약 업체, 화웨이에 칩 판매 등 금지

한미동맹 강화 이유로 과의 전략적 경쟁첫 명시

미국과 중국의 반도체 갈등으로 엔비디아, TSMC가 저렇게 흔들리면

아랫단 부품 공급하는 우리 반도체가 무사할까 싶고요.

 

1. 삼성전자 한진만 파운드리 사장 "2나노 수율이 최대 과제"

삼성전자 4나노, 수율 70% 찍었다"TSMC에 뺏긴 고객사 되찾는다"

삼성전자 새 파운드리 사장 악순환 끊고 2나노로 반등

삼성 파운드리 구원투수 "2나노 공정에선 안 밀릴 것"

 

2.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3E 공급 해 넘길 듯

지난해 10월부터 품질 검증

SK하이닉스와 기술 격차 커져/ 1c D램 양산투자 개시

https://dai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7659

 

3. 빨라진 엔비디아 칩 출시…삼성·SK하닉, 'HBM4' 누가 먼저?

엔비디아, 루빈 6개월 앞당겨 출시 전망

삼성·SK하닉, 선점 경쟁HBM4 양산시기 주목

"수율·공정 안정성 함께 잡는 게 관건"

https://v.daum.net/v/20241210114116576

 

4. 삼성전자, '1c D' 양산 투자 개시…차세대 HBM4 본격화

양산 설비 첫 도입하기로HBM4 코어 다이로 채용

https://v.daum.net/v/20241209110925052

 

12월이 다 가고 있는데 HBM3 통과 소식은 아직도 안 나오는데

언론은 HBM4 양산 투자 개시한다고 하는데

이게 작년부터 계속 나오는 희망회로 돌리기 같은데

하닉이랑 승부 본다고 하는데 과연? 저는 부정적이네요.

 

이번주 외국인 삼성전자 보유율 51% 깨질 것 같다는 전망이었는데

지금 51.06%입니다. 어제 기관이 100만주 사서 1.12% 상승으로 방어했지만

오늘은 힘들다고 봐야겠습니다.

미국 반도체가 워낙 흔들렸어야 말이죠.

 

1. 모리스 창 TSMC 창업자 삼성 기술적 난관에 봉착

 

2. "삼성 왜 어렵냐면"TSMC 창업자가 콕 집은 이유

기술적·전략적 요인과 함께 '정치적 불안정' 꼽아

https://v.daum.net/v/20241210162703948

 

TSMC 창업자가 한마디 하는데 삼성전자가 기술적 난관에 봉착했다는 발언이

참 뼈아프네요. 삼성전자가 이런 소리 듣는다는 것이 참담할 지경입니다.

 

1. 10년 넘게 자사주 쌓아둔 영풍, 소액주주들도 '밸류업' 요구

 

2. 개미는 은행주, 외인·기관은 AI주 담았다

탄핵정국, 엇갈린 투심

호실적·주주환원으로 반등 기대/ 개인, KB·하나금융 등 집중매수

외인은 HBM·AI사업 성장 주목/ SK하이닉스·네이버 대거 사들여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DI2GU7QMC

 

3. "밸류업 흔들림 없이 이행" 4대 금융지주, 해외 주주에 강조(종합)

4대 금융지주 "밸류업 문제없다"탄핵 정국에 투자자 이탈 막기 총력

하나금융, 해외 주요 투자자와 소통 나서밸류업 흔들림 없이 이행...

"밸류업 흔들림 없이 이행" 하나·KB·신한, 해외 주주에 강조(종합)

"밸류업 흔들림 없이 이행" 하나금융, 해외 주주에 서한

 

4. 코스피 2400 붕괴..금융당국 “밸류업 펀드 추가 조성

최상목 "시장안정조치 즉시가동 태세…밸류업펀드 이번 주 700억 투입"

최상목 부총리 증시 밸류업 펀드, 이번주 700억원, 다음주 300억원 순...

최상목 "밸류업 펀드 1천억원 추가 투입외환수급 개선안 곧 발표"

 

5. 금투세 폐지·코인 과세 유예 통과 상속세 완화·밸류업 혜택 불발

칩스법 특례 3년 연장만 처리

반도체 지원 확대 문턱 못넘어

https://www.mk.co.kr/news/economy/11191225

 

최부총리가 연기금 역할 주문하고 밸류업펀드 700억 투입으로

일단 방어하는 것 같고 금융지주사 대표들도 밸류업 한다고 약속도 하고

불 끄기에 전력 중인데 오늘 삼성전자, 하이닉스가 흔들리면

진짜 밸류업이라도 방어를 해야 합니다.

 

현대차 그룹, 금융 이런 밸류업 잘하는 곳 위주로 방어가 되면

다행이고 미국 시장 영향으로 반도체 2 대장 흔들리면서

반도체 ETF가 무너지면 지수도 좀 어렵겠습니다.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1. "계엄 사태에도 끄떡없다" 개미들 환호…요즘 입소문난 종목

요즘처럼 장 흔들릴땐…필수소비재·운송업 주목

올해 블랙먼데이 제외하고

4년 넘게 5% 이상 폭락 없어/ 최악은 '대왕고래' 관련 유틸리티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1080951

 

2. “왜 이렇게 흔들리나 했더니중국발 충격, 글로벌 시장에 직격탄

중국발 저가 공세에 휘청이

https://econmingle.com/economy/price-of-general-purpose-drams/

 

3. 3Q 글로벌 반도체 매출 17% 증가…삼성전자 1

 

4. “반도체 부진한 삼성전자, 스마트폰 마저도”…내년 생산계획 보니

2억3천만대로 10% 줄여잡아

글로벌 불황 감안 보수적 목표

https://v.daum.net/v/20241210222100244